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40Y1 - 북엔드 - Google Patents

북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40Y1
KR200475840Y1 KR2020130008634U KR20130008634U KR200475840Y1 KR 200475840 Y1 KR200475840 Y1 KR 200475840Y1 KR 2020130008634 U KR2020130008634 U KR 2020130008634U KR 20130008634 U KR20130008634 U KR 20130008634U KR 200475840 Y1 KR200475840 Y1 KR 20047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vertical wall
book
auxiliary suppor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일향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130008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 보조지지대를 구비하여 책상 또는 책 수납장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배치할 필요없이 항상 정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북엔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는,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된 수직벽; 상기 수직벽과 직교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직교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판이 바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보조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북엔드{BOOK END}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 책상에 사용되는 북엔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 보조지지대를 구비하여 책상 또는 책 수납장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배치할 필요없이 항상 정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북엔드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책 또는 서류 등을 정리 정돈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책상에 구비된 책꽂이, 조립식 칸막이 책상과 일체로 결합된 수납장 또는 북엔드 등에 이용하여 수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책꽂이, 조립식 칸막이 책상과 일체로 결합된 수납장 등은 책을 수납하여 정리할 때 책꽂이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획공간 전체에 책이 다 채워질 경우에는 수납된 책이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구획공간 전체에 책이 수납되지 않거나 수납된 책이 책꽂이로부터 이탈할 경우에는 여유 공간에 의하여 책이 옆으로 쓰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좁은 책상에서 최대한의 공간 효율을 낼 수 있는 다양한 북엔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북엔드는 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선반 또는 책상에 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벽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북엔드는 책의 수가 적은 경우 그리고 북엔드 자체의 중량이 적은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는 책이 한쪽으로 기울게 되고 결국 북엔드와 함께 쓰러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반대의 경우 책이 많은 경우 그리고 책의 크기가 일률적이지 않은 경우 책 한 권만이라도 스러지거나 하면 북엔드 사용이 매우 힘들어 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0-0463696호의 "북엔드"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0-0463696호의 북엔드는, 측단면이 L자 형으로 굽어 바닥판과 측판으로 구성되는 개별 파트 두 개를 한조로 구성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파트의 측판에는, 책과 접하는 일면에 자석과 상기 자석을 덮도록 구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북엔드에는, 금속 재질의 직립 가능한 다수의 보조판이 더 구성되어, 세우는 책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파트와 보조판과의 자력으로 책을 더 견고하게 잡아두며, 상기 보조판은, 측단면이 'ㅗ'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직부가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수직부에 그 하부가 착탈 가능한 측판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북엔드의 종래 기술은 한쌍의 북엔드와 별도의 보조판을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책 수납장 등의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북엔드의 종래 기술은 자력을 이용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서, 책이 많이 적재된 경우에는 그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자력의 효과도 현저히 떨어지고, 부피가 커서 책을 정리 정돈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696호 (2012년11월13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5608호 (2003년05월26일 등록)
본 고안은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 제 1보조 지지판을 구비하여 책상 또는 책 수납장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책을 받치고 있는 수직벽에 외측 방향으로 보강부를 형성하여 장기간 무거운 책을 받치고 있어도 수직벽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북엔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벽 일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여 파티션 등에 걸어 책상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북엔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는,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된 수직벽; 상기 수직벽과 직교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직교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판이 바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보조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벽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타측면에 일정간격을 갖는 "ㄷ"형상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구조로 형성되고, 파티션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직벽과 직교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수직벽이 외력에 의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조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직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얇은 책 또는 적은 수의 서류 등을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보조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 지지판, 상기 제 2보조 지지판 및 상기 제 3보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 외측면에서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외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 1보조 지지판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 고정부가 슬라이딩 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는,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 제 1보조 지지판을 구비하여 책상 또는 책 수납장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배치할 필요없이 항상 정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는, 책을 받치고 있는 수직벽에 외측 방향으로 보강부를 형성하여 장기간 무거운 책을 받치고 있어도 수직벽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는, 수직벽 일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여 파티션 등에 걸어 책상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가 책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1보조 지지판 및 제 2보조 지지판이 경첩으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1보조 지지판이 슬라이딩 구조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3보조 지지판이 경첩으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도 6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에 걸이부가 체결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걸이부가 파티션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가 책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1보조 지지판 및 제 2보조 지지판이 경첩으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1보조 지지판이 슬라이딩 구조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제 3보조 지지판이 경첩으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도 6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에 걸이부가 체결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의 걸이부가 파티션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10)는, 책장(20)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책장(20) 외측면에 밀착하여 내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벽(100), 지지판(200) 및 제 1보조 지지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벽(100)은 책 또는 서류(40) 등을 바로 세워 정리정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10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랜 기간 무거운 책 등으로 기대어 사용하다 보면 책의 기대는 힘에 의해 판이 변형이 될 수 있으며, 그 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타측면에 일정간격을 갖는 "ㄷ"형상으로 돌출된 보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100)은 중앙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수직벽(100)과 직교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100)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수직벽(100)과 직교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이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벽(100)과 직교되는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조 지지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북엔드(10)에 구비된 상기 수직벽(10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북엔드(10)가 뒤로 넘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은 상기 지지판(200) 일측 또는 타측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직교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판(200)이 책장(20) 또는 책상(30)바닥에 고정 지지되어 책장(20) 또는 책상(30)의 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은 책장(20)의 깊이가 책의 폭보다 깊을 경우 책이 안쪽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책장(20)에서 책을 꺼내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이 책장(2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책 정리시 그 책들을 책장(20)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10)는, 상기 지지판(200)에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 및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00)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을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책상(30) 등에 올려놓고 사용되고, 상기 제 1 보조 지지판(200)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책장(20) 또는 책상(30) 외측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과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책장(20)에 상기 북엔드(10)를 설치하여 사용시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이 책장(20)의 벽면에 닿아 공간이 생길 수 있는데 그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2보조 지지판(22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경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10)는, 상기 지지판(200)에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이 탈착될 수 있도록 제 1고정부(5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부(500a)는 제 1돌기부(5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삽입부(510a)는 상기 지지판(200) 하측면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돌기부(520a)는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판(200) 하측면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홈 형상의 제 1삽입부(510a)에 슬라이딩 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돌기부(520a)는 상기 제 1삽입부(5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이 상기 지지판(20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북엔드(10)를 책상(30) 등에 사용시 상기 제 1고정부(500a)에 의해 체결된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을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을 상기 지지판(200)에서 이탈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책장(20) 외측면에 설치시 상기 제 1보조 지지판(210)을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책장(2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10)는, 상기 수직벽(100)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얇은 책 또는 적은 수의 서류 등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보조 지지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보조 지지판(230)은 상기 지지판(200)에 힌지부(400)로 체결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많은 양의 책을 고정 지지할 시에는 수평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 얇은 책 또는 서류 등 적은 양의 책 또는 서류들을 고정 지지할 경우에 쉽게 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 3보조 지지판(230)을 수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책 또는 서류(40) 등의 하단을 상기 제 3보조 지지판(230)에 지지하여 책 또는 서류(40) 등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북엔드(10)는, 파티션(5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00)는 파티션(50) 상측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00)는 상기 수직벽(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 2고정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부(500b)는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탈착될 수 있도록 제 2돌기부(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 2돌기부(520b)는 상기 걸이부(300)의 수평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벽(100) 외측면에 일측이 넓고 타측이 좁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 2삽입부(510b)에 슬라이딩 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돌기부(520b)는 상기 제 2삽입부(510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300)가 상기 수직벽(10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업무량이 많은 사용자의 책상(30)에 각종 서류 등이 널려있을 경우 책상(30)의 사용 면적이 좁아져 정리정돈의 어려운 점이 있어 이를 위해 상기 수직벽(100) 일측에 상기 걸이부(300)를 부착시켜 파티션(50) 상측에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위한 선반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북엔드 20; 책장
30; 책상 40; 서류
50; 파티션 100; 수직벽
110; 손잡이부 120; 보강부
200; 지지판 210; 제 1보조 지지판
220; 제 2보조 지지판 230; 제 3보조 지지판
300; 걸이부 400; 힌지부
500a; 제 1고정부 510a; 제 1삽입부
520a; 제 1돌기부 500b; 제 2고정부
510b; 제 2삽입부 520b; 제 2돌기부

