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968A - 물품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물품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968A
KR20180111968A KR1020187025986A KR20187025986A KR20180111968A KR 20180111968 A KR20180111968 A KR 20180111968A KR 1020187025986 A KR1020187025986 A KR 1020187025986A KR 20187025986 A KR20187025986 A KR 20187025986A KR 20180111968 A KR20180111968 A KR 2018011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rticle storage
tongue piece
storage cas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후루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네시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네시스
Publication of KR2018011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작업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적층 상태의 안정성이 높은 물품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방에 개구(2)를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 혹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1)에 있어서, 저벽 하면에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3)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3)를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2)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대향하는 측벽(4, 4)의 상단부 중앙 부근에 각각 내측 혹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방 설편(5, 5)을 형성하고, 당해 상방 설편(5, 5)과 적층하였을 때에 결합되어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상기 상방 설편(5, 5)과는 역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하방 설편(7, 7)을 저벽 하면에 형성한 물품 수납 케이스로 하였다.

Description

물품 수납 케이스
본 발명은, 물품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층한 케이스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에 있어서, 부품을 수납하여 보관·운반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 성형된, 상방에 개구를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 혹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가 다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품 수납 케이스는, 적층되었을 때에 어긋남을 방지하고, 적층 상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저벽 하면에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를 형성하여, 당해 볼록부를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방 개구에 끼움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또한, 적층 상태의 더한층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적층한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 물품 수납 케이스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32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90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6933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단순히 볼록부를 개구에 끼움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트럭에 의한 수송 시 등에 받는,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용이하게 끼움 삽입이 빠져 버려, 적층이 어긋난다는 점에서 무너짐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적층한 케이스를 들어올릴 때에는, 가령 빈 상태의 케이스라도, 최하단의 케이스를 잡고 들어 올려야 해,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이 필요해지는 등, 작업자에게 부담을 강요하는 것이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적층한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는 하지만, 당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연결 구조는, 케이스의 상부 개구 테두리부에 강제의 연결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당해 연결구를 회동시켜 상대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 및/또는 연결구에 결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 부재에 의한 결합 동작이 필수가 되어, 그 작업이 번거로웠던 동시에, 연결 수단이 커다랗고, 구조도 복잡해져 고비용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이 갖는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작업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적층 상태의 안정성이 높은 물품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 〔1〕내지〔6〕에 기재한 물품 수납 케이스로 하였다.
〔1〕상방에 개구를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 혹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저벽 하면에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를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대향하는 측벽의 상단부 중앙 부근에 각각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방 설편을 형성하고, 당해 상방 설편과 적층하였을 때에 결합하여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상기 상방 설편과는 역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하방 설편을 저벽 하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2〕상기 상방 설편의 주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물품 수납 케이스.
〔3〕상기 상방 설편이 측벽 상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물품 수납 케이스.
〔4〕상기 상방 설편의 하면에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방 설편의 상면에 상기 상방 설편의 결합 오목부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물품 수납 케이스.
〔5〕상기 상방 설편이 긴 변측의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하방 설편이 저벽 하면의 상기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물품 수납 케이스.
〔6〕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를 폐색하는 직사각형의 덮개체이고, 당해 덮개체의 하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당해 볼록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방 설편과 결합되는 설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물품 수납 케이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별도 부품을 부가할 필요가 없고, 상방 설편과 하방 설편을 케이스에 형 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됨과 함께, 재활용이 용이한 물품 수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에 의하면, 상방 설편과 하방 설편의 결합에 의해 적층한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연결 작업성은 양호하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를 적층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를 2단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를 3단 적층하여, 최상단의 물품 수납 케이스를 잡고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및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를 3단 적층하여, 최하단의 물품 수납 케이스를 잡아 횡방향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및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덮개체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를 5단 적층하여, 최상단의 물품 수납 케이스에 덮개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및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물품 수납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상방 설편 및 하방 설편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방 설편 및 하방 설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의해 그 전체가 일체 성형된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상방에 개구(2)를 갖고 있다. 또한, 저벽 하면에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3)가 형성되고, 당해 볼록부(3)가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2)에 끼움 삽입되어, 적층 상태의 안정성이 도모되어 있다.
