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86Y1 -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86Y1
KR200473086Y1 KR2020090008512U KR20090008512U KR200473086Y1 KR 200473086 Y1 KR200473086 Y1 KR 200473086Y1 KR 2020090008512 U KR2020090008512 U KR 2020090008512U KR 20090008512 U KR20090008512 U KR 20090008512U KR 200473086 Y1 KR200473086 Y1 KR 200473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ox
storage box
plastic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07U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090008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8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헹거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수납박스를 나란히 연결되게 진열시킬 경우, 진열된 수납박스 사이에 이격되어 벌어지는 틈새가 없도록 하면서도 헹거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헹거의 장착 구조가 특징이다.
통상 플라스틱 수납박스에 장착되어지는 헹거의 장착 구조는, 수납박스의 양 측면 중앙 외측으로 헹거의 양측 지지대를 끼워 조립시킬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결합살을 돌출되게 형성시켜 헹거의 양측 지지대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양측 지지대의 상측단으로는 걸이대의 양측부를 결합시켜 수납박스의 상면 중앙을 횡단하도록 조립시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헹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헹거의 장착 구조는 수납박스를 나란히 연결되게 진열시킬 경우, 진열된 수납박스 사이가 돌출살에 의하여 이격되어 벌어지게 됨으로써 연결성 결여로 인한 미관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단지 돌출살에 의한 헹거의 고정이기 때문에 헹거의 고정력이 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납박스의 상면을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시켜 상기 상면의 연장부 양측으로 헹거의 양측 지지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수납박스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살의 끼움홈에 끼워 수납박스의 후방으로 헹거 지지대가 결합되도록 하고, 헹거의 걸이대는 지지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시켜 헹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일시에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플 라스틱 수납박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헹거, 플라스틱, 수납박스

Description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A assembly plastic receipt box which hanger was equipped}
본 고안은 헹거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헹거가 장착된 수납박스를 나란히 연결되게 진열시킬 경우, 진열된 수납박스 사이에 이격되어 벌어지는 틈새가 없도록 하면서도 헹거의 고정력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헹거의 장착 구조가 특징이다.
현재 플라스틱 수납박스의 경우,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위하여 수납박스의 상측으로 헹거를 장착시켜 제공토록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납박스의 경우, 헹거 사용에 따른 하중 작용으로 헹거를 수납박스의 상면에 결합시킬 경우 수납박스의 찌그러짐이나 파손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의 방지책으로써 수납박스의 양 측면 중앙 외측으로 헹거의 양측 지지대를 끼워 조립시킬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결합살을 돌출되게 형성시켜 헹거 지지대를 결합시켰고, 결합살에 결합된 헹거의 양측 지지대 상측단에는 걸이대의 양측부를 결합시켜 수납박스의 상면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장착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헹거의 장착 구조는 수납박스를 나란히 연결되게 진열시킬 경우, 진열된 수납박스 사이가 돌출살에 의하여 이격되어 벌어지게 됨으로써 수납박스의 연결성 결여로 인한 미관 손상의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단지 돌출살에 의한 헹거의 고정으로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헹거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려웠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헹거의 지지대가 수납박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후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박스를 나란히 붙여 진열시킬 경우 수납박스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함이며, 이와 통시에 헹거의 지지대가 수납박스의 상면과 후면에 결합되어져 종래보다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헹거의 장착 구조를 개선한 플라스틱 수납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모든 단점들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플라스틱 수납박스는, 상면을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시켜 상기 상면의 연장부 양측의 결합홀을 통하여 헹거의 양측 지지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수납박스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살의 끼움홈에 끼워 수납박스의 후방으로 헹거 지지대가 결합되도록 하고, 헹거의 걸이대는 