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16B1 -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16B1
KR102348716B1 KR1020210117445A KR20210117445A KR102348716B1 KR 102348716 B1 KR102348716 B1 KR 102348716B1 KR 1020210117445 A KR1020210117445 A KR 1020210117445A KR 20210117445 A KR20210117445 A KR 20210117445A KR 102348716 B1 KR102348716 B1 KR 10234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grooves
fixing
fix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102021011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수납가구 선반 저면에 고정잠금구를 원터치 결합 형성하고 가구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거치핀이 삽입 및 잠금 구속되도록 하여 선반에 대한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납가구의 품질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하며, 선반 내 물품 인출 또는 수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지진 등의 진동으로부터 선반의 고정상태를 항시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반 하측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내향의 끼움홈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는 고정부재를 각기 결합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몸체와 이들 고정몸체의 상호 대향 내측에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 잠금레버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형성된 고정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된 거치홈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거치홈과 대응하는 잠금홈을 형성하여 잠금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가구 측판 내면에 고정 돌출된 선반거치핀이 상,하로 대향된 상기 고정몸체의 거치홈과 잠금레버의 잠금홈 내에 삽입 및 잠금 구속되어 선반이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The storage furniture in which fixing and locking structure of the shelf are applied to}
본 발명은 수납 혹은 진열과 전시 등을 목적으로 하며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이 구비된 수납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저면에 별도 구비의 고정잠금구를 원터치 결합 형성하고 가구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거치핀이 삽입 및 잠금 구속되도록 하여 선반에 대한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납가구의 품질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하며, 선반 내 물품 등을 꺼내거나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혹은 가구 전체를 이동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도 선반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가구 내지 수납가구라 함은 가구 본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가구 내부를 구획하는 적어도 1개체 이상의 선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무용 가구 혹은 가정용 가구 또는 주방용 가구와 전시용 혹은 진열용 가구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선반 구비형 수납가구는 주로 책이나 서류 혹은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각종 물품을 진열 혹은 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됨은 물론, 주방 씽크상부장 혹은 씽크하부장 내에 각종 그릇이나 조리 용기 및 도구 등을 수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수납가구는 대부분 가공판재(집성 목재판(MDF) 내지 PB합판)를 이용하여 생산되어지며 가구 본체 내부 역시 가공판재로 된 선반이 삽입 거치되고, 가구 본체의 양쪽 측판 내면에는 상호 대향의 선반거치핀(받침구 내지 다보)을 끼움 체결 후 이들 선반거치핀 상에 선반을 올려 설치하게 되며, 선반거치핀은 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형태에 따라 일측에 나사못이 형성된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가는 삽입핀을 갖는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원형 혹은 절곡형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여 선반 가구의 측판에 직접 나사 고정되거나 별도로 삽입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선반거치핀의 일측을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고정되기도 하는 것이다.
위 예시의 대표적인 선반 구비형 수납가구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0026595호 내지 공개실용신안 제1996-0019842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69991호 등이 대표적이라 할 것인데, 이들 수납가구는 본체 내부에 마련된 선반거치핀 상측에 선반을 단순히 안치하여 올려놓는 구조로서 이러한 선반 거치구조 혹은 선반 거치방법으로는 흔들림이나 충격 내지 물리적 외력에 대한 선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다.
예컨대, 선행 문헌의 선반거치핀은 선반을 상하 내지 좌우로 붙잡아주지 못하고 단순히 밑에서 받쳐주는 역할로 한정되는 것이므로 외부 간섭이나 충격 혹은 흔들림과 같은 물리적 외력(지진 발생으로 인한 진동 포함)이 작용할 경우 선반의 움직임으로 인한 선반 내 물품 등이 떨어지거나 선반이 낙하하여 심각한 안전사고 또는 파손을 유발하므로 인적 피해는 물론 물적인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며, 특히 선반거치핀에 안치되어진 선반은 측면방향과 하측방향에 대한 지지력 외에 상측 방향에 대한 지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므로 지진에 취약할 수 밖에 없고, 이사 혹은 위치 변경 등을 목적으로 수납가구를 옮기고자 할 경우 불안정 거치 상태의 선반을 모두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동 후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잦은 분해와 재조립 과정에서 선반을 포함한 수납가구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납가구의 사용 수명 단축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충격이나 진동에 매우 취약한 거치 구조를 갖는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등록공보 제10-2155510호 내지 특허등록공보 제10-1836149호가 제안된바 있으며, 선행문헌 제10-2155510호의 수납가구는 측판에 형성된 조립홀 내부로 삽입 후 고정볼트로서 고정되는 다보고정구와, 상기 다보고정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 하면을 지지함과 더불어 선반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다보받침구와, 수납가구 측판과 선반 측면 사이의 틈새에 끼움 인입되어 선반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밀착대가 다보받침구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충격이나 흔들림 등의 외력으로부터 다보받침구에 안치된 선반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과 더불어 측판과 선반 측면 사이 틈새에 인입되어진 밀착대의 끼움고정력으로부터 선반의 흔들림과 움직임을 최대한 방지토록 한 기술이고, 선행문헌 제10-1836149호 가구용 선반 지지장치(다보)는 수납가구의 수직부재(측판) 측면에 밀착 끼움 고정되는 수직부 및 선반의 가장자리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선반 가장자리 상단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림작용하는 딸깍이 형태의 결속부재(결속단턱 내지 보조결속단턱)와, 상기 고정부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선반 가장자리 저면에 구비되어진 고정홈에 끼움 고정되어 선반이 전후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로 조합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위 예시의 선행문헌 제10-2155510호는 다보 하면받침구가 선반하면을 단순히 받쳐주고 있으며 돌출 형태의 다보 전면받침구 일측과 선반전면이 고정되지 않고 이격되어진 구조로서 가벼운 충격이나 작은 흔들림으로부터 선반의 전방 이탈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을 것이나, 선반이 이들 구성물(하면받침구 내지 전면받침구)에 결속 고정되어 있지 못한 것이므로 지진과 같은 사방 연속의 진동이나 강력한 충격 및 흔들림으로부터 선반 이탈을 방지하기에 역부족이라 할 것이며, 수납가구 측판과 선반 측면 사이 틈새에 끼워져 선반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밀착대 역시 측판과 선반 측면 사이의 틈새 변화에 따라 끼움 고정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 상측방향에 대한 흔들임이나 외력 작용시 선반이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것이다.
