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64Y1 - 조립식 수납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64Y1
KR200472564Y1 KR2020120008128U KR20120008128U KR200472564Y1 KR 200472564 Y1 KR200472564 Y1 KR 200472564Y1 KR 2020120008128 U KR2020120008128 U KR 2020120008128U KR 20120008128 U KR20120008128 U KR 20120008128U KR 200472564 Y1 KR200472564 Y1 KR 200472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lding type
side plate
groove
typ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20U (ko
Inventor
윤희준
윤태화
Original Assignee
윤태화
윤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화, 윤희준 filed Critical 윤태화
Priority to KR2020120008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6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납함이 끼워져 고정되는 양 측판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판패널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게 한 조립식 수납장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식 수납장은 서로 조립되는 상판부, 바닥부 및 한쌍의 측판부를 통해 내측에 수납함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장몸체와, 상기 수납함수용공간에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수납함으로 구성된 조립식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부는 다수개의 측판패널이 적층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측판패널은 상측에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결합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에 하부결합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의 내면에는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상기 수납함의 양측 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측판부의 후단부에는 측판부 사이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지지봉 설치되어 한쌍의 측판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장{ASSEMBLY CABINET}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납함이 끼워져 고정되는 양 측판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판패널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게 한 조립식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가정에서는 철지난 의류 및 주방용품, 장난감과 같이 부피가 크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물품을 정리, 정돈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서랍식 수납장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수납장은, 서랍을 본체에 삽입했을 때 서랍이 본체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서랍이 본체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장의 일례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1251호의 "서랍형 수납함"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서랍형 수납함은 다수의 층을 이루면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한 함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갖으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상판, 바닥판, 연결판과,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일정길이의 합성수지 지주와, 저면에 한 쌍의 돌출턱이 형성되어진 다수의 합성수지 함체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상판 저면 모서리부 각각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 상면 모서리부 각각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한 쌍의 가이드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홈 전방에 회전롤러가 설치되어진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판 상면과 저면 모서리부 각각에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중앙부에 한 쌍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가이드홈 전방에 회전롤러가 설치되어진 요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너무 많은 부품들을 결합하여 본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조립이 어렵고 조립에 필요한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문제이 있었다. 즉,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판, 바닥판, 연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합성수지 지주 및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조립이 어렵고 조립에 필요한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본체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나사가 있어야 하고 상기 나사를 조여주기 위한 드라이버 등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조립이 완료된 본체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높이의 서랍을 적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납함이 끼워져 고정되는 양 측판부가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판패널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게 구성된 조립식 서랍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서로 조립되는 상판부, 바닥부 및 한쌍의 측판부를 통해 내측에 수납함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장몸체와, 상기 수납함수용공간에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수납함으로 구성된 조립식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부는 다수개의 측판패널이 적층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측판패널은 상측에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결합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에 하부결합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의 내면에는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상기 수납함의 양측 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측판부의 후단부에는 측판부 사이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지지봉 설치되어 한쌍의 측판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는 전방상부결합부 및 후방상부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상부결합부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상부결합부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의 하부결합부는 전방하부결합부 및 후방하부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하부결합부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하부결합부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홈로 구성되어,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상부결합돌기 및 전방상부결합홈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하부결합홈 및 전방하부결합돌기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상부결합돌기 및 후방상부결합홈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하부결합홈 및 후방하부결합돌기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서 다수의 측판패널이 적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 및 최상단 측판패널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최상단 측판패널의 상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상부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 및 최하단 측판패널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최하단 측판패널의 하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하부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양단부에는 각각 수나사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판패널의 후측에는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수용되는 측판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측판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지지봉의 수나사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끼움공을 통과한 지지봉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측판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납함이 끼워져 고정되는 양 측판부가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판패널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되는 측판패널의 갯수를 조절하여 측판부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부, 바닥부, 측판부를 서로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킨 다음, 캡너트를 통해 별도의 도구 없이 서로 체결 결합시킬 있기 때문에, 그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은 서로 조립되는 상판부(100), 바닥부(200) 및 한쌍의 측판부(300)를 통해 내측에 수납함수용공간(S)이 형성된 수납장몸체(10)와, 상기 수납함수용공간(S)에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수납함(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핵심적 특징은 상기 한쌍의 측판부(300)가 다수개의 측판패널(310)이 적층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되는데 있다. 