지지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시켜 조립되는 방식으로 구성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플라스틱 수납박스는, 헹거의 지지대가 수납박스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살에 조립되어져 헹거의 장착을 위한 헹거 결합수단이 수납박스의 양 측면이 아닌 후면에 형성되게 됨으로써 수납박스를 나란히 틈새 없이 연결되게 붙여 진열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미관 손상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헹거가 수납박스의 상면과 후면에 조립되어져 종래의 경우보다 헹거의 고정력 강화 를 통한 헹거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라스틱 수납박스는, 수납박스(10)의 상면(11) 양측으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직립되게 결합되어지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상측단에 양측부가 결합되는 걸이대(23)로 이루어지는 헹거(20)가 조립되어 장착되어진 것으로서, 상기 수납박스(10)의 상면(11)을 후면(12)의 후방으로 동일 수평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시켜 후면(1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지는 상면(11)의 연장부 양측으로는 상기 행거(20)의 양측 지지대(21)가 각각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결합홀(11a)을 형성하고, 수납박스(10)의 후면(12) 밑단으로는 상면(11)의 제1결합홀(11a)을 관통한 행거(20)의 양측 지지대(21) 하측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제2결합홀(13a)을 갖는 결합살(13)을 형성하여 헹거(20)의 양측 지지대(21)가 수납박스(10)의 후면에 조립되도록 하고, 상기 헹거(20)의 걸이대(23)는 상기 지지대(21)의 상측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이격부재(22)를 형성하여 상기 이격부재(22)의 전방에 형성된 제3결합홀(22a)에 양측부가 관통되어 결합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박스(10)의 바닥면 전,후방으로 통상적으로 지면과의 이격을 위한 받침요소(14)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후방으로 받침요소(14)와 일체로 제2결합홀(13a)을 갖는 결합살(13)을 형성시켜 상기 결합살(13)의 제2결합홀(13a)에 지지대(21)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박스(10)는 다단으로의 적층을 위하여 하나의 후레임(30)은 4각면체로 이루어지는 밑면(31)과, 밑면(31)의 4개의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직립되게 지지대(32)를 형성하여 4각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각틀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서랍(20)이 전면(34)을 통하여 출입되어지는 후방으로는 후면(35)을 형성하여 서랍이 일정깊이로 진입토록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레임(30)이 다단으로 적층결합을 위하여 지지대(32)의 상단으로는 단이지게 연결돌기(32a)를 형성하여 적층시 밀착되는 또 다른 후레임(30a)의 밑면(31)에는 연결홈(31a)을 형성하여 다단 적층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단적층된 최상층에 위치되어지는 후레임(30a)의 연결돌기(31a)와 조립되는 상판(33)에는 내입되게 제1연결홈(33a)을 저면에서만 형성하여 수납박스(10)의 상면(11)에는 나타나지 않토록 하는 것이다.
삭제
이때 상기 박스체(10)를 형성하는 적층되는 후레임(30,30a)은 밑면과 그 테두리에 형성되는 4면이 모두 박힌 상태로도 구현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구조가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최상층에 위치되어지는 후레임(30a)에 상판(33)을 조립시킴으로서 수납박스(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수납박스(10)를 구성하는 상판(33)의 상면(11)은 그 후단(12)이 수납박스를 형성하는 후레임(30,30a)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돌출되어진 후단(12)에 제1결합홀(11a)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홀(11a)에 지지대(21)를 끼워 다단적층되는 후레임(30)의 하단에 형성되어진 받침요소(14)에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살(1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살(13)에 지지대(21)가 결합되는 것이고, 이때 결합의 견고성을 위하여 제2결합홀(13a)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행거(20)를 형성하는 지지대(21)가 수납박스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어서 수납박스를 일렬로 연결할 경우에도 틈새가 없이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판(33)은 나무(합판 포함)로 제작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후레임(30,30a)이 다단적층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뒤틀림 방지를 유도하여 장시간 형태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로 제작된 상판의 조립구조로 인하여 전체적인 형태의 고정은 물론 행거(20) 지지대(21)의 고정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행거(20)에 빨래거 널릴 경우에도 하중의 변화에 의하여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후레임(30,30a)으로 다단적층된 수납박스(10)의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경우에도 하중에 의한 찌그러짐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33)이 나무로 이루어진 경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후레임(30a)과의 이질 소재로 인한 조립의 어려움 해결을 위하여, 상기 상판(33)의 내입되어지는 제1연결홈(33a)에는 후레임(30a)의 지지대(32)에 형성된 연결돌기(32a)와의 조립 