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49B1 -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49B1
KR102360849B1 KR1020210082228A KR20210082228A KR102360849B1 KR 102360849 B1 KR102360849 B1 KR 102360849B1 KR 1020210082228 A KR1020210082228 A KR 1020210082228A KR 20210082228 A KR20210082228 A KR 20210082228A KR 102360849 B1 KR102360849 B1 KR 10236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unit
disposed
units
furni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태
Original Assignee
박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태 filed Critical 박진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49B1/ko
Priority to PCT/KR2022/0088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709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문서가 배치되는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구유닛과,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가구유닛에 배치되고 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가구유닛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바닥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가구유닛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고 수평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전반적인 시스템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SPACE-UTILIZING FURNITURE SYSTEM WITH FUCTION OF HORIZONTAL ADJUST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가구의 수평 및 수직을 정렬할 수 있는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가 문서를 찾고자 할 때는, 컴퓨터에 설치된 문서 검색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찾고자 하는 문서 검색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얻어진 위치 정보를 통해 해당 문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이나 특정 섹터까지 이동한 후 문서를 수거하고 있다.
도서관이나 대형 서점 또는 기업체의 문서고에 보관된 문서들에는 일련번호 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서, 문서 검색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이 직접 해당 섹터로 이동하여 문서를 찾았다.
이러한 문서 관리 시스템의 경우, 사람이 해당 섹터나 해당 공간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열로 진열 가구들이 배치되어 있고, 가구들마다 많은 문서들이 진열/보관되어 있다.
사용자가 가구들 사이를 통과하며 문서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열로 진열된 가구들은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가구들을 복수의 열로 배치했을 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공간 활용에 제약을 두게 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검색한 문서가 있어야 할 진열 가구에 있지 않고, 다른 진열 가구에 놓여져 있는 경우, 사용자는 문서를 찾지 못하거나 또는 찾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가구를 배치하는 건물 내부공간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가 있다.건물의 시공 완성도에 따라서는 바닥면이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울퉁불퉁한 경우도 있다.
이런 바닥면에 가구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설치할 때, 종래에는 통상 건물 바닥면에 평평한 데크를 설치하고 데크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가구의 이동 구조를 구현하였다.
그런데, 가구의 특성에 따라 온도변화에 의해 수축, 팽창하므로, 이러한 통상적인 데크 바닥과 레일 구조로는 가구의 수평이 안 맞게 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물 내부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아, 이동식 가구를 설치하기 위해 데크와 레일을 설치했지만 데크를 잘못 설치하거나 데크에 손상이 발생하여 레일 설치가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 장시간 데크가 가구들의 하중을 받아 데크가 뒤틀리거나 변형이 발생하여 레일 구조에도 뒤틀림, 변형이 발생한 경우, 지진 등과 같은 건물의 흔들림에 의해 데크 및 레일이 비틀어진 경우, 등과 같이 바닥면이나 레일이 고르지 않거나 수평하지 상태에서 가구들을 배치, 이동시키는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가구를 이동하거나 배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 가구가 이동하거나 배치되는 경우, 가구가 수평하게 있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있게 되므로, 가구의 내구성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문서가 보관된 가구유닛의 위치 및 해당 가구유닛의 칸 위치를 칩인식센서 및 인식칩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후에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을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해당 문서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가구유닛들이 사용되지 않는 중에는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된 상태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밀착 정렬된 상태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가구유닛들에 장착된 각종 센서 및 이동모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거리센서, 충격감지센서, 정렬감지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을 장착함으로써,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 및 자동 정렬에서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충돌로 인한 파손/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유닛들간의 정밀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 형상이나 데크 변형에 영향 없이 가구유닛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가구유닛들이 배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구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구유닛들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구유닛들의 운용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구유닛;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가구유닛에 배치되고, 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가구유닛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가구유닛에서 벽면에 인접한 측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 간격센서; 및 상기 가구유닛에서 벽면에 인접한 측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2 간격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값(L1)과 상기 제2 간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값(L2)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여, 양 간격값(L1,L2)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서 적어도 벽면에서 멀어지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모듈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제1 이동홈이 형성된 제1 판; 상기 가구유닛의 내측홈에 배치되고, 제2 이동홈이 형성된 제2 판; 일단부는 상기 제1 판에 힌지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이동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이동바; 일단부는 상기 제2 판에 힌지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이동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이동바; 상기 제1 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에는 스크류가 연결된 승강모터; 및 상기 제2 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에 볼스크류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충전모듈 및 배터리;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개의 칸에 각각 부착되고, 각 물건 별로 부착된 인식칩을 인식하여 물건을 식별하는 칩인식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상기 복수개의 충전모듈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일부가 비정렬되면,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식별하고,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이동시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이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가구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천장에 고정하는 천장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고정부는, 상기 가구유닛에 형성된 상부홈에 배치되는 고정모터; 상기 고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바; 상기 상부홈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어링; 상기 회전바에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를 따라 승강하는 이동피스; 상기 이동피스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피스의 승강에 따라 천장 방향으로 승강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피스; 및 상기 커버피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밀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가이드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는, 벽면에 배치되고,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와 상기 가구유닛을 연결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에 연결되는 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링크판;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며 상기 링크판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 일부에는 상기 휠부재가 장착되는 제1 빔; 상기 제1 빔에 연결되는 제1 링크블록; 상기 제1 링크블록과 링크핀으로 연결되는 제2 링크블록; 및 상기 제2 링크블록과 상기 가구유닛을 연결하는 제2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부재는, 상기 제1 빔의 외측 둘레 일부에 장착되는 제1 휠블록; 상기 제1 휠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휠블록과 구름볼에 의해 연결되는 제2 휠블록; 상기 제2 휠블록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내외측에 접촉되며 상기 제2 휠블록이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돌기부; 및 상기 제1 빔에서 상기 제1 휠블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빔에서 상기 제1 휠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빔과 상기 제2 링크블록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2 빔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빔; 상기 삽입빔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산 형태의 제1 조절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맞물리는 나사산 형태의 제2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빔이 상기 관통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 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 사이에서 상기 링크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제2 링크블록의 내부홈과 상기 제1 링크블록 간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은, 복수개의 문서가 배치되는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이 형성되고, 이동모듈이 장착된 복수개의 가구유닛; 및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충전모듈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상기 복수개의 충전모듈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일부가 충돌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일부가 비정렬되면,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식별하고,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이동시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형체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형체인식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을 사용자의 시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은, 사용자가 단말기로 