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387B1 -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387B1
KR101871387B1 KR1020170137622A KR20170137622A KR101871387B1 KR 101871387 B1 KR101871387 B1 KR 101871387B1 KR 1020170137622 A KR1020170137622 A KR 1020170137622A KR 20170137622 A KR20170137622 A KR 20170137622A KR 101871387 B1 KR101871387 B1 KR 10187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oard
game ball
delete delete
fro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원
Original Assignee
문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태원 filed Critical 문태원
Priority to KR102017013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16Connectable or stackable playing piece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832Playing pieces with groups of playing pieces, each group having its own characteristic
    • A63F2003/00835The characteristic being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57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concerning science or technology, e.g. geology, chemistry, statistics, computer flow charts, radio, telephone
    • A63F2003/046Mathe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략적 사고를 함양하고 수학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보드게임 도구는 2 이상의 종류로 구별되는 다수의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도록 제공되는 보드부, 그리고 상기 보드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판으로부터 하강하는 상기 게임용 공을 수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부는 동일한 형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보드틀, 상기 보드틀에 의해 게임용 공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안착홀, 상기 안착홀에 제공되어 상기 게임용 공을 지지하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게임용 공이 통과되도록 탄성력을 보유하는 블록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보드틀을 지지하는 보드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Board game instru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략적 사고를 함양하고 수학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드게임을 통하여 전략적 사고를 함양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취지의 도구가 많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보드게임 도구들은 놀이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종래의 보드게임 도구는 바둑이나 체스 등의 형태를 응용하여 판상 위에서 말의 전략적 이동을 강조하거나, 수학적 연산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것에 치중하여 게임적 요소가 부족하거나 정적인 경향이 강하여 다이나믹하게 반응하는 영아나 유아의 흥미를 쉽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9888호(2005. 5. 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용 공을 다이나믹하게 움직여 흥미를 고취함으로써 전략적 사고를 함양하고 수학적 연산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보드게임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 이상의 종류로 구별되는 다수의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도록 제공되는 보드부, 그리고 상기 보드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판으로부터 하강하는 상기 게임용 공을 수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부는 동일한 형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보드틀, 상기 보드틀에 의해 게임용 공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안착홀, 상기 안착홀에 제공되어 상기 게임용 공을 지지하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게임용 공이 통과되도록 탄성력을 보유하는 블록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보드틀을 지지하는 보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게임용 공은 2 이상의 색깔로 그 종류가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용 공은 상부를 형성하는 상반구, 하부를 형성하는 하반구,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를 결합하는 상하반결합부, 상기 하반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반구의 저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기능하는 무게부여부, 그리고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사이에 위치하고 양면에 내용이 기재되는 공내부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용 공은 일체의 형태로 제공되고, 표면의 일측에 기호가 표시되며, 상기 기호가 표시된 일측의 반대측에는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기능하는 무게부여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는 모든 보드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되며, 외곽을 형성하는 받침펜스, 중심에 형성되어 중심으로부터 상기 받침펜스의 방향으로 하방 경사를 이루는 슬로프, 그리고 상기 받침펜스와 상기 슬로프 사이에 상기 펜스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블록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용 공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는 팡팡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팡팡해머는 일단이 막혀 있고 다른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게임용 공이 다수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상기 전방개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전방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전방의 반대편인 후방이 개방될 수 있는 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팡팡해머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손으로 쥘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자체가 탄성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이 입구의 지름이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에 배치되는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의 간격이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의 크기가 2 이상의 종류로 형성되어 전방개구부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팡팡해머를 상기 게임용 공의 크기에 적응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내용이 표시되는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드부, 그리고 상기 게임용 공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는 팡팡해머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게임용 공은 상기 내용으로 숫자, 문자 또는 수식을 포함하며, 상부를 형성하는 상반구, 하부를 형성하는 하반구,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를 결합하는 상하반결합부, 