물품 수납 케이스(1)의 긴 변측의 대향하는 측벽(4, 4)의 상단부 중앙 부근에는, 각각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방 설편(5, 5)이 형성되고, 당해 상방 설편(5)의 주변에 오목부(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벽 하면에 형성된 상기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3)에는, 상기 상방 설편(5, 5)과 적층하였을 때에 결합되어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하방 설편(7, 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짧은 변측의 대향하는 측벽(8, 8)의 외면측의 상방 중앙 부근에는, 손잡이(9, 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1)는, 적층할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의 케이스(1A)의 상방 설편(5, 5)의 하방에, 상방의 케이스(1B)의 하방 설편(7, 7)이 각각 들어가도록 상방 설편(5)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6)를 이용하여 삽입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의 케이스(1A)의 상방 설편(5)의 하방에 상방의 케이스(1B)의 하방 설편(7)이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용이하게 적층한 케이스(1A, 1B)끼리를 종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적층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는, 예를 들어 들어올릴 때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물품 수납 케이스(1C)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그 적층된 모든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의 최하단의 케이스(1A)를 잡고 횡방향으로 쓰러뜨린 경우에 있어서도, 하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 설편(5)과 하방 설편(7)이 맞닿아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쓰러뜨린 상태라도 적층이 흐트러지지 않고, 반송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작용은, 특히 빈 상태의 물품 수납 케이스(1)의 반송 작업 시에 효과적으로 나타나, 작업자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적층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는, 트럭에 의한 수송 시 등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방 설편(5)과 하방 설편(7)이 맞닿아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물품 수납 케이스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상기한 작용은, 적층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의 수송 시에 있어서, 그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에 사용하는 덮개체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덮개체(5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의해 그 전체가 일체 성형된 직사각형 형상의 것이며, 하면에 볼록부(51)를 갖고, 당해 볼록부(51)를 상기 케이스(1)의 상기 상방 개구(2)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1)에는, 상기 케이스(1)의 측벽 상단부에 마련된 상방 설편(5, 5)과 결합되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설편(52, 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덮개체(50)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단으로 적층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 1D, 1E)의 최상단의 케이스(1E)의 개구(2)를 폐색하는 데 사용된다. 덮개체(50)의 장착 시에는, 상기한 케이스끼리의 연결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E)의 상방 설편(5, 5)의 하방에, 덮개체(50)의 설편(52, 52)이 각각 들어가도록 상방 설편(5)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6)를 이용하여 삽입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E)의 상방 설편(5)의 하방에 덮개체(50)의 설편(52)이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용이하게 케이스(1E)로부터 덮개체(50)가 빠지지 않도록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최상단의 케이스(1E)의 개구(2)가 덮개체(50)에 의해 폐색된 적층된 물품 수납 케이스(1A, 1B, 1C, 1D, 1E)는, 트럭에 의한 수송 시 등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끼리의 연결에 의해 무너짐이 발생하지 않음과 함께, 덮개체(50)는 케이스(1)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수납한 물품이 튀어 올라 흩어지는 일도 없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케이스(10)는, 박육의 플라스틱에 의해 그 전체가 형성되고, 플랜지(11), 리브(12)를 적소에 배치함으로써, 그 강성이 도모되어 있다. 긴 변측의 대향하는 측벽(13, 13)의 상단부 중앙 부근에 형성된 상방 설편(14, 14)은, 측벽 상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오목부(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방 설편(14)의 두께가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후기하는 하방 설편(1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 하면에는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7)는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너부에 형성된 L자형 볼록부(17a)와, 긴 변측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I자형 볼록부(17b)로 이루어진다. 이들 볼록부(17a, 17b)는,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방 개구(18)에 내부 끼움되어, 적층 상태의 안정성이 도모되어 있다.