문서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문서 검색 및 선택 단계;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가구유닛을 표시하는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이 이동하여 해당 가구유닛에 구획된 복수개의 칸들이 사용자에게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가구유닛 이동 단계; 복수개의 칸들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칸을 표시하는 해당 칸 표시 단계;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수거하는 해당 문서 수거 단계; 및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이동한 가구유닛이 원위치하는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는,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한 가구유닛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는,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한 가구유닛의 디스플레이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는, 특정 공간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경우,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섹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조작하는 방식은,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해당 가구유닛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가구유닛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에 지정된 식별기호를 음성인식으로 지칭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가구유닛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에 부착된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의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을 이동시켜, 해당 가구유닛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은, 해당 가구유닛와 기설정된 간격만큼 벌려지며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들어오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해당 가구유닛이 사용자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자동으로 돌출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해당 가구유닛은, 사용자가 해당 가구유닛의 복수개의 칸들을 정면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해당 가구유닛은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으로 구획되어 있고, 휭열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에는 각각 칩인식센서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칸들에 배치되는 문서들에는 인식칩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칩인식센서는 RFID 센서이고, 상기 인식칩은 RF 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횡렬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의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횡렬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의 칩인식센서가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의 칩인식센서는 해당 문서에 부착된 인식칩을 식별하고, 해당 칸에서 해당 문서의 위치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가구유닛 및 해당 칸이 3차원 가상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에서, 해당 문서의 위치가 수정된 경우, 해당 문서의 위치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문서 위치 수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서 위치 수정단계는, 해당 문서가 보관된 수정된 가구유닛 또는 수정된 칸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해당 문서가 보관된 수정된 가구유닛의 디스플레이 또는 수정된 칸의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조작하거나 또는 가구유닛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거나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을 이동시켜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수거한 후 특정 공간을 이탈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이동한 가구유닛이 자동으로 이동하며, 나머지 가구유닛와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거리센서가 복수개의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가구유닛에 배치된 이동모듈과 연동하며,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기설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충돌하면, 충격감지센서가 충돌을 감지하고, 가구유닛에 배치된 이동모듈과 연동하며 가구유닛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 중 일부가 일렬로 비정렬된 경우, 정렬감지센서가 비정렬 상태를 감지하고, 비정렬된 가구유닛에 배치된 이동모듈과 연동하며 비정렬된 가구유닛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 이후에,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을 충전하는 가구유닛 충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구유닛 충전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충전모듈 및 배터리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서로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에 장착된 충전모듈들이 서로 연결되며 배터리들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서 검색 및 선택 단계는, 검색된 동종 제목의 문서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에게 동종 제목의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특정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사용자에게 동종 제목의 문서들 중 특정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문서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동종 제목의 문서들 중 해당 문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문서가 보관된 가구유닛의 위치 및 해당 가구유닛의 칸 위치를 칩인식센서 및 인식칩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후에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을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해당 문서를 수거할 수 있다.
또한, 가구유닛들이 비사용되는 중에는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된 상태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밀착 정렬된 상태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가구유닛들에 장착된 각종 센서 및 이동모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 충격감지센서, 정렬감지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을 장착함으로써,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 및 자동 정렬에서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충돌로 인한 파손/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유닛들간의 정밀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데크나 레일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바닥면의 상태나 가구의 지속적인 하중에 의한 영향으로 데크나 레일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 형상이나 데크 변형에 영향 없이 가구유닛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가구유닛들이 배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구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구유닛들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조절하여 가구유닛들의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 공간이 복수개의 특정 섹터로 구획된 경우, 단말기 화면에 해당 도서가 위치한 특정 섹터를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해당 문서가 배치된 해당 가구유닛의 칸을 개방하기 위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려로 밀착 정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개시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해당 문서가 배치된 해당 가구유닛이 사용자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이동한 해당 가구유닛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 배치되며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에 배치된 정렬감지센서, 거리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 가구유닛이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정렬감지센서로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감지된 특정 가구유닛의 위치를 정렬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2a 및 도 12b에 개시된 승강부가 적용된 가구유닛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2c에 개시된 승강부가 적용된 가구유닛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조립체에 대한 외형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조립체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조립체의 제2 링크블록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조립체의 휠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조립체의 레일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 방식의 승강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류/모터 방식의 승강부 구조에 대한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류/모터 방식의 승강부 구조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 방식의 천장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류/모터 방식의 천장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들 및 각각의 구조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되더라도,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통합되어 적용되고 설계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은 문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문서의 보관 및 검색 이외에도 수화물 창고내 수화물의 보관 및 검색하는 수화물 관리 시스템으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가구유닛(110 : 110a~110e), 이동모듈(400), 디스플레이(120), 인터페이스(130), 칩인식센서(190), 충전모듈 및 배터리(180), 거리센서(150), 충격감지센서(160) 및 정렬감지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에는 각각 가구유닛(110a~110e)을 움직일 수 있는 이동모듈(400)이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400)은 모터 및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바퀴, 무한궤도 또는 옴니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모듈(400)은 지지프레임(440), 모터브라켓(430), 모터(420) 및 바퀴(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40)은 승강부(30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440)의 하단에는 모터브라켓(430)에 의해 모터(420)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420)의 회전축에는 바퀴(410)가 장착되어, 모터(420)의 회전에 따라 바퀴(410)가 회전하며 가구유닛(110)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에는 각각 디스플레이(120)와 인터페이스(1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각각의 가구유닛들의 문자나 숫자와 같은 식별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가 장착되어 있어, 필요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가 가구유닛을 움직이기 위한 조작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130)를 이용하여 가구유닛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칩인식센서(190)는 가구유닛(110)에 횡렬 또는 종렬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칸들(G1~G12)의 상부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 칩은 각가의 문서마다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칩인식센서(190)가 인식 칩을 인식하여 각 문서를 식별할 수 있다. 가구유닛(110)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칸들은 상술한 G1~G12는 일 예에 불과하고, 다른 개수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칩인식센서(190)는 RFID 센서이고, 인식 칩은 RF 칩일 수 있다.
