KR100709143B1 -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 Google Patents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143B1
KR100709143B1 KR1020040050210A KR20040050210A KR100709143B1 KR 100709143 B1 KR100709143 B1 KR 100709143B1 KR 1020040050210 A KR1020040050210 A KR 1020040050210A KR 20040050210 A KR20040050210 A KR 20040050210A KR 100709143 B1 KR100709143 B1 KR 10070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torage
shelf structure
storage case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232A (ko
Inventor
카츠마타사다하루
Original Assignee
텐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텐마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2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해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확실히 형성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반구성체를 제공한다. 상기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는, 수납 케이스(2)와 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선반구성체(10)를 걸쳐지게 하여 선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및 그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수평으로 각각 가설된다. 선반구성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파이프 모양의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보다 직경이 작고 한 쪽 끝이 삽입된 파이프 모양의 제 2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선반구성체를 나타낸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3은 선반구성체를 늘려서 3 개의 선반판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 A 선에 해당하는 선반구성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선반구성체를 축소시켜서 2 개의 선반판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6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도 7 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 의 C - C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납 케이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수납 케이스의 서랍부를 앞으로 당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 의 B - B 선에 해당하는 천장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구성체를 가설했을 때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의 요부를 나타낸 도 13 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내는 수납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내는 선반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수납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부와 앞판을 갖지 않는 앞면개방형의 서랍부를 나타낸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선반구성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반 구성체 및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선반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침이나 벽장(이하, '반침 등'이라 함) 등에는 의류나 소품 등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를 넣는 곳이 있다. 이 경우, 수납 케이스 등에는 반침 등의 폭이나 높이 에 맞추어서 옆으로 배열하거나 윗쪽으로 쌓아올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수납 케이스로서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쌓아올리도록 연구된 것들도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11-216027호 공보 (제 4 - 5 페이지, 도 1, 도 2) 참조).
그런데, 상기 수납 케이스를 반침 등에 넣었을 경우, 반침 등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수납 케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반침 등에 적용하는 다다미 사이즈가 관서식이나 관동식으로 각각 다를 뿐 아니라 단지(團地)사이즈와 같은 특수한 사이즈 규격이 존재하므로, 수납 케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높이 사이즈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는 것도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를 반침 등에 넣었을 때, 수납 케이스와 그와 동일한 면위에 배치되는 또 다른 수납 케이스의 사이 뿐만 아니라 그 윗쪽에도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여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납 케이스와 수납 케이스의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해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확실하게 형성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선반 구성체 및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제 1 항에 따른 발명은,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되어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구성체로서,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마련된 걸림부에 고정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를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가,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최대한 늘린 범위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판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가,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 걸져지는 제 1 선반판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한 쪽 끝에 걸쳐지는 제 2 선반판부재로 구성되며,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의 대향면이 상호 상하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항에 따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납 케이스와, 이들 수납 케이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가설되는 상기 앞에서 기재된 선반구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제 6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에서,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의 걸림부가 상기 선반구성체의 피걸림부를 고정할 때 해당 피걸림부를 충분히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선반구성체가 가설됨으로써 양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반침이나 벽장 드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고 훌륭히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서,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수납 케이스의 폭보다 좁거나 넓어도 선반구성체의 길이를 그 치수에 맞추어 조정함으로써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확실히 가설할 수 있어서,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3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선반판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므로,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로서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4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가 상하로 겹쳐지므로,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로서의 기능을 훌률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5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선반구성체가 가설됨으로써, 해당 선반구성체에 의해 양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반침이나 벽장 등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고, 따라서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 케이스를 넣음으로써 발생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관동식, 관서식, 단지식 등의 다다미 사이즈의 공간 내부를 휼륭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공간 뿐만 아니라, 옷장 위의 공간도 훌륭히 활용할 수 있어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6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선반구성체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와, 다른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가 선반구성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선반구성체를 늘리거나 줄여도 어느 선반판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된 선반구성체가 상하 방향으로 항상 막고 있기 때문에 물건이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한층 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부터 도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형태에 관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는, 선반구성체(10)가 가장 하단에 설치된 좌측의 수납 케이스(2)와 이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우측으로 배치된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걸쳐지면서 선반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그 하단의 좌측 수납 케이스(2) 위에 겹쳐진 중간단의 수납 케이스(2)와 하단의 우측 수납 케이스(2) 위에 겹쳐진 중간단의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마찬가지로 걸쳐지면서도 선반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의 사이나 그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의 사이 등에 수평으로 각각 가설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S 는 반침의 기둥이다.
