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581A - 서류함 - Google Patents

서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581A
KR20190005581A KR1020170086459A KR20170086459A KR20190005581A KR 20190005581 A KR20190005581 A KR 20190005581A KR 1020170086459 A KR1020170086459 A KR 1020170086459A KR 20170086459 A KR20170086459 A KR 20170086459A KR 20190005581 A KR20190005581 A KR 2019000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s
drawer
document
guide ra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관
황인욱
Original Assignee
김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관 filed Critical 김종관
Priority to KR102017008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581A/ko
Publication of KR2019000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having both self-opening and self-closing mechanisms which inter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류함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고 내측 측벽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 및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서랍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류함{FILE CABINET}
본 발명은 서류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서류나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서랍들을 갖는 서류함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및 사무용 서류함은 물건들을 종류별로 정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2단 이상의 다단형 서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상하로 적층된 다단의 서랍들이 서랍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서랍들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서류함이 조립된 상태로 판매된 후에는 상기 서랍을 상기 서랍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거나 분리한 후에 다시 끼우기가 쉽지 않고, 과도한 힘으로 상기 서랍을 분리하거나 다시 서랍 케이스에 끼울 때,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상기 서랍 케이스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서랍이 서랍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랍을 상기 서랍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분리한 후에 다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서랍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술한 서랍 케이스를 포함하는 서류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들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및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류함 본체 내부로 연장하고 내측 측벽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함께 서랍을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가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서랍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로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하부면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만큼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는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류함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의 출입을 구속하기 위한 서랍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랍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을 갖는 로킹 바, 및 상기 프레임을 관통 형성되며, 키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로킹 바를 상하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자를 갖는 키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와 맞물려 상기 서랍의 출입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고 내측 측벽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 및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서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류함 본체 내부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이 형성된 가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서랍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로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측벽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류함은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류함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의 출입을 구속하기 위한 서랍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랍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을 갖는 로킹 바, 및 상기 프레임을 관통 형성되며, 키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로킹 바를 상하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자를 갖는 키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와 맞물려 상기 서랍의 출입을 구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은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상기 서류함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 및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서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의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과 함께 상기 서랍이 상기 서류함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랍을 서류함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분리한 후에는 다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어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류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랍 케이스의 서류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류함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이 서랍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된 서랍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서랍 로킹 장치의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서랍 로킹 장치의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서류함의 서랍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서랍의 일부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 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류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랍 케이스의 서류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류함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이 서랍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된 서랍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서랍 로킹 장치의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서랍 로킹 장치의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서류함의 서랍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서랍의 일부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 상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및 이의 반대 방향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간주한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서류함(10)은 서랍 케이스 및 상기 서랍 케이스 내외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 개의 서랍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서류함 본체(100) 및 서류함 본체(100)의 개방된 전면에 조립되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 케이스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서랍 로킹(locking)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류함(10)은 다수의 서류나 사무용품 등을 재사용이 편리하도록 분리, 정돈 및 보관하는 목적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서랍 케이스 내에 상하로 적층된 다단의 서랍들(3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들의 개수, 크기 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함 본체(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116a, 116b)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류함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상자체일 수 있다. 서류함 본체(100)는 내부 공간(S)을 정의하는 하판(112), 상판(114),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 및 후면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120)은 서류함 본체(100)의 내측 측벽, 즉,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 각각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들(120)은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20)은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제1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에 같은 높이에 각각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들(120)은 하나의 서랍(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20)은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 각각의 내측면으로 제1 수평 방향(Y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평 연장부(121a) 및 제1 수평 연장부(121a)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제1 수직 연장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20)은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20)의 전단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2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D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거리(L1)만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의 개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이격 거리, 등은 상기 서랍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기 서랍들의 개수, 상기 서랍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면에 조립될 수 있다. 