I자형 볼록부(17b, 17b)에는, 상기 상방 설편(14, 14)과 적층하였을 때에 결합되어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하방 설편(16, 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방의 플랜지(11)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측벽 상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방 설편(14, 14)을 피하는 오목부(19, 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10)에 있어서도, 상기한 케이스(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혀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더욱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1, 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대략 입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로 해도 된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하는 상방 설편(5 또는 14) 및 하방 설편(7 또는 16)은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단순한 판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 설편(20)의 하면에 결합 오목부(21)가 형성되고, 하방 설편(22)의 상면에 상기 상방 설편의 결합 오목부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 볼록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결합부(21, 23)를 형성한 설편(20, 22)으로 한 경우에는, 맞닿을 때에 센터링이 도모되어, 적층된 케이스끼리의 어긋남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방 설편(5 또는 14)은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방 설편(7 또는 16)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양자가 각각 역방향, 즉 상방 설편은 외측, 하방 설편은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하방 설편에 대한 변형은, 덮개체(50)에 형성하는 설편(5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50)에 형성하는 볼록부(51)에 대해서도, 도 10에 나타낸 선형의 볼록부로 해도 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점형으로 존재하는 볼록부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는, 공장 등에 있어서의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뿐만 아니라, 맥주병을 수납하는 케이스, 나아가 야채를 수납하는 케이스 등, 수용하는 물품의 종류는 전혀 상관없다. 또한, 재질도 전혀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제, 목제, 금속제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는, 전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다부품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조립식 물품 수납 케이스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수납 케이스는,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작업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단 적층 상태의 안정성이 높은 물품 수납 케이스가 되기 때문에, 공장 등에 있어서의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맥주병을 수납하는 케이스, 나아가 야채를 수납하는 케이스 등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는 케이스가 된다.
1, 1A, 1B, 1C, 10 : 물품 수납 케이스
2, 18 : 개구
3, 17 :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
4, 13 : 긴 변측의 측벽
5, 14, 20 : 상방 설편
6, 15 : 오목부
7, 16, 22 : 하방 설편
8 : 짧은 변측의 측벽
9 : 손잡이
11 : 플랜지
12 : 리브
17a : L자형 볼록부
17b : I자형 볼록부
19 : 오목부
21 : 결합 오목부
23 : 결합 볼록부
50 : 덮개체
51 : 볼록부
52 : 설편

Claims (6)

  1. 상방에 개구를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 혹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물품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저벽 하면에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를 적층하였을 때의 하방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대향하는 측벽의 상단부 중앙 부근에 각각 내측 혹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방 설편을 형성하고, 당해 상방 설편과 적층하였을 때에 결합되어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상기 상방 설편과는 역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하방 설편을 저벽 하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설편의 주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설편이 측벽 상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설편의 하면에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방 설편의 상면에 상기 상방 설편의 결합 오목부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설편이 긴 변측의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하방 설편이 저벽 하면의 상기 다리부를 겸한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를 폐색하는 직사각형의 덮개체이며, 당해 덮개체의 하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방 개구에 끼움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당해 볼록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방 설편과 결합되는 설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
KR1020187025986A 2016-06-07 2017-05-06 물품 수납 케이스 KR20180111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3832 2016-06-07
JP2016113832A JP2017218191A (ja) 2016-06-07 2016-06-07 物品収納ケース