여기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는 무선 인식 센서라고도 하며, RF 칩과 같은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칩인식센서를 말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칸들(G1~G12)에 각각 부착된 RFID 센서가 각 칸들(G1~G12)에 보관된 문서의 정보를 RF 칩을 통해 인식하는 것이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코드 및 바코드리더기, 다른방식의 센서 및 칩이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충전모듈 및 배터리(180a~180e)는 각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이 일렬로 밀착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충전모듈이 작동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방식일 수 있다.
유선 충전 방식인 경우, 각 충전모듈들이 전선 및 플러그로 연결되며 충전될 수 있다.
무선충전방식인 경우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충전모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많은 전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절감은 물론, 폐배터리를 재활용하여 환경보호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전자기파, 전자기 유도 또는 전자기 공진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로, 전선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전력 공급이 가능하여, 현대 사회를 바꾼 무선 통신기술에 이어 미래 사회를 바꿀 주역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전자기기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무선전원공급 및 무선충전, 원격지 무선전력공급, 우주태양광 발전, 유비쿼터스 무선센서 전원공급 등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기존의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 및 충전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술한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는, 전자유도 방식으로, 수십 Cm 범위 이내에 위치한 두 개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 Km 까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유도 방식은 거리에 따라 효율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1Cm 미만의 비접촉식 전원 공급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두번째는, 첫번째와 마찬가지로 코일을 이용한 자기유도 방식이긴 하지만 공진현상을 이용한 방식이다. 이는 기존 전자유도 방식에 비해 전송효율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전송거리를 수 m 까지 연장하는 획기적인 개선을 통해 무선전력의 미래를 견인하고 있다.
세번째는, 수십 m 이상 수만 Km 의 원거리 전송을 위한 마이크로파 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최근 10Mw 전력을 수백 Km 전송에 성공하여, 향후 우주태양광 발전의 실현 가능성을 예고해 주고 있다.
충전된 배터리는 이동모듈(400), 디스플레이(120), 인터페이스(130) 및 각종 센서들(140,150,160,190)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일렬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이 되고, 사용자가 문서를 찾고자 할 때는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거리센서(150)는 복수개의 가구유닛(110)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일 예로 인접하는 가구유닛(110a,110b)에 배치된 거리센서(150a,150b)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150a,150b)는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b)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b)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설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가구유닛들이 소정의 간격은 유지하며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160)는 복수개의 가구유닛(110)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일 예로 인접하는 가구유닛(110a,110b)에 배치된 충격감지센서(160a,160b)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160a,160b)는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 중 일부가 충돌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의 이동을 긴급 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구유닛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정렬감지센서(140)는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감지센서(140)는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 중 일부가 비정렬되면,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식별하고,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이동시켜 정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렬감지센서(140)의 일 예는 LiDAR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일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 중 특정 가구유닛(110c)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렬감지센서(140a~140e)가 이를 감지하고, 특정 가구유닛(110c)에 배치된 정렬감지센서(140c)는 이동모듈(400)을 작동시켜, 도 9b에서와 같이, 특정 가구유닛(110c)이 다른 가구유닛(110a,110b,110d,110e)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한다.
한편, 도 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가 보관된 특정 가구유닛(110c)이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에는 각각 형체인식센서(2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형체인식센서(200)는 안면인식센서, 모션인식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형체인식센서(200)가 안면인식센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한 쌍의 눈을 인식하고, 해당 가구유닛(110c)이 사용자의 한 쌍의 눈에 평행하도록 위치하게끔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모듈(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형체인식센서(200)가 모션인식센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측 어깨, 한 쌍의 손, 한 쌍의 발 등의 배치 각도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양측 어깨, 한 쌍의 손, 한 쌍의 발 등에 비교적 평행하게 해당 가구유닛(110c)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모듈(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한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은 문서 검색 및 선택 단계,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 가구유닛 이동 단계, 해당 칸 표시 단계, 해당 문서 수거 단계,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 및 가구유닛 충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서 검색 및 선택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기로 문서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가구유닛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이 이동하여 해당 가구유닛에 구획된 복수개의 칸들이 사용자에게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복수개의 칸들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칸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해당 문서 수거 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수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이동한 가구유닛이 원위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 충전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을 충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상술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문서 검색 및 선택 단계는 우선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찾고자 하는 문서의 제목을 검색하게 된다(S1). 여기서 단말기는 문서 검색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폰, 태블릿PC, 등일 수 있다.
이때 문서 검색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종 제목의 문서가 여러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 만약 동종 제목의 문서가 없다면(NO),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해당 문서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서 문서를 선택한다(S3). 문서를 선택하는 방법은 휴대폰, 태블릿PC 등인 경우 손가락 터치, 인식펜 터치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동종 제목의 문서들이 여러 개가 검색된다면(YES), 단말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종 제목의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8).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동종 제목의 문서들 중 특정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문서만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한다(S9). 상기 특정 검색 조건은 발간 날짜, 개정판 현황, 대출 현황, 예약 현황, 문서 관련 분야, 문서 관리 부서 등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검색 조건을 입력하고, 여러 개의 문서들 중 찾고자 하는 문서가 지정되면,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해당 문서를 선택한다(S3).
상기 해당 가구유닛 표시 단계는 특정 공간 또는 특정 섹터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동 가구유닛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 또는 해당 가구유닛의 디스플레이가 점등되는 단계일 수 있다(S4).
이는 도 3, 도 4a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를 참고하면, 특정 공간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경우,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섹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간(H)이 A부터 F까지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되어 있고, 이 중 B 섹터에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B 섹터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 화면에서 B 섹터까지 가는 경로가 표시된다.
다만, 특정 공간(H)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되어 있지 않고, 한 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도 4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 내지 110e)은 최초에는 특정 섹터(K) 내에서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된 상태로 위치한다. 도면부호는 K는 특정 공간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되지 않은 경우 특정 공간을 지칭하고, 특정 공간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특정 섹터를 지칭한다.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에는 각각 문자와 숫자와 같은 식별기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120)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13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특정 가구유닛(110c)에 위치하는 경우,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한 가구유닛(110c)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 중 해당 문서가 위치한 가구유닛(110c)의 디스플레이(120)가 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가구유닛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구유닛 이동 단계는 특정 공간 또는 특정 섹터에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 배치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이동하여 해당 가구유닛에 구획된 복수개의 칸들이 사용자에게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S5).