상기 선반구성체(10)는, 도 2 에 나타낸 화살표 X 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보다 직경이 작고 여기에 한쪽 끝이 삽입된 파이프 모양의 제 2 부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선반 구성체(10)는 제 1 부재(11)의 한쪽 끝의 내측에 제 2 부재(12)의 한쪽 끝을 안쪽까지 삽입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축소되는 한편 제 2 부재(12)의 한쪽 끝부분을 끌어냄으로써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반구성체(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두 수납 케이스(2), (2)의 한 쪽 전후로 각각 가설되도록 2개를 사용한다.
선반구성체(10)를 구성하는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에는 피걸림부(13), (14)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걸림부(13), (14)가 도 10 에 나타낸 수납 케이스(2)의 걸림부인 오목부(5)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피걸림부(13)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基部)(15)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그 기부(15)가 제 1 부재(11)의 앞단에 끼워진다. 피걸림부(14)도 기부(16)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기부(16)가 제 2 부재(12)의 앞단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게 된다. 이들 피걸림부(13), (14)는 모두 후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피걸림부(13), (14)를 "후크부(13)", "후크부(14)"라고 한다.
한편, 걸림부인 오목부(5)는 수납 케이스(2)의 윗면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 케이스(2)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즉, 수납 케 이스(2)는 의류, 소품류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 부터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부(3)와 서랍부(4)를 구비하며, 이른바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부(3)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쪽이 열리고 그 주위가 둘러싸인 4각의 통 모양이다. 서랍부(4)는 외부 케이스(3)에 수납가능한 크기이며 윗쪽이 개방된 사각 상자 모양이며, 외부 케이스부(3)에 정면으로 삽입되었을 때 도 7 ∼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판(4a)이 외부 케이스부의 입구를 막도록 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부(3)는, 도 7 ∼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6) 주위를 따라 다리부(8)가 아래쪽을 향해 마련되며, 또한 윗면에는 도 6, 도 12,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8)를 삽입하는 삽입홈(9)이 주위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수납 케이스(2) 위에 수납 케이스(2)를 쌓아 올릴 때,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삽입홈(9) 내에 수납 케이스(2)의 다리부(8)가 삽입됨으로써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 수납 케이스(2)의 바닥판(6)이 겹쳐지며, 따라서 수납 케이스(2), (2)가 안정된 상태에서 높이 방향으로 쌓아지게 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2)는 합성수지제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합성수지제인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하고 있는 물건이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하게 내지는 반투명하게 해도 좋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채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는 선반구성체(10)의 피걸림부를 고정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는 수납 케이 스(2)의 천장판(7)의 양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5)는 피걸림부를 고정했을 때 피걸림부의 윗면이 천장판(7)의 윗면에서 윗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천장판(7)과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5)는 피걸림부(13), (14)의 높이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선반구성체(10)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재(11)와 다른 쪽 부재(12)간에 걸쳐서 복수의 선반판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판부재(17)는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예를 들면 3개가 준비되어 있으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가 가장 길게 연장되었을 때 각각 서로 접한 상태로 배열되며, 또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축소되었을 때 한 개를 빼고 다른 두 개만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건을 올려둘 수 있도록 선반판을 구성할 수 있다.
선반판부재(17)의 주위에는 아랫쪽을 향하도록 장변측에 마련된 테두리부(17a) 및 단변측에 마련된 테두리부(17b)가 마련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7a)에는 제 1, 제 2 부재(11), (12)를 걸치기 위한 절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선반구성체(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는 그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반침에 복수개의 수납 케이스(2)를 넣으려고 할 때, 반침의 폭방향 사이즈로 인해 수납 케이스(2)를,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3개를 나란히 놓지 못할 경우가 있는데, 그로 인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침의 좌측에 수납 케이스(2)를 넣 음과 동시에 그 수납 케이스(2)와 간격을 두고 그 우측에 수납 케이스(2)를 배치했을 때,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더이상의 수납 케이스가 들어가지 않아서 양 수납 케이스 사이가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구성체(10)를 사용한다. 즉, 하단에 있는 좌측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의 우측 전방부의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의 후크부(13)를 고정하는 한편, 그 제 1 부재(11)에 대해 제 2 부재(12)의 길이를 조정한 후, 그 제 2 부재(12)의 후크부(14)를 하단에 있는 우측 수납 케이스(2) 천장판(7)의 좌측 전방부의 오목부(5)에 고정하고, 또한 이 과정을 상기 쌍방의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 후방부에 존재하는 오목부(5)에 실시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부재(11), (12)의 후크부(13), (14)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을 구성한다.