상기 하반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반구의 저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기능하는 무게부여부, 그리고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사이에 위치하고 양면에 상기 내용이 기재되는 공내부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팡팡해머는 일단이 막혀 있고 다른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게임용 공이 다수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상기 전방개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전방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전방의 반대편인 후방이 개방될 수 있는 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팡팡해머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손으로 쥘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자체가 탄성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이 입구의 지름이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에 배치되는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의 간격이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의 크기가 2 이상의 종류로 형성되어 전방개구부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팡팡해머를 상기 게임용 공의 크기에 적응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드부는 상기 게임용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필드펜스, 그리고 게임용 공이 배치되는 바닥을 이루는 저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드부는 상기 게임용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필드펜스를 포함하며, 상기 필드펜스는 일측이 볼록구조 그리고 다른 일측이 오목구조로 형성되어 하나의 필드펜스의 볼록구조와 다른 필드펜스의 오목구조가 끼움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숫자, 문자 또는 수식이 표시되는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드부, 그리고 상기 게임용 공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는 팡팡해머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에 있어서, 상기 필드부에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는 게임용 공 배치 단계, 상기 게임용 공을 가지는 규칙을 정하는 규칙 설정 단계, 각 게임자들이 상기 팡팡해머로 상기 설정된 규칙에 부합하는 상기 게임용 공을 두드려 수용시키는 게임 실행 단계, 그리고 게임을 진행한 결과를 계산하여 우승자를 선정하는 결과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숫자가 표시되는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고 상기 게임용 공이 압력이 제공되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제공되는 보드판, 상기 보드판 아래에 배치되어 보드판을 지지하며 상기 게임용 공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구니, 그리고 숫자가 기재된 숫자카드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보드판은 본체를 형성하는 보드판 필드, 상기 보드판 필드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게임용 공이 통과되는 크기로 제공되는 연산자홀, 상기 연산자홀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4 단위가 제공되는 초기자홀, 그리고 상기 초기자홀 주위에 상기 초기자홀 2 단위의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결과자홀을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바구니는 게임용 공을 수용하는 바구니 몸체, 그리고 상기 바구니 몸체에 형성되어 게임용 공을 꺼낼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바구니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숫자가 표시되는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고 상기 게임용 공이 압력이 제공되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제공되는 보드판, 상기 보드판 아래에 배치되어 보드판을 지지하며 상기 게임용 공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구니, 그리고 숫자가 기재된 숫자카드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을 바구니 위에 배치하고 상기 게임용 공 중 2 내지 5개를 선택하여 상기 보드판에 배치하는 게임 배치 단계, 상기 숫자카드를 오픈하는 카드 오픈 단계, 상기 바구니에서 상기 게임용 공을 꺼내어 덧셈연산 또는 뺄셈연산에 의하여 상기 숫자카드의 숫자에 부합하는 조합이 되도록 상기 보드판에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는 블록 배치 단계, 게임자의 순서 진행이 끝날 때마다 남아 있는 숫자카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드 유무 판단 단계, 그리고 남아 있는 숫자카드가 없을 경우 획득한 숫자카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우승자를 선정하는 결과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아 또는 유아에게 흥미로운 보드게임을 제시함으로써 사칙연산, 배수, 약수, 공배수, 공약수 등의 수학적인 내용을 게임을 통하여 즐겁게 학습하고 전략적 사고를 함양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드게임 도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게임용 공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보드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받침부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드게임 도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1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2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드게임 도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팡팡해머를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팡팡해머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팡팡해머를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도 13은 필드펜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규칙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보드판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바구니의 일 예시를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바구니의 일 예시를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도 20은 숫자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게임용 공(10), 보드부(30), 그리고 받침부(50)를 포함한다.
도 2는 게임용 공(1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게임용 공(10)은 예를 들어 장기나 바둑이나 오셀로의 돌과 같이 보드부(30)에 올려놓고 그 움직임에 따라 보드게임이 진행되는 도구이다. 게임용 공(10)은 적어도 2 이상의 종류로 구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종류로 구별될 수 있다. 게임용 공(10)의 구별은 게임용 공(10)에 제공되는 색상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용 공(10)은 구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용 공(10)은 상반구(11), 하반구(13), 상하반결합부(15), 무게부여부(17), 그리고 공내부카드(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반구(11)는 게임용 공(10)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반구(11)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제공되어 공내부카드(19)의 내용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반구(13)는 게임용 공(10)의 하부를 형성한다.
