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48B1 -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48B1
KR102478848B1 KR1020220118436A KR20220118436A KR102478848B1 KR 102478848 B1 KR102478848 B1 KR 102478848B1 KR 1020220118436 A KR1020220118436 A KR 1020220118436A KR 20220118436 A KR20220118436 A KR 20220118436A KR 102478848 B1 KR102478848 B1 KR 10247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tanji
fixing body
protru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박봉환
Original Assignee
(주)비엠오피스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오피스퍼니처 filed Critical (주)비엠오피스퍼니처
Priority to KR102022011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형 선반의 외곽 둘레에 끼움 고정되어진 기능성 탄지체결부재들과 수납가구 본체 측면패널에 구비된 다보들 간의 유기적 연계 작용을 통해 설치 위치의 선반이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지진 등의 물리적 외력에도 유동하지 않고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선반을 간편 용이하게 원터치 체결 및 분리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은 물론 품질 안정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내진설계 반영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패널의 내주면에 가공되어진 체결공으로 다보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을 본체 내부 가용공간에 위치한 다보에 얹어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 하측 단부에 복수 개의 끼움홈부를 대향 형성하여 고정본체와 탄지고정체로 조합되어진 탄지체결부재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되, 고정본체는 하측 선단으로 다보를 안치 수용하기 위한 받침홈부와 상단 둘레를 따라 체결돌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끼움돌부를 마련하여 탄지고정체가 체결되도록 하고, 탄지고정체는 다보와 맞물림 상태에서 텐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지부와 고정본체 일측 끼움돌부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The storage furniture equipped with one touch occlusal type shelf support fixture}
본 발명은 서적이나 여러 가지 물건 따위를 정리하여 보관하기 위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형 선반의 외곽 둘레에 끼움 고정되어진 기능성 탄지체결부재들과 수납가구 본체 측면패널에 구비된 다보들 간의 유기적 연계 작용을 통해 설치 위치의 선반이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지진 등의 물리적 외력에도 유동하지 않고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남녀노소 누구나 선반을 간편 용이하게 원터치 체결 및 분리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은 물론 품질 안정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내진설계 반영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책이나 그릇, 장식물 등의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수납가구(책장, 식기장, 진열장, 캐비닛, 사물함, 옷장, 욕실장, 신발장, 서가 등등)가 널리 사용되며, 수납가구 내부에는 가용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여 활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선반을 구비하게 된다.
위와 같은 선반형 수납가구의 대표적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6-0026595호 내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6-0019842호 등을 예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수납가구는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측면 패널의 내주면에는 고정홈을 가공한 다음 원통형의 받침구(다보)를 끼움 설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판재형 선반을 올려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가구는 본연의 역할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이룬다 할 것이나 받침구 상측에 선반이 단순히 안치되어 선 접촉되는 것이므로 흔들림이나 충격 또는 지진에 의한 진동 등의 물리적 외력에 대한 선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한 받침구(다보)는 선반을 상하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아주지 못하고 단순히 밑에서 받쳐주는 구조를 이루며 통상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로서 선반과의 접촉면적이 충분하지 못하여 선반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할 수 밖에 없어 선반 선단측으로 무게중심이 쏠리거나 수납가구가 기울어질 경우 선반의 유동이나 전방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워 올려진 물품과 선반 자체의 전도 및 낙하로 인한 손상과 안전사고 유발 가능성이 우려되고, 최근 국내 지진 발생 빈도수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진 발생시 수납가구에 전달되는 종방향(상하 진동)의 진동으로부터 선반이 