이 때,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길이로 되었을 경우에는, 선반구성체(10) 각각에 선반판부재(17)를 3개 배열하고, 선반판부재(17)의 수를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길이의 선반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에 선반구성체(10)가 가설됨으로써,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구성체(10)에 의해 선반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침이나 벽장 등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 케이스(2), (2)를 넣어서 발생한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고 훌륭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이러한 간이 선반 부착 유니트(1)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2), (2)를 넣어서 생겨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때문에, 관동식, 관서식, 단지식 등의 다다미 사이즈의 공간 내부를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공간뿐 아니라 옷장 등의 윗공간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더구나,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수납 케이스(2), (2)의 오목부(5)에 고정되었을 때 오목부(5)가 후크부(13), (14)를 전부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2), (2)의 천장판(7)이 윗쪽으로 돌출하는 일도 없다. 때문에, 양 수납 케이스(2), (2)의 위에 다른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선반구성체(10)를 가설하여 또다른 선반을 형성할 수도 있어서 데드 스페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반구성체(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의 간격이 수납 케이스(2)의 폭보다 좁거나 넓어도 선반구성체(10)의 길이를 칫수에 맞게 조정하여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확실히 가설할 수 있어서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복수의 선반판부재(17)가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선반에 배치되는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10)로서 훌륭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더구나, 선반구성체(10)를 축소시켜서 사용하는 경우, 선반판부재(17)는 그 길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 1, 제 2 부재(11), (12)에서 불필요한 것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 선반구성체(10)의 피걸림부인 후크부(13), (14)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홈(9)과는 독립적으로 걸림부인 오목부(5)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홈(9)의 전후 위치에 상기 오목부(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즉,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9)의 전후 위치에 삽입홈보다 더 깊이 오목부(5)를 각각 마련하고, 각각의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고정되어 선반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납 케이스(2) 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수납 케이스(2)를 겹쳐올렸을 때 그 수납 케이스(2)의 다리부(8)가 후크부(13), (14) 위에 놓여지므로 상단의 수납 케이스(2)가 선반구성체(10)를 하단의 수납 케이스(2)에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에 마련된 후크부(13)의 시작부(13a)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편, 수납 케이스의 천장판(7)의 양측에는 시작부(13a)를 지지할 수 있는 단차부(7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선반구성체(10)의 제 2 부재(12)의 후크부(14)도 후크부(1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단의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 이에 선반구성체(10)가 걸쳐질 때, 그 위에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리면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 (2)에 의해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를 누르게 되므로 선반구성체(1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수납 케이스(2)에 마련된 걸림부인 오목부(5)가 외부 케이스부(3)를 구성하는 천장판(7)의 벽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의 끝테두리(7a)가 측벽(3a)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외부 케이스부(3)가 구성되며, 천장판(7)에서 끝테두리(7a)의 내측에 오목부(5)가 마련된다.
그리고, 선반을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고정되는데, 이 수납 케이스(2) 위에 다른 수납 케이스(2)가 겹쳐졌을 때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부(3)에 마련된 리브(3b)에 의해 후크부(13), (14)가 탈락하지 않게 누르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수납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3)의 측벽(3a)에는 오목부(5)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브(3b)는 외부 케이스부(3)의 측벽(3a)에 하부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데 측벽(3a)의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여도 괜찮다.