연결을 위한 제2연결홈(34a)을 갖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시켜 이루어지는 조인트(34)가 상판(33)의 제1연결홈(3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조인트(34)에 의하여 상판과 결합되는 후레임(30a)의 지지대(32)는 플라스틱 특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립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헹거(20)의 걸이대(23)는 행거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상판의 상면의 후단(12)에 위치되어짐으로 상면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이격부재(22)를 사용하여 상면의 중앙부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걸이대(23)는 이격부재(22)의 제3결합홀(22a)에 끼워져 결합되는 본체(23a)와 상기 본체(23a)의 양측부에 내입되게 결합되어져 길이의 연장 및 축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절대(23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대(23)의 본체(23a)와 조절대(23b) 사이의 결합부에는 다양한 공지의 길이조절수단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헹거(20)의 지지대(21)는 수납박스(10)의 상면(11)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부(21a)와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부(21b)로 구분되도록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수납박스(10)의 상면(11)에 형성된 제1결합홀(11a)에는 수납박스(10)의 상면(11)에 걸려지는 돌출단테(53)와, 상기 돌출단테(53)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는 지지대(21)의 상측부(21a)가 내삽되어 결합되는 상측결합돌부(5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지지대(21)의 하측부(21b)가 내삽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돌부(52)가 형성된 고정부재(50)가 끼움 조립되어 고정부재(50)를 이용한 헹거(20) 지지대(21)의 상측부와 하측부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의 하측결합돌부(52)에는 수직절개홈(52a)이 형성되어 수납박스(10)의 상면(11)에 형성된 제1결합홀(11a)에의 끼움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재(50)를 이용한 헹거(20) 지지대(21)의 조립은, 헹거(20) 지지대(21)의 상,하측 분리 구성으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재(50)와 헹거(20) 지지대(21)와의 밀착 결합으로 고정력 강화는 물론 헹거(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플라스틱 수납박스는, 상판(33)을 수납박스(10)의 후레임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게 후면(12)을 연장되게 형성하여 그 연장부에 헹거(20)의 지지대(21)가 관통되어져 수납박스(10)의 상면(11) 또는 상판(30)에 조립 연결되어짐과 동시에 수납박스(10)를 형성하는 다단의 후레임의 하단의 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진 결합살(13)의 제2결합홀(13a)에 한번 더 조립 연결되어지게 됨으로써 헹거(20)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헹거(20)의 조립 구조는, 헹거(20)가 수납박스(10)의 후방으로 조립되어져 양 측면으로는 헹거(20)의 장착을 위한 어떠한 구성요소가 형성되어있지 않게 됨으로써 본 고안의 수납박스를 나란히 연결되게 진열시킬 경우 진열된 수납박스 사이를 밀착시킨 상태로 진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행거의 지지대가 후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에 따른 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행거의 무게중심이 수납박스의 중앙에 위치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납박스의 조립과 상판과 행거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된 다단적층되는 수납박스에 헹거가 상판에 조립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납박스 11: 상면
12: 후면 13: 결합살
20: 헹거 21: 지지대
22: 이격부재 23: 걸이대
30: 후레임 31: 밑면
32: 측면 33: 상판
34: 조인트 40: 서랍
50: 고정부재

Claims (6)

  1. 4각면체로 이루어지고, 다단적층되며 서랍이 구비되어지는 수납박스(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헹거(20)가 장착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헹거(20)는 수납박스의 후면에서 지지대(21)가 위치되게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상판(33)의 상면(11)의 후단을 수납박스보다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 2개의 제1결합홀(11a)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행거를 수납박스의 후면에 위치되게 지지대(21)를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게 끼움토록 하고,