서류함 본체(100) 및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서류함 본체(10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면에 조립되어 서류함 본체(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내측 측벽에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은 하나의 서랍(300)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레임(210) 및 프레임(210)으로부터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연장하며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이 형성된 가이딩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에 조립되도록 후면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10)은 전면 측벽(212), 외측벽(214) 및 내측벽(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측벽(212), 외측벽(214) 및 내측벽(216)은 서류함 본체(100)의 사각형 형상의 전단부를 따라 오목한 형상의 조립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상기 조립 공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므로, 프레임(21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외측벽(214)은 서류함 본체(100)의 사각형 형상의 전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외측벽(214)의 내부면으로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외측벽(214)의 외측면은 서류함 본체(100)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벽(214)의 내부면에는 이격 형성된 결합 홈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부를 따라 상기 결합 홈들에 대응하도록 결합 돌기들(130)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류함 본체(100)가 프레임(210)의 외측벽(214)의 내부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서류함 본체(100)의 결합 돌기들(130)은 프레임(210)의 상기 결합 홈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류함 본체(100)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프레임(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프레임(210)으로부터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제1 가이드 레일들(120)에 인접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서류함 본체(100)의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접촉하지 않고 소정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접촉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프레임(210)의 내측벽(216)으로부터 서류함 본체(100)의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서류함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연장하여 서류함 본체(100)의 제1 및 제2 측벽판들(116a, 116b)과 각각 대향하며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들(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딩 플레이트(220)는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연장하여 서류함 본체(100)의 하판(112) 및 상판(114)과 각각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가이딩 하부 플레이트 및 가이딩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 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간격 조절 돌기들(260)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돌기(260)는 프레임(210)의 내측벽(216)의 외측면 및 가이딩 플레이트(22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돌기(260)는 프레임(210)의 내측벽(216)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벽(214)의 내측면까지 돌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서류함 본체(100)가 프레임(210)의 외측벽(214)의 내측면 내로 삽입 조립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딩하고, 조립된 서류함 본체(100)의 전단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가이딩 플레이트(220)의 내측 측벽, 즉, 내측면에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각각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제1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제1 및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들(221a, 221b) 각각의 내측 측벽에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221a)의 내측 측벽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제1 측벽판(116a)의 내측 측벽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221b)의 내측 측벽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제2 측벽판(116b)의 내측 측벽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상부면은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의 상부면들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레일(230)은 가이딩 플레이트(22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제1 및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들(221a, 221b) 각각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상부 수평 연장부(231a), 제2 상부 수평 연장부(231a)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제2 수직 연장부(231b) 및 제2 수직 연장부(231b)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하부 수평 연장부(2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가이딩 플레이트(220)와 동일한 두께로 절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서랍(300)을 제1 가이드 레일(120)로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24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채널(240)의 폭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상부면(232)은 가이드 채널(240)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제2 가이드 레일들(230)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230)의 하부면(234)은 가이드 채널(240)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채널(240)의 폭은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가이드 채널(240)의 하부면, 즉,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상부면(232)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가이드 채널(240)의 상부면, 즉, 제2 가이드 레일(230)의 하부면(234)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서랍(300)의 지지편(320)이 가이드 채널(240)을 따라 서류함 본체(100)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서랍(300)을 서류함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재결합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제1 및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들(221a, 221b)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전단은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D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 거리(L2)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서류함 본체(100)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1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상부면(232)은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랍(300)의 지지편(320)이 가이드 채널(240)을 따라 서류함 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서랍(300)은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의 개수,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크기 등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과 함께 상기 서랍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기 서랍들의 개수, 상기 서랍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랍 로킹 장치(400)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서류함 본체(100)로부터 복수 개의 서랍들(300)의 출입을 구속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로킹 장치(400)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가이딩 플레이트(220)에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2 가이드 레일들(230)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422)을 갖는 로킹 바(420), 및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프레임(210)을 관통 형성되며 키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로킹 바(420)를 상하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자(412)를 갖는 키뭉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뭉치(410)은 프레임(210)의 전면 측벽(21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자(412)는 프레임(210)의 상기 조립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로킹 바(420)는 제1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221a)의 외측면 상에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로킹 바(420)는 서류함 본체(100)의 제1 측벽판(116a)과 제1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22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바(420)은 상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 형상을 가지고, 연장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 걸림 부재들(42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422)는 로킹 바(42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걸림 부재(422)는 제1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221a)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부(230a)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홈부(230a)는 절곡 구조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제2 수직 연장부(231b)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422)는 로킹 바(42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수용 홈부(230a)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10a를 참조하면, 회전자(212)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언로킹 상태)에서는, 로킹 바(420)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걸림 부재(422)는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제2 하부 수평 연장부(231c)에 형성된 개구(25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서랍(300)의 지지편(320)은 제2 가이드 레일(230)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회전자(212)가 회전한 상태(로킹 상태)에서는, 로킹 바(420)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 부재(422)는 제2 가이드 레일(230)의 제2 하부 수평 연장부(231c)에 형성된 개구(250)를 통과하여 위치하므로, 걸림 부재(422)는 서랍(300)의 지지편(3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330)와 맞물려 서랍(300)의 출입을 구속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300)은 수납 공간(R)을 제공하는 상면이 개방된 서랍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랍(300)은 서랍 몸체(310)의 측벽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편(320)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지지편(320)의 전단부의 하부면에는 안착 홈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 레일(230)은 전단 상부에 돌출된 안착 돌기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랍(300)이 서류함 본체(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안착 돌기부(236)가 안착 홈부(340)에 삽입되어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서랍(300)이 닫힐 수 있다.
또한, 지지편(320)의 하부면에는 걸림 돌기부(330)와 인접한 위치에 걸림 홈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바(420)가 상부로 이동하여 걸림 부재(422)가 제2 가이드 레일(230)의 개구(250)를 통과하여 위치하였을 때 걸림 부재(422)가 서랍(300)의 지지편(3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홈부(332)에 삽입되어 더욱 견고하게 서랍(300)을 구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서류함은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120)을 갖는 서류함 본체(100), 서류함 본체(100)의 개방된 전면에 조립되고 제1 가이드 레일들(12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을 갖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 및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 상에 지지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20, 230)을 따라 서류함 본체(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서랍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제1 가이드 레일들(120)과 함께 서랍(300)이 서류함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경우에는 서랍(300)을 서류함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분리한 후에는 다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은 서류함 본체(100)의 전면에 조립되어 서류함 본체(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가이드 레일들(230)은 가이딩 플레이트(22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전면 가이딩 프레임(20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서류함 100: 서류함 본체
112: 하판 114: 상판
116a: 제1 측벽판 116b: 제2 측벽판
118: 후면판 120: 제1 가이드 레일
121a: 제1 수평 연장부 121b: 제2 수직 연장부
130: 결합 돌기 200: 전면 가이딩 프레임
210: 프레임 212: 전면 측벽
214: 외측벽 216: 내측벽
220: 가이딩 플레이트 221a: 제1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
221b: 제2 가이딩 측벽 플레이트 230: 제2 가이드 레일
230a: 수용 홈부 231a: 제2 상부 수평 연장부
231b: 제2 수직 연장부 231c: 제2 하부 수평 연장부
232: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 234: 제2 가이드 레일의 하부면
236: 안착 돌기부 240: 가이드 채널
250: 개구 260: 간격 조절 돌기
300: 서랍 310: 서랍 몸체
320: 지지편 330: 걸림 돌기부
332: 걸림 홈부 340: 안착 홈부
400: 서랍 로킹 장치 410: 키뭉치
412: 회전자 420: 로킹 바
422: 걸림 부재

