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143B1 - 완구용 농구 게임기 - Google Patents

완구용 농구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143B1
KR102140143B1 KR1020180160828A KR20180160828A KR102140143B1 KR 102140143 B1 KR102140143 B1 KR 102140143B1 KR 1020180160828 A KR1020180160828 A KR 1020180160828A KR 20180160828 A KR20180160828 A KR 20180160828A KR 102140143 B1 KR102140143 B1 KR 10214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loor plate
game machine
basketball gam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814A (ko
Inventor
박수현
Original Assignee
박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현 filed Critical 박수현
Priority to KR102018016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12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행과 열로 복수의 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바닥플레이트; 하측이 바닥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측에 상부 개방된 볼 수용부가 마련되는 골대; 및 하측이 바닥플레이트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 수평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골대의 볼 수용부에 볼을 골인시키기 위한 쿠션부;를 포함하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볼의 반발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용 농구 게임기 {BASKETBALL GAME APPARATUS FOR TOY}
본 발명은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공과 같은 작은 볼을 낙하 및 방향 전환시켜 골인시킬 수 있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기종목 중 농구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골대 등의 시설물이 구비되어야 하고, 다수의 인원이 팀을 이루어 대항하는 점에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특허문헌1과 같이 간이 농구 게임기가 개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간이 농구 게임기의 경우에도, 어느 정도 중량이 나가는 볼을 파지하여 골대로 던지기 위한 근력을 필요로 하여 유아나 장애인 등의 참여는 불가능하며, 게임을 주로 즐기는 연령층에게 학습적인 도움을 줄 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3545호 (공고일자: 2012년 07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고,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는, 행과 열로 복수의 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바닥플레이트; 하측이 바닥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측에 상부 개방된 볼 수용부가 마련되는 골대; 및 하측이 바닥플레이트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 수평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골대의 볼 수용부에 볼을 골인시키기 위한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있어 바닥플레이트의 고정부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있어 바닥플레이트에는, 고정부의 외곽을 따라 각도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있어 쿠션부는, 고정부에 강제끼움되는 원형의 삽입부와, 삽입부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상측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힌지부와, 힌지부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낙하되는 볼을 튕겨낼 수 있는 반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는, 바닥플레이트의 외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기립되어 볼을 자유낙하시킬 수 있는 볼 낙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의하면, 볼의 반발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적인 제약이 없어 누구나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통해 농구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골대를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쿠션부를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볼 낙하부의 상측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완구용 농구 게임기를 이용하여 팀별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골대를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쿠션부를 상세히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볼 낙하부의 상측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농구 게임기는, 바닥플레이트(110); 골대(120); 및 쿠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닥플레이트(110)는 행과 열로 복수의 고정부(111)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인다.
바닥플레이트(110)는 일정 두께 및 중량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 둘레에는 볼(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울타리(1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울타리(115)는 게임 참여자가 바닥플레이트(11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소재 또는 그물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 측면에는 복수의 영구자석(116)이 마련되어 후술할 볼 낙하부(140)의 중량체(141)가 자력으로 착탈될 수 있다.
또, 바닥플레이트(110)의 각 고정부(111)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행 별로 동일한 색깔과 고유의 식별번호가 표시되며, 서로 다른 행은 다른 색깔로써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정부(111)의 외곽을 따라 각도부(112)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도부(112)는 각 고정부(1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유선지게 형성되며, 골대(120)를 바라보는 각 고정부(111)의 외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각도부(112)에는 10도 단위로 눈금이 표시되어 후술할 골대(120)의 끼움부(121)의 회전각을 게임 참여자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골대(120)는 하측이 바닥플레이트(110)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111)에 결합되며, 상측에 상부 개방된 볼 수용부(123a)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골대(120)는 바닥플레이트(110)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111)에 결합되는 끼움부(121)와, 끼움부(121)의 상측에 일정각도 경사조절될 수 있는 