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615B1 - 선반 - Google Patents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615B1
KR100583615B1 KR1020010055239A KR20010055239A KR100583615B1 KR 100583615 B1 KR100583615 B1 KR 100583615B1 KR 1020010055239 A KR1020010055239 A KR 1020010055239A KR 20010055239 A KR20010055239 A KR 20010055239A KR 100583615 B1 KR100583615 B1 KR 100583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urniture
support
suppo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112A (ko
Inventor
임대중
Original Assignee
임 대 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 대 중 filed Critical 임 대 중
Priority to KR102001005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6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77Interlocking assemblies with dovetail mortise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장, 진열장, 신발장, 조립가구, 부엌가구, 붙박이가구 등에 각종 물건을 올려놓기 위해 설치되는 선반으로서 내부 수납용적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가구 내부에서 자유로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가구(1)의 장착되는 선반(10)에 있어서, 복수조의 앞선반지지구(3a)와 뒷선반지지구(3b)를 구비한 양 측판(2)에, 상기 선반(10)은 선반 양쪽 측면(2)에 선반지지구통과홈(10a)을 형성하고 거취한 상태가 가구(1)의 깊이(4)보다 그 선반(10) 깊이를 짧게 형성하여 측판 앞부분(2a)까지 수평 이동시 뒷선반지지구(3b)는 뒤쪽으로 벗어나게 되고, 동시에 앞선반지지구(3a)도 선반지지구통과홈(10a)의 위치 되어져 선반지지구(3a,3b)를 가구(1) 내부에서 자유로이 수직상하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다.