흔들려 올려진 물품들이 쓸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수납가구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동시 불안정 상태의 선반을 필연적으로 분리 후 이동 위치에서 재설치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가중됨과 더불어 분실 우려 및 선반 탈부착 과정에서 훼손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 선행문헌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41498호가 제안된바 있으며, 해당의 수납가구는 이격 상태로 배치되어진 대향의 측판패널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패널상에 수평수용부와 패널홀을 각기 관통 형성한 다음 '┖' 자형 또는 '┗┛'자 형태의 결합부재(다보)를 위 수평수용부 및 패널홀에 끼움 고정하고, 선반 외곽 둘레 4개소에는 천공형 수직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결합부재의 돌출 부위(수직프레임)에 삽입함으로써 선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위 예시의 선행문헌 역시 선반의 고정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절곡형 결합부재에 끼워진 선반은 전후방 내지 좌우측 측면방향에대한 지지와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음에 비해 상측방향에 대한 지지 및 고정성이 매우 취약하므로 지진과 같은 종방향의 진동 발생시 결합부재 상측으로부터 선반이 유동하거나 심할 경우 분리 이탈될 우려가 있어 사용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결합부재와 선반 간의 끼움 접속부위 이격 틈새로부터 흔들림이나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충돌소음(마찰소음)이 발생하며, 결합부재를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형 결합구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수납가구 전체의 미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재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프레임과 선반 수직수용부 간의 끼움 결합위치가 조금이라도 어긋날 경우 선반 체결 자체가 어려울 수 있고 선반 설치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설치 조립성이 좋지 못하며 분리 후 재 설치 과정에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등의 구조적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선행문헌 0001)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6-0026595호(1996.08.17. 공개) (선행문헌 0002)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6-0019842호(1996.07.18. 공개) (선행문헌 0003)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1498호 (2008.08.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선반 하측 단부 4개소에 하향 분리 이탈 방지 형태의 더브테일 끼움홈부를 대향 형성하고, 측판패널에 고정되어진 다보를 안치 수용하기 위한 받침홈부를 하측 선단으로 구비함과 더불어 상단 둘레를 따라 더브테일 체결돌부가 형성되어진 고정본체와 다보에 맞물림 교합 후 강력한 텐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체형 탄지고정체가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진 탄지체결부재를 위 선반의 더브테일 끼움홈부에 삽입 설치함에 따라, 전후방과 좌우측 측면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흔들림이나 충격은 물론 지진파와 같은 상하측 종방향의 진동에도 선반이 움직이거나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탄지체결부재의 고정본체 일측으로 탄지고정체를 가조립 상태로 체결하여 선반 끼움홈부에 삽입 설치하는 과정에서 탄지고정체 일측 상단의 체결부와 내외측 접지돌부로부터 가압 탄지력(고정본체 내측 방향을 향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고정본체와 탄지고정체가 끼움홈부 내에서 강하게 맞물림 압입 고정되도록하고, 이와 동시에 탄지고정체 하측 탄지부에 대한 상향 텐션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다보 탄지 고정상태를 항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판패널의 내주면에 대향 배치되어진 다보 상측으로 선반 일단을 걸쳐준 상태에서 가볍게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원터치 동작만으로도 선반이 간편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반 초기 설치 내지 이동 후 재설치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함과 더불어 탄지체결부재 고정본체 내에 알갱이 또는 패드형의 기능성 부재를 수용하여 수납가구 가용공간에 대한 습조 조절기능과 항균 탈취 기능성이 부여되도록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패널의 내주면에 가공되어진 체결공으로 다보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을 본체 내부 가용공간에 위치한 다보에 얹어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 하측 단부에 복수 개의 끼움홈부를 대향 형성하여 고정본체와 탄지고정체로 조합되어진 탄지체결부재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되, 고정본체는 하측 선단으로 다보를 안치 수용하기 위한 받침홈부와 상단 둘레를 따라 체결돌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끼움돌부를 마련하여 탄지고정체가 체결되도록 하고, 탄지고정체는 다보와 맞물림 상태에서 텐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지부와 고정본체 일측 