Claims (8)

  1.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된 수직벽;
    상기 수직벽과 직교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일측 또는 타측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직교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판이 바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보조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보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 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고정부는,
    제 1보조 지지판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판 하측면에 형성된 제 1삽입부에 슬라이딩 되어 체결 고정되는 제 1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타측면에 일정간격을 갖는 "ㄷ"형상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3. 제 1항에 있어서,
    파티션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수직벽 측면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걸이부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벽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 2삽입부에 슬라이딩 되어 체결 고정되는 제 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직벽과 직교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수직벽이 외력에 의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조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직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얇은 책 또는 적은 수의 서류 등을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보조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
  7. 삭제
  8. 삭제
KR2020130008634U 2013-10-21 2013-10-21 북엔드 KR20047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34U KR200475840Y1 (ko) 2013-10-21 2013-10-21 북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34U KR200475840Y1 (ko) 2013-10-21 2013-10-21 북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40Y1 true KR200475840Y1 (ko) 2015-01-06

Family

ID=5258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634U KR200475840Y1 (ko) 2013-10-21 2013-10-21 북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4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162B1 (en) * 2000-07-27 2002-03-05 Block And Company, Inc. Interlocking bookends
JP2003339457A (ja) * 2002-03-18 2003-12-02 Shin Denki Kogyo Kk 本立ての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シートもしくは棚板とこれらの上に置いて用いる本立て
KR200440191Y1 (ko) * 2008-02-12 2008-05-28 서승원 사무환경 개선용 수납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162B1 (en) * 2000-07-27 2002-03-05 Block And Company, Inc. Interlocking bookends
JP2003339457A (ja) * 2002-03-18 2003-12-02 Shin Denki Kogyo Kk 本立ての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シートもしくは棚板とこれらの上に置いて用いる本立て
KR200440191Y1 (ko) * 2008-02-12 2008-05-28 서승원 사무환경 개선용 수납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WO2019191075A1 (en) Skateboard stand
KR200475840Y1 (ko) 북엔드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JP3592685B2 (ja) モジュール式陳列ラック
CN104121751B (zh) 具有酒架的冰箱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0483664Y1 (ko) 책장선반에 설치되는 서류 지지대
US20170215691A1 (en) Utility rack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KR101440794B1 (ko) 고정대 교환 가능한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63696Y1 (ko) 북엔드
KR20090004145U (ko) 책장용 책꽂이 장치
JP2006198244A (ja) パイプ棚用ホルダー
KR20160130555A (ko) 접이식 독서대
KR100619428B1 (ko) 책장
KR20140002951A (ko)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KR20130005793U (ko) 다용도 선반
JP3168399U (ja) 収納ケースの組立構造
KR101333922B1 (ko) 조립식 다용도 수납꽂이
KR101675237B1 (ko) 중력을 이용한 장식장용 흔들이 선반
CN210433063U (zh) 一种具有储物装置的课桌
JP3067236U (ja) 多目的組立用収納棚
KR20230000529U (ko) 걸이 설치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