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00Y1 - 책꽂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책꽂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00Y1
KR200481400Y1 KR2020140005550U KR20140005550U KR200481400Y1 KR 200481400 Y1 KR200481400 Y1 KR 200481400Y1 KR 2020140005550 U KR2020140005550 U KR 2020140005550U KR 20140005550 U KR20140005550 U KR 20140005550U KR 200481400 Y1 KR200481400 Y1 KR 200481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ves
shelf
support bars
boo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384U (ko
Inventor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주)몰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몰로디자인 filed Critical (주)몰로디자인
Priority to KR202014000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0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선반을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된 책꽂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조립체는 각 지지바(11,12,13,14)의 삽입홈(13a)에 선반(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조립시킴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고, 지지바들이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선반(10)의 장변에 인입홈(10a)을 형성시킴으로써, 선반으로부터 책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책꽂이 조립체{A bookshelf assembly}
본 고안은 책꽂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선반을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된 책꽂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학교도서관, 대형 서점 등에는 수많은 책을 수납하여 배열하거나 또는 전시하기 위하여 목재 또는 철재로 된 책장이 많이 사용되는데,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책장(110)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1) 내에 다수의 책(100)이 놓여지는 다수의 선반(130)이 소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장(110)은 직사각형상의 프레임(111)들이 좌/우 측면 및 상/하면에 구비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책장(110)의 중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이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좌,우측 및 배면의 프레임(111)들 사이에 복수의 선반(113)을 조립하기 번거롭고, 상/하 및 좌/우 프레임들이 직각을 유지하도록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하면의 바닥 프레임이 설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설치 바닥면이 울퉁불퉁한 경우 책장(110)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데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다수의 책들(100)이 꽃혀 있는 책장(110)으로부터 원하는 책(100)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책(100)의 전면측 상단의 표지부분에 검지를 거치하여 전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책(100)의 전면측 하단을 중심으로 책(100)을 회동시켜야만 하므로, 책(100)을 인출함에 있어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5274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책꽂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책꽂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으로부터 책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한 책꽂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책꽂이 조립체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복수의 선반과, 상기 선반들의 각 일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들이 상기 선반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1,2지지바와, 상기 선반들의 각 타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들이 상기 선반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3,4지지바를 구비하되,
상기 제1,2지지바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3,4지지바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들의 타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선반들의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 제1,2지지바와 제3,4지지바는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책꽂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홈에는 상기 각 선반의 하면을 지지하는 브라켓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책꽂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장변에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각 지지바(11,12,13,14)의 삽입홈(13a)(14a)에 선반(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조립시킴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상기 지지바들이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세째, 선반(10)의 장변에 인입홈(10a)을 형성시킴으로써, 선반으로부터 책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책장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책꽂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지지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정면도,
도 7은 도 3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책장 조립체의 샘플 사진.
본 고안 실시예의 책꽂이 조립체는 조립이 편리하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반으로부터 책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책꽂이 조립체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복수의 선반(10)과, 상기 선반(10)들의 각 일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13a)들이 상기 선반(10)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1,2지지바(11)(12)와, 상기 선반(10)들의 각 타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들이 상기 선반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3,4지지바(13)(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바(11)(12)와 제3,4지지바(13)(14)에 형성된 삽입홈은 모두 동일한 간격 및 동일 크기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3지지바(13)의 삽입홈(13a)을 대표적으로 하여 표시하였다.
한편, 도 3,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지지바(11)(12)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10)들의 장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3,4지지바(13)(14)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10)들의 타측에 결합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10)들의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 제1지지바(11)와 제3지지바(13)는 'X'자 형태로 교차되고, 마찬가지로 제2지지바(12)와 제4지지바(14)는 'X'자 형태로 교차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바(11)와 제3지지바(13) 그리고 제2지지바(12)와 제4지지바(14)의 기울기가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선반(10)과의 작용력 방향이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삽입홈(13a)(14a)에는 상기 각 선반(10)의 하면을 지지하는 브라켓트(20)가 결합되어서, 선반(10)과 각 지지바(11,12,13,14)들이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10)의 장변에는 인입홈(10a)이 형성되어서, 선반(10)에 다수의 꽂혀있는 책(100)들중에서 어느 하나의 책을 인출시 인입홈(10a)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입시켜서 책(100)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서로 밀접하여 꽂혀진 책들로부터 원하는 책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한다.
도 9에서, '가'와 '나' 부분은 상기 지지바(11,12,13,14)들이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각 지지바(11,12,13,14)의 삽입홈(13a)에 선반(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조립시킴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들이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선반(10)의 장변에 인입홈(10a)을 형성시킴으로써, 선반으로부터 책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10...선반 10a...인입홈
11,12,13,14...지지바 20...브라켓트

Claims (3)

  1.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복수의 선반(10)과, 상기 선반(10)들의 각 일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들이 상기 선반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1,2지지바(11)(12)와, 상기 선반들의 각 타측 장변이 결합되는 삽입홈들이 상기 선반들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된 제3,4지지바(13)(14)를 구비하되,
    상기 제1,2지지바(11)(12)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3,4지지바(13)(14)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반들의 타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선반들의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 제1,2지지바와 제3,4지지바는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꽂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홈에는 상기 각 선반의 하면을 지지하는 브라켓트(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꽂이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장변에는 인입홈(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꽂이 조립체.
KR2020140005550U 2014-07-24 2014-07-24 책꽂이 조립체 KR200481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50U KR200481400Y1 (ko) 2014-07-24 2014-07-24 책꽂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50U KR200481400Y1 (ko) 2014-07-24 2014-07-24 책꽂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84U KR20160000384U (ko) 2016-02-03
KR200481400Y1 true KR200481400Y1 (ko) 2016-09-27

Family

ID=5535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50U KR200481400Y1 (ko) 2014-07-24 2014-07-24 책꽂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0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819A (ja) 2000-10-26 2002-05-08 Takasho Co Ltd 植木棚
KR200380827Y1 (ko)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46Y1 (ko) 2008-07-25 2011-03-21 오다찬 책의 인출이 편리한 책꽂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819A (ja) 2000-10-26 2002-05-08 Takasho Co Ltd 植木棚
KR200380827Y1 (ko)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84U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0822C2 (ru) Шкаф
US20160029787A1 (en) Prefabricated shelf
USD773869S1 (en) Drawer with adjustable shelf
US10159338B2 (en) Universal piece of furniture consisting of panels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81400Y1 (ko) 책꽂이 조립체
KR20120007732U (ko) 조립식 책장
KR200426349Y1 (ko) 상품 진열대용 보조선반
JP2010022427A (ja) システム机
JP3180203U (ja) 収納棚
KR20170050629A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CN205006437U (zh) 一种陈列架
JP6684653B2 (ja) 書棚のブックサポート装置
JP3204781U (ja) 組立家具
JP3190132U (ja) 組立式靴収納棚
CN216651887U (zh) 一种拼接式展墙
USD653101S1 (en) Single structural member for shelving
KR20140078294A (ko) 조립식 책상 구조체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KR102562669B1 (ko) 레고형 조립식 책장
JP3189293U (ja) 収納棚
KR200479896Y1 (ko) 벽걸이 선반용 고정부재
KR200475840Y1 (ko) 북엔드
JP3198360U (ja) 重量物積載可能組立式棚様家具
TWM445915U (zh) 可調整景深的展示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