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778B1 - 정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정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778B1
KR101089778B1 KR1020047020016A KR20047020016A KR101089778B1 KR 101089778 B1 KR101089778 B1 KR 101089778B1 KR 1020047020016 A KR1020047020016 A KR 1020047020016A KR 20047020016 A KR20047020016 A KR 20047020016A KR 101089778 B1 KR101089778 B1 KR 10108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drawer
tablet
side walls
tabl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319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아키토시 혼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10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좌우측벽(4a,4b)과, 이 좌우측벽(4a,4b)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벽(5)과, 좌우측벽(4a,4b)의 하단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측벽(4a,4b)의 사이에 설치되고, 후벽(5)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9)을 가지는 저판(6)으로 이루어지고, 저판(6)의 경사면(9)에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재치하여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1)에 있어서, 저판(6)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4a,4b)과 저판(6)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3)을 설치한다. 또한, 좌우측벽(4a,4b)의 내측에 적어도 1쌍의 대향하는 세로홈(22)을 설치하고, 세로홈(22)에 걸어맞춤(係合)하고 저판(6)의 경사면(9) 상의 스페이스를 전후로 구분하는 가동벽(2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정제 케이스{TABLET CASE}
본 발명은, 정제 블리스터 팩(tablet blister packs)을 재치하여 수납하기 위한 정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병원이나 약국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단(段)의 선반(31)에 다수의 정제 케이스(32)를 재치한 정제대(33)가 설치되어 있다. 정제를 구입하면, 포장상자에서 정제 블리스터 팩을 취출하고, 정제 케이스(32)에 종류별로 수납하고 있다. 정제 케이스(32)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34a, 34b)과, 이 좌우측벽(34a, 34b)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벽(35)과, 상기 좌우측벽(34a, 34b)의 하단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측벽(34a, 34b)의 사이에 설치된 저판(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판(36)은, 후벽(35)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37)을 가지며, 이 경사면(37)에 정제 블리스터 팩을 재치하여 수납함과 동시에, 경사면(37)의 전방측에 설치한 1단 낮은 작은 수납부(38)에 우수리(端數)의 정제 블리스터 팩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966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정제 케이스(32)는, 포장상자에 정제 블리스터 팩과 함께 수용되어 있는 설명서 등을 보관하는 스페이스가 없었다. 그래서, 전방측의 정제 블 리스터 팩의 수납부(38)의 하방에 설명서를 끼워 넣는 스페이스를 설치한 것이 제안(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1-104063호 공보 참조)되어 있는데, 이 스페이스는 충분하지 않았다. 그리고, 종래의 정제 케이스(32)의 아래에 서랍을 설치한 것도 실용화되어 있는데, 서랍을 설치한 만큼, 높이가 크게 되고, 정제대가 대형화하여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정제 케이스(32)는, 저판(36)의 경사면(37) 상에 재치하는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전체 길이가 저판(36)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짧은 경우에는,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전단(前端)이 저판(36)의 앞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후방에 위치하도록 재치되고,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좁은 스페이스에 손을 넣지 않으면 안되고,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취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경사면(37) 상에 재치하는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폭이 저판(36)의 폭에 가까운 폭 넓이인 경우,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횡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측으로부터 집어 올릴 수밖에 없고, 역시,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취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정제 케이스의 전체 형상을 바꾸는 일 없이, 정제의 설명서 등을 보존하는 스페이스를 갖는 정제 스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수납하는 정제를 취출하기 쉬운 정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측벽과, 이 좌우측벽의 후단 에 연속하는 후벽과, 상기 좌우측벽의 하단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벽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갖는 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판의 경사면에 정제 블리스터 팩을 재치하여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과 상기 저판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과 저판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하여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제 케이스의 전체 형상과 다를 바 없다. 그리고, 이 서랍에 정제의 설명서 등을 넣어 둘 충분한 스페이스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벽의 하단에, 상기 서랍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서랍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정제 케이스를 들어 올렸을 때 서랍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랍을 상기 정제 케이스에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서랍의 내부를 상기 저판의 전단(前端)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저판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납부로 나누는 칸막이판을 설치한다. 