끼움돌부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 끼움홈부 및 고정본체 체결돌부 상단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끼움홈부 내에 체결된 고정본체가 하향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탄지고정체 체결부가 삽입 설치되어지기 위한 고정본체 끼움돌부를 체결돌부 일측 선단을 부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구비함에 따라 선반 일측으로부터 탄지고정체가 외향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끼움홈부 내주면과 고정본체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진 탄지고정체를 이용하여 모듈형 탄지체결부재가 고정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끼움홈부 내에 강하게 압입 설치되도록 한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본체 끼움돌부 일측 및 하측으로 단턱형의 접지면과 지지면을 각각 구비하고, 탄지고정체 체결부 상측으로 경사면이 마련되어진 사각 형태의 삽입돌편을 형성하되 삽입돌편 하측과 일측으로 끼움돌부에 삽입되어지기 위한 끼움공과 상기 접지면과 지지면에 대응 접면하기 위한 착지돌부 및 내측 접지돌부를 이격 형성함과 더불어 끼움돌부 내주면에 접면하는 외측 접지돌부를 더 포함 구성하고, 탄지고정체의 탄지부를 체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하되 탄지부 일측 자유단부에 하향 절곡의 가이드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진설계를 반영한 신규 유용의 탄지체결부재와 다보 간의 유기적 연계작용에 따라 사방 연속의 흔들림이나 상하측 방향에 대한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선반 유동과 분리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올려진 각종 물품들이 쓸어지거나 떨어져 파손되지 않고 항시 안정적인 상태에서 보관 및 진열될 수 있음은 물론 선반형 수납가구의 사용 안정성과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진파와 같은 상하측 방향의 물리적 외력에 대항하지 않고 다보와 맞물림 교합되어진 탄지체결부재가 텐션력인 지닌 상태에서 진동을 흡수 완충하여 다보와 탄지체결부재 간의 결합부위 변형이나 다보 훼손을 예방함과 더불어 선반형 수납가구의 품질 안정성 향상과 사용 수명 연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탄지체결부재를 구성하기 위한 고정본체와 탄지고정체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반 끼움홈부 내에 가압 탄지상태로 맞물림 압입고정되어지는 구조적 개선에 따라 조립 체결성 및 분리 교체 작업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선반을 간편 용이하게 원터치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선반 설치성이 향상되고, 탄지체결부재에 항균 항취 및 습도 조절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여 수납가구 내부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선반 설치 예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지체결부재 설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지체결부재 분할 구성품들에 대한 구조 확인 및 부품 간 조립과정을 다양한 각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지체결부재가 설치된 선반을 다보에 안치 체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 예시도 이고, 도 7은 탄지체결부재와 선반 간의 조립상태를 살펴보기 위한 단면 예시도 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탄지체결부재를 이용한 선반과 다보 간의 체결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 8은 선반 설치 준비 예시도이고, 도 9는 고정본체 받침홈부 내에 다보가 안치 수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10은 탄지부 일측으로 다보 접촉 진입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도 11은 탄지부 내에 다보 탄지 고정 상태를 각각 예시한 것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선반 측면 예시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지체결부재 상하 입체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탄지체결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선반 설치 예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지체결부재 설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지체결부재 분할 구성품들에 대한 구조 확인 및 부품 간 조립과정을 다양한 각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입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반형 수납가구는 배면과 양 측면 및 상,하부면을 합성목 형태의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1)가 형성되도록 하고, 측면패널(2)(2') 내주면의 체결공(2a)(2a')으로 고정부(3a)와 체결부(3b)로 이루어진 다보(3)를 끼움 설치하며, 탄지체결부재(A)가 끼움 설치되어진 판재형 선반(4)을 본체 내부 가용공간의 다보(3)에 안치 고정하여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지체결부재(A)는 고정본체(10)와 탄지고정체(20)로 분할 구성하되, 선반(4) 외곽 둘레에 끼움홈부(4a)를 형성하여 고정본체(10)가 슬라이딩 삽입 체결되도록 하고, 탄지고정체(20)는 끼움홈부(4a)와 고정본체(10) 사이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본체 일측으로 끼움 설치됨과 더불어 끼움홈부(4a) 내에 고정본체(10)를 압입 고정하기 위한 쐐기 역할과 다보(3) 