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98Y1 -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98Y1
KR200441498Y1 KR2020070011744U KR20070011744U KR200441498Y1 KR 200441498 Y1 KR200441498 Y1 KR 200441498Y1 KR 2020070011744 U KR2020070011744 U KR 2020070011744U KR 20070011744 U KR20070011744 U KR 20070011744U KR 200441498 Y1 KR200441498 Y1 KR 200441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orizontal
horizontal frame
coupling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to KR2020070011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2측판과,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되며 각종 책이나 장식품 등이 진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선반 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장형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갖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측판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평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은 선반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반이 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선반이 이탈되어 수납된 물건이 파손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측판, 결합부재, 중앙패널, 결합구

Description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Shelf Fixing System}
도 1은 종래 수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측판 110a, 110b: 수평수용부
112: 제2측판 112a, 112b: 수평수용부
120: 중앙패널 120a: 패널홀
120b: 패널홈 130: 선반
130a, 130b: 수직수용부 140: 결합부재
142: 수평프레임 142a: 수체결부
142b: 암체결부 144: 수직프레임
145: 제1수평프레임 146: 제2수평프레임
147: 수직프레임 150: 결합구
본 고안은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반이 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책, 그릇, 장식물 등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 또는 진열하기 위해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 수납 가구가 사용되며, 이러한 수납 가구에는 이들 물품을 올려놓기 위하여 다층의 선반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위에 책과 도서 잡지 또는 여러 종류의 장식물 등이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런데 상기 수납 가구에 구비되는 선반 사이의 간격은, 가구를 제작할 때 이미 고정적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관되는 물품의 크기나 높이에 맞게 선반 사이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반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반 고정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도 1 에 이러한 종래 선반 고정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납 가구(10)는 서로 이격되도록 두 개의 측판(11)이 배치되고, 두 측판(11)의 상하부에는 상판(12) 및 하판(13)이 장착되고, 두 측판(11) 사이에는 선반지지부(14)에 의해 상기 측판(11)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15)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 측판(11)에 선반(15)이 고정되는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 측판(11)의 내측면에는 책이나 기타 물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간격을 두고 여러 층의 나사홀(11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11a)에 선반(15)과 책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지지부(14)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동일 층에 체결된 4개의 선반지지부(14)에 선반(15)을 올려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납가구(10)의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책이나 기타 물품 등의 사이즈 현황에 따라, 선반지지부(14)를 적절한 위치의 나사홀(11a)에 체결한 후, 여기에 선반(15)을 올려 여러 크기의 책 등을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반 고정 시스템은 단순히 선반지지부(14)에 선반(15)이 올려지는 구조이므로, 선반(15)이 측판(1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아, 탈착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어, 선반(15) 위에 올려진 책이나 기타 물품의 파 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반이 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선반이 이탈되어 수납된 물건이 파손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2측판과,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되며 각종 책이나 장식품 등이 진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선반 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장형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갖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측판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평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 또는 제2측판의 수평수용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선반의 수직수용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수직수용부 및 상기 수평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2측판의 상기 수평수용부는 일측으로는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결합구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선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앙패널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상기 선반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기 위한 패널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홀의 일측으로는 일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패널홀의 타측으로는 타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홀의 일측으로는 일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패널홀의 타측으로는 결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이 상기 선반의 상기 수직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측판 또는 제2측판의 수평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수용부 및 상기 수평수용부는 테두리측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앙패널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패널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선반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기 위한 패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 홈으로는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이 상기 선반의 상기 수직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130) 고정시스템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제1,2측판(110, 112), 책이나 기타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130) 및 결합부재(14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12)은 사각형의 판체로 구성되고,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1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평수용부(110a, 112a)가 관통 형성되며, 결합부 재(140)의 후술하는 수평프레임(142: 도 3 도시)이 상기 수평수용부(110a, 112a)에 삽입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2측판(110, 112) 사이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2측판(110, 1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중앙패널(120)이 위치될 수도 있다. 즉, 중앙패널(120)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책이나 기타 물품 등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중앙패널(120)은 제1,2측판(110, 112) 사이에 위치 및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결합부재(140)의 수평프레임(142: 도3도시)이 삽입되도록 그 일면에서 상기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a, 112a)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패널홀(120a)이 관통 형성된다.
선반(130)은 상기 제1,2측판(110, 112) 또는 중앙패널(1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위치된다. 상기 선반(130)은 사각형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의 4 모서리 부분에는 결합부재(140)의 후술하는 수직프레임(144: 도3도시)이 삽입되도록 수직수용부(130a: 도3도시)가 관통 형성된다.
