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07B1 - 조립식 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07B1
KR101359707B1 KR1020110042542A KR20110042542A KR101359707B1 KR 101359707 B1 KR101359707 B1 KR 101359707B1 KR 1020110042542 A KR1020110042542 A KR 1020110042542A KR 20110042542 A KR20110042542 A KR 20110042542A KR 101359707 B1 KR101359707 B1 KR 10135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es
prefabricated
diaphrag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726A (ko
Inventor
양봉석
Original Assignee
양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봉석 filed Critical 양봉석
Priority to KR102011004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박스를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의 내부에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가 겹쳐져 수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조립식 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장{Prefabricatd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박스를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의 내부에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가 순차적으로 겹쳐져 수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조립식 장에 관한 것이다.
생필품 중 하나로 가구가 있다.
가구 중에는 신발, 의류, 도서 등의 잡화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단인 선반이나 장(欌)이 있다. 최근에는 자신의 주거 환경이나 심경 변화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가구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간단하게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선반이나 옷장(이하, "조립식 장"이라 통칭한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장은 다수의 판재를 브라켓이나 프레임을 이용하여 종, 횡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장은 다수의 조립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 순서나 방법을 이해 못할 경우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개발된 조립식 장의 하나로 공개실용신안 제1995-0005495호가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갖는 다수의 박스를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장은 다수의 박스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서 박스를 보관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소요됨으로 물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된 상태에서 작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박스를 조립하여 장을 형성하되 각 박스는 서로 다른 수용공간을 갖되,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의 내부에 작은 공간을 갖는 박스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보관될 수 있게 함으로 분해되었을 작은 공간을 차지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장은 다수의 박스를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의 내부에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삽입되어 겹쳐지게 하여 보관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는 두 개의 박스가 하나의 박스 쌍을 이루되 두 박스의 폭, 높이 및 깊이가 동일하고, 이러한 박스 쌍들을 적층하여 하나의 장을 구성하되, 박스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박스가 같은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다른 수용공간을 갖는 다수의 박스가 적층되어 하나의 장을 이루고, 층과 층 사이에는 박스 쌍을 이루는 두 박스 사이에 걸쳐 격판을 설치하여 또 다른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장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를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장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이나 선박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박스를 다양한 수용공간을 갖도록 제작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어 분해되었을 때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서로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또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조립식장의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또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서로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일예를 서로 겹쳐놓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다른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 일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종래의 조립식 장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장은 서로 다른 수용공간을 갖는 다수의 박스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시에는 서로 겹쳐지게 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써, 다수의 박스(11 ~ 1n)를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의 내부에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1)가 끼워져 삽입되어 겹쳐지게 함으로써 보관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11 ~ 1n)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이 점차 좁아지거나 커져 서로 겹쳐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박스들(11 ~ 1n)은 도 9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1)을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져 보관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큰 박스(1n)의 내부에 작은 박스(1n-1)를 끼워 넣을 때 박스(1n)와 박스(1n-1)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이므로 박스(1n-1)를 박스(1n)에 끼워 넣을 때 많은 저항을 받게 되므로 두 박스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각 박스(11~n 11~n')들의 배면에는 통기공(1a)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박스(11 ~ 1n)로는 도 1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박스가 한 쌍의 박스 쌍(1n, 1n')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1)와 박스(11'), 박스(12)와 박스(12'), …, 박스(1n-1)와 박스(1n-1') 및 박스(1n)와 박스(1n')가 하나의 박스 쌍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박스가 아니라 박스 쌍(11~n, 11~n')으로 조립식 장을 구성하는 이유는 조립되었을 때 보다 안정적인 장을 이룰 수 있고, 박스 쌍(11~n, 11~n')) 사이에 또 다른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 도 6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쌍(11~n, 11~n')을 조립하되 박스 쌍(11~n, 11~n')들 사이에 격판(2)을 설치하면 두 박스(11~n)와 박스(11~n') 사이에 또 하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보다 많은 양의 물건을 수납할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장은 2쌍의 박스 쌍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1, 2, 도 5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박스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스(11~n, 