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297Y1 - 조립식 물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물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297Y1
KR200420297Y1 KR2020060010684U KR20060010684U KR200420297Y1 KR 200420297 Y1 KR200420297 Y1 KR 200420297Y1 KR 2020060010684 U KR2020060010684 U KR 2020060010684U KR 20060010684 U KR20060010684 U KR 20060010684U KR 200420297 Y1 KR200420297 Y1 KR 200420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main storage
prefabricated
protrusion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휘
Original Assignee
김원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휘 filed Critical 김원휘
Priority to KR202006001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물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물품 보관함은,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의 주보관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조립식, 물품, 보관함, 칸막이

Description

조립식 물품 보관함{PREFABRICATED BOX FOR KEEPING GOODS}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케이스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이실시예에 따른 보관 케이스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두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소정 외벽에 각각 착탈 가능한 부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일측 외벽에 부보관함이 부착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두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제1,2 주보관함 내부에 착탈 가능한 칸막이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제1,2 주보관함 내부에 칸막이가 부착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2a: 수용공간 10: 제1 주보관함
11a: 돌출부 11b: 오목부
11aa,11bb: 장변 11: 결합부
11': 대응 결합부 12: 제2 주보관함
13: 단차부 13a: 대응 단차부
14: 걸림턱 15: 칸막이
16: 끼움부 17: 대응 끼움부
18: 부보관함 18a: 개구부분
본 고안은 조립식 물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의 주보관함(Primary Box)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주보관함의 내부공간을 칸막이를 매개로 하여 여러 구획으로 나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에 부보관함(Secondary Box)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그 부보관함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조립식 물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3014호(2002. 11. 15. 출원)에는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여러 물품을 분류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보관 케이스에 관한 기 술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보관 케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내부공간(2a)이 형성된 본체부(2)와, 이 본체부의 두 대향 내벽을 가로지르도록 그 본체부의 내부공간(2a)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3a)이 형성된 두 개의 격벽(3)과, 이 두 격벽의 해당 끼움홈(3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관 케이스(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내부공간(6a)이 형성되며, 내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끼움홈(6b)이 형성된 본체부(6)와, 이 본체부의 두 대향 내벽의 해당 끼움홈(6b)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끼움홈(7a)이 형성된 격벽(7)과, 이 격벽의 해당 끼움홈(7a)과 본체부(6)의 다른 끼움홈(6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두 실시예의 각 보관 케이스(1,5)는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2a,6a)이 본체부(2,6)의 사이즈에 의해 한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각 본체부(2,6)의 사이즈 내에서 격벽(3,7)과 칸막이(4)를 이용하여 내부공간(2a,6a)을 줄이거나 증대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의 주보관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해당 주보관함의 내부공간을 칸막이를 매개로 하여 여러 구획으로 나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에 부보관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그 부보관함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10a)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11)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10)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12a)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1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외벽을 따라 상하방으로 뻗는 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11a)이고, 다른 하나는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외벽의 상하방으로 뻗는 T자 형태의 돌출부(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도시되지 않음)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하기와 같은 두 가지의 실시예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주보관함(10)의 결합부(11)와 제2 주보관함(12)의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11a), 그리고 다른 하나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오목부(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1a)의 일측에는 주변평면에 대해 외측으로 단이진 단차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b)의 일측 대응부분에는 그 단차부에 상응하여 주변평면에 대해 내측으로 단이진 대응 단차부(13a)가 형성될 수 있 다. 상기 각 단차부(13)와 대응 단차부(13a)는 해당 주보관함(10 또는 12)의 상측부에 하나의 형태로 또는 그 상측부의 좌우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도 3과 도 4 참조).