이 제1수납부는, 저판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어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측의 블리스터 팩을 용이하게 수용하고, 취출할 수 있다. 제2수납부에는, 정제의 설명서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서랍의 양측벽에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상기 서랍이 걸어맞춤(係合)하는 장공을 상기 서랍의 인출방향을 따라서 설치 한다. 이것에 의해, 서랍이 정제 케이스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은, 상기 저판과 평행하게 경사한 후공부(後孔部)와, 이 후공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공부(前孔部)로 이루어지는, 굴절된 장공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서랍을 인출한 상태에서의 이 서랍의 후벽과 상기 저판과의 간극(隙間)이 작아지고, 이 간극에 수납물이 끼어 들어가거나, 서랍 후방부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벽 또는 상기 저판에 걸림(係止)부를 설치하고, 상기 서랍에 이 서랍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피(被)걸림부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정제 케이스를 들어 올리거나, 정제대에 재치할 때, 서랍이 쓸데없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벽은, 후반부와, 이 후반부의 대략 절반 이하의 높이의 전반부와, 이 전반부와 상기 후반부의 사이의 단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저판의 전단으로부터 당해 저판의 전체 길이의 1/3 내지 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벽의 전반부의 상부가 크게 절취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저판의 경사면 상에 재치된 정제 블리스터 팩이 폭 넓은 것이라 하더라도, 상기 정제 블리스터 팩을 좌우로 손을 넣어 집어 올릴 수 있다.
상기 좌우측벽의 내측에 적어도 1쌍의 대향하는 세로홈을 설치하고, 이 세로홈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저판의 경사면 상의 스페이스를 전후로 구분하는 가동벽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저판의 경사면 상에 재치되는 정제 블리스터 팩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가동벽을 세로홈에 걸어맞추고, 경사면 상의 스페이 스의 앞에서부터 뒤까지의 깊이(奧行)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블리스터 팩의 전단을 상기 저판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맞추어 취출하기 쉬운 위치에 재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과 저판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정제 케이스의 전체 형상을 바꾸는 일 없이, 서랍에 정제의 설명서 등을 넣어 둘 충분한 스페이스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우측벽의 전반부의 상부가 크게 절취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가장 가까이에 측벽이 없는 정제 블리스터 팩 전방부의 횡측으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정제 블리스터 팩을 집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가동벽을 세로홈에 걸어맞추고, 재치한 상기 정제 블리스터 팩의 전단이 상기 저판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맞도록, 상기 경사면 상의 스페이스의 앞에서부터 뒤까지의 깊이를 선택함으로써, 정제 블리스터 팩을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의 서랍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제 케이스의 서랍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제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스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제 케이스의 서랍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서랍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제 케이스의 서랍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의 서랍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제 케이스의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케이스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정제 케이스의 서랍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서랍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정제 케이스의 서랍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 서랍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정제 케이스를 재치하는 정제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정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1)를 나타낸다. 이 정제 케이스(1)는, 투명 또는 차광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제대(33)에 재치되고, 각종의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수납하는 것이다. 정제 케이스(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와, 서랍(3)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본체(2)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4a, 4b)과, 이 좌우측벽(4a, 4b)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벽(5)과, 좌우측벽(4a, 4b)의 하단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측벽(4a, 4b)의 사이에 설치된 저판(6)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측벽(4a, 4b)의 하단에는, 안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7)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7)의 상방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8)이 형성되어 있다. 저판(6)은, 후벽(5)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9)을 가지고 있다. 저판(6)의 전단(前端) 가장자리부는, 좌우측벽(4a, 4b)의 전단까지는 다다르지 않고, 도중까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6)의 전단 가장자리부의 중앙에는 슬롯형상의 걸림공(係止孔)(10)이 형성되어 있다.