절곡부(122)와, 하측이 절곡부(122)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볼 수용부(123a)가 상부 개방되게 마련되는 바스켓(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골대(120)는 본 실시예에서 바닥플레이트(11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부(111)에 설치됨을 보인 바와 같으나,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닥플레이트(110)에 마련된 고정부(111) 중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는바,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플레이트(110)의 중앙 부분의 고정부(111)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쿠션부(130)는 하측이 바닥플레이트(110)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고정부(111)에 수평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골대(120)의 볼 수용부(123a)에 볼(B)을 골인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쿠션부(130)는 게임의 재미를 위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쿠션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선택된 고정부(111)에 강제끼움되는 원형의 삽입부(131)와, 삽입부(131)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132)와, 연장부(132)의 상측에 양측이 힌지(도시생략)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힌지부(133)와, 힌지부(133)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낙하되는 볼(B)을 튕겨낼 수 있는 반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31)의 상측에는 각도부(112)의 눈금 부분을 가리킬 수 있도록 삼각 형상의 표식(131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31)의 표식(131a)은 힌지부(133)의 회전각 직하방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쿠션부(130)의 연장부(132)는 그 길이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133)는 연장부(132)의 상측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전후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반발부(134)는 고무나 나무보다는 반발계수가 큰 아크릴 등의 딱딱한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완구용 농구 게임기는 바닥플레이트(110)의 외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기립되어 볼(B)을 자유낙하시킬 수 있는 볼 낙하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 낙하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플레이트(110)의 외측과 바닥 사이에 위치하는 중량체(141)와, 하측이 중량체(141)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기립부(142)와, 일측이 기립부(142)의 상측에 지지되어 바닥플레이트(110)의 판면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지지부(143)와, 지지부(143)의 타측에 관통 설치되며 상하 개방된 구조의 볼 투입부(144)와, 볼 투입부(144)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스위치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141)는 각진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일측이 바닥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영구자석(116)에 부착시 상측의 부재들(142, 143, 144)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기립부(142)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관으로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며, 그 기립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기립부(142)의 신장될 수 있는 관의 길이방향으로는 높이를 나타내는 수치(예) 높이 1, 높이 2 등)가 표시될 수 있다.
볼 투입부(144)는 깔대기 형상으로 상측의 내경은 넓고 하측의 내경은 좁게 형성되어 볼(B)의 투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볼(B)의 낙하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부(145)는 상측의 레버(145-1)를 누르면 링크 구조(부호 생략)에 의해 하측의 개폐판(145-2)이 회동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이때 볼 투입부(144)에 투입된 볼(B)이 볼 투입부(144)의 하측을 통해 낙하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완구용 농구 게임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도 1의 완구용 농구 게임기를 이용하여 팀별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팀에 복수의 동일한 카드를 섞어서 분배한 후, 한 장씩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동일한 미션이 후속팀에게 반복되지 않도록 함이다. 모든 미션을 성공하게 되면, 점수는 동일함은 물론이다.
우선, 팀이 정해지면 먼저 시작할 팀을 정하며, 골대(120)의 위치는 팀이 서로 상의하여 정하거나 카드에 미리 반열할 수 있다.
먼저 시작하는 쪽을 A팀이라 가정하면, A팀은 도 6의 (a)와 같이 분배된 카드 중 하나를 확인한 후, 바닥플레이트(1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부(111) 중 카드에 표시된 부위에 두 개의 쿠션부(130)를 위치시키며, 각 쿠션부(130)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그런 다음, 볼 낙하부(140)의 기립부(142)를 '높이 2'에 설정하며, 중량체(141)를 첫번째 쿠션부(130)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준비작업이 완료되며, 이어서 스위치부(145)를 작동시켜 볼(B)을 낙하시킨다.
낙하된 볼(B)이 두 개의 쿠션부(130)에 반발되어 골대(120)의 볼 수용부(123a)에 골인되면 2점을 획득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B팀은 도 6의 (b)와 같이 분배된 카드 중 하나를 확인한 후, 바닥플레이트(1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부(111) 중 카드에 표시된 부위에 세 개의 쿠션부(130)를 위치시키며, 각 쿠션부(130)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그런 다음, 볼 낙하부(140)의 기립부(142)를 '높이 2'에 설정하며, 중량체(141)를 첫번째 쿠션부(130)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준비작업이 완료되며, 스위치부(145)를 작동시켜 볼(B)을 낙하시킨다.
낙하된 볼(B)이 세 개의 쿠션부(130)에 반발되어 골대(120)의 볼 수용부(123a)에 골인시 5점을 획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완구용 농구 게임기에 의하면, 볼의 반발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적인 제약이 없어 누구나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통해 농구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바닥플레이트
111: 고정부
112: 각도부
115: 울타리
116: 영구자석
120: 골대
121: 끼움부
122: 절곡부
123: 바스켓
130: 쿠션부
131: 삽입부
131a: 표식
132: 연장부
133: 힌지부
134: 반발부
140: 볼 낙하부
141: 중량체
142: 기립부
143: 지지부
144: 볼 투입부
145: 스위치부
B: 볼