이는 도 4b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b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의 이동 방식에 대한 일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도 4b에 개시된 일 형태에서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은 처음에는 일렬로 밀착하여 정렬 배치되어 있다가,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특정 가구유닛(110c)의 칸들이 개방되는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조작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이동시켜 해당 문서가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조작하는 방식은,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해당 가구유닛(110c)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원하는 간격만큼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가구유닛(110c)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에 지정된 문자, 숫자 등의 식별기호를 음성인식으로 지정하여 원하는 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길이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눈금을 활용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의 이동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터치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가능하다.
다른 방식으로는, 사용자는 해당 가구유닛(110c)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110a~110e)에 부착된 인터페이스(130)를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110c)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에 부착된 인터페이스(130)를 조작하여 각 가구유닛들(110a~110e)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범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특정 섹터(K)에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의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110c)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가구유닛(110a~110e)을 이동시켜, 해당 가구유닛(110c)의 칸들이 개방된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역시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원하는 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자동제어를 통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이 이동하고, 해당 문서가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110c)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자동으로 벌려질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술한 사용자의 조작방식들을 통해 사용자가 3개의 가구유닛들(110c 내지 110e)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중 해당 문서가 위치한 특정 가구유닛(110c)의 칸들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특정 가구유닛(110c)의 양측으로 들어가서 문서를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의 이동 방식에 대한 다른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우선 도 5a를 참고하면, 우선 사용자(M)가 특정 섹터(K)의 영역내로 들어온다.
도 5b를 참고하면, 해당 문서가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110c)이 사용자(M)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고하면, 해당 가구유닛(110c)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당 문서가 보관된 칸들을 사용자(M)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사용자(M) 방향으로 돌출된 해당 가구유닛(110c)은, 사용자(M)가 해당 가구유닛(110c)의 복수개의 칸들을 정면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M)의 시선을 인식하고 사용자(M)의 시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여러 조작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에서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해당 가구유닛(110c)을 지정하고 자신의 방향으로 당겨서 돌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는 해당 가구유닛(110c)의 지정된 문자, 숫자 등의 식별기호를 음성인식으로 지정하고 자신의 방향으로 당겨서 돌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길이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눈금을 활용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의 이동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터치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가능하다.
다른 방식으로는, 특정 섹터(K)에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의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가구유닛(110c)을 지정하고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사용자가 특정 섹터(K)에 들어오면, 자동제어에 의해 해당 문서가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110c)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자동으로 돌출 이동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c에 개시된 움직임과 같은 복수개의 로봇가구(110a~110e)의 자동 제어를 위해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에는 각각 형체인식센서(2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형체인식센서(200)는 안면인식센서, 모션인식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형체인식센서(200)가 안면인식센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한 쌍의 눈을 인식하고, 해당 가구유닛(110c)이 사용자의 한 쌍의 눈에 비교적 평행하도록 위치하게끔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모듈(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형체인식센서(200)가 모션인식센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측 어깨, 한 쌍의 손, 한 쌍의 발 등의 배치 각도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양측 어깨, 한 쌍의 손, 한 쌍의 발 등에 비교적 평행하게 해당 가구유닛(110c)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모듈(400)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모듈(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해당 칸 표시 단계는, 복수개의 칸들 중 칩인식센서가 해당 문서에 부착된 인식칩을 인식하여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칸을 표시하는 단계일수 있다(S6).
도 6을 참고하면, 해당 도서과 보관된 해당 가구유닛(110)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가구유닛(110)에는 복수개의 칸들(G1~G12)이 횡렬 또는 종렬로 구획되어 있다. 휭열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들(G1~G12)에는 각각 칩인식센서(190)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칸들(G1~G12)에 배치되는 문서들에는 인식칩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칩인식센서는 RFID 센서이고, 상기 인식칩은 RF 칩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칸들(G1~G12)에 각각 부착된 RFID 센서가 각 칸들(G1~G12)에 보관된 문서의 정보를 RF 칩을 통해 인식한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코드 및 바코드리더기, 다른방식의 센서 및 칩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횡렬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G1~G12)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G5)의 칩인식센서(190)가 작동하고, 칩인식센서(190)와 연동된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또는 횡렬 또는 종렬로 구획된 복수개의 칸(G1~G12)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G5)의 칩인식센서가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칸(G5)의 칩인식센서(190)는 해당 문서에 부착된 인식칩을 식별하고, 해당 칸(G5)에서 해당 문서의 위치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해당 도서가 G5 칸에 위치하고 있음을 칩인식센서(190)가 인식하고 G5 칸에 배치된 램프가 점등되거나 또는 칩인식센서(190)가 사용자의 단말기로 신호를 보내 사용자가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에 해당 문서가 위치하는 해당 가구유닛 및 해당 칸이 3차원 가상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3차원 가상 공간에서 해당 문서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해당 문서 수거 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칸에서 해당 문서를 수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문서가 해당 가구유닛 또는 해당 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
만약 해당 문서가 해당 칸에 보관되어 있다면(YES),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수거하는 단계(S11)는 마무리된다.
그런데, 만약 해당 문서가 해당 칸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면(NO),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문서의 위치를 수정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칩인식센서(190)가 해당 문서의 수정된 위치를 인식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가구유닛이 변경되어 보관된 경우에는 수정된 가구유닛의 디스플레이(120)를 점등할 수 있다. 그리고 칸이 변경되어 보관된 경우에는 수정된 칸의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S10).
이후 도 2a를 참고하여 상술한 S5 단계 및 S6 단계를 반복하고, 수정된 위치에서 사용자는 해당 문서를 수거한다(S11).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하며 원위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S12).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원위치시키는 방식은 도 4a 및 도 4b에 개시된 움직이는 방식의 반대일 수 있다. 또는 도 5a 내지 도 5c에 개시된 움직이는 방식의 반대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반대로 조작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이동시켜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가구유닛의 인터페이스(130)를 반대로 조작하거나 또는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반대로 조작하여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을 이동시켜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시킬 수 있다.
