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22Y1 -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22Y1
KR200271322Y1 KR2020010034921U KR20010034921U KR200271322Y1 KR 200271322 Y1 KR200271322 Y1 KR 200271322Y1 KR 2020010034921 U KR2020010034921 U KR 2020010034921U KR 20010034921 U KR20010034921 U KR 20010034921U KR 200271322 Y1 KR200271322 Y1 KR 200271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board
play
g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호
Original Assignee
양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호 filed Critical 양기호
Priority to KR2020010034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22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단일의 학습기구를 이용하여, 다트게임이나 알까기, 바둑, 장기, 윷놀이 등 다양한 종류의 놀이를 하면서 학습능력을 배양시키는 학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원판으로 형성된 학습판(10)의 가장자리부에는 적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테(11)를 형성하고, 상기 원판으로 된 학습판(10)의 정면(正面) 바닥에는 표시부(12)와 점수부(13)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판(10)의 배면(背面)에는 장기판(17)이나 바둑판, 체스판 등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A playing and learning tool for multi-function education}
본 고안은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단일의 학습기구를 이용하여, 다트게임이나 알까기, 바둑, 장기, 윷놀이 등 다양한종류의 놀이를 하면서 학습능력을 배양시키는 학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아나 아동 등 저학년이 사용할 수 있는 지능개발과 학습능력 배양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학습과 동시에 놀이 등을 즐길 수 있는 기구들이 개발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구들은 주로 단일의 학습이나 놀이만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단일의 기구로서 다양한 종류의 학습이나 놀이 등을 동시에 행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저학년 등의 경우는 지능이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놀이나 학습 등을 할 시 단순한 개념의 놀이나 학습을 하게 되고, 이러한 놀이기구 중 숫자를 셈하거나 지능의 개발을 목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는 유아나 저학년 등의 지능이 완전히 개발되지 못하여 자칫 학습에 흥미를 잃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언론매체 등에서 오락성이나 유희성을 목적으로 각종 다양한 놀이들이 개발되어 있는 바, 특히 이중에서 공격자가 상대방의 바둑알이나 장기알 등의 알을 튕겨서 떨어뜨리는 경기(일명 알까기) 등이 널리 알려져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러한 알까기 경기는 보통 바둑판이나 장기판 등의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경기 내지는 놀이를 하고 있다.
또한, 다트게임의 경우는 다트판의 표면에 점수부를 표시하여 상기 다트판의 표면 내부에 자석판을 내장한 상태에서 금속으로 된 다트를 던져서 맞은 점수부의점수를 합산하여 경기를 하거나 다트판의 표면 바닥을 코르크나 목재 또는 기타 뾰족한 침이 잘 꽂힐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여 뾰족한 침이 결합된 다트를 던져서 맞은 점수부의 합산으로서 경기 내지는 놀이를 하게 된다.
기타 알까기나 바둑, 장기 또는 윷놀이 등을 할 경우는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알까기판, 다트판, 장기판, 윷놀이판 등을 따로 구비하여 하고 싶은 놀이나 경기 등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된 놀이판을 이용하게 되면 각각의 놀이용 판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단일의 놀이판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놀이나 경기 또는 학습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구입에 따른 경비의 소요가 과도함은 물론 취급이나 보관 등이 어려워 단일의 기구로서 다양한 종류의 놀이나 경기 또는 학습 등을 선택적으로 할 수 없으며, 또한 여러가지의 기구가 개별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취급이나 보관중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수반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아나 저학년 등의 아동들은 놀이기구의 유희성이나 오락성도 중요하지만 숫자의 개념이나 계산 등의 학습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구가 개발되지 못하고, 특히 손가락의 움직임이나 기타 두뇌의 발달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일의 기구로서 학습이나 오락 또는 놀이 등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여 하나의 기구로서 다양한 놀이 등을 즐기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단일의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알까기판, 다트판, 바둑판, 장기판, 윷놀이판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학습판을 