    상기 양측으로 끼움되어진 지지대(21)는 수납박스(10)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살(13)의 제2결합홀(13a)에 각각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에 관통되게 끼워진 지지대(21)의 선단에는 수납박스를 형성하는 상면의 중앙쪽으로 이격부재(2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이격부재(22)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홀(22a)에는 걸이대(23)가 끼워져 걸이대가 수납박스의 상면의 중앙에 위치되게 결합 구성토록 되어 수납박스의 좌우로 또 다른 수납박스를 밀착되게 연결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헹거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3)에는 내입되는 제1연결홈(33a)을 형성하여 상기 내입되는 제1연결홈에 제2연결홈(34a)을 갖는 플라스틱 조인트(34)가 내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거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헹거(20)의 걸이대(23)는 이격부재(22)에 결합되는 본체(23a)와 상기 본체(23a)의 양측부에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조절대(23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헹거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헹거(20)의 지지대(21)는 수납박스(10)의 상면(11)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부(21a)와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부(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박스(10)의 상면(11)에 형성된 제1결합홀(11a)에는 상면(11)에 걸려지는 돌출단테(53)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는 지지대(21)의 상측부(21a)가 내삽되어 결합되는 상측결합돌부(5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지지대(21)의 하측부(21b)가 내삽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돌부(52)가 형성된 고정부재(50)가 끼움 조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20090008512U 2009-07-01 2009-07-01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73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12U KR200473086Y1 (ko) 2009-07-01 2009-07-01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12U KR200473086Y1 (ko) 2009-07-01 2009-07-01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07U KR20110000207U (ko) 2011-01-07
KR200473086Y1 true KR200473086Y1 (ko) 2014-06-10

Family

ID=4420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12U KR200473086Y1 (ko) 2009-07-01 2009-07-01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7124A (zh) * 2014-10-30 2015-02-25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衣物收纳装置
KR102187651B1 (ko) 2020-08-10 2020-12-07 최상환 설치가 편리한 수납부를 갖는 조립식 행거
WO2021153994A1 (ko) * 2020-01-28 2021-08-05 김점성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68B1 (ko) * 2014-11-28 2016-09-23 고광수 다용도 서랍장
KR102083128B1 (ko) 2019-08-19 2020-02-28 추교완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999A (ja) 2001-04-27 2002-11-12 Michio Shigehisa 衣類等吊り具
KR200340605Y1 (ko) 2003-10-31 2004-02-11 이순자 서랍장 구비형 이동식 옷걸이대
KR200377144Y1 (ko) 2004-12-07 2005-03-08 최성실 옷걸이용 행거 파이프의 길이조절구조
KR200415144Y1 (ko) 2006-02-17 2006-04-27 김홍곤 슬림 수납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999A (ja) 2001-04-27 2002-11-12 Michio Shigehisa 衣類等吊り具
KR200340605Y1 (ko) 2003-10-31 2004-02-11 이순자 서랍장 구비형 이동식 옷걸이대
KR200377144Y1 (ko) 2004-12-07 2005-03-08 최성실 옷걸이용 행거 파이프의 길이조절구조
KR200415144Y1 (ko) 2006-02-17 2006-04-27 김홍곤 슬림 수납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7124A (zh) * 2014-10-30 2015-02-25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衣物收纳装置
WO2021153994A1 (ko) * 2020-01-28 2021-08-05 김점성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102187651B1 (ko) 2020-08-10 2020-12-07 최상환 설치가 편리한 수납부를 갖는 조립식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07U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488B2 (en) Storage rack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0466545Y1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KR20080073184A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725491B1 (ko) 스프링락, 꼭지 스프링락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애완동물용 가구
KR100782634B1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130003722U (ko)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10009775A (ko) 책상판에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한 책꽂이 틀
KR20100007971U (ko) 조립식 책상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JP2015123227A (ja) 組み立て椅子
JP3224503U (ja) 木製シェルフ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KR102329722B1 (ko) 확장성을 갖는 조립식 가구
CN209324806U (zh) 防脱挂扣以及组合柜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JP6877032B2 (ja) 組み立て式のラック
TWM594389U (zh) 層架裝置
KR20190107424A (ko) 조립형 가구
KR200472523Y1 (ko) 향상된 조립구조를 갖는 목재 침대프레임
KR200481400Y1 (ko) 책꽂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