또는, 자동화 시스템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수거한 후 도 4b 및 도 5c에 개시된 특정 섹터(K)를 이탈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이동한 가구유닛이 자동으로 반대로 이동하며, 나머지 가구유닛와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원위치 동작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에 장착된 거리센서(150)가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간의 간격을 측정한다(S13).
일 예로, 도 8을 참고하면, 복수개 중 인접한 가구유닛들(110a,110b)에 장착된 거리센서(150a,150b)가 인접한 가구유닛들(110a,110b)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거리측정을 모든 가구유닛들이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4),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한다면(YES) 이후에 충돌여부를 판단한다(S15).
만약,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지 않는다면(NO), 상기 거리센서(150)는 가구유닛에 배치된 이동모듈(400)과 연동하며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S19). 이는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조정 이후에 다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S13)를 반복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충돌하게 되면(YES), 충격감지센서(160)가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간의 충돌을 감지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110)에 배치된 이동모듈(400)과 연동하며 복수개의 가구유닛(110)의 이동을 긴급 정지할 수 있다(S18).
일 예로, 도 8을 참고하면, 충격감지센서(160a,160b)가 인접한 가구유닛들(110a,110b)간의 충돌을 감지하고, 인접한 가구유닛(110a,110b)에 배치된 이동모듈(400)과 연동하며 인접한 가구유닛(110a,110b)의 이동을 긴급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다른 가구유닛들(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160)를 배치한 목적은, 거리센서(150)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거리센서(150)가 작동하더라도 복수개의 가구유닛(110)간의 근접하는 속도가 높아 간격이 유지되지 못해 충돌이 발생한 경우, 복수개의 가구유닛(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다시 S19 단계와 S13 단계 및 S14 단계를 반복한다.
다시 충돌여부를 판단한 결과(S15),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정렬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이는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술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이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면(YES),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을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7).
만약, 도 9a와 같이 복수개의 가구유닛(110a~110e) 중 특정 가구유닛(110c)이 일렬로 비정렬된 경우(NO), 정렬감지센서(140a~140e)가 특정 가구유닛(110c)의 비정렬 상태를 감지한다(S16).
그리고, 특정 가구유닛(110c)에 부착된 상기 정렬감지센서(140c)는 특정 가구유닛(110c)에 배치된 이동모듈(400)과 연동하여 비정렬된 특정 가구유닛(110c)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20).
이는, 도 9b와 같이 다른 가구유닛들(110a,110b,110d,110e)과 특정 가구유닛(110c)이 정렬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일렬로 정렬이 완료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을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7).
도 7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충전모듈 및 배터리(180a~180e)가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 원위치 단계에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이 서로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하게 되고, 상기 가구유닛 충전단계에서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에 장착된 각각의 충전모듈 및 배터리(180a~180e)가 서로 연결되며 배터리들을 충전하게 된다.
즉, 복수개의 가구유닛들(110a~110e)은 일렬로 밀착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선 또는 무선충전을 진행하여 배터리를 충전해 놓고, 이후에 언제든지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충전된 배터리는 이동모듈(400), 디스플레이(120), 인터페이스(130) 및 각종 센서들(140,150,160,190)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일렬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이 되고, 사용자가 문서를 찾고자 할 때는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운용방법은 상술한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고자 하는 문서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문서가 배치되는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구유닛(110)과,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0) 및 상기 가구유닛(110)에 배치되고 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110) 및 상기 이동모듈(40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수평조절수단(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조절수단(300)은 상기 가구유닛(110)에 배치되고, 지면 형사에 대응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조절수단(300)은 승강부(301), 제1 간격센서(371) 및 제2 간격센서(3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301)는 상기 가구유닛(110)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110)을 승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1)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위치를 고정할 때는 상기 가구유닛(110)을 하강시켜,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단이 공간의 바닥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1)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가구유닛(110)을 상승시켜,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단이 공간의 바닥에서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모듈(400)이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단과 공간의 바닥간의 마찰 발생없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01)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동모듈(400)이 지속적으로 부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동완료 후에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단이 공간의 바닥에 닿도록 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동모듈(400) 중 바퀴(410)와 연결된 이동 모터(420)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부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모듈(4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연한을 늘릴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에는 유압실린더 방식의 승강부(301)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스크류 및 모터 방식의 승강부(301)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301)는 제1 판(310), 제2 판(320), 제1 이동바(331), 제2 이동바(336) 및 유압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310)은 상기 지지프레임(44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어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이동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판(320)은 상기 가구유닛(110)의 내측홈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고 제2 이동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바(33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판(310)에 힌지(331a)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이동홈(321)에 제1 이동핀(331b)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바(336)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판(320)에 힌지(336a)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이동홈(311)에 제2 이동핀(336b)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이동바(331,336)는 상호간에 센터힌지(333)으로 십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340)는 상기 제1,2 판(310,320)을 연결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340)의 튜브는 제1 판(31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유압실린더(340)의 로드 단부는 제2 판(320)의 하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 구조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340)는 제1 판(310)에 대해 제2 판(3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32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이 승강되게 된다.
도 12b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301)는 제1 판(310), 제2 판(320), 제1 이동바(331), 제2 이동바(336), 승강모터(351), 스크류(353) 및 이동블록(3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310), 제2 판(320), 제1 이동바(331) 및 제2 이동바(336)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모터(351)는 상기 제1 판(31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모터(351)의 회전축은 상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353)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355)은 상기 제2 판(320)의 하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블록(355)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353)와 볼스크류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355)은 상기 스크류(353)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제2 판(3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32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이 승강되게 된다.