11~n')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장을 이룰 수 있으나, 박스(11~n, 11~n')들 사이가 서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층의 박스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박스와 박스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결수단으로는 고정핀(3)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은 박스(11~n, 11~n')들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끼워져 두 박스들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4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의 박스와 하층의 박스 사이에 격판(2)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판(3)을 격판(2)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고정핀(2)의 단부가 박스들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일부에 끼워지게 함에 의해 박스와 박스들이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박스(1n)와 박스(1n-1) 사이에 격판(2)을 설치할 경우 위쪽의 박스(1n-1)와 아래쪽 박스(1n)의 서로 대향되는 두 벽과 격판(2)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므로 외형이 투박해질 뿐만 아니라, 장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격판(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의 큰 박스(1n)와 위쪽의 작은 박스(1n-1)의 폭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턱 부분에 양단을 걸치게 하고 고정나사나 고정핀을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장을 구성하는 박스(11~n, 11~n')들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 1n')의 깊이와 상대적으로 좁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1, 1n-1')의 바깥쪽 길이와 같게 할 수 있고 이렇게 구성할 경우에는 박스(1n, 1n')의 안쪽에 끼워지는 박스(1n-1, 1n-1')의 개방된 단부가 박스(1n, 1n')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일부 노출될 수 있으나(도 9참조), 적층 및 조립하여 장을 만들었을 때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이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적층된 박스(11~n, 11~n')들의 뒷면이 일직선을 이룰 경우에는 뒷면에 보강판(5)을 설치하여 보다 견고한 장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11~n, 11~n')들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1, 1n-1')의 바깥쪽 길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1n, 1n')의 깊이와 보다 작게 하여 박스(1n, 1n')의 안쪽에 끼워지는 박스(1n-1, 1n-1')의 개방된 단부가 박스(1n, 1n')의 개방된 단부와 일직선을 이루게 할 수 있고, 이렇게 박스(11~n, 11~n')를 구성할 경우에는 도 1, 3, 도 6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전면을 정렬시킴에 의해 뒷면이 단차를 갖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박스들로 조립된 조립식 장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용 봉(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들들 조립하여 완성된 장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가능하게 도어(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각 박스(11~n, 11~n')들마다 따로 도어를 설치할 수도 있다.(미도시)
11~n, 11~n' : 박스
1a : 통기공
2 : 격판
3 : 고정핀
4 : 옷걸이 봉
5 : 보강판
6 : 도어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된 다수의 박스를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의 내부에 작은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하여 보관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박스는 폭과 높이 및 깊이가 동일한 두 개의 박스가 하나의 박스 쌍을 이루며, 상기 박스들은 박스 쌍이 같은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하나의 장을 이루고, 층과 층 사이에는 박스 쌍을 이루는 아래 박스윗면과 윗 박스의 아래면 사이에 격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에 있어서,
    상기 층과 층 사이에는 박스 쌍을 이루는 아래 박스의 윗면과 윗 박스의 아래면 사이에 격판을 설치한 것을 장의 외형이 투박해지고 장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쪽의 큰 박스와 위쪽의 작은 박스의 폭 차이에 의해 발생한 턱부분에만 격판을 설치하는 것으로 대체한 특징과
    상기 큰박스의 내부에 작은 박스를 순차적으로 끼워 넣을 때 발생하는 박스와 박스의 사이의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게 박스들의 배면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특징과
    상기 격판과 박스의 접촉면 또는 박스와 박스의 접촉면을 고정핀으로 결합한 특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립식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42542A 2011-05-04 2011-05-04 조립식 장 KR10135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42A KR101359707B1 (ko) 2011-05-04 2011-05-04 조립식 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42A KR101359707B1 (ko) 2011-05-04 2011-05-04 조립식 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726A KR20120124726A (ko) 2012-11-14
KR101359707B1 true KR101359707B1 (ko) 2014-02-11

Family

ID=4751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542A KR101359707B1 (ko) 2011-05-04 2011-05-04 조립식 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2290A (zh) * 2021-08-17 2021-10-29 聿宬(上海)科贸有限公司 多体积变换盒体及变换盒体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346U (ko) * 1979-09-18 1981-04-23
KR20110008380A (ko) * 2009-07-20 2011-01-27 이병길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346U (ko) * 1979-09-18 1981-04-23
KR20110008380A (ko) * 2009-07-20 2011-01-27 이병길 조립식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726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274B2 (en) Combinative pet cage
KR200483025Y1 (ko) 조합식 수납 랙의 층간구조
US8025164B2 (en) Modular system of closet inside part or dressing room complement of combinable and adjustable design easily assembled and packed by the user
KR101359707B1 (ko) 조립식 장
KR10134385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10102283A (ko) 조립식 책장
JP3217349U (ja) 階層式折畳ペットケージ
US20140263129A1 (en) Rack assembly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72564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CN203280049U (zh) 方便安装和拆卸的储物柜
KR200474034Y1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KR101249806B1 (ko) 조립식 신발장
JP5877343B2 (ja) 収納装置
EP2138070A3 (en) Storage cabinet and method for making or assembling the same
JP2020092756A (ja) 収納棚
JP3161514U (ja) 組立て式枠構造
JP7380258B2 (ja) 建物
KR20110008632U (ko) 조립식 철재 캐비넷
CN203280050U (zh) 便装型储物柜
CN106724088A (zh) 一种全榫卯结构式多柜体实木衣柜
CN214357326U (zh) 一种可拆装组合式收纳盒
KR200469565Y1 (ko) 조립식 수납 구조
CN214760080U (zh) 塑料抽屉和具有塑料抽屉的收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