탄지고정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위 예시의 끼움홈부(4a)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선반(4) 외곽 둘레의 하측 단부를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어지되, 선반(4)이 사각 패널형태를 이룰 경우 대향의 양측면 4개소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구비됨과 더불어 필요시 개수와 설치위치를 가감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상단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4b)을 형성하여 걸림 작용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시의 고정본체(10)는 합성수지물을 이용한 사출성형 내지 다이캐스팅 성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하측 선단으로 다보(3)를 안치 수용하기 위한 받침홈부(11)가 형성되며, 상단 둘레를 따라 체결돌부(12)가 구비됨과 더불어 일측으로 끼움돌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위 예시의 받침홈부(11)는 후술의 탄지고정체 탄지부 수직 선상에 위치 형성되며 탄지부 길이 보다 긴 장방형의 슬롯 형태를 이루되 내부 양측 단부를 반원호 형태로 가공하여 원형의 다보 체결부(3b) 외주면과 긴밀히 맞물림 접촉되도록 하고, 받침홈부(11) 일측을 오픈시켜 다보 진출입구(S)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돌부(12)는 상단으로 경사면(12a)을 형성하여 선반 끼움홈부(4a)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끼움홈부 경사면(4b)과 연계한 걸림 작용에 따라 고정본체(10) 하향 분리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끼움돌부(13)는 일측 및 하측으로 단턱형의 접지면(14)과 지지면(15)을 구비함과 더불어 체결돌부(12) 일측 선단을 부분 절개 후 마련된 공간(16)내에 형성하여 체결대상물인 후술의 탄지고정체가 선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의 탄지고정체(20)는 다보(3)와 맞물림 교합 상태에서 텐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지부(21)와 고정본체 일측 끼움돌부(13)에 삽입 설치되어지는 체결부(22)로 이루어지되, 고탄성 합성수지물을 이용하여 이들 구성요소(탄지부, 체결부)들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도록 하고, 보다 강력한 탄지 고정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탄지부 대용의 금속 박판형 탄성체를 고탄성 합성수지물과 함께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물의 물리적 특성(탄성력, 내구성, 강성)을 달리한 여러 개의 탄지고정체를 준비 후 선반 크기 및 중량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 예시의 탄지부(21)는 원형 다보가 긴밀히 접촉 안치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성형되어지되, 다보 형상 및 크기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대응 제작될 수 있고, 일측 자유단부에 하향 절곡의 가이드편(21a)을 형성하여 탄지부(21) 내부로 다보(3)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22)는 사각 형태의 삽입돌편(23)을 구비하되, 삽입돌편 상단 일측으로 경사면(23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끼움돌부(13)에 삽입되어지기 위한 끼움공(24)이 형성되며, 전술의 끼움돌부 접지면(15) 및 지지면(15)에 대응 접면하기 위한 착지돌부(25)와 내측 접지돌부(26)가 끼움공(24) 일측과 하측 선상으로 배치 형성됨과 더불어 끼움홈부(4a) 내주면에 접면하는 외측 접지돌부(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탄지고정체(20)는 선반 끼움홈부(4a) 내주면과 고정본체(10) 측면 사이 틈새 폭에 대응하는 정도의 넓이로 가공되거나 틈새 폭 보다 다소 큰 넓이로 성형함으로써 고정본체(10) 끼움 체결 과정에서 탄지체결부재(A) 구성물들 간의 유기적인 가압력이 발생되도록하여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탄지체결부재(A)가 끼움홈부(4a) 내에 압입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본체(10)와 탄지고정체(20)를 조립한 상태에서 선반 끼움홈부(4a)에 삽입 체결하거나 고정본체(10) 먼저 끼움홈부(4a)에 삽입한 다음 후속적으로 탄지고정체(20)를 고정본체 일측에 끼움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본체(10) 내에 안치홈부(17)를 형성한 후 기능성 부재(30)를 수용 설치함으로써 수납가구 가용공간에 대한 습조 조절 기능과 항균 탈취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기능성 부재(30)는 패각분말 고화재가 배합되어진 왕겨숯이나 대나무숯 또는 황토 중 택일 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과 더불어 알갱이 내지 패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하되, 주지의 패각분말은 고화재 역할과 더불어 악취를 잡아주는 기능성이 있고, 왕겨숯은 공기질 정화 특성을 지닌 물질이며, 황토는 곰팡이 번식 억제와 함께 원적외선 방출과 항습, 탈취 기능을 갖는 물성으로 공기 질 정화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인바, 이러한 기능성 부재(30)로부터 수납가구 가용공간에 대한 습도를 조절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중화시켜 새가구증후군 내지 곰팡이 번식을 예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본체 받침홈부(11) 상측으로 돌출곡면부(11a)를 형성하여 탄지부(21) 내에 다보 체결 및 분리 시점을 감각적(촉감과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다보(3)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한다.