Claims (5)

  1. 행과 열로 복수의 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바닥플레이트;
    하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측에 상부 개방된 볼 수용부가 마련되는 골대;
    하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 수평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골대의 볼 수용부에 볼을 골인시키기 위한 쿠션부;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외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기립되어 상기 볼을 자유낙하시킬 수 있는 볼 낙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의 외곽을 따라 유선지게 돌출된 형상의 각도부가 상기 골대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볼 낙하부는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외측과 바닥 사이에 위치하는 중량체, 하측이 상기 중량체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기립부, 일측이 상기 기립부의 상측에 지지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관통 설치되며 상하 개방된 구조의 볼 투입부 및 상기 볼 투입부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레버를 갖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고정부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고정부에 강제끼움되는 원형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측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낙하되는 볼을 튕겨낼 수 있는 반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농구 게임기.
  5. 삭제
KR1020180160828A 2018-12-13 2018-12-13 완구용 농구 게임기 KR10214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28A KR102140143B1 (ko) 2018-12-13 2018-12-13 완구용 농구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28A KR102140143B1 (ko) 2018-12-13 2018-12-13 완구용 농구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14A KR20200072814A (ko) 2020-06-23
KR102140143B1 true KR102140143B1 (ko) 2020-07-31

Family

ID=7113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28A KR102140143B1 (ko) 2018-12-13 2018-12-13 완구용 농구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079A (ja) * 2005-04-28 2006-11-09 Aruze Corp 遊技機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6007511A (ja) * 2014-06-26 2016-01-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545B1 (ko) 2010-12-14 2012-07-06 박정열 간이 농구게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079A (ja) * 2005-04-28 2006-11-09 Aruze Corp 遊技機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6007511A (ja) * 2014-06-26 2016-01-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 3회 실험 보고서-자유낙하운동 실험", 인터넷 블로그 게시글(2011.04.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14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7263A (en) Free throw basketball return
US2889149A (en) Coordination training device for small children
KR100865224B1 (ko)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DK2919870T3 (en) MULTIFUNCTIONAL SPORTS DEVICE
US3901508A (en) Table basketball
CN108201694A (zh) 游戏桌
US7717431B2 (en) Table-top football kicking game
US3770273A (en) Tethered ball tic tac toe
KR102140143B1 (ko) 완구용 농구 게임기
KR200448579Y1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US20120032392A1 (en) Tabletop Sports
US3617061A (en) Manipulative device for competitive play
US4334682A (en) Simulated ball sport amusement instrument
US20150157910A1 (en) Table Game with Surface and Air Components
US20170340940A1 (en) Training equipment for improving batting swing
CN211189082U (zh) 一种可倾斜的桌式足球游戏台
US810853A (en) Croquet apparatus.
US2185055A (en) Game
KR101861961B1 (ko) 스윙 시트를 이용한 놀이 및 게임 기구
US20130062831A1 (en) Table Game with Surface and Air Components
GB258116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tch or field games
US20180078837A1 (en) Disc Tossing Table Game
KR101871387B1 (ko)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KR102559455B1 (ko) 복합놀이기구
RU2041730C1 (ru) Иг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