상하반결합부(15)는 상반구(11)와 하반구(13)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끼움결합이나 나사결합과 같이, 상반구(11)와 하반구(13)를 결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무게부여부(17)는 하반구(13) 내에 배치되어 게임용 공(10)이 하반구(13)의 저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기능한다. 무게부여부(17)에 의하여 게임용 공(10)의 상반구(11)가 항상 게임용 공(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대략 상방에서 공내부카드(19)의 내용을 관찰할 수 있다.
공내부카드(19)는 상반구(11)와 하반구(15)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내부카드(19)는 양면에 숫자, 문자, 수식 등과 같은 내용이 기재되되, 예를 들어 일면에 숫자가 기재되고 다른 일면에 알파벳이 기재되는 것과 같이, 다른 내용으로 기재되어 상면과 하면을 뒤바꿈으로서 공의 종류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게임용 공(10)은 상반구(11)와 하반구(13)의 일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용 공(10)이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하반결합부(15)는 연결부(미도시)까지 연장된다. 상반구(11)와 하반구(13)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열고 닫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게임용 공(10)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가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게임용 공(10)에는 숫자, 문자, 또는 수식 등 기호가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게임용 공(10)에 숫자, 문자, 또는 수식 등이 표시되는 형태는 게임용 공(10)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에 의할 수 있다. 숫자, 문자, 또는 수식 등이 표시되는 반대편에는 무게부여부(17)가 제공되어 대략 상부에서 표시된 숫자, 문자 또는 수식 등이 관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보드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드부(30)는 게임자가 게임용 공(10)을 배치하여 보드게임을 진행하는 판으로 기능한다. 보드부(30)는 보드외곽테(31), 보드틀(33), 안착홀(35), 블록지지부재(37), 그리고 보드지지부재(3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외곽테(31)는 보드부(30)의 외곽을 형성한다. 보드외곽테(31)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드틀(33)은 보드외곽테(31)의 내부에 제공된다. 보드틀(33)은 다수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보드틀(33)은 도 1과 같이 씨줄과 날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원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외에도 오각형이나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드틀(33)은 하나의 보드부(30)에서는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드틀(33)은 도 1과 같이 보드외곽테(31)가 없이도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홀(35)이 보드틀(33)의 내부에 형성된다. 안착홀(35)은 보드틀(33)의 형상에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되며, 블록지지부재(37)를 구비한다. 안착홀(35)은 게임용 공(10)이 보드부(30)에 놓이는 위치가 된다.
블록지지부재(37)는 안착홀(35)에 배치되어 게임용 공(10)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블록지지부재(37)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소재, 플라스틱 등 탄성 있는 소재로 제공된다. 블록지지부재(37)가 게임용 공(10)을 하방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게임용 공(10)에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면 블록지지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하여 게임용 공(10)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보드지지부재(39)는 보드외곽테(31) 또는 보드내부테(33)를 지지하여 보드부(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게 한다.
보드부(30)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보드외곽테(31)가 없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받침부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받침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받침부(50)는 보드부(30)로부터 게임용 공(10)이 낙하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받침부(5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50)는, 도 1의 예와 같이, 모든 보드지지부재(39)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50)는 받침펜스(51), 슬로프(53), 그리고 블록안착대(55)를 포함한다.
받침펜스(51)는 받침부(50)의 외곽을 형성하여 게임용 공(10)이 받침부(50) 바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슬로프(53)는 받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받침펜스(51) 방향으로 하방 경사를 이루도록 제공된다. 슬로프(53)는 외곽이 받침부(50)의 외곽과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55)는 받침펜스(51)와 슬로프(53) 사이에 배치된다. 거치대(55)는 받침부(50)가 놓여지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예시적으로 2인의 게임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게임이 시작되면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임용 공(10)을 보드부(30)에 배치한다.
별도의 규칙에 따라 게임자 간에 진행 순서를 정한다. 게임은 '에너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게임용 공(10)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에너지'는, 도 5와 같이, 자신 또는 다른 게임자의 게임용 공(10)을 뛰어넘는 '점프(Jump)'에 의해 획득된다. 한번의 점프로 하나의 에너지로 획득된다. 획득된 점프가 있으면, 다른 공을 점프하여 자신의 게임용 공(10)으로 다른 게임자의 게임용 공(10)을 위에서 눌러 떨어뜨리고 자신의 게임용 공(10)을 그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하나의 점프당 하나의 다른 게임자의 게임용 공(10)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게임자의 게임용 공(10)을 모두 떨어뜨린 게임자가 우승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하여 사목이나 오목을 만드는 게임도 가능하다.