다음의 설명은 수납가구 선반 끼움홈부(4a)에 대한 탄지체결부재(A) 설치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탄지고정체 체결부(22)의 삽입돌편(23)상에 형성되어진 끼움공(24)을 고정본체 끼움돌부(13) 전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탄지고정체(20)를 밀어주면 끼움돌부(13)를 따라 탄지고정체가 고정본체(10) 일측으로 삽입되고, 이때 끼움돌부 형성 공간(16) 내에 삽입돌편(23)이 안치됨으로써 선반(4) 일측(다보 설치방향)으로 체결부(22)가 돌출되지 않아 선반(4)과 측판패널(2)(2') 간의 불필요한 접촉이나 간섭을 방지하고, 하측 탄지부(21)는 고정본체 받침홈부(11) 하측에 자리잡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삽입돌편 끼움공(24) 주변에 형성되어진 착지돌부(25)와 내측 접지돌부(26)가 끼움돌부 일측 및 하측의 단턱형 접지면(14)과 지지면(15)에 각각 접촉되고, 탄지고정체 체결부(22) 일단이 선반 끼움홈부(4a) 내주면과 고정본체(10) 측면 사이 틈새 폭에 대응한 정도의 넓이 만큼 고정본체 일측으로 돌출된다.
위와 같이 고정본체(10)에 탄지고정체(20)를 체결한 상태에서 이들 구성물(고정본체, 탄지고정체)을 선반 끼움홈부(4a)에 삽입함으로써 탄지체결부재(A)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선반 끼움홈부(4a)에 탄지체결부재(A)를 밀어 넣으면 고정본체(10) 측면과 상단 체결돌부(12)가 끼움홈부(4a) 내주면에 삽입 접촉됨과 동시에 탄지고정체 체결부(22) 역시 끼움홈부(4a) 내주면에 접촉 삽입된다. 이때 끼움홈부 내주면과 고정본체(10) 측면 사이 틈새로 탄지고정체 돌출 체결부(22)가 쐐기와 같이 압입되면서 끼움홈부(4a) 내주면과 고정본체(10) 내측 방향에 대한 밀침 가압력이 발생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끼움홈부 내에서 고정본체(10)와 탄지고정체(20)가 유기적으로 맞물림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고정본체(10)에 마련된 체결공(18)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선반(4) 내 탄지체결부재(A)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탄지고정체 체결부의 내측 접지돌부(26)가 고정본체 끼움돌부 지지면(15)에 가압 접촉되면서 끼움홈부(4a) 내주면을 향한 탄발력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외측 접지돌부(27)는 끼움홈부 내주면에 접촉상태에서 고정본체(10) 내측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발생하여 탄지부(21)에 대한 상향 텐션력이 작용되고, 이로부터 다보 체결부(3b)와 받침홈부(11)와 탄지부(21) 간의 긴밀한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유격이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소음(충돌 및 마찰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다보(3) 탄지 고정상태를 항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탄지체결부재가 설치된 선반을 수납가구 다보상에 거치 및 고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수납가구 측판패널(2)(2') 내주면에 고정된 다보 체결부(3b) 상측으로 선반(4) 선단을 얹어놓고 가볍게 밀어주면, 고정본체 받침홈부(11)와 탄지부(21) 사이에 형성되어진 진출입구(S)를 통해 다보 체결부(3b)가 상기 받침홈부(11) 일측에 인입되고,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연이어 선반(4)을 밀어주면 다보 체결부(3b) 상면을 따라 선반(4)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받침홈부(11) 타측으로 다보 체결부(3b)가 위치함과 동시에 탄지부(21) 내에 삽입 고정되어 선반(4)에 대한 안정적이 거치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선반 설치 과정은 원터치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선반을 간편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선반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보(3) 체결과정에서 탄지부 일측의 절곡 가이드편(21a)이 다보 체결부(3b) 접촉과 동시에 탄동 확장되어 탄지부(21) 내부로 다보 체결부(3b)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다보 체결부는 탄지부(21)와 받침홈부(11) 상측에 긴밀히 탄지 접촉 고정됨으로써 전후 방향은 물론 측면방향에 대한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상하 방향의 지진과 같은 물리적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선반(4)이 움직이거나 분리 이탈되지 않고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함과 더불어 통상의 수납가구용 선반에서 실현하기 어려웠던 내진 설계반영의 선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지진과 같은 물리적 외력에 대항하지 않고 다보(3)와 맞물림 교합되어진 탄지고정체(20)가 텐션력인 지닌 상태에서 상하측 방향의 진동을 흡수 완충하여 다보(3)와 탄지체결부재(A) 간의 결합부위 변형이나 다보 훼손을 예방하고 선반형 수납가구의 전반적인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와 같이 받침홈부(11) 