도 12c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301)는 하나의 승강모터(351), 스크류(353) 및 이동블록(3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방식은 도 12b에 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승강부(301)는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을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방식은 도 12a에 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간격센서(371)는 상기 가구유닛(110)에서 벽면(W)에 인접한 측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간격센서(373)는 상기 가구유닛(110)에서 벽면(W)에 인접한 측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고하면,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는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는 레일부재(510), 링크부재(520), 휠부재(540) 및 완충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510)는 건물 내부의 벽면(W)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510)의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에는 레일플랜지부(5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플랜지부(512)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홀에 볼트(512a) 체결되어 벽면(W)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510)의 중앙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510)의 일단부에는 상기 레일홈(511)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52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레일스토퍼(515)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스토퍼(515)는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520)는 상기 레일부재(510)와 상기 가구유닛(11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520)는 링크판(529), 제1 빔(525), 제1 링크블록(521), 제2 링크블록(523), 링크핀(522) 및 제2 빔(5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판(529)은 원판 형상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체결홀(529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판(529)은 상기 레일부재(5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레일스토퍼(515)를 분리하고, 상기 링크판(529)을 상기 레일부재(510)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525)은 원통 형상의 빔 형상일 수 있으며, 양측 단부에는 나사산이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빔(525)의 일측은 상기 레일홈(511)을 관통하며 상기 링크판(529)의 체결홀(529a)에 나사산(P1) 방식으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빔(525)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블록(521)에 형성된 체결홀(512b)에 나사산(P2) 방식으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빔(525)의 외측 둘레 일부에는 상기 휠부재(5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블록(521)은 원판 형상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빔(525)의 타측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가공된 체결홀(52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블록(52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홀(5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크블록(521)과는 다수의 링크핀(52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의 외측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플랜지부(5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524)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홀(524a)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2 링크블록(521,523)의 핀홀(521a,524a)에 링크핀(522)을 삽입하고 링크피스(522a)로 링크핀(522)의 일측부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핀(522)과 상기 링크피스(522a)는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빔(527)은 상기 제2 링크블록(523)과 상기 가구유닛(11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527)에서 상기 가구유닛(110)을 바라보는 측에는 플랜지부(52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528)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볼트홀에 볼트(528a)를 체결하며 상기 제2 빔(527)과 상기 가구유닛(110)을 연결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빔(527)은 상기 제2 링크블록(523)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격조절수단(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550)은 상기 제2 빔(527)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523)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빔(527)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수단(550)은 삽입빔(555), 제1 조절부(551), 제2 조절부(552) 및 스톱피스(5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빔(555)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빔(527)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523)에 형성된 관통홀(523f)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부(551)는 상기 삽입빔(555)의 외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부(552)는 상기 관통홀(523f)의 내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절부(551)와 맞물리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톱피스(553)는 상기 제1 조절부(551)의 끝단부에 나사산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빔(555)이 상기 관통홀(523f)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 중에 상기 제1,2 조절부(551,552)간에 맞물린 나사산 부분이 마모되더라도 상기 스톱피스(553)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이 상기 레일부재(5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초기에 상기 가구유닛(110)과 벽면(W)과의 간격을 설정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1,2 조절부(551,552)간의 나사산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설치 후에 사용 중 간격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링크핀(522)과 상기 링크피스(522a)를 탈거하고 상기 제1 링크블록(521)에서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을 분리한 후에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을 돌리면 상기 제1,2 조절부(551,552)간의 나사산 체결 정도가 조절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휠부재(540)는 상기 링크부재(520)의 제1 빔(525)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5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휠부재(540)는 상기 가구유닛(110)이 이동할 때, 상기 링크부재(520)가 상기 레일홈(511)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휠부재(540)는 제1 휠블록(541), 구름볼(547), 제2 휠블록(543), 돌기부(543a) 및 스페이서(5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휠블록(541)은 상기 제1 빔(525)의 외측 둘레에서 상기 레일홈(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45)는 상기 제1 빔(525)에서 상기 제1 휠블록(54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빔(525)에서 상기 제1 휠블록(541)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45)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빔(525)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제2 휠블록(543)은 상기 제1 휠블록(5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잇으며, 상기 제1 휠블록(541)과는 구름볼(54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름볼(547)은 상기 제1,2 휠블록(541,543) 사이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름볼(547)은 상기 제1 빔(525)이 상기 레일홈(511)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일홈(511)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2 휠블록(543)이 상기 레일홈(511)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43a)는 상기 제2 휠블록(54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43a)는 상기 제2 휠블록(543)에서 상기 레일홈(511)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레일홈(511)의 내외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휠블록(543)이 상기 레일홈(5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레일홈(5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제1 링크블록(521)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가구유닛(110)으로부터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상기 가구유닛(110)이 기울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520)와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간의 결합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구유닛(110)이 이동할 때 상기 가구유닛(11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이 완충없이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 빔(525)의 휠부재(540)와 상기 레일홈(511)간의 결합 구조가 손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구유닛(110)은 상기 레일홈(5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으며, 이동 중에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의 간격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유닛(110)이 배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구유닛(110)은 벽면(W)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구유닛(110)이 벽면(W)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 있다면, 상기 제1 빔(525)의 휠부재(540)가 상기 레일홈(511)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응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제1 빔(525)의 휠부재(540) 또는 상기 레일홈(511)간의 결합 부위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레일홈(511)을 따라 상기 휠부재(540)가 원활히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530)를 상기 제1,2 링크블록(521,523) 사이에 배치하여 상술한 진동 또는 응력을 흡수함으로서, 상기 링크부재(520)와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가 안정적으로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530)는 탄성체(531) 및 탄성블록(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31)는 상기 제1 링크블록(521)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 사이에서 상기 링크핀(522)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531)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가진 다른 재질이나 구조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핀(522)은 상기 제1,2 링크블록(521,5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531)는 상기 제1,2 링크블록(521,5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구유닛(110)의 이동, 진열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상기 제1 링크블록(521)에서 상기 제2 링크블록(523)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533)은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의 내부홈(523d)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블록(533)은 고무재질의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가진 다른 재질이나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533)의 일측부는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의 내부홈(523d)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블록(533)의 타측면은 상기 제1 링크블록(521)에 접촉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533)의 중앙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간격조절수단(550)의 삽입빔(555)이 간격조절에 따라 이동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블록(533)은 상기 제1 링크블록(521)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531)는 상기 제1 링크블록(521)과 상기 제2 링크블록(5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1,2 링크블록(521,523)간의 진동 또는 기울기 오차를 상기 탄성블록(533)은 중앙측에서 상기 탄성체(531)는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서 복합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상기 제1,2 링크블록(521,523)간의 진동 또는 기울기 오차를 흡수 또는 보정하게 된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은, 가구유닛(110)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후에, 목표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가구유닛(110)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천장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가구유닛(110)에 배치된 내용물에 의해 가구유닛(110)의 무게중심이 달라지더라도 가구유닛(110)이 넘어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천장고정부(700)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부(112) 일부가 천장(R)에 고정되도록 하여, 가구유닛(110)의 무게중심에 심하게 흔들리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 13a를 참고하면, 상기 천장고정부(700)의 일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a에서 상기 천장고정부(700)는 유압실린더(710), 커버피스(111) 및 밀착패드(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710)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부(112)에 형성된 상부홈(13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710)의 튜브(711)는 상기 상부홈(135)의 내부 하단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710)의 로드단부(713)는 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피스(111)는 상기 유압실린더(710)의 로드단부(713)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피스(111)는 상기 상부홈(135)의 입구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가구유닛(11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밀착패드(730)는 상기 커버피스(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밀착패드(73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천장(R)에 단단히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패드(730)의 재질적인 특성에 의해 상기 커버피스(111)가 천장(R)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천장(R)의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밀착패드(730)가 천장(R)의 표면에 대응하여 신축되면서 밀착되므로, 역시 상기 커버피스(111)를 천장(R)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피스(111)가 천장(R)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부(112)가 고정되는 효과를 도출하게 된다.