별도의 규칙에 따라 게임자 간에 진행 순서를 정한다. 두 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나온 두 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보드판에 해당하는 좌표 위치에 공을 놓는다. 상기 주사위는 반드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보드부(30)에 따라 팔면체나 십이면체 주사위도 가능하다. 주사위를 던져 나온 좌표에 이미 게임용 공(10)이 위치해 있다면 새로운 게임용 공(10)을 이용하여 기존의 게임용 공(10)을 위에서 눌러 떨어뜨리고 새로운 게임용 공(10)을 배치한다. 자신의 게임용 공(10)으로 사목이나 오목을 먼저 만든 게임자가 우승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게임용 공(10), 보드부(30), 및 받침부(50) 이외에 팡팡해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팡팡해머(70)는 게임용 공(10)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고 이를 유지한다. 팡팡해머(70)는 하우징(71), 전방개구부(73), 그리고 손잡이(77)를 포함한다.
하우징(71)은 원통형, 사각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71)은 내부에 게임용 공(10)이 다수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은(71)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71)의 전방은 개구부(73)와 예를 들어 나사결합이나 끼움결합 등으로 결합된다. 하우징(71)의 후방에는 끼움결합 등으로 후방이 개방될 수 있는 후방개구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하우징(71)과 결합된다. 전방개구부(73)는 하우징(71)과 결합되어 게임용 공(10)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개구부(73)가 하우징(71)과 분리되면 수용되어 있던 게임용 공(10)을 꺼낼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탄성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가 탄성소재로 제공되는 경우, 전방개구부의 입구는 게임용 공(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게임용 공(10)을 팡팡해머(70)로 두드려서 탄성에 의하여 입구가 벌어지면서 게임용 공(10)을 팡팡해머(70)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게임용 공(10)의 크기에 따라 입구가 넓은 것과 입구가 좁은 것으로 전방개구부(73)를 교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개구부(73)의 입구의 크기가 2 이상의 종류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수용탄성부재(75)가 개구부(73)의 하우징(71)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개구부(73)의 입구에 제공될 수 있다. 수용탄성부재(75)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소재, 플라스틱 등 탄성 있는 소재로 제공된다. 수용탄성부재(75)는 2 단위 이상이 하나의 세트가 되어 제공된다. 수용탄성부재(75) 사이의 간격 및 수용탄성부재(73)와 개구부(73) 입구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이 게임용 공(10)의 폭 또는 지름보다 좁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팡팡해머(70)로 게임용 공(10)을 내리치면 수용탄성부재(75) 사이의 간격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게임용 공(10)이 팡팡해머(70)의 내부로 수용된다.
손잡이(77)가 하우징(71)에 부착되어 팡팡해머(70)의 사용 편리성을 부가한다.
게임자는 게임 과정에서 제거하게 되는 게임용 공(10)을 위에서 압력을 주어 떨어뜨리는 대신, 팡팡해머(70)로 두드려서 팡팡해머(70) 내부로 게임용 공(10)을 수용시킴으로써 대상이 되는 게임용 공(1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게임용 공(10), 팡팡해머(70), 그리고 필드부(90)를 포함한다. 또한, 규칙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팡팡해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팡팡해머(70)는 게임용 공(10)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고 이를 유지한다. 팡팡해머(70)는 하우징(71), 전방개구부(73), 그리고 손잡이(77)를 포함한다.