상측으로 형성되어진 돌출곡면부(11a)를 이용하여 탄지부(21) 내에 다보 체결 및 분리 시점을 설치자가 정확하게 인지가능함으로서 선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되고, 탄지부(21) 자체의 텐션 고정력과 돌출곡면부(11a) 탄지 고정력에 더한 받침홈부(11) 양측 단턱 부분의 다중 걸림작용에 따라 선반(4) 분리 이탈을 확고하게 방지하여 사용 안정성이 향상되며, 도 13의 도시와 같이 기능성 부재(30)가 고정본체 안치홈부(17)에 수용 설치됨으로써 수납가구 가용공간의 환경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실시 예를 갖는 내진 설계 반영의 선반형 수납가구는 설치성과 사용 편의성 및 안정성 등이 개선된 신규 유용의 발명이라 할 것이며, 각종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 및 진열하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인 것이다.
1 : 수납가구 본체, 2,2' : 측판패널, 3 : 다보,
4 : 선반, 4a : 끼움홈부, 4b : 경사면,
A : 탄지체결부재, 10 : 고정본체, 11 : 받침홈부,
11a : 돌출곡면부, 12 : 체결돌부, 13 : 끼움돌부,
14 : 접지면, 15 : 지지면, 16 : 공간,
17 : 안치홈부, 20 : 탄지고정체, 21 : 탄지부,
21a : 가이드편, 22 : 체결부, 23 : 삽입돌편,
24 : 끼움공, 25 : 착지돌부, 26 : 내측 접지돌부,
27 : 외측 접지돌부, 30 : 기능성부재, S : 진출입구

Claims (6)

  1.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1)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패널(2)(2')의 내주면에 가공되어진 체결공(2a)(2a')으로 다보(3)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4)을 본체 내부 가용공간에 위치한 다보(3)에 얹어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4) 하측 단부에 복수 개의 끼움홈부(4a)를 대향 형성하여 고정본체(10)와 탄지고정체(20)로 조합되어진 탄지체결부재(A)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되, 고정본체(10)는 하측 선단으로 다보(3)를 안치 수용하기 위한 받침홈부(11)와 상단 둘레를 따라 체결돌부(12)가 구비됨과 더불어 끼움돌부(13)를 마련하여 탄지고정체(20)가 체결되도록 하고, 탄지고정체(20)는 다보(3)와 맞물림 상태에서 텐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지부(21)와 고정본체 일측 끼움돌부(13)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22)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반(4) 끼움홈부(4a) 및 고정본체 체결돌부(12) 상단으로 경사면(4b)(12a)을 형성하여 끼움홈부(4a) 내에 체결된 고정본체(10)가 하향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탄지고정체 체결부(22)가 삽입 설치되어지기 위한 고정본체 끼움돌부(13)를 체결돌부 일측 선단을 부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16)내에 구비함에 따라 선반(4)으로부터 탄지고정체(20)가 외향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끼움홈부(4a) 내주면과 고정본체(10)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진 탄지고정체(20)를 이용하여 모듈형 탄지체결부재(A)가 끼움홈부(4a) 내에 압입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본체 끼움돌부(13) 일측 및 하측으로 단턱형의 접지면(14)과 지지면(15)을 각각 구비하고, 탄지고정체 체결부(22) 상측으로 경사면(23a)이 마련되어진 사각 형태의 삽입돌편(23)을 형성하되 삽입돌편(23) 하측과 일측으로 끼움돌부(13)에 삽입되어지기 위한 끼움공(24)과 상기 접지면(14)과 지지면(15)에 대응 접면하기 위한 착지돌부(25) 및 내측 접지돌부(26)를 이격 형성함과 더불어 끼움홈부(4a) 내주면에 접면하는 외측 접지돌부(27)를 더 포함 구성하고, 탄지고정체의 탄지부(21)를 체결부(22)로부터 연장 형성하되 탄지부(21) 일측 자유단부에 하향 절곡의 가이드편(21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본체의 받침홈부(11)는 탄지부(21)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지되, 탄지부 길이 보다 긴 장방형의 슬롯 형태로 가공하여 오픈형의 다보 진출입구(S)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돌출곡면부(11a)를 더 포함하여 탄지부(21)와 연계한 다보(3) 체결 및 분리 상태를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다보(3) 빠짐 억제 기능이 추가적으로 부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본체 일측으로 안치홈부(17)를 형성하고, 알갱이 또는 패드형의 기능성 부재(30)를 상기 안치홈부(17)에 수용하여 수납가구 가용공간에 대한 습조 조절 기능과 항균 탈취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기능성 부재(30)는 패각분말 고화재가 배합되어진 왕겨숯이나 대나무숯 또는 황토 중 택일 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KR1020220118436A 2022-09-20 2022-09-20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KR10247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36A