서랍(3)은,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저판(6)과 이 저판(6)으로부터 하방의 좌우측벽(4a, 4b)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것이다. 이 서랍(3)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이 전방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하는 좌우의 측벽(11a, 11b)과, 이 좌우의 측벽(11a, 11b)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벽(12)과, 좌우측벽(11a, 11b)과 후벽(12)의 사이에 걸치는 저판(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판(13)의 전단 부분은, 좌우측벽(11a, 11b)의 상단까지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4)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14)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에는, 정제이름 등을 기재하는 라벨이 점착되는 전판(前板)(15)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전판(15)과 경사면(14)의 사이는, 서랍(3)을 인출할 때의 손잡이로 되어 있다. 좌우측벽(11a, 11b), 후벽(12) 및 저판(13)으로 형성되는 공간은, 저판(13)에 설치한 칸막이판(16)으로 나뉘고, 칸막이판(16)의 전방측에서 그리고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전단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17)와, 칸막이판(16)의 후방측에서 그리고 케이스 본체(2)의 저판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16)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걸림공(10)에 걸어맞춤 (係合)하는 돌출편(19)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판(6)의 전단 가장자리부가 좌우측벽(4a, 4b)의 도중에서 끝나 있고, 이 전단 가장자리부의 걸림공(10)과 칸막이판(16)의 돌출편(19)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제1수납부(17)가 열리며, 제2수납부(18)가 닫힌 상태가 된다. 좌우측벽(11a, 11b)의 후단 근방에는, 돌기(20)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돌기(20)는,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장공(8)에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정제 케이스(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제대(33)에 다수 재치되고, 각각에 다른 종류의 정제 블리스터 팩(30)이 수납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경사면(9)에 새로운 정제 블리스터 팩(30)이 재치되어 수납되고, 서랍(3)의 제1수납부(17)에는, 절리된 우수리(端數)의 정제 블리스터 팩(30a)이 수납된다. 서랍(3)을 인출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수납부(18)가 나타난다. 이 제2수납부(18)에는, 정제의 설명서가 보관되고, 필요에 따라서, 기한관리정보나 금기정보를 기재한 종잇조각(紙片) 등이 보관된다. 서랍(3)을 닫으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랍(3)의 칸막이판(16)의 돌출편(19)이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걸림공(10)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정제 케이스(1)를 정제대(33)로부터 출입할 때에, 서랍(3)이 케이스 본체(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랍(3)을 완전히 인출하면, 서랍(3)의 돌기(20)가 케이스 본체(2)의 장공(8)의 전단에 접하기 때문 에, 서랍(3)이 이탈하는 일은 없다.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하방의 공간은, 경사면(9)을 가지는 저판(6)을 설치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공간이고, 도 16에 도시하는 종래의 정제 케이스(32)에도 존재하여 있다. 본 발명의 서랍(3)은, 이 케이스 본체(2)의 저판(6)의 하방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제 케이스(32)의 전체 형상과 다르지 않다. 특히, 정제 케이스(1)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 채로, 서랍(3)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정제대(33)에, 종래와 동일한 수의 정제 케이스(1)를 설치할 수 있다. 저판(6)에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수납하고, 서랍(3)의 제1수납부(17)에 우수리의 정제 블리스터 팩(30a)을 수납할 수 있다고 하는 기능에 더하여, 서랍(3)의 제2수납부(18)에 정제의 설명서 등을 보관할 수 있다고 하는 새로운 기능을, 전체 형상을 바꾸지 않고 부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1')를 도시한다. 이 정제 케이스(1')에 대해서는, 전술한 정제 케이스(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그 기능을 설명한다.