하우징(71)은 원통형, 사각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에 게임용 공(10)이 다수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은(71)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71)의 전방은 개구부(73)와 예를 들어 나사결합이나 끼움결합 등으로 결합된다. 하우징(71)의 후방에는 끼움결합 등으로 후방이 개방될 수 있는 후방개구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하우징(71)과 결합된다. 전방개구부(73)는 하우징(71)과 결합되어 게임용 공(10)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개구부(73)가 하우징(71)과 분리되면 수용되어 있던 게임용 공(10)을 꺼낼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탄성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가 탄성소재로 제공되는 경우, 전방개구부의 입구는 게임용 공(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게임용 공(10)을 팡팡해머(70)로 두드려서 탄성에 의하여 입구가 벌어지면서 게임용 공(10)을 팡팡해머(70)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전방개구부(73)는 게임용 공(10)의 크기에 따라 입구가 넓은 것과 입구가 좁은 것으로 전방개구부(73)를 교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개구부(73)의 입구의 크기가 2 이상의 종류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수용탄성부재(75)가 개구부(73)의 하우징(71)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개구부(73)의 입구에 제공될 수 있다. 수용탄성부재(75)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소재, 플라스틱 등 탄성 있는 소재로 제공된다. 수용탄성부재(75)는 2 단위 이상이 하나의 세트가 되어 제공된다. 수용탄성부재(75) 사이의 간격 및 수용탄성부재(73)와 개구부(73) 입구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이 게임용 공(10)의 폭 또는 지름보다 좁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팡팡해머(70)로 게임용 공(10)을 내리치면 수용탄성부재(75) 사이의 간격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게임용 공(10)이 팡팡해머(70)의 내부로 수용된다.
손잡이(77)가 하우징(71)에 부착되어 팡팡해머(70)의 사용 편리성을 부가한다.
필드부(90)는 게임용 공(10)을 배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필드부(90)는 도 9와 같이 지면과 펜스가 일체가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드부(90)는 도 13과 같이 필드펜스(91)만으로 제공될 수 있다. 3 이상의 필드펜스(91)는 상호 끼움결합되어 게임용 공(10)을 배치하는 필드부(90)를 형성할 수 있다. 필드펜스(91)는 일측이 볼록구조, 그리고 다른 일측이 오목구조로 형성되어 하나의 필드펜스(91)의 볼록구조와 다른 필드펜스(91)의 오목구조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규칙카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규칙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규칙카드(100)는 예를 들어 특정 숫자의 배수 찾기, 단어에 해당하는 알파벳 찾기 등의 게임 진행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은 게임용 공 배치 단계(S110), 규칙 설정 단계(S130), 게임 실행 단계(S150), 그리고 결과 계산 단계(S170)를 포함한다.
게임용 공 배치 단계(S110)에서, 진행자 또는 진행자가 없을 경우 게임자들이 필드부(90)에 게임용 공(10)을 배치한다. 필드부(90)에 배치되는 게임용 공(10)에는 숫자가 기재되어 있다. 배치되는 게임용 공(10)에 기재된 숫자는 중복될 수 있다.
규칙 설정 단계(S130)에서, 진행자는 게임자들에게 게임용 공(10)을 가지는 규칙을 정한다. 진행자가 게임용 공(10)을 가지는 규칙을 정하는 것은 진행자가 규칙카드를 오픈함에 의할 수 있다. 또는 진행자 없이 게임자들 간에 규칙카드를 오픈함으로써 게임용 공(10)을 가지는 규칙을 정할 수 있다.
게임 실행 단계(S150)에서, 각 게임자는 규칙 설정 단계(S120)에서 정해지는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한다. 각 게임자는 경쟁적으로 규칙에 해당하는 게임용 공(10)을 팡팡해머(70)로 두드려서 하우징(71) 내에 수용시킨다. 예를 들어 설정된 규칙이 7의 배수라면 게임자들은 7, 14, 21, 28 등 7의 배수에 해당하는 게임용 공(10)을 모은다. 게임 실행은 일정한 제한 시간을 두고 진행될 수 있다.
결과 계산 단계(S170)에서 게임을 진행한 결과를 계산한다. 설정된 규칙에 부합하는 가장 많은 게임용 공(10)을 수집한 게임자가 우승한다. 만약 규칙에 부합하지 않는 게임용 공(10)을 수집하였다면 감점을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을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게임용 공(10), 보드판(110), 바구니(130), 그리고 숫자카드(150)를 포함한다.
도 17은 보드판(11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드판(110)은 게임용 공(10)을 배치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필드를 제공한다. 보드판(110)은 보드판 필드(111), 연산자홀(113), 초기자홀(115), 그리고 결과자홀(117)을 포함한다.