즉, 상기 측판부(300)가 다수개의 측판패널(310)로 구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판패널(310)이 적층되는 갯수를 조절하여 측판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판패널(310)은 상측에 상부결합부(311)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결합부(312)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311)에 하부결합부(312)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310)의 내면에는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상기 수납함(20)의 양측 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레일홈(313)이 형성된다. 즉,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311)에 상부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하부결합부(312)가 끼움 결합되어 적층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적층에 의해 상기 측판부(310)가 조립되면 측판부의 내측으로 수납함(20)의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레일홈(113)이 소정간격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311)는 전방상부결합부(311a) 및 후방상부결합부(311d)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상부결합부(311a)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311b) 및 상기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311b)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홈(311c)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상부결합부(311d)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311e) 및 상기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311e)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홈(311f)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패널의 하부결합부(312)는 전방하부결합부(312a) 및 후방하부결합부(312d)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하부결합부(312a)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312b) 및 상기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312b)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홈(312c)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하부결합부(312d)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312e) 및 상기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312e)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홈(312f)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상부결합돌기(311b) 및 전방상부결합홈(311c)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하부결합홈(312c) 및 전방하부결합돌기(312b)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B1) 및 너트(N1)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상부결합돌기(311e) 및 후방상부결합홈(311f)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하부결합홈(312f) 및 후방하부결합돌기(312e)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B1) 및 너트(N1)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서 다수의 측판패널(310)이 적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B1)는 캡볼트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상부결합돌기(311b), 후방상부결합돌기(311e), 전방하부결합돌기(312b) 및 후방하부결합돌기(312e)의 외면에 형성된 캡볼트수용홈(311g,312g) 및 캡볼트수용공(311h,312h)에 끼워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상부결합돌기(311b), 후방상부결합돌기(311e), 전방하부결합돌기(312b) 및 후방하부결합돌기(312e)의 내면에는 상기 캡볼트수용공(311h,312h)을 통과한 캡볼트(B1)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N1)가 수용되는 캡너트수용홈(311i,312i)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부(100) 및 최상단 측판패널(310-1)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상단 측판패널(310-1)의 상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314)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314)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314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00)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314)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110)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110)에는 상기 수나사부(314a)가 통과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110)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111)을 관통한 수나사부(313a)에 체결되는 캡너트(N2)가 수용되는 상부캡너트수용홈(120)이 형성된다. 즉, 최상단 측판패널(110-1)의 사각끼움돌기(314)가 사각끼움홈(110)에 끼움되면 수나사부(314a)는 관통공(111)을 통과하고, 이 수나사부(314a)에 상부캡너트수용홈(120)에 끼워지는 캡너트(N2)가 체결되면, 상판부(100)에 최상단 측판패널(110-1)이 견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 및 최하단 측판패널(310-2)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하단 측판패널(310-2)의 하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315)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325)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315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200)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315)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210)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210)에는 상기 수나사부(315a)가 통과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210)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211)을 관통한 수나사부(315a)에 체결되는 캡너트(N3)가 수용되는 하부캡너트수용홈(220)이 형성된다. 즉, 최하단 측판패널(310-3)의 사각끼움돌기(315)가 사각끼움홈(210)에 끼움되면 수나사부(315a)는 관통공(211)을 통과하고, 이 수나사부(315a)에 하부캡너트수용홈(220)에 끼워지는 캡너트(N3)가 체결되면, 바닥부(200)에 최하단 측판패널(310-2)이 견고하게 조립된다.
나아가, 상기 한쌍의 측판부(300)의 후단부에는 측판부 사이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지지봉(400) 설치되어 한쌍의 측판부(300)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봉(400)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양단부에는 각각 수나사부(41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판패널(310,310-1,310-2)의 후측에는 상기 지지봉(410)의 단부가 수용되는 측판사각끼움홈(316)이 형성되고 이 측판사각끼움홈(316)에는 상기 지지봉의 수나사부(410)가 끼워지는 끼움공(316a)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사각끼움홈(316)의 반대면에는 상기 끼움공(316a)을 통과한 지지봉의 수나사부(410)에 체결되는 캡너트(N4)가 수용되는 측판캡너트수용홈(317)이 형성된다. 즉, 지지봉(400)이 양단이 측판사각끼움홈(316)에 끼움되면 수나사부(410)가 끼움공(316a)을 통과하고, 수나사부(410)에 측판캡너트수용홈(316)에 끼워지는 캡너트(N4)를 체결시키면, 지지봉(400)을 통해 한쌍의 측판부(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은 바닥판(200)에 최하단 측판패널(310-2)을 조립한 다음, 최하단 측판패널(310-2)의 상측으로 측판패널(310)을 순차적으로 끼움시켜 적층 결합시킨 다음, 최상단 측판패널(310-1)에 상판부(100)를 조립하면 내측에 수납함수용공간(S)이 형성된 수납장몸체(10)가 완성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패널(310)이 적층되는 갯수를 조절하여 수납방몸체(1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몸체(10) 상기 전방으로 다수의 수납함(20)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하면 조립식 수납장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납함이 끼워져 고정되는 양 측판부가 다수개의 측판패널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되는 측판패널의 갯수를 조절하여 측판부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부, 바닥부, 측판부를 서로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킨 다음, 캡너트를 통해 별도의 도구 없이 서로 체결 결합시킬 있기 때문에, 그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측판부를 형성하는 측판패널이 서로 결합부분이 라운드형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수납장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상판부 200: 바닥부