정제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와, 서랍(3)으로 이루어지고, 더욱이 가동벽(21)을 구비하여 있다.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의 좌우측벽(4a, 4b)에는, 3쌍의 대향하는 세로홈(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세로홈(22)에 가동벽(21)이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좌우측벽(4a, 4b)에 설치된 장공(8)은, 도 1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판(6)과 평행하게 경사한 후공부(後孔部)(8A)와 이 후공부(8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공부(前孔部)(8B)로 이루어지는, 굴절된 장공이다. 그리고, 가이드(7)는, 제1실시형태보다도 짧은 턱(爪)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측벽(4a, 4b)은, 후반부(4A)와, 후반부(4A)의 대략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전반부(4B)와, 전반부(4B)와 후반부(4A)의 사이의 단차부(4C)로 이루어져 있고, 단차부(4C)는, 저판(6)의 전단으로부터 저판(6)의 전체 길이의 약 1/3 내지 약 1/2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저판(6)은, 수납한 블리스터 팩(30)이 취출하기 쉽도록 앞가장자리부가 상방으로 더 경사하여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서랍(3)의 저면의 양측, 측벽(11a, 11b)의 앞가장자리 부근의 하단에 걸림(係止爪)(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판(15)은, 정제이름 등을 기재하는 라벨이 상부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더욱이, 전판(15)의 중앙 이면측에는 라벨을 취출할 때에 라벨을 하측으로부터 손가락으로 밀어내기 위한 절개홈(切欠)(2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랍(3)의 걸림턱(23)은, 정제 케이스(1')의 서랍(3)을 닫은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2)의 가이드(7)의 깊은 안쪽에 위치하여 있고, 가이드(7)는, 서랍(3)의 걸림턱(23)에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서랍(3)이 원하는 이상으로 너무 많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정제 케이스(1')는, 전술한 정제 케이스(1)와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제대(33)에 다수 재치되고, 각각에 다른 종류의 정제 블리스터 팩(30)이 수납된다. 정제대(33)로부터 정제 케이스(1')를 취 출할 때는, 경사면(14)에 손가락을 걸어 사용자의 앞쪽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전판(15)의 이면측에서 경사면(14)의 아래의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넣어 조금 들러 올리도록 하여 사용자 앞쪽으로 당기면, 걸림턱(23)이 가이드(7)로부터 벗어나 서랍(3)을 열 수 있다. 저판(6)의 경사면(9) 상에 재치하는 블리스터 팩(30)의 전체 길이가 저판(6)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은 경우라 하더라도, 경사면(9)의 유효한 안쪽 깊이가 블리스터 팩(30)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수납 스페이스를 구분하는 가동벽(21)을 삽입하는 세로홈(22)을 선택함으로써, 블리스터 팩(30)의 전단을 저판(6)의 앞가장자리 가까이에 정렬 취출하기 쉬운 위치에 재치할 수 있다.
정제 케이스(1')에서는, 서랍(3)이, 케이스 본체(2)로부터 장공(8)의 경사한 후공부(8A)를 따라서 저판(6)과 평행하게 경사 상방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서랍(3)을 인출한 상태에서도, 저판(6)과 서랍(3)의 후벽(12) 사이의 간극이 커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장공(8)의 수평한 전공부(8B)는, 서랍(3)을 후공부(8A)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지 않고, 수평으로 유지한 채로 인출시키고, 저판(6)과 후벽(12)의 사이의 간극을 작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저판(6)과 후벽(12)의 사이에 제2수납부(18)에 수납해야 할 설명서 등을, 잘못하여 끼워 넣거나 서랍(3)의 후방측에 전락(轉落)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랍(3)을 밀어 넣어 닫을 때에, 서랍(3)의 걸림턱(23)은, 좌우측벽(2a, 2b)의 턱 형상의 가이드(7)를 타고 넘어, 서랍(3)이 닫혀진 상태에서, 가이드(7)의 후단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서랍(3)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서랍(3)의 전방부를 들어 올리면서 사용자 앞쪽으로 인출할 필요가 있고, 정제 케이스(1')를 정제 대(33)로부터 출입할 때에, 서랍(3)이 케이스 본체(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측벽(4a, 4b)의 전반부(4B)의 상부가 크게 절취된 형상이기 때문에, 저판(6)의 경사면(9) 상에 재치하는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폭이 경사면(9) 가득(一杯)이라 하더라도,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전방부의 양측 바로 가까이에는 좌우측벽(4a, 4b)이 없고, 이 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정제 블리스터 팩(30)을 집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전단부의 상하에 손가락을 넣어 집어 올릴 수도 있고, 정제 케이스(1')가 재치된 위치나, 작업자의 자세 등에 의해 편안한 방법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형태인 정제 케이스(1'')를 도시한다. 제2실시형태와의 다른 점은 칸막이판(16)의 형상뿐이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판(16)은, 제2수납부(18)의 저판으로부터 칸막이판(16)의 중앙에 경사하여 연장되고, 양자를 매끄러운 곡면으로 연결하는 경사부(16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 케이스(1'')는, 경사부(16a)가 있기 때문에, 제2수납실부(18)에 수납한 정제의 설명서 등이 취출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케이스(1')는, 서랍(3)의 제2수납부(18)의 정제의 설명서 등을 보관할 수 있다고 하는 새로운 기능을, 전체 형상을 바꾸지 않고 부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제 블리스터 팩(30)의 형상에 관계없이 취출하기 쉽게 재치할 수 있도록 되었다.