선반(130)의 재질은 목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릇 또는 장식물 등을 진열하고자 할 때에는 유리 재질로 구성된 선반(1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2측판(110, 112), 중앙패널(120) 및 선반(130)에는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숯이 포함되어서, 수납가구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정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숯은 제습효과도 있어서, 제습제품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재(140)는 선반(130)이 제1,2측판(110, 112) 또는 중앙패널(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 도 3 및 도 4 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130) 고정시스템은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제1,2측판(110, 112) 또는 중앙패널(120)과 선반(130)이 서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140)는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a, 112a) 또는 중앙패널(120)의 패널홀(120a)에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42) 및, 수평프레임(142)의 일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a)에 삽입되는 수직프레임(1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 사이에 선반(130)이 위치될 때,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a, 112a) 또는 중앙패널(120)의 패널홀(120a)에 결합부재(140)의 수평프레임(142)이 삽입되고,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a)에 결합부재(140)의 수직프레임(144)이 삽입되어, 선반(130)이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 사이에 고정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중앙패널(120)의 패널홀(120a)에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42)은 선반(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중앙패널(120)의 일면에서 상기 패널홀(120a)에 삽입되는 일 수평프레임(142)과 상기 중앙패널(120)의 타면에서 상기 패널홀(120a)에 삽입되는 타 수평프레임(142)은 서로 마주보거나,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경우, 상기 일 수평프레임(142)의 선단부에는 수체결부(142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타 수평프레임(142)의 선단부에는 상기 수체결부(142a)가 삽입 및 결합되도록 암체결부(142b)가 형성되며, 상기 일 수평프레임(142) 및 상기 타 수평프레임(142)은 이러한 암체결부(142b) 및 수체결부(142a)의 암수 결합에 의하여 견고하게 상호 결합 및 고정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 암체결부(142b)를 가진 수평프레임(142)이 중앙패널(120)의 일면에서 패널홀(120a)에 삽입되며, 수평프레임(142)이 중앙패널(120)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수평프레임(142) 선단부의 암체결부(142b)를 수용 및 결합되는 볼트 형상의 결합구(150)가 중앙패널(120)의 타면에서 패널홀(120a)에 삽입 및 수평프레임(142)의 암체결부(142b)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구(150)는 암체결부(142b)를 가진 수평프레임(142)이 상기 제1,2측판(110, 112)의 내면에서 수평수용부(110a, 112a)에 삽입될 때, 상기 제1,2측판(110, 112) 외면에도 구비 및 암체결부(142b)와 결합되어, 수평프레임(142)이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a, 112a)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 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이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선반(130)이 책이나 기타 장식품 등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그 사이 사이에 위치되면,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a, 112a) 또는 중앙패널(120)의 패널홀(120a)에 결합부재(140)의 수평프레임(142)이 삽입되고,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a)에 결합부재(140)의 수직프레임(144)이 삽입되어,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과 선반(130)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130) 고정시스템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제1,2측판(110, 112), 책이나 기타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130) 및 결합부재(140)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수평수용부(110b, 112b), 수직수용부(130b) 및 결합부재(140)의 형상이 상이하며, 중앙패널(120)의 패널홀(120a: 도 2 도시) 대신 패널홈(120b)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수용부(110b, 112b)는 후술하는 제2수평프레임(146)의 길이방향 측부가 슬라이딩 밀착 위치되도록 제1,2측판(110, 112)의 내면 일측 및 타측의 단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수용부(130b)는 수직프레임(147)의 일면 및 타면이 슬라이딩 밀착위치되도록 선반(130)에서 수직프레임(147)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홈(120b)은 중앙패널(120)에서 수평수용부(110b, 112b)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145, 146)의 측부가 슬라이딩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재(140)는 수평수용부(110b, 112b) 또는 패널홈(120b)에 슬라이딩 삽입 및 수용되는 수평프레임(145, 146) 및 수직수용부(130b)에 삽입 및 수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45, 146)의 양 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47)으로 구성되며, 이는 하기 도 6 및 도 7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납가구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제1,2측판(110, 112) 또는 중앙패널(120)과 선반(130)이 서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140)는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b, 112b) 또는 중앙패널(120)의 패널홈(120b)에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45, 146) 및, 수평프 레임(145, 146)의 양 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b)에 삽입되는 수직프레임(147)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45, 146)은 수평프레임(145, 146)의 양 단부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47)의 일 수직프레임(147) 및 타 수직프레임(147) 모두 수직수용부(130b)에 수용되도록 긴 길이를 갖는 제1수평프레임(145)과, 상기 일 수직프레임(147) 및 상기 타 수직프레임(147) 중 어느 한 수직프레임(147)만 수직수용부(130b)에 수용되고, 다른 한 수직프레임(147)은 제1,2측판(110, 112)의 외면 또는 중앙패널(120)에서 수직수용부(130b)가 위치되는 일면의 다른 한 면에 밀착 위치되도록 짧은 길이를 갖는 제2수평프레임(14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부재(140)는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이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책이나 기타 장식품 등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선반(130)이 그 사이 사이에 위치되면, 제1,2측판(110, 112)의 내면에 인접한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b)에 결합부재(140)의 수직프레임(147)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고, 동시에 결합부재(140)의 제2수평프레임(146)이 제1,2측판(110, 112)의 수평수용부(110b, 112b)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1,2측판(110, 112)의 외면에는 제2수평프레임(146)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47) 중,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b)에 삽입되지 않은 수직프레임(147)이 밀착 위치된다.