보드판 필드(111)는 보드판(110)의 본체를 형성한다. 보드판 필드(11)는 바구니(130)에 거치되어 게임용 볼(10)을 배치할 수 있는 그라운드를 제공한다. 보드판 필드(1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오각, 해바라기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드판 필드(111)는 탄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연산자홀(113)은 보드판 필드(111)의 중앙에 제공된다. 연산자홀(113)에는 블록지지부재(119)가 제공될 수 있다. 연산자홀(113)에는 사칙연산과 같은 연산부호가 표기되는 게임용 공(10)이 배치될 수 있다.
초기자홀(115)이 연산자홀(113) 주위에 제공된다. 초기자홀(115)은 연산자홀(113)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4 단위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자홀(115)에는 블록지지부재(119)가 제공될 수 있다. 게임자는 숫자가 표시된 게임용 공(10)을 초기자홀(115)에 배치할 수 있다.
결과자홀(117)이 초기자홀(115) 주위에 제공된다. 결과자홀(117)은 도 17과 같이 4 단위의 초기자홀(115) 중 2 단위를 잇는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기자홀(115) 중 2 단위를 잇는 수직선 상 상하로 2 단위의 결과자홀(117), 초기자홀(115) 중 2 단위를 잇는 수평선 상 좌우로 2 단위의 결과자홀(117), 초기자홀(115) 중 2 단위를 잇는 대각선 상으로 2 단위의 결과자홀(117)이 배치되어, 총 12 단위의 결과자홀(117)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자홀(117)에는 블록지지부재(119)가 제공될 수 있다. 게임자는 숫자가 표시된 게임용 공(10)을 결과자홀(115)에 배치할 수 있다.
게임자는 초기자홀(115) 중 2 단위에 배치되는 게임용 공(10)에 표시된 숫자를 연산자홀(113)에 배치된 게임용 공(10)에 표기된 연산기호로 연산하여 결과자홀(117)에 배치되는 게임용 공(10)의 숫자가 되는 연산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보드판 필드(111)의 초기자홀(115)과 결과자홀(117) 사이에는 연산기호 "="가 표시될 수 있다.
보드홀(115)는 블록지지부재(117)이 배치된다. 블록지지부재(11)는 게임용 공(10)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블록지지부재(117)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소재, 플라스틱 등 탄성 있는 소재로 제공된다. 블록지지부재(117)가 게임용 공(10)을 하방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게임용 공(10)에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면 블록지지부재(117)의 탄성력에 의하여 게임용 공(10)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바구니(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바구니(130)는, 도 18과 같이, 보드홀(115)을 통과하는 게임용 공(10)을 수용하는 바구니 몸체(131), 그리고 수용된 게임용 공(10)을 꺼낼 수 있도록 바구니 몸체(131)에 형성되는 바구니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바구니 개구부(133)는 바구니 몸체(131)에 수용된 게임용 공(10)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대략 측상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구니(130)는, 도 19와 같이, 보드홀(연산자홀(113), 초기자홀(115), 결과자홀(117))을 통과하는 게임용 공(10)을 수용하는 바구니 몸체(131), 수용된 게임용 공(10)을 꺼낼 수 있도록 바구니 몸체(131)에 형성되는 바구니 개구부(133), 그리고 바구니 개구부(133)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33)에는 슬라이드 장치와 같은 개폐부재(135)가 개구부(133)의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구니(130)는 바구니 개구부(133) 안쪽에 예를 들어 그물망과 같은 탄력성 있는 유출방지부재(미도시)가 제공되어 게임용 공(10)이 바구니(130)로부터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숫자카드(15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숫자카드(150)는 게임용 공(10)의 숫자를 이용한 덧셈 또는 뺄셈의 결과로 게임자에게 분배된다. 숫자카드(150)는 일련의 숫자가 하나씩 기재되어 있으며, 기재된 숫자는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는 예시적으로 24까지의 숫자가 기재된 카드를 제시하였으나, 더 많은 숫자가 기재된 숫자카드(150)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은 게임 배치 단계(S210), 카드 오픈 단계(S230), 블록 배치 단계(S250), 카드 유무 판단 단계(S270), 그리고 결과 계산 단계(S290)를 포함한다.