도 13b를 참고하면, 상기 천장고정부(700)의 다른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b에서 상기 천장고정부(700)는, 고정모터(721), 회전바(723), 지지베어링(725), 이동피스(728), 고정바(727), 커버피스(111) 및 밀착패드(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모터(721)는 상기 가구유닛(110)에 형성된 상부홈(13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바(723)는 상기 고정모터(721)의 회전축에 커플링으로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베어링(725)은 상기 상부홈(135)에 베어링브라켓(726)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회전바(723)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피스(728)는 상기 회전바(723)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전바(723)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727)는 상기 이동피스(728)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피스(728)의 승강에 따라 상기 천장(R)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피스(111)는 상기 고정바(727)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패드(730)는 상기 커버피스(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모터(721)를 작동시키면 회전바(723)가 회전하고, 회전바(723)의 회전에 따라 이동피스(728) 및 고정바(727)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피스(111)가 천장(R)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밀착패드(730)가 천장(R)에 밀착되며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부(112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밀착패드(730)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은 가구유닛(110)을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후에는, 목표위치에서 상기 천장고정부(700)를 작동시켜 가구유닛(110)의 상부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가구유닛(110)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인명사고를 포함하는 각종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상기 수평조절수단(300)이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맞추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우선 도 10a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301a,301b)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구유닛(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0a에서 적용된 승강부(301a,301b)의 구조는 도 12a 및 도 12b에 개시된 구조일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상기 승강부(301a,301b)가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서 벽면(W)에 인접한 측과 벽면(W)에서 멀어진 측에 배치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와 연계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할 때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서 벽면(W)에서 멀어진 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센서(371)는 상기 가구유닛(110)에서 벽면(W)에 인접한 측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간격센서(373)는 상기 가구유닛(110)에서 벽면(W)에 인접한 측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간격센서(371)가 측정한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의 측부 상측과의 간격값(L1)과 상기 제2 간격센서(373)가 측정한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의 측부 하측과의 간격값(L2)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벽면(W)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가구유닛(110)이 수평상태에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는 건물을 건축할 당시 또는 바닥면 파손으로 인해 표면이 수평하지 않거나 또는 울퉁불퉁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바닥면에 데크 시공을 하였으나, 시공된 데크의 재질 특성으로 인해 온도 변화로 수축, 팽창되어 표면이 수평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만약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구유닛(110)을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가구유닛(110)이 원하지 않는 움직임을 보이거나 또는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2 간격센서(371,373)가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의 측면과의 간격을 측정하여 상부와 하부에서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를 측정한다. 만약 간격이 서로 달라 일정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301)를 구동하여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예컨대, 도 10a에서는 벽면(W)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면이 수평인 상태가 G0 기준선이 된다. 그런데, 현재 바닥면은 G1 기준선만큼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2 간격센서(371,373)에서 벽면(W)과 상기 가구유닛(110)의 측부간의 간격을 측정하면, 간격값(L1)과 간격값(L2)은 서로 다르게 측정되고, L1 값이 L2 값보다 크게 측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301a,301b)를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한다.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승강부(301a,301b)가 배치되어 있으나, 수평 조절을 위해서 적어도 상기 가구유닛(110)에서 벽면(W)에서 멀어진 측에 배치되는 승강부(301a)만이 장착되면 충분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부(301a,301b)는 상기 가구유닛(110)의 하부에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에 개시된 수평 조절 방식에서는 승강부(301a)만을 작동시켜, 간격차(L2-L1)만큼 상기 가구유닛(110)을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의 상부가 벽면(W) 방향으로 이동하며, 간격차를 줄인다. 이러한 상기 가구유닛(110)의 승강은 간격차(L2-L1)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한다.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 조절을 완료한 후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구유닛(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500)가 상기 가구유닛(11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완료 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천장고정부(700)를 작동시켜 상기 가구유닛(1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가구유닛(11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b에도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0b에 적용되는 승강부(301a,301b)의 구조는 도 12c에 개시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구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하는 방식은 도 10a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인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벙은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문서가 보관된 가구유닛의 위치 및 해당 가구유닛의 칸 위치를 칩인식센서 및 인식칩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후에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을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해당 문서를 수거할 수 있다.