대략 판상으로 구성하되, 이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역할을 할 수 있는 받침테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점수부 등으로 된 표시부를 형성하여 다트 등의 경기 내지는 오락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받침테의 하단에는 적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알까기 게임 등을 할 경우 공격 대상인 알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점수를 산정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점수부의 사방 가장자리 모서리부에는 적정의 깊이를 갖는 저장홈을 형성하여 알까기 등의 오락 내지는 경기를 할 경우 최종 공격을 할 수 있는 여분의 알을 보관하므로서 오락성과 유희성을 일층 개선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에 장기판을 도시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자석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학습판 11: 받침테
12 : 표시부 13 : 점수부
14 : 배출공 15 : 저장홈
16 : 자석판 17 : 장기판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에 장기판을 도시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자석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략 판상으로 된 학습판(10)의 가장자리부에는 적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테(11)를 형성하고, 상기받침테(11)의 하부측에는 공격받은 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적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의 배출공(14)을 형성하여 알까기 경기 중 상대방에게 맞은 알이나 공격자의 알이 상황에 따라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판상으로 된 학습판(10)의 표면 바닥의 표시부(12)에는 다양한 종류의 점수부(13)를 형성하되,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수가 높고 가장자리부로 날수록 점수를 낮게 배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수부(13)의 사방 가장자리 모서리부에는 적정 깊이를 갖는 저장홈(15)을 형성하여 여분의 알을 비치하므로서 오락이나 경기 등을 할 경우 저장홈(15)에 의해 경기 등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여분의 알을 이용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재기의 기능을 등을 더할 수 있게 하여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증대하고, 상기 표시부(12)의 이면에는 장기판(17)이나 바둑판 또는 체스판 등과 같이 앉아서 할 수 있는 게임판 표시하므로서 단일의 학습기구로서 다양한 놀이 등을 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학습판(10)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 경우는 가장자리의 받침테(11) 역시 다각형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 배출공(14)의 개수나 위치 등은 적의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학습판(10)의 표시부(12)에 형성된 점수부(13)의 규격이나 모양 등은 임의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다트게임을 할 경우는 학습판(10)의 내부 바닥에 자석판(16)을 내장하여 자석이나 금속으로 된 다트를 던지게 되면 자력에 의해다트가 학습판에 붙게 한 것으로, 이 경우는 앞부분이 침으로 된 다트보다 학습판(10)의 표면을 손상받지 않게 하므로 사용수명을 연장하거나 다트가 학습판에 비스듬히 부딪혀서 이용자에게 튕기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단일의 학습판기구를 이용하여 알까기판, 다트판, 바둑판, 장기판, 윷놀이판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학습판(10)을 대략 판상으로 구성하되, 이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역할을 할 수 있는 받침테(11)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점수부(13) 등으로 된 표시부(12)를 형성하여 다트 등의 경기 내지는 오락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받침테(11)의 하단에는 적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14)을 형성하여 알까기 게임 등을 할 경우 공격 대상인 알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점수를 산정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점수부(13)의 사방 가장자리 모서리부에는 적정의 깊이를 갖는 저장홈(15)을 형성하여 알까기 등의 오락 내지는 경기를 할 경우 최종 공격을 할 수 있는 여분의 알을 보관하므로서 오락성과 유희성을 일층 개선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 내지는 오락 또는 학습을 할 수 있는 바, 먼저 근래에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알까기 게임을 살펴보기로 한다.
표시부(12)의 적정위치에 공격자와 방어자의 알을 적정의 배열로 배열하고, 각자 하나 내지는 두개의 알은 여분으로 저장홈(15)에 투입한 상태로 경기를 하는바, 일반적인 알까기의 방식대로 손가락으로 알을 치는 방법으로 상대방의 알을 공격하게 되면 여건에 따라 받침테(11)의 테두리내에서 알이 이동하게 되고, 공격자는 상대방의 알을 배출공(14)측으로 이동하여 배출이 되므로 해서 점수가 가산된다.
이러한 경기방식은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이고, 이러한 경기의 방식이나 점수를 가산하는 방식은 각자가 임의로 할 수 있다.