외부 케이스부(3)는, 바닥판(6)측에서 천장판(7) 방향으로 갈수록 약간이나마 점점 폭이 넓어지는 절구모양이다.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외부 케이스 부(3)에 넣어지는 서랍부(4)도 그에 대응하여 절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수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단의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구성체(10)가 걸쳐졌을 때, 그 위에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리면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 (2)의 리브(3b)가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를 누르게 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고, 또한 외부 케이스부(3)에 리브(3b)가 마련되면 그만큼 외부 케이스부(3)의 강도가 세지므로 수납 케이스(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선반구성체(10)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로서,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선반판부재(171), (172)가 있다. 이 경우, 제 1 선반판부재(171)와 제 2 선반판부재(172)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3 개를 이용하는 선반판부재(17)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선반구성체(10)를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때, 예를 들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늘리거나 혹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해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제 1, 제 2 선반판부재(171), (172)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들 쌍방의 선반판부재(171)의 테두리부(도시하지 않음) 및 선반판부재(172)의 테두리부(172a)에는 선반구성체(10)에 걸치는 절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171)과, 다른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172)는 선반구성체(10)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선반구성체(10)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어느 한 쪽의 선반판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가설된 선반구성체(10)를 상하로 연결할 필요가 없이 항상 막을 수 있으므로, 물건이 낙하할 우려가 없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탈착이 손쉽게 되므로 사용하기에 한층 더 편리해졌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반구성체(10)는 판체(17a)의 양끝에 후크부(13) 및 후크부(14)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 바꿔말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선반판부재와 각 후크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도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2)의 서랍부(4)에 앞판(4a)이 마련된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어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판(4a)이 존재하지 않는 이른바 앞면개방형으로 이루어진 서랍부(4)로 형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를 반침이나 벽장에 넣어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장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가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뚜껑식 에 적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부와 서랍부로 구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반구성체로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길이로 조절하여 2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이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면 약간의 변형은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는, 수납 케이스(2)와 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선반구성체(10)를 걸쳐지게 하여 선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및 그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수평으로 각각 가설되고. 선반구성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이도록 형성되며, 파이프 모양의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보다 직경이 작고 한 쪽 끝이 삽입된 파이프 모양의 제 2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되며, 수납 케이스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해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확실히 형성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되어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구성체로서,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마련된 걸림부에 계지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는,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는,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최대한 늘린 범위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판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는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 걸져지는 제 1 선반판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한 쪽 끝에 걸쳐지는 제 2 선반판부재로 구성되며,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의 대향면이 상호 상하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
  5. 수평 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납 케이스와, 이들 수납 케이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가설되는 청구항 1 의 선반구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의 걸림부는, 상기 선반구성체의 피걸림부를 계지했을 때, 해당 피걸림부를 전부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KR1020040050210A 2003-09-05 2004-06-30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KR100709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4196A JP2005080768A (ja) 2003-09-05 2003-09-05 棚構成体及び簡易棚付き収納ユニット
JPJP-P-2003-00314196 200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32A KR20050025232A (ko) 2005-03-14
KR100709143B1 true KR100709143B1 (ko) 2007-04-18

Family

ID=3441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10A KR100709143B1 (ko) 2003-09-05 2004-06-30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80768A (ko)
KR (1) KR100709143B1 (ko)
CN (1) CN1316930C (ko)
HK (1) HK1072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368A (ja) * 2011-03-29 2012-10-25 Kawamura Electric Inc キャビネット列連結構造
CN106037277A (zh) * 2016-06-28 2016-10-26 庞雯婧 一种具有伸缩结构的组合式书柜
GB2576347B (en) * 2018-08-15 2022-03-09 Yip Heung Win Leanne Shelf support system
JP7348669B2 (ja) 2021-09-03 2023-09-21 株式会社Sanka 組み合わせ収納ボック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416A (ko) * 1998-11-12 2001-10-06 무네유키 가코우 카세트 수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0215U (zh) * 1987-01-10 1987-10-21 顾福生 组装式繁用框架
CN2142664Y (zh) * 1992-08-05 1993-09-29 柯于文 可调货架
JP2002000382A (ja) * 2000-06-19 2002-01-08 Takubo Industrial Corp 支持装置
CN2509932Y (zh) * 2001-11-29 2002-09-11 黄海 拼装书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416A (ko) * 1998-11-12 2001-10-06 무네유키 가코우 카세트 수납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공개 10-2001-0089416호 (2001.10.0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6930C (zh) 2007-05-23
KR20050025232A (ko) 2005-03-14
CN1589701A (zh) 2005-03-09
HK1072352A1 (en) 2005-08-26
JP2005080768A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901C2 (ru)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KR100709143B1 (ko)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JP3186097U (ja) 収納ケース
RU2259518C2 (ru) Полка для двери холодильника
KR101089778B1 (ko) 정제 케이스
KR20130005501U (ko) 수납 케이스
KR200471575Y1 (ko) 의류 수납 장치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0376576Y1 (ko) 소품 수납용 적층식 바구니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KR101236657B1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JP3149900U (ja) チェスト
KR20210002430U (ko) 멀티 캐비넷
KR200484858Y1 (ko) 다중 연결형 수납함
JP7348669B2 (ja) 組み合わせ収納ボックス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200284598Y1 (ko) 신발용품 보관함이 구비된 조립식 신발장
JPS6018095Y2 (ja) 机の脚
CN218605750U (zh) 可组合的储物柜、储物柜安装结构和组合式储物装置
JP6955793B1 (ja) 収納容器と収納具
KR200269312Y1 (ko) 분리형 장롱
CN210137980U (zh) 一种抽屉内收纳盒
KR200406831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220107512A (ko)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