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426B1 -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426B1
KR101596426B1 KR1020140084666A KR20140084666A KR101596426B1 KR 101596426 B1 KR101596426 B1 KR 101596426B1 KR 1020140084666 A KR1020140084666 A KR 1020140084666A KR 20140084666 A KR20140084666 A KR 20140084666A KR 101596426 B1 KR101596426 B1 KR 10159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ide wall
cover plate
parts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564A (ko
Inventor
지희일
Original Assignee
(주)라이트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트컴 filed Critical (주)라이트컴
Priority to KR102014008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4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결합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본 발명은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은 점차 편리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편리성에 부응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부터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된 제품들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편리성에 부응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상기 제품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을 미리 준비하여 보관할 필요성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고,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부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부품 보관함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부품 보관함은 상방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두 대향 내벽의 해당 끼움홈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끼움홈이 형성된 격벽과, 이 격벽의 해당 끼움홈과 본체부의 다른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부품 보관함은 부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본체부의 사이즈에 의해 한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각 본체부의 사이즈 내에서 격벽과 칸막이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을 줄이거나 증대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0684호에 조립식 물품 보관함이 개시된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면에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벽의 두께가 일정 이상 즉, 상기한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두께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무게가 무거워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인접한 다른 물품 보관함과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물품 보관함을 들어 다른 하나의 물품 보관함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에 결합부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켜야 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가 불편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0684호, 출원일자; 2006년04월20일 고안의 명칭;조립식 물품 보관함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저장부는, 판 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로 형성된 측벽판과, 상기 제1,2측벽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의 제3,4측벽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과, 상기 덮개판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따르면,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시켜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그리고 한 번에 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연결부에 의해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100)은,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110)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의 저장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즉,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로 형성된 측벽판(113)과, 상기 제1,2측벽(112,113)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ㄱ"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1151,1152)로 형성된 연결부(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측벽판(113)의 제3,4측벽(1133,1134)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1133a,1134a)이 각각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측벽판(113)의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 외측면 상단 양측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간 서로 연결시 측벽들이 바닥면측으로 갈수록 이격되도록 하여 바닥면(111)이 안착대(미도시함)의 바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벽간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2,3,4돌출부(116,117,118,119)가 각각 더 형성된다.
상기한 덮개부(13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130)는,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131)과, 상기 덮개판(131)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13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132a,133a,134a,135a)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132,133,134,135)과, 상기 덮개판(1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131)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1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파지용돌기(136)는 상면이 덮개판(131)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부품 보관함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덮개판(1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37)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파지용돌기(136)의 외주면은 거친면을 갖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세돌기(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0)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는 수용부(110)의 수용공간부(110a)에 부품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용부(110)의 제4측벽(1134) 상단부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결합연결부를 일치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2결합연결부를 누름시킨다.
상기 제2결합연결부를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측벽(1134)의 상부가 제2결합연결부측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연결부의 상단면은 제2단턱면(1134a)에 의해 제4측벽(1134)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4측벽(1134)의 상부가 제2결합연결부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측벽(1134)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4돌출부(119)와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측벽 외측면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돌출부가 접촉하므로 인해 고정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제4측벽(1134)과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측벽이 서로 밀림되므로 인해 안착대의 바닥에 수용부(110)의 바닥면(111)이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 덮개부(130)로 수용부(110)의 상부를 덮으므로 인해 부품 보관함을 서로 연결시켜 부품을 종류별로 보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110 ; 저장부
111 ; 바닥면 113 ; 측벽판
115 ; 연결부 130 ; 덮개부
131 ; 덮개판 136 ; 파지용돌기

Claims (6)

  1.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110)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1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131)과, 상기 덮개판(131)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13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돌출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132a,133a,134a,135a)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132,133,134,135)과, 상기 덮개판(1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131)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1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10)는, 판 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로 형성된 측벽판(113)과, 상기 제1,2측벽(112,113)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1151,1152)로 형성된 연결부(115)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113)의 제3,4측벽(1133,1134)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1133a,1134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113)의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 외측면 상단 양측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간 서로 연결시 측벽들이 바닥면측으로 갈수록 이격되도록 하여 바닥면(111)이 안착대의 바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벽간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2,3,4돌출부(116,117,118,119)가 각각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돌기(136)는, 상면이 덮개판(131)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부품 보관함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덮개판(1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37)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돌기(136)의 외주면은, 거친면을 갖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1020140084666A 2014-07-07 2014-07-07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10159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ko) 2014-07-07 2014-07-07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ko) 2014-07-07 2014-07-07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64A KR20160005564A (ko) 2016-01-15
KR101596426B1 true KR101596426B1 (ko) 2016-02-22

Family

ID=5517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ko) 2014-07-07 2014-07-07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156B1 (ko) 2016-08-04 2019-01-24 허남득 부품보관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828A (ja) * 2008-03-13 2009-10-01 Sekisui Plastics Co Ltd 連結可能な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8U (ja) * 1991-09-11 1993-03-23 株式会社ユーコム 携帯用呼吸装置
KR200420297Y1 (ko) 2006-04-20 2006-06-29 김원휘 조립식 물품 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828A (ja) * 2008-03-13 2009-10-01 Sekisui Plastics Co Ltd 連結可能な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64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684B2 (en) Toolbox
CN105600088B (zh) 收纳箱
US20170166363A1 (en) Clamshell food container
US20190217462A1 (en) Hybrid Single and Double Wall Case
US8348062B2 (en) Packaging box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101596426B1 (ko)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US9045257B2 (en) Grab bar and a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KR200420297Y1 (ko) 조립식 물품 보관함
KR101490849B1 (ko) 접이식 보관용기
KR101392898B1 (ko) 다단의 수납박스
ITTO20100120A1 (it) Cassetto per apparati di refrigerazione
KR101419177B1 (ko)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KR20140143512A (ko) 개폐형 도어를 구비한 조립식 수납상자
JP3183850U (ja) 容器
JP6122697B2 (ja) 組み合わせ容器
KR200449263Y1 (ko) 컨테이너
KR200485510Y1 (ko)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101688959B1 (ko) 휴대용 접이식 박스
TWM545770U (zh) 包裝容器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102475037B1 (ko)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