또한, 가구유닛들이 비사용되는 중에는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 정렬된 상태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밀착 정렬된 상태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가구유닛들에 장착된 각종 센서 및 이동모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 충격감지센서, 정렬감지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을 장착함으로써, 가구유닛의 배열 전환 및 자동 정렬에서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충돌로 인한 파손/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유닛들간의 정밀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벽면에 레일 구조를 배치하여 바닥면 형상이나 데크 변형에 영향 없이 가구유닛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만약 가구유닛들이 배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구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구유닛들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가구유닛들의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110:가구유닛 120:디스플레이
130:인터페이스 140:정렬감지센서
150:거리센서 160:충격감지센서
170:이동모듈 180:충전모듈 및 배터리
190:칩인식센서 200:형체인식센서
300:수평조절수단
301:승강부 310:제1 판
311:제1 이동홈 320:제2 판
321:제2 이동홈 331:제1 이동바
336:제2 이동바 340:유압실린더
351:승강모터 353:스크류
355:이동블록 371:제1 간격센서
373:제2 간격센서
400:이동모듈
410:바퀴 420:이동모터
430:모터브라켓 440:지지프레임
500:레일가이드조립체 510;레일부재
511:레일홈 512:레일플랜지부
520:링크부재 521:제1 링크블록
522:링크핀 523:제2 링크블록
523d:제2 링크블록의 내부홈 523f:관통홀
524:제2 링크블록의 플랜지부 525:제1 빔
527:제2 빔 528:제2 빔의 플랜지부
529:링크판 530:완충부재
531:탄성체 533:탄성블록
540:휠부재 541:제1 휠블록
543:제2 휠블록 543a:돌기부
545a,545b:스페이서 547:구름볼
550:간격조절수단 551:제1 조절부
552:제2 조절부 553:스톱피스
555:삽입빔
700:천장고정부 710:유압실린더
711:유압실린더의 튜브 713:유압실린더의 로드
721:고정모터 723:회전바
725:지지베어링 726:베어링브라켓
727:고정바 728:이동피스
730:밀착패드

Claims (10)

  1. 횡렬 또는 종렬로 복수개의 칸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구유닛;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상기 가구유닛에 배치되고, 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가구유닛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 및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모듈은 모터 및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바닥면에 닿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정렬감지센서는 상기 이동모듈과 연동되고,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복수개의 가구유닛들 중 일부가 비정렬되면,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식별하고, 비정렬된 가구유닛을 이동시켜 정렬되도록 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승강하는 승강부 및 복수개의 간격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간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값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여 양 간격값을 일치시키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구유닛의 하부 그리고 상기 이동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가구유닛에서 벽면에 인접한 측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 간격센서; 및
    상기 가구유닛에서 벽면에 인접한 측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2 간격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값(L1)과 상기 제2 간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격값(L2)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여, 양 간격값(L1,L2)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충전모듈 및 배터리; 및
    상기 복수개의 칸에 각각 부착되고, 각 물건 별로 부착된 인식칩을 인식하여 물건을 식별하는 칩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가구유닛들이 일렬로 밀착하며 정렬할 때, 상기 복수개의 충전모듈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유닛이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가구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을 천장에 고정하는 천장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고정부는,
    상기 가구유닛에 형성된 상부홈에 배치되는 고정모터;
    상기 고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바;
    상기 상부홈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어링;
    상기 회전바에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를 따라 승강하는 이동피스;
    상기 이동피스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피스의 승강에 따라 천장 방향으로 승강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피스; 및
    상기 커버피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밀착패드;
    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벽면과 상기 가구유닛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가구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가이드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조립체는,
    벽면에 배치되고,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와 상기 가구유닛을 연결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에 연결되는 휠부재;
    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링크판;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며 상기 링크판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 일부에는 상기 휠부재가 장착되는 제1 빔;
    상기 제1 빔에 연결되는 제1 링크블록;
    상기 제1 링크블록과 링크핀으로 연결되는 제2 링크블록; 및
    상기 제2 링크블록과 상기 가구유닛을 연결하는 제2 빔;
    을 포함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는,
    상기 제1 빔의 외측 둘레 일부에 장착되는 제1 휠블록;
    상기 제1 휠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휠블록과 구름볼에 의해 연결되는 제2 휠블록;
    상기 제2 휠블록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내외측에 접촉되며 상기 제2 휠블록이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돌기부; 및
    상기 제1 빔에서 상기 제1 휠블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빔에서 상기 제1 휠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빔과 상기 제2 링크블록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2 빔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블록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빔;
    상기 삽입빔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산 형태의 제1 조절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맞물리는 나사산 형태의 제2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빔이 상기 관통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피스;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 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 사이에서 상기 링크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제2 링크블록의 내부홈과 상기 제1 링크블록 간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링크블록과 상기 제2 링크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KR1020210082228A 2020-12-29 2021-06-24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36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8872 WO2022270902A1 (ko) 2020-12-29 2022-06-22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12 2020-12-29
KR20200185512 2020-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49B1 true KR102360849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28A KR102360849B1 (ko) 2020-12-29 2021-06-24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0849B1 (ko)
WO (1) WO20222709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02A1 (ko) * 2020-12-29 2022-12-29 박진태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66A (ko) * 1992-06-08 1994-01-03 김성호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1457990B1 (ko) * 2013-08-22 2014-11-12 (주)유나 모빌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01B1 (ko) * 2011-07-20 2013-06-28 아이언에이지(주) 모빌랙
KR101333727B1 (ko) * 2012-01-27 2013-11-28 (주)대원모빌랙 데이터 공유를 통해 통합 제어되는 전동 모빌랙 및 그 제어 방법
US10618731B2 (en) * 2014-03-05 2020-04-14 Swisslog Logistics, Inc. Automated lifting storage cart
KR102360849B1 (ko) * 2020-12-29 2022-02-09 박진태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66A (ko) * 1992-06-08 1994-01-03 김성호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1457990B1 (ko) * 2013-08-22 2014-11-12 (주)유나 모빌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02A1 (ko) * 2020-12-29 2022-12-29 박진태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902A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849B1 (ko)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공간 활용 가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0971737B1 (ko)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0399774B2 (en) Automated lifting storage cart
US980912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for electric car
KR101663976B1 (ko) 3차원 면진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CN101515725B (zh) 非接触式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CN1741028A (zh) 物品位置检测设备及方法
US20120200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WO2018052900A1 (en) Monitoring system for two-post lift
KR20180011701A (ko)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
CN103136877A (zh) 图书馆移动点检车及其图书查找、盘点、整架方法
CN102081730A (zh) 智能寻书系统
CN105786006A (zh) 一种仓储智能自动盘点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13306447A (zh) 换电系统
CN113544080B (zh) 具有对准功能的升降垫及其使用方法
CN218839336U (zh) 一种车载自动化式隧道检测装置
CN210027664U (zh) 移动式盘点车
CA2594076C (en) Method, system and support mechanism for object identification
CN220455843U (zh) 移动式信号标识装置
WO2020209817A1 (en) A system for automatic cargo tracking for stored inventory
KR102462562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216545813U (zh) 电池转运设备的定位装置和电池转运系统
CN220982643U (zh) 用于紧固装置的监测装置及紧固装置
CN218938970U (zh) 一种工业检测用rfid快速扫描器
CN220709726U (zh) 一种公共服务信息公开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