게임 배치 단계(S210)에서, 보드판(110)을 바구니(130) 위에 배치한다. 보드판(110)는 메인판(111)이 바구니(130)의 입구에 완전히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보드판(110)은 거치판(113)에 의해 바구니(130) 위에 지지된다. 진행자 또는 진행자가 없을 경우 게임자들이 숫자가 표시된 게임용 공(10)을 선택하여 보드판(110) 위에 놓는다. 게임용 공(10)은 바구니 개구부(133)를 통해서 임의로 꺼내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게임용 공(10)은 2 내지 5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숫자카드(150)를 준비한다. 숫자카드(150)는 숫자가 랜덤하게 나올 수 있도록 섞어서 게임장소에 배치한다.
카드 오픈 단계(S230)에서, 주사위 던지기나 가위바위보 등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 진행 순서를 정한다. 진행자는 숫자카드(150)를 오픈한다. 진행자가 없을 경우 게임자들이 순번에 따라 오픈할 수 있다.
블록 배치 단계(S250)에서 첫번째 게임자는 바구니 개구부(133)를 통해 게임용 공(10)을 꺼낸다. 첫번째 게임자는 보드판(110)에 배치되는 게임용 공(10)의 숫자가 덧셈연산 또는 뺄셈연산의 조합에 의하여 오픈된 숫자카드(150)의 숫자와 일치할 수 있도록 게임용 공(10)을 배치한다. 게임용 공(10)은 비어있는 보드홀(115)이 있다면 거기에 배치할 수 있고, 이미 배치된 게임용 공(10)을 눌러서 바구니(130)로 떨어뜨리고 그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오픈된 숫자카드(150)의 숫자를 조합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지 못하면 다음 게임자가 오픈된 숫자카드(150)의 숫자를 완성하기 힘들도록 게임용 공(10)을 배치할 수 있다.
카드 유무 판단 단계(S270)에서, 게임자별로 순서 진행이 끝날때마다 남아 있는 숫자카드(150)가 있는지 판단한다. 남아 있는 숫자카드(150)가 있다면 카드 오픈 단계(S230)가 진행되어 다음 숫자카드(150)가 오픈되고, 다음 순번의 게임자가 블록 배치 단계(S250)를 진행한다.
결과 계산 단계(S290)는 카드 유무 판단 단계(S270)에서 남아 있는 숫자카드(150)가 없을 경우에 진행된다. 각 게임자는 획득한 숫자카드(150) 1장당 1점의 점수를 획득한다. 만약 게임자들은 획득한 숫자카드(150)의 숫자가 연속된다면 연속된 숫자의 개수만큼 보너스 점수를 얻는다. 획득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게임자가 우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에 의하면, 블록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게임용 공을 압력이나 충격을 가하여 자연스럽게 홀을 통과하여 받침부, 팡팡해머, 바구니 등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영아 또는 유아에게 흥미로운 보드게임을 제시할 수 있다. 영아 또는 유아는 사칙연산, 배수, 약수, 공배수, 공약수 등의 수학적인 내용을 게임을 통하여 즐겁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점수를 획득하는 개념과 다른 게임자에게 이기기 위한 전략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게임용 공 11. 상반구
13. 하반구 15. 상하반결합부
17. 무게부여부 19. 공내부카드
30. 보드부 31. 보드외곽테
33. 보드틀 35. 안착홀
37. 블록지지부재 39. 보드지지부재
50. 받침부 51. 받침펜스
53. 슬로프 55. 거치대
70. 팡팡해머 71. 하우징
73. 전방개구부 75. 수용탄성부재
77. 손잡이 79. 후방개구부
90. 필드부 91. 필드펜스
100. 규칙카드 110. 보드판
111. 보드판 필드 113. 연산자홀
115. 초기자홀 117. 결과자홀
119. 블록지지부재 130. 바구니
131. 바구니 몸체 133. 바구니 개구부
135. 개폐부재 150. 숫자카드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내용이 표시되는 게임용 공,
    상기 게임용 공을 배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드부, 그리고
    상기 게임용 공을 상방에서 두드려 내부에 수용하는 팡팡해머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용 공은
    상부를 형성하는 상반구,
    하부를 형성하는 하반구,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를 결합하는 상하반결합부,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사이에 위치하고 양면에 내용이 기재되어 상면과 하면을 뒤바꿈으로써 상기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공내부카드, 그리고
    상기 하반구의 저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반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반구가 항상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방에서 공내부카드의 내용을 관찰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무게부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은
    숫자, 문자 또는 수식을 포함하며,
    상기 팡팡해머는
    일단이 막혀 있고 다른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게임용 공이 다수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전방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방된 일단에 제공되는 상기 전방개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위,
    상기 결합부위가 제공되는 일단의 반대편 일단이 개방될 수 있는 후방개구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손으로 쥘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의 크기가 2 이상의 종류로 형성되어 전방개구부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팡팡해머를 상기 게임용 공의 크기에 적응시킬 수 있는
    보드게임 도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부는
    자체가 탄성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의 지름이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보드게임 도구.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부는
    상기 전방개구부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입구에 배치되는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수용탄성부재의 간격이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용 공의 지름보다 좁은 크기로 제공되는
    보드게임 도구.