Description

선반{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따른 선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따른 선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따른 선반의 거취된 상태 평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따른 선반의 이동 가능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 은 종래 선반 구조를 보여주는 가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구 2 ; 측판
10 ; 선반 10a ; 선반지지구통과홈
3a, 3b ; 선반지지구 5 ; 배판
20 ; 문짝
본 발명은 선반에 관한 것이며, 책장, 진열장, 신발장, 부엌가구, 조립가구, 붙박이 가구 등에 각종 물건을 올려놓기 위해 설치되는 선반으로서 내부 수납용적 을 최대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자유로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책, 그릇, 장식물, 신발 등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 또는 진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책장, 진열장, 신발장 등의 각종 가구에는, 이들 물품을 울려놓기 위하여 다층의 선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가구의 선반 사이의 간격은, 가구를 제작할 때 이미 고정적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관되는 물품의 크기(예:책의 높이)에 맞게 선반 사이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고, 따라서 이미 세팅되어 있는 선반 사이의 간격에 맞는 책만을 보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선반 사이의 간격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구가 개발되어 있다.
도5는 종래의 선반 구조를 보여주는 가구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을 구비한 가구(1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측판(110), 천판(120), 지판(130), 배판(150) 및 문짝(150)으로 전체의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으며, 두 측판(110)의 사이에는 상하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선반(160)이 조립되어 있다.
두 측판(110)의 사이에 선반을 조립하는 종래의 구조로서는, 각 측판(110)의 내측면(111)에 2개씩 총4개가 한 세트를 이루는 나사홀들(112)을 동일 레벨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물건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하의 간격을 두고 측판(110)의 내측면(111)에 여러 층의 나사홀(112) 세트를 형성하고, 이들 나사홀(112)에 선반(160)과 물건의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지지구(113)틀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하여, 동일 레벨에 체결된 4개의 선반지지구(113)에 선반(160)을 올려서 지지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가구(100)의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물건들의 사이즈 현황에 따라, 선반지지구(113)를 적절한 위치의 나사홀(112)에 체결한 후 여기서 선반(160)을 올려 여러 크기의 물건들을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반 구조는, 가구(200)와 같이 문(20)이 달려있는 경우에는 문(20)을 열었을 경우, 기존 힌지를 사용 했을 때 도(3,4)의 문(20)과 같이 측판(2) 앞면 안쪽으로 문(20)이 작용하여 수평 앞쪽으로 빼낼 수가 없다. 하여 대각선으로 기울여서 양 문(20) 사이 깊이(4a) 보다 짧게 하여 선반(10)을 빼내고, 동일 레벨에 있는 선반지지구(3a, 3b) 4개를 빼내고 다른선반지지구 나사홀로 선반지지구(3a, 3b) 4개를 다시 끼우로, 선반(10)을 다시 동일 레벨로 맞춰놓은 선반지지구(3a, 3b) 위에 대각선으로 밀어 넣어 거취 시킨다.
문(20)이 달려있지 않은 경우에도 선반(10)을 수평 앞쪽으로 빼낼 수는 있지만 선반(10)을 빼어 원하는 위치에 다시 거취 시키기 위하여 위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책장, 진열장, 부엌가구, 신발장 등의 내부 수납용적을 최대로 손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선반이 가구 내부에서 그 위치를 자유로이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따른 선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가구의 상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양쪽 측판(2)에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미리 형성된 복수조의 선반지지구(3a,3b)위에 거취 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따른 선반(10)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10)의 거취 된 상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구(200)에서 선반지지구(3a,3b) 위에 거취 된 상태의 선반(10)을 문(20)까지 수평이동 시키면 동일레벨에 있는 뒷선반지지구(3b)는 뒤쪽으로 벗어나고, 동시에 앞선반지지구(3a)는 선잔지지구통과홈(10a)에 위치되어져 가구 내부에서 선반지지구(3a,3b)를 수직상하로 통과하도록 하여 수직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구(200)보다 그 선반(10) 깊이가 짧게 형성된 선반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10)의 이동 가능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선반지지구(3a,3b) 위에 거취 된 상태의 선반(10)이 문(20) 형성된 곳까지 수평이동 하였을 때 뒷 선반지지구(3b), 앞선반지지구(3a)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상하 이동을 가구 내부에서 가능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가구내부에서 선반지지구(3a,3b)를 수직 상하로 통과하여 원하는 위치 동일 레벨에 있는 선반지지구(3a,3b) 윗부분에서 배판(5)까지 수평이동을 하면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거취 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선반지지구(3a,3b)가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또 는 선반지지만을 위한 목적으로 양 측판에 끼워져 있을 때 많이 돌출 되어 미관상장식적인 면이 배제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이용시 다시 선반지지구(3a,3b) 탈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관상 얇고 장식적인 선반지지구(3a,3b)를 복수조로 미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선반지지구(3a,3b)를 미리 형성한 가구 양측판(2)에 선반(10)을 복잡한 절차없이 자유로이 가구 내부에서 수직 상하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선반을 거취시켜 물건에 따른 내부 수납용적을 최대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반에 의하면, 선반(10)을 구비한 각종 가구에 있어서 복잡한 절차가 필요 없이 선반(10)의 위치를 가구내부에서 자유자제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선반(10)의 위치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가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가구(1)의 양측판(2)에 형성된 지지구(3a,3b)로 설치되는 선반에 있어서, 상기 선반(10)의 양측면 앞쪽부분에 선반지지구통과홈(1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KR1020010055239A 2001-09-07 2001-09-07 선반 KR100583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39A KR100583615B1 (ko) 2001-09-07 2001-09-07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39A KR100583615B1 (ko) 2001-09-07 2001-09-07 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17U Division KR200252517Y1 (ko) 2001-08-13 2001-08-13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12A KR20030015112A (ko) 2003-02-20
KR100583615B1 true KR100583615B1 (ko) 2006-06-02

Family

ID=2772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239A KR100583615B1 (ko) 2001-09-07 2001-09-07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90Y1 (ko) 2008-06-16 2011-04-19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선반 접이식 수납가구
KR20200063923A (ko) 2018-11-28 2020-06-05 정연규 시크릿 레일 파렛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90Y1 (ko) 2008-06-16 2011-04-19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선반 접이식 수납가구
KR20200063923A (ko) 2018-11-28 2020-06-05 정연규 시크릿 레일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12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724B2 (en) Configurable cart system
US9661920B2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US2015005363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WO2005112696A3 (en) Spice rack
EP3599937B1 (en) Drawer for wall mounted storage system
US7441846B2 (en) Expandable home television cart
US5048901A (en) Furniture constructions including hidden compartments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US4735471A (en) Adjustable height bookcase
US5083848A (en) Pull-out tray for in-cabinet installation
KR100583615B1 (ko) 선반
ES1055226U (es) Estructura de mueble para formacion de armarios, librerias y similares.
RU38097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кассет и/или дисков всех видов
US20070108878A1 (en) Sectional cabinet
KR200252517Y1 (ko) 선반
KR200321265Y1 (ko) 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물품수납장
CN218484039U (zh) 一种组装式书架
CN210471420U (zh) 储物型茶几
KR200258203Y1 (ko) 조립식 진열장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KR200331563Y1 (ko) 조립식 장식장
KR200200815Y1 (ko) 조합식 가구
KR200352288Y1 (ko) 가구용 선반 구조
JP2005065966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S62282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