300: 측판부 310, 310-1, 310-2: 측판패널
400: 지지봉

Claims (4)

  1. 서로 조립되는 상판부, 바닥부 및 한쌍의 측판부를 통해 내측에 수납함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장몸체와, 상기 수납함수용공간에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수납함으로 구성된 조립식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부는 다수개의 측판패널이 적층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측판패널은 상측에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결합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에 하부결합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의 내면에는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상기 수납함의 양측 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측판부의 후단부에는 측판부 사이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지지봉 설치되어 한쌍의 측판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측판패널의 상부결합부는 전방상부결합부 및 후방상부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상부결합부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전방상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상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상부결합부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후방상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상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측판패널의 하부결합부는 전방하부결합부 및 후방하부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하부결합부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전방하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전방하부결합홈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하부결합부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 및 상기 원형의 후방하부결합돌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후방하부결합홈로 구성되어,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상부결합돌기 및 전방상부결합홈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전방하부결합홈 및 전방하부결합돌기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상부결합돌기 및 후방상부결합홈은 상측에 위치한 측판패널의 후방하부결합홈 및 후방하부결합돌기에 끼움된 후 서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서 다수의 측판패널이 적층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및 최상단 측판패널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최상단 측판패널의 상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상부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 및 최하단 측판패널은 서로 볼트 및 너트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최하단 측판패널의 하면 전측 및 후측에는 사각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돌기의 중앙 부분에는 수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사각끼움돌기가 수용되는 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하부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양단부에는 각각 수나사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판패널의 후측에는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수용되는 측판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측판사각끼움홈에는 상기 지지봉의 수나사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사각끼움홈의 반대면에는 상기 끼움공을 통과한 지지봉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캡너트가 수용되는 측판캡너트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KR2020120008128U 2012-09-12 2012-09-12 조립식 수납장 KR200472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28U KR200472564Y1 (ko) 2012-09-12 2012-09-12 조립식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28U KR200472564Y1 (ko) 2012-09-12 2012-09-12 조립식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20U KR20140001720U (ko) 2014-03-26
KR200472564Y1 true KR200472564Y1 (ko) 2014-05-12

Family

ID=5148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128U KR200472564Y1 (ko) 2012-09-12 2012-09-12 조립식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055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에보니아 조립식 가구
WO2023092162A1 (de) * 2021-11-29 2023-06-01 Julius Blum Gmbh Möbel umfassend mindestens zwei, lösbar miteinander verbindbare, möbel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055A (ko) * 2008-01-25 2009-07-29 김정숙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JP2011019686A (ja) * 2009-07-15 2011-02-03 Cogit:Kk パイプ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055A (ko) * 2008-01-25 2009-07-29 김정숙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JP2011019686A (ja) * 2009-07-15 2011-02-03 Cogit:Kk パイプ棚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055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에보니아 조립식 가구
KR102259853B1 (ko) 2019-09-09 2021-06-03 주식회사 에보니아 조립식 가구
WO2023092162A1 (de) * 2021-11-29 2023-06-01 Julius Blum Gmbh Möbel umfassend mindestens zwei, lösbar miteinander verbindbare, möbel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20U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63B2 (en) Modular tool-less furniture
US9629462B2 (en) Modular drawer structure
JP6392974B2 (ja) 引き出しの配置が自在な物入れ
US8567615B1 (en) Modular stackable shoe organizer kit
CN201683365U (zh) 一种多功能储物装置
KR200472564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343850B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377755B1 (ko) 선반 모듈의 조립체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200455854Y1 (ko)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CN203280049U (zh) 方便安装和拆卸的储物柜
CN210961063U (zh) 一种多用途可无限扩展方格自定义家具
WO2015047130A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мебель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варианты)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006951B1 (ko) 현장조립식 테이블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0474593Y1 (ko) 경량 시스템 서랍장
WO2016015064A1 (en) Assembly shelves
CN207100926U (zh) 一种全榫卯结构式多柜体实木衣柜
CN205658619U (zh) 层叠式组合抽屉柜
CN203280050U (zh) 便装型储物柜
KR101359707B1 (ko) 조립식 장
KR101418544B1 (ko) 조립식 수납장
US20050127627A1 (en) Multi deck cart easy to assemble by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