Claims (8)

  1. 좌우측벽과, 이 좌우측벽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벽과, 상기 좌우측벽의 하단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벽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갖는 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판의 경사면에 정제 블리스터 팩을 재치하여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과 상기 저판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의 하단에, 상기 서랍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을 상기 정제 케이스에 수납하였을 때, 상기 서랍의 내부를 상기 저판의 전단(前端)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저판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납부로 나누는 칸막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양측벽에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저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상기 서랍의 돌기가 걸어맞춤(係合)되는 장공을 상기 서랍의 인출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상기 저판과 평행하게 경사한 후공부(後孔部)와 이 후공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공부(前孔部)로 이루어지는, 굴절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 또는 상기 저판에 걸림부(係止部)를 설치하고, 상기 서랍에 이 서랍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피(被)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은, 후반부와, 이 후반부의 절반 이하의 높이의 전반부와, 이 전반부와 상기 후반부의 사이의 단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저판의 전단으로부터 당해 저판의 전체길이의 1/3 내지 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의 내측에 적어도 1쌍의 대향하는 세로홈을 설치하고, 이 세로홈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저판의 경사면 상의 스페이스를 전후로 구분하는 가동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케이스.
KR1020047020016A 2003-03-05 2004-03-02 정제 케이스 KR101089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8608 2003-03-05
JPJP-P-2003-00058608 2003-03-05
JP2003286916 2003-08-05
JPJP-P-2003-00286916 2003-08-05
PCT/JP2004/002555 WO2004078095A1 (ja) 2003-03-05 2004-03-02 錠剤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319A KR20050108319A (ko) 2005-11-16
KR101089778B1 true KR101089778B1 (ko) 2011-12-07

Family

ID=3296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016A KR101089778B1 (ko) 2003-03-05 2004-03-02 정제 케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71522B2 (ko)
EP (1) EP1600140A1 (ko)
JP (1) JP4409510B2 (ko)
KR (1) KR101089778B1 (ko)
CA (1) CA2487855A1 (ko)
NO (1) NO20045671L (ko)
TW (1) TW200423921A (ko)
WO (1) WO2004078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4849B2 (en) * 2005-07-26 2009-09-08 Milford Vincent Mauk Home medicine station
CN101384237B (zh) * 2006-01-18 2012-08-22 阿尔克-阿贝洛有限公司 用于泡罩包装的容器
JP5102608B2 (ja) * 2007-04-09 2012-12-19 高園産業株式会社 調剤装置の薬品ストック構造
CA2712624A1 (fr) * 2010-08-19 2012-02-19 Cogestor Inc. Panier pharmaceutique
JP5508213B2 (ja) * 2010-10-04 2014-05-28 中日産業株式会社 薬剤ケース
JP5630733B2 (ja) * 2010-10-06 2014-11-26 高園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