한편, 중앙패널(120)의 일면 및 타면에 위치하는 선반(130)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중앙패널(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선반(130)의 수직수용 부(130b)에는 결합부재(14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147) 중 일 수직프레임(147)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중앙패널(120)의 타면에 위치하는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b)에는 결합부재(14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147) 중 타 수직프레임(147)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중앙패널(120)의 패널홈(120b)에 결합부재(140)의 제1수평프레임(145)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된다.
이처럼 수직프레임(147)의 일 수직프레임(147) 및 타 수직프레임(147) 모두 수직수용부(130b)에 수용 결합되도록 긴 길이를 갖는 제1수평프레임(145)이 중앙패널(120)의 패널홈(120b)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만일, 중앙패널(12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한 면만 선반(130)이 위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147) 중, 일 수직프레임(147)만 상기 선반(130)의 수직수용부(130b)에 수용 및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타 수직프레임(147)은 중앙패널(120)에서 선반(130)이 위치되는 일면의 다른 한 면에 밀착 위치되며, 이를 위하여 짧은 길이를 갖는 제2수평프레임(146)이 중앙패널(120)의 패널홈(120b)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과 선반(130)이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서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책이나 기타 장식품 등의 크기에 따라 선반(130)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 결합부재(140)를 사용하여 선반(130)을 제1,2측판(110, 112) 및 중앙패널(120)에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선반(130)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은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로부터 견고하게 장착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반의 위치를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 변경하여 조립가능함으로써, 책이나 기타 장식품 등의 크기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반은 종래 수납가구의 상판 및 하판의 역할도 할 수 있어, 따로 상하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분해 또한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수납가구를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중앙패널을 가변적으로 설치 또는 설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맞게 원하는 크기만큼 맞추어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공간연출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은 수납가구의 선반이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반의 위치를 제1,2측판 또는 중앙패널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 변경하여 조립가능함으로써, 책이나 기타 장식품 등의 크기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 및 조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중앙패널을 가변적으로 설치 또는 설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맞게 원하는 크기만큼 맞추어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공간연출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2측판과,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되며 각종 책이나 장식품 등이 진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선반 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장형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갖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측판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평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 또는 제2측판의 수평수용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선반의 수직수용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수직수용부 및 상기 수평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의 상기 수평수용부는 일측으로는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결합구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선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앙패널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상기 선반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기 위한 패널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홀의 일측으로는 일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패널홀의 타측으로는 타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홀의 일측으로는 일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패널홀의 타측으로는 결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이 상기 선반의 상기 수직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측판 또는 제2측판의 수평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수용부 및 상기 수평수용부는 테두리측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앙패널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패널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선반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기 위한 패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널의 패널 홈으로는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이 상기 선반의 상기 수직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 고정시스템.
KR2020070011744U 2007-07-16 2007-07-16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0441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744U KR200441498Y1 (ko) 2007-07-16 2007-07-16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744U KR200441498Y1 (ko) 2007-07-16 2007-07-16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98Y1 true KR200441498Y1 (ko) 2008-08-22

Family

ID=4164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744U KR200441498Y1 (ko) 2007-07-16 2007-07-16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677A (ko)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20170066841A (ko) * 2015-12-07 2017-06-15 (주)디아이에스 다기능 책장
CN107007052A (zh) * 2016-01-27 2017-08-04 郑泰衍 家具搁板固定装置
KR101865002B1 (ko) * 2017-10-31 2018-06-05 김덕원 온습도 통합관리 및 제어기능을 갖춘 자동제어반
KR102478848B1 (ko) 2022-09-20 2022-12-20 (주)비엠오피스퍼니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KR102528380B1 (ko) 2022-01-06 2023-05-03 주식회사 린백 간편 조립구조의 선반가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677A (ko)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20170066841A (ko) * 2015-12-07 2017-06-15 (주)디아이에스 다기능 책장
KR101865397B1 (ko) * 2015-12-07 2018-06-08 (주)디아이에스 다기능 책장
CN107007052A (zh) * 2016-01-27 2017-08-04 郑泰衍 家具搁板固定装置
KR101865002B1 (ko) * 2017-10-31 2018-06-05 김덕원 온습도 통합관리 및 제어기능을 갖춘 자동제어반
KR102528380B1 (ko) 2022-01-06 2023-05-03 주식회사 린백 간편 조립구조의 선반가구
KR102478848B1 (ko) 2022-09-20 2022-12-20 (주)비엠오피스퍼니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718B2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CA2773678C (en) Vertical display structure with bump out assembly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JP3592685B2 (ja) モジュール式陳列ラック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90115376A (ko) 장식장
KR200484543Y1 (ko) 헤드의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침대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100734574B1 (ko) 북걸이대를 구비하는 선반
JP2010255327A (ja) 壁面型装飾家具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KR200494119Y1 (ko) 옷걸이봉 설치기구
CN211748167U (zh) 一种具有悬挂功能的搁架及衣帽间
CN210353793U (zh) 一种多材质组合式装饰柜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KR100583615B1 (ko) 선반
KR200287510Y1 (ko) 진열장
JPS6130513Y2 (ko)
KR200321928Y1 (ko) 조립식 서가대
KR940003478Y1 (ko) 천정 부착형 진열장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KR200340004Y1 (ko) 장식품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