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주보관함(10)의 결합부(11)와 제2 주보관함(12)의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11a), 그리고 다른 하나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오목부(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11b)의 하부 모서리에는 상기 돌출부(11a)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14)이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두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1a)의 장변(11aa)은 해당 보관함(10 또는 1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목부(11b)의 장변(11bb)은 해당 보관함(10 또는 1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일측 주보관함의 돌출부(11a)와 타측 주보관함의 오목부(11b)에 의해 상호 맞물리게 됨으로써 서로에 대해 축선의 직각방향 외측으로 상호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10a,12a)에는 그 수용공간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칸막이(15)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 경우, 상기 칸막이(15)의 단부에는 끼움부(16)가 구비되고, 해당 보관함(10 또는 12)의 내벽에는 그 끼움부(16)와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대응 끼움부(1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끼움부(16)와 대응 끼움부(17)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주보관함(10,12)의 내벽에 오목한 형태 또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칸막이(15)의 단부 그 자체로 또는 그 단부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8과 도 9 참조).
상기 칸막이(15)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직선형태, 곡선형태, 직각형태, 십자형태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제1,2 주보관함(10,12)의 외측부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의 제3 주보관함(도시되지 않음)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제3 주보관함은 상기 제1,2 주보관함(10,12) 중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1,2 주보관함(10,12)과 제3 주보관함(도시되지 않음)은 단순히 기술설명 상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일뿐 순서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2 주보관함(10,12)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주보관함 보다 전체 사이즈가 작은 부보관함(18)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보관함(18)의 개구부분(18a)은 측벽 또는 상부벽에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부보관함(18)의 일측에는 상기 제1,2,3 주보관함(10,12) 중의 해당 주보관함의 결합부(11)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에 암수형태의 대응 결합부(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11a), 그리고 다른 하나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오목부(11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1a)의 일측에는 주변평면에 대해 외측으로 단이진 단차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b)의 일측 대응부분에는 그 단차부에 상응하여 주변평면에 대 해 내측으로 단이진 대응 단차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차부(13)와 대응 단차부(13a)는 해당 주보관함(10 또는 12)의 상측부에 하나의 형태로 또는 그 상측부의 좌우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제1,2,3 주보관함(10,12)과 부보관함(18)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품 취급의 편리성과 내용물의 전시효과를 높이고자 할 경우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의 조립과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주보관함(10)의 외벽 일측에 제2 주보관함(12)을 정렬시켜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을 상호 연결시킨다(도 3과 도 4 참조).
이때, 상기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 중의 어느 하나가 사다리꼴 모양의 돌출부(11a), 그리고 다른 하나가 사다리꼴 모양의 오목부(11b)인 경우, 상기 돌출부(11a)는 오목부(11b)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그 사다리꼴 모양의 돌출부(11a)와 오목부(11b)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상하방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축선의 직각방향 외측으로는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이 결합부(11)와 대응 결합부(11')를 통해 어느 정도 조립완료 단계에 이르면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각 주보관함의 일측에 짝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 된 단차부(13)와 대응 단차부(13a)를 통해 상호 걸리게 된다(도 3과 도 4 참조). 이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각 주보관함의 일측에 짝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 결합부(11)에 해당되는 돌출부(11a)와 대응 결합부(11')에 해당하는 오목부(11b)의 하부 걸림턱(14)을 통해 상호 걸리게 된다(도 5 참조).
그에 따라,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서로에 대해 상방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하방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주보관함(10)과 제2 주보관함(12)은 배치, 운반, 또는 취급 시 단일체처럼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러 개의 주보관함들로 구성되는 주보관함 조립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립된 제1,2 주보관함(10,12)의 외측부분에 원하는 개수만큼의 제3 주보관함(도시되지 않음)을 연속해서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주보관함(10,12)의 수용공간(10a,12a)을 다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주보관함(10,12)과 칸막이(15)에 짝을 이루는 형태로 각각 구비된 끼움부(16)와 대응 끼움부(17)를 통해 상기 칸막이(15)를 해당 주보관함(10,12)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도 8과 도 9 참조).
다른 한편, 사용자는 상기 각 제1,2,3 주보관함(10,12)의 외측부분에 부보관함(18)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주보관함(10,12)과 부보관함(18)은 돌출부(11a)와 대응 오목부(11b)를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도 6과 도 7 참조).
물품, 음식 등과 같은 소정 내용물은, 상기 부보관함(18)의 개구부분(18a)이 해당 주보관함(10,12)의 외벽과 마주하는 구조인 경우 조립 전에 그 부보관함(18) 안에 미리 담겨질 수 있게 되고, 이와는 달리 해당 주보관함(10,12)의 외벽 반대편에 구비된 구조인 경우 조립 전 또는 조립 후에 그 부보관함(18) 안에 담겨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의 주보관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해당 주보관함의 내부공간을 칸막이를 매개로 하여 여러 구획으로 나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에 부보관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그 부보관함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2)