PCT/JP2017/017322 WO2017212840A1 (ja) 2016-06-07 2017-05-06 物品収納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968A true KR20180111968A (ko) 2018-10-11

Family

ID=6057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986A KR20180111968A (ko) 2016-06-07 2017-05-06 물품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12099A1 (ko)
EP (1) EP3466826A4 (ko)
JP (1) JP2017218191A (ko)
KR (1) KR20180111968A (ko)
CN (1) CN107848664A (ko)
WO (1) WO2017212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7119B2 (en) 2015-12-14 2022-03-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orage device system
AU2017260871C1 (en) 2016-05-02 2023-10-26 Keter Plastic Ltd. Utility assembly and coupling mechanism
WO2018213560A1 (en) 2017-05-17 2018-11-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orage device system
USD896517S1 (en) 2017-08-09 2020-09-22 Keter Plastic Ltd. Tool box
WO2019123465A1 (en) 2017-12-20 2019-06-27 Keter Plastic Ltd. Trolley and mechanical braking system therefor
WO2019147801A2 (en) 2018-01-24 2019-08-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ool storage
IL257294A (en) * 2018-02-01 2018-03-2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Connectable box
IL260225A (en) 2018-06-24 2018-07-31 Keter Plastic Ltd pushcart
CN110872763B (zh) * 2018-08-31 2023-06-20 合肥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外筒模块
USD898320S1 (en) 2019-02-26 2020-10-06 Keter Plastic Ltd. Dolly
USD967693S1 (en) 2019-02-26 2022-10-25 Keter Plastic Ltd. Mounting plate
IL265964A (en) 2019-04-11 2019-07-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A matching system and adapter for it
USD917977S1 (en) 2019-05-31 2021-05-04 Keter Plastic Ltd. Cooler
USD919296S1 (en) 2019-05-31 2021-05-18 Keter Plastic Ltd. Crate
USD923935S1 (en) 2019-05-31 2021-07-06 Keter Plastic Ltd. Toolbox
CN111977814A (zh) * 2020-09-23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隔盐组件和软水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387A (en) * 1954-01-21 1957-09-24 Siciliano Pasquale Stackable containers
JPS4996229U (ko) * 1972-12-07 1974-08-20
JPS51108943U (ko) * 1975-02-27 1976-08-31
DE3133316A1 (de) * 1981-08-22 1983-03-10 Hoechst Ag, 6000 Frankfurt Zylindrischer behaelter mit fussring und kupplungseinrichtung
US5072850A (en) * 1991-04-25 1991-12-17 Gagnon Robert M Receptacle for foodstuffs and the like
JP2902279B2 (ja) * 1993-11-18 1999-06-07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整理箱
KR19980025363U (ko) * 1996-11-01 1998-08-05 김광호 포장용 박스
DE20104892U1 (de) * 2001-03-21 2001-09-27 Neolab Migge Laborbedarf Vertr neoStapelRack, Stapelsystem zur Aufnahme von Boxen für den labortechnischen Bedarf
US20050109774A1 (en) * 2003-11-26 2005-05-26 Orioles Richard T. Dough storage container system
US7806284B2 (en) * 2007-07-25 2010-10-05 Ingenious Designs Llc Stacking tower assembly for jewelry
CN204056582U (zh) * 2013-11-18 2014-12-31 苏州富顺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外送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2840A1 (ja) 2017-12-14
JP2017218191A (ja) 2017-12-14
CN107848664A (zh) 2018-03-27
EP3466826A1 (en) 2019-04-10
US20190112099A1 (en) 2019-04-18
EP3466826A4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968A (ko) 물품 수납 케이스
US8573428B2 (en) Article storage case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US2975889A (en) Bubble package
US20120152799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US20110049144A1 (en) Collapsible crate
JP6535155B2 (ja) 運搬用容器
JP6901133B2 (ja) 容器
JP2013014358A (ja) パレット
JP2013023222A (ja) 蓋部材
KR200444006Y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JP2018203281A (ja) 容器
KR20180109008A (ko) 프레임을 이용한 포장 상자
KR200262144Y1 (ko)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JP4447727B2 (ja) 運搬用容器
JP2018203291A (ja) パレット
JP3124271U (ja) 搬送容器の防塵手掛け
JP4945371B2 (ja) 運搬用容器およびその保持手段
JP3819338B2 (ja) 運搬用容器
JP4866172B2 (ja) 運搬用容器
JP6938023B2 (ja)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JP2019156444A (ja) 運搬用容器
JP6633450B2 (ja) スタッキング機能付き包装容器
JP4397756B2 (ja) 運搬用容器
JP2017206274A (ja) スタッキング機能付き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