  20. 삭제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드부는
    상기 게임용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필드펜스, 그리고
    게임용 공이 배치되는 바닥을 이루는 저면을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드부는
    상기 게임용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필드펜스를 포함하며,
    상기 필드펜스는 일측이 볼록구조 그리고 다른 일측이 오목구조로 형성되어 하나의 필드펜스의 볼록구조와 다른 필드펜스의 오목구조가 끼움결합되도록 제공되는
    보드게임 도구.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70137622A 2017-10-23 2017-10-23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KR10187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622A KR101871387B1 (ko) 2017-10-23 2017-10-23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622A KR101871387B1 (ko) 2017-10-23 2017-10-23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847A Division KR101964395B1 (ko) 2018-06-20 2018-06-20 게임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387B1 true KR101871387B1 (ko) 2018-06-26

Family

ID=627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622A KR101871387B1 (ko) 2017-10-23 2017-10-23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3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01A (ja) * 1998-04-10 1999-10-26 Miyuki Kikuyama ボードゲームの方法と用具
KR100489888B1 (ko) 2002-11-28 2005-05-17 김유봉 수학을 이용한 피라미드 형태의 건설게임세트
KR20100008099U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아동용 놀이기구
KR20160097837A (ko) *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01A (ja) * 1998-04-10 1999-10-26 Miyuki Kikuyama ボードゲームの方法と用具
KR100489888B1 (ko) 2002-11-28 2005-05-17 김유봉 수학을 이용한 피라미드 형태의 건설게임세트
KR20100008099U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아동용 놀이기구
KR20160097837A (ko) * 2015-02-10 2016-08-18 전승철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111B2 (en) Tile to game card replication game
WO2011030337A2 (en) Modified games & methods for modifying games for training various cognitive abilities
JP5977025B2 (ja) パチンコ機
WO2007120473A2 (en) Ball return game
US2729020A (en) Marble runway device
US5328173A (en) Device for the random selection of letters and game utilizing same
US20150217188A1 (en) Physical interaction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s and method for use
KR101871387B1 (ko)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JP2015202370A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1964395B1 (ko) 게임용 도구
US10026333B2 (en) Educational balancing game
KR101609669B1 (ko) 학습용 보드게임 도구
KR20110000788A (ko) 보드게임 세트
JPH08276047A (ja) ゲーム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KR200305155Y1 (ko) 수타식 바스켓 게임기구
KR200271322Y1 (ko)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JP3125143U (ja) カードゲーム具
KR102140143B1 (ko) 완구용 농구 게임기
JP6419757B2 (ja) パチンコ機
KR20240000277U (ko) 정글월드 아케이드 게임기
CZ2004597A3 (cs) Společenská sportovní hra
KR20240005487A (ko) 볼을 이용한 게임기
KR20240000278U (ko) 복수의 게임볼을 이용한 축구 아케이드 게임기
JP3123828U (ja) 数字選択やゲームで使用する遊戯具
US20030047872A1 (en) Pyramid builders board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