US20140102859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20140251862A1 (en) * 2013-03-08 2014-09-11 Apothecary Products, Inc. Pill containers with registers and methods
JP6272074B2 (ja) * 2014-02-21 2018-01-3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薬剤収納ケース
JP7233078B2 (ja) * 2018-10-29 2023-03-06 河淳株式会社 薬剤収納ケース及び薬剤収納ケース連結体
JP7265239B2 (ja) * 2018-10-29 2023-04-26 河淳株式会社 薬剤収納ケース連結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63A (ja) 1997-06-26 1999-01-19 Yuyama Seisakusho:Kk 錠剤ブリスターパック収納容器
JP2001104063A (ja) 1999-10-07 2001-04-17 Okamura Corp 薬剤パックの収納棚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8968A (de) * 1971-06-01 1973-07-15 Starkermann & Co P Schiebe-Schachtel
JPS5846687Y2 (ja) * 1980-10-09 1983-10-24 コクヨ株式会社 錠剤整理箱
JPS5765641A (en) 1980-10-31 1982-04-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hortcircuit sensor
DE3243339C2 (de) 1982-11-19 1986-03-27 Helmut Dr.med. 2000 Hamburg Opel Verfahren zur Gewinnung von Tränenflüssigkeit
JPS59103662U (ja) * 1982-12-28 1984-07-12 株式会社伊藤喜工作所 錠剤整理トレ−係止装置
SE9101862A0 (sv) * 1991-06-17 1992-12-18 Item Dev Ab Dispenser för medicinska preparat
US5159581A (en) * 1992-04-08 1992-10-27 Agans Rita M Medicine reminder and dispenser
US5275291A (en) * 1992-04-16 1994-01-04 Tredegar Industries Inc. Tablet dispenser
US6662081B1 (en) * 2000-06-08 2003-12-09 Medport Llc Medication regimen container and system
JP3308972B1 (ja) * 2001-01-16 2002-07-29 有限会社セルフセキュリティ 服薬確認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63A (ja) 1997-06-26 1999-01-19 Yuyama Seisakusho:Kk 錠剤ブリスターパック収納容器
JP2001104063A (ja) 1999-10-07 2001-04-17 Okamura Corp 薬剤パックの収納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78095A1 (ja) 2006-06-08
US6971522B2 (en) 2005-12-06
CA2487855A1 (en) 2004-09-16
NO20045671L (no) 2005-03-22
WO2004078095A1 (ja) 2004-09-16
JP4409510B2 (ja) 2010-02-03
EP1600140A1 (en) 2005-11-30
TW200423921A (en) 2004-11-16
KR20050108319A (ko) 2005-11-16
US20050173290A1 (en)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778B1 (ko) 정제 케이스
KR0128725Y1 (ko) 카세트 또는 카세트블록용 다단수납케이스
JPS62125339A (ja) 情報記録担体用保持シ−ト
US6305543B1 (en) Container for retaining microscope slides
US4254880A (en) Rack for storing of slides
KR0173336B1 (ko) 금전수납케이스
US7048116B2 (en) Case for a disc-like article
JP2001136835A (ja) 育苗ポットの移動用トレー
KR100709143B1 (ko)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JP2008059109A (ja) 棒金収容トレイおよび棒金収納ドロワ
KR200238181Y1 (ko) 수납상자
JP3159722U (ja) 下駄箱
CN107152831B (zh) 冰箱
KR200347112Y1 (ko) 셀형박스를 이용한 소물품 보관장치
JP2772634B2 (ja) 隙間配置収納ケース用スライドトレー
KR19990042098U (ko) 담배 진열장
JP3099678U (ja)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JPH06255685A (ja) 包装用容器
JP4169835B2 (ja) 商品陳列具
CA2301968A1 (en) Container for retaining microscope slides
JPH0612080U (ja) カード型書類等の保管箱
JP6306367B2 (ja) 薬剤収納ケース
JP3633599B2 (ja) 引出し用包丁差し
JP6272074B2 (ja) 薬剤収納ケース
EP0555416B1 (en) Cartridge/cassette stor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