KR102478848B1 (ko) 2022-09-20 2022-09-20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36A KR102478848B1 (ko) 2022-09-20 2022-09-20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848B1 true KR102478848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36A KR102478848B1 (ko) 2022-09-20 2022-09-20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84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842A (ko) 1994-11-17 1996-06-17 전형구 리튬 배터리 전해액 주입방법
KR960026595A (ko) 1994-12-30 1996-07-22 김주용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JP2006130179A (ja) * 2004-11-09 2006-05-25 Okamura Corp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KR200441498Y1 (ko) 2007-07-16 2008-08-22 주식회사 포시산업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JP2010000162A (ja) * 2008-06-19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JP2014073208A (ja) * 2012-10-03 2014-04-24 Nifco Inc 棚板固定具
KR101809692B1 (ko) * 2017-08-18 2017-12-15 (주)퍼니원 수납가구의 받침판 고정부재
JP2018061765A (ja) * 2016-10-14 2018-04-19 井上金物株式会社 棚受け具
KR102348716B1 (ko) * 2021-09-03 2022-01-07 김진국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842A (ko) 1994-11-17 1996-06-17 전형구 리튬 배터리 전해액 주입방법
KR960026595A (ko) 1994-12-30 1996-07-22 김주용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JP2006130179A (ja) * 2004-11-09 2006-05-25 Okamura Corp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KR200441498Y1 (ko) 2007-07-16 2008-08-22 주식회사 포시산업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JP2010000162A (ja) * 2008-06-19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JP2014073208A (ja) * 2012-10-03 2014-04-24 Nifco Inc 棚板固定具
JP2018061765A (ja) * 2016-10-14 2018-04-19 井上金物株式会社 棚受け具
KR101809692B1 (ko) * 2017-08-18 2017-12-15 (주)퍼니원 수납가구의 받침판 고정부재
KR102348716B1 (ko) * 2021-09-03 2022-01-07 김진국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8464C (en) Locking shelf support
EA027261B1 (ru) Меб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 сборе
JP6997329B2 (ja) 引出し用の前板
WO1985005260A1 (en) A shelf assembly and a support bracket for use therein
KR102478848B1 (ko)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US10267379B2 (en) Counterweight assembly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20080073184A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2348716B1 (ko)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JP5579047B2 (ja) 収納庫
KR100782634B1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US5471936A (en) Furniture assembly components
KR200193442Y1 (ko) 서랍장 연결커버를 이용한 높이 조절 책상
KR101297313B1 (ko) 협탁부가 일체로 구비된 조립식 침대
US8398183B2 (en) Hanging hook and modular storage furniture system
KR102577988B1 (ko) 수납가구용 선반 체결부재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KR102588348B1 (ko)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JP2589778Y2 (ja) 箱体構造
KR200315819Y1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선반
KR102480044B1 (ko) 휨 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기능의 이동선반을 구비한 수납가구
KR102553680B1 (ko) 책장용 책꽂이
KR200416804Y1 (ko)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KR200423192Y1 (ko) 책상 상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