  1.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
    을 포함하는 조립식 물품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외벽을 따라 상하방으로 뻗는 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이고, 다른 하나는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인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는 주변평면에 대해 외측으로 단이진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측 대응부분에는 그 단차부에 상응하여 주변평면에 대해 내측으로 단이진 대응 단차부가 형성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하부 모서리에는 상기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보관함과 제2 주보관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는 칸막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단부에는 끼움부가 구비되고, 해당 주보관함의 내벽에는 그 끼움부와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대응 끼움부가 구비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직선형태, 곡선형태, 직각형태 및 십자형태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 주보관함의 외측부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의 제3 주보관함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제3 주보관함은 상기 제1,2 주보관함 중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조인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주보관함 중의 어느 하나는 해당 주보관함 보다 전체 사이즈가 작은 부보관함인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보관함의 일측에는 해당 주보관함의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 중의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도록 그 돌출부와 오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는 주변평면에 대해 외측으로 단이진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측 대응부분에는 그 단차부에 상응하여 주변평면에 대해 내측으로 단이진 대응 단차부가 형성된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는 T자 형태의 돌출부이고, 다른 하나는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인 것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
KR2020060010684U 2006-04-20 2006-04-20 조립식 물품 보관함 KR200420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84U KR200420297Y1 (ko) 2006-04-20 2006-04-20 조립식 물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84U KR200420297Y1 (ko) 2006-04-20 2006-04-20 조립식 물품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297Y1 true KR200420297Y1 (ko) 2006-06-29

Family

ID=4929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84U KR200420297Y1 (ko) 2006-04-20 2006-04-20 조립식 물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2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80B1 (ko) 2010-11-18 2013-05-06 양일모 조합형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160005564A (ko) 2014-07-07 2016-01-15 (주)라이트컴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101764617B1 (ko) 2016-01-06 2017-08-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필기구 꽂이
KR20230001377U (ko) 2021-12-28 2023-07-05 (주)다다 다용도 펜꽂이 정리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80B1 (ko) 2010-11-18 2013-05-06 양일모 조합형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160005564A (ko) 2014-07-07 2016-01-15 (주)라이트컴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101764617B1 (ko) 2016-01-06 2017-08-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필기구 꽂이
KR20230001377U (ko) 2021-12-28 2023-07-05 (주)다다 다용도 펜꽂이 정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699B2 (en) Interconnecting bottles utilized to create structures
US20110204051A1 (en) Interlocking containers
KR200420297Y1 (ko) 조립식 물품 보관함
JP2000008487A (ja) モジュ―ラパネル構造システム
US9398806B2 (en) Snap together safety storage cabinet
ES2736403T3 (es) Contenedor
US20220106072A1 (en) Compartment Box for Storing Food
BR102014024700B1 (pt) Caixa para acondicionamento de testemunhos de sondagem
KR200398276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CN202054213U (zh) 折叠式收纳箱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US11827413B2 (en) Method of making packing boxes for shipping and storage
US20200283196A1 (en) Interchangeable dismountable hinged box for storing core samples
CN108725942A (zh) 一种储物盒
KR200395194Y1 (ko) 격벽이 형성된 용기
US20040173629A1 (en) Reusable hinged-lid shipping/storage box
KR101596426B1 (ko)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101346157B1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작업문 결합구조
JP2012210981A (ja) 容器
CN209852788U (zh) 一种储物盒
TWM543210U (zh) 具有可樞轉隔板的置物容器
KR102542051B1 (ko) 다단 용기
JP6416069B2 (ja) 中皿付収納容器
JP3148264U (ja) 組仕切り材及び組仕切り材一体型通い箱
KR101984299B1 (ko) 철물류 및 수동공구 겸용 공구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