또한, 경기를 하는 인원 역시 2인 내지 4인 정도가 적당하나, 여건에 따라 임의의 인원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경기방식 및 점수의 가산방식 등은 각 참여자의 의견을 토대로 즉석에서 정할 수 있게 되므로 경기의 오락성이나 유희성이 일층 증대될 뿐만 아니라 학습의 효과도 일층 개선할 수 있게 되어 주로 아동이나 저학년용으로 사용할 경우 다양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공격당한 알이나 공격한 알이 실수로 받침테(11)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표시부(12)의 내부에 있을 경우는 감점이 되지 않고 배출공(14)을 통해서 배출된 경우만 점수를 감점하게 되므로 경기도중 애매한 점수계산을 방지하게 되어 공정한 경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경기를 하면서 두뇌의 개발과 동시에 손의 움직임 등을 정확하게 하거나 오락 또는 학습의 자세를 보다 효율적으로 교정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공격의 부위나 위치의 선정을 직접 선택해야 하므로 두뇌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주로 아동이나 저학년 등 지능의 발달이 늦을 경우 지능을 개발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저장홈(15)에 내장된 여분의 알은 주로 경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을 선정하여 최종 경기의 역전을 목적으로 하거나 미리 경기를 포기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인성교육 또는 재기의 가능성 등을 학습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알까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예시하였으나, 기타 언급한 바와 같이 다트게임이나 바둑, 장기, 윷놀이 등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놀이는 표시부(12)와 점수부(13)를 적절히 이용하므로서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기타의 놀이방법이나 경기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이고, 또한 경기의 방식 등은 여건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가령 다트게임의 경우는 다트를 던져서 맞은 표시부(12)의 점수부(13)를 합산하여 경기를 할 수 있고, 또한 바둑이나 장기 등의 경우는 학습판(10)의 배면(背面)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을 뒤집어서 일반적인 바둑이나 장기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경기방법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의 학습판(10)을 이루는 표시부(12)의 내부에는 자성(磁性)을 지닌 자석판(16)을 내장하여 앞부분이 금속으로 판형으로 형성된 다트를 이용하므로서 표시부(12)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놀이 참가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일반적인 다트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윷놀이의 경우는 학습판(10)의 표시부(12)에 표시된 윷놀이 계산부에 의 해 윷말이 이동하는 경로 등은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고안의 받침테 일측으로는 벽체의 못에 걸을 수 있는 걸이부를 부착하여 사용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은 주로 아동이나 저학년 등의 놀이 겸용 학습기구로 사용이 가능하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꼭히 아동이나 저학년 뿐만 아니라 가족들 전체가 모여서 즐길 수도 있을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단일의 학습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 내지는 학습 또는 경기 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의 학습기구를 이용하여 알까기판, 다트판, 윷놀이판, 장기판 또는 바둑판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저연령층의 아이들에게 다양한 놀이방법을 통하여 학습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으며, 어린이 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함께 모여서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가족간의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놀이문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원판으로 형성된 학습판(10)의 가장자리부에는 적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테(11)를 형성하고,
    상기 원판으로 된 학습판(10)의 정면(正面) 바닥에는 표시부(12)와 점수부(13)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판(10)의 배면(背面)에는 장기판(17)이나 바둑판, 체스판 등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테(11)의 적정 부위에는 소정 간격으로 배출공(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10)과 받침테(11)는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4. (정정)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10)의 내부에는 자석판(16)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5. (정정)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10)의 적정 위치에는 저장홈(15)이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KR2020010034921U 2001-11-14 2001-11-14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KR200271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1U KR200271322Y1 (ko) 2001-11-14 2001-11-14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1U KR200271322Y1 (ko) 2001-11-14 2001-11-14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22Y1 true KR200271322Y1 (ko) 2002-04-10

Family

ID=7311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21U KR200271322Y1 (ko) 2001-11-14 2001-11-14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5732A1 (en) * 2002-11-20 2004-06-03 Tea Gun Um Amusement instrument
KR100531656B1 (ko) * 2002-08-24 2005-12-05 정기호 성경 게임박스
KR20210056515A (ko) 2019-11-09 2021-05-20 최석진 뒤집기 장난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56B1 (ko) * 2002-08-24 2005-12-05 정기호 성경 게임박스
WO2004045732A1 (en) * 2002-11-20 2004-06-03 Tea Gun Um Amusement instrument
KR20210056515A (ko) 2019-11-09 2021-05-20 최석진 뒤집기 장난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gost What are sports videogames?
US5372364A (en) Soccer table game with cue stick
US20140239592A1 (en) Alphanumeric Game System And Pieces
US5615887A (en) Floating word game in a body of water
US20160263474A1 (en) Bocce modifying game
US10857449B2 (en) Dice angle game
US20130075972A1 (en) Bocce modifying game
US5738594A (en) Golf game
KR200271322Y1 (ko)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US4619455A (en) Game apparatus
US9993720B1 (en) Dice angle game
US20020167128A1 (en) Board game apparatus
US11717743B2 (en) Method for playing a skill-based strategy game
KR20070055888A (ko) 카드 바둑기구
US3481606A (en) Racing game apparatus comprising weight controlled contestants
US1712781A (en) Game
Boyd Hospital and bedside games
KR20180055029A (ko) 알까기 보드게임 용구와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JP2019080889A (ja) ボードゲーム用具
KR102633274B1 (ko) 게임판 기능을 갖는 테이블
US20070296148A1 (en) Table-top board game
KR200305224Y1 (ko) 오락기구
JPH09322978A (ja) エアホッケー玩具
US20030047872A1 (en) Pyramid builders board game
JP3192423U (ja) 対戦式ゲーム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