Claims (20)

  1.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들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및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류함 본체 내부로 연장하고 내측 측벽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함께 서랍을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가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서랍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로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하부면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만큼 연장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류함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의 출입을 구속하기 위한 서랍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을 갖는 로킹 바; 및
    상기 프레임을 관통 형성되며, 키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로킹 바를 상하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자를 갖는 키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와 맞물려 상기 서랍의 출입을 구속하는 서류함의 서랍 케이스.
  11.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 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서류함 본체;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고, 내측 측벽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을 갖는 전면 가이딩 프레임; 및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서랍들을 포함하는 서류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류함 본체 내부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이 형성된 가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서류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은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서류함.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서랍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로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서류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서류함.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서류함 본체의 내측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서류함.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서류함 본체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제1 가이드 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서류함.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측벽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서류함.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가이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류함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의 출입을 구속하기 위한 서랍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서류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들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을 갖는 로킹 바; 및
    상기 프레임을 관통 형성되며, 키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로킹 바를 상하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자를 갖는 키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바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와 맞물려 상기 서랍의 출입을 구속하는 서류함.
KR1020170086459A 2017-07-07 2017-07-07 서류함 KR2019000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59A KR20190005581A (ko) 2017-07-07 2017-07-07 서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59A KR20190005581A (ko) 2017-07-07 2017-07-07 서류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04A Division KR102040306B1 (ko) 2019-10-08 2019-10-08 서류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81A true KR20190005581A (ko) 2019-01-16

Family

ID=652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59A KR20190005581A (ko) 2017-07-07 2017-07-07 서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723A (zh) * 2020-04-29 2020-07-31 北京中航科电测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预警功能的保密存储柜及其使用方法
CN114451690A (zh) * 2022-02-09 2022-05-10 江西光正金属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照明灯的档案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723A (zh) * 2020-04-29 2020-07-31 北京中航科电测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预警功能的保密存储柜及其使用方法
CN114451690A (zh) * 2022-02-09 2022-05-10 江西光正金属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照明灯的档案柜
CN114451690B (zh) * 2022-02-09 2023-05-16 江西光正金属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照明灯的档案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355B2 (en) Integrated storage system with locking containers
EP2353793B1 (en) Metal and plastic container
CN211483271U (zh) 箱体互锁结构
KR101694333B1 (ko) 의류 수납기구
CA2434056A1 (en) Lockable sliding drawer tray
KR20190005581A (ko) 서류함
US20050146256A1 (en) Storage device for a refrigerator
US20090273259A1 (en) Mobile Storage Assembly
US20190039233A1 (en) Toolbox
KR102040306B1 (ko) 서류함
KR102253663B1 (ko) 서랍장
KR20170118118A (ko) 적층가능한 컨테이너 시스템
US20180049562A1 (en) Cabinet with telescoping trays for fastener bins
KR200321259Y1 (ko) 서랍형 수납함
KR101300759B1 (ko) 개별서랍 잠금장치가 구비된 공구보관함
JP5688960B2 (ja) 引き出し
CN220577767U (zh) 堆叠件及堆叠系统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US20100253193A1 (en)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CN109911404B (zh) 容器
KR102043567B1 (ko)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KR20110083807A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101325664B1 (ko)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KR101205243B1 (ko) 서랍장착구조
CN219858144U (zh) 一种多功能抽拉式锁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