아울러, 위 선행문헌 제10-1836149호는 대향의 수직부재(측판) 내측면으로 부착되어진 한 쌍의 지지장치와 그 위에 체결 안치되어지는 선반의 전후,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한 지지장치 고정부 상측 고정돌기와 선반 양측 하단 고정홈 간의 끼움 결합위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 있거나 계절 변화의 온도 차이로 인한 수직부재 내지 선반의 변형(수축 및 팽창) 발생시 지지장치(다보)에 대한 선반 체결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며, 상측 방향에 대한 선반 이탈 방지수단인 대향의 결속부재는 선반 양측 단부 상면을 단턱의 딸깍이 형태로서 물리적으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사 혹은 위치 변경 등을 목적으로 수납가구 내 선반을 분리 및 재조립하고자 할 경우 결속부재를 강제적으로 변형시키지 않는 한 선반이 분리되기 어렵고, 한번 변형된 결속부재는 선반 재 설치 후 본연의 걸림 고정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어 상측방향에 대한 선반의 흔들림 및 이탈 방지 기능이 현저히 저하됨과 더불어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수납가구의 사용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6-0026595 (1996.08.17.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6-0019842 (1996.07.18.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69991 (2020.01.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36149 (2018.03.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55510 (2020.09.08.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선반 하측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내향의 끼움홈을 다수 형성하고, 잠금레버를 구비한 고정부재를 끼움홈 내에 비노출 형태로 체결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잠금레버의 일단 내측으로 선반거치핀이 삽입 계지상태에서 고정 및 잠금되도록 함에 따라, 선반거치핀과 연계한 물림 상태의 선반이 흔들림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의 물리적 외력으로부터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 몸체를 양분하여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레버를 가조립상태로 수용 후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선반 끼움홈 내에 고정부재를 원터치 끼움 체결되도록함과 더불어, 선반 끼움홈과 고정부재 몸체 간에 더브테일 방식의 빠짐 방지 구조를 채용하여 억지끼움 결합과정에서 고정부재 부품들 간의 유기적 물림 결합력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토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반 하측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내향의 끼움홈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는 고정부재를 각기 결합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몸체와 이들 고정몸체의 상호 대향 내측에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 잠금레버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형성된 고정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된 거치홈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거치홈과 대응하는 잠금홈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가구 측판 내면에 고정 돌출된 선반거치핀이 상,하로 대향된 상기 고정몸체의 거치홈과 잠금레버의 잠금홈 내에 삽입 및 잠금 구속되어 선반이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반의 끼움홈은 경사면을 갖는 더브테일홈으로 형성하고, 분할 고정몸체의 외면은 상기 더브테일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더브테일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에 고정몸체가 가압 체결된 상태에서 이들 더브테일 및 더브테일홈 간의 걸림력에 따라 끼움홈으로부터 고정몸체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더브테일홈의 하측에는 수직내면부를 형성하고, 더브테일의 하측에는 수직외면부를 상호 대응 형성하여, 수직외면부에 형성되는 쐐기돌조가 수직내면부를 파고들면서 끼움홈 내에 고정몸체가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반거치핀과 연계한 고정 및 잠금 단속 구조의 고정부재를 다양한 형태의 수납가구 선반에 설치 적용함으로서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선반이 전후 또는 상하 움직임 없이 안전하게 고정됨에 따라 선반과 그 위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설치안정성과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되며, 지진과 같은 물리적 외력에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는 내진 기능의 선반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선반 또는 선반 내 물품의 안전한 진열 및 보관이 가능하며, 선반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구의 운반이나 이동이 가능하므로 취급 및 설치 상의 편리함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파손이나 훼손 예방에 따른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의 구조가 간소하여 생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많은 이점을 얻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선반 설치 예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과 고정 및 잠금 기능의 고정부재 간 체결상태를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시도.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분할 구성품들에 대한 구조 확인 및 부품 간 조립과정을 다양한 각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조립 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종단면 결합 및 분해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이용한 선반의 고정 및 잠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 11은 선반 설치 준비 예시도이고, 도 12는 선반거치핀에 안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13은 고정부재를 이용한 선반 고정 및 잠금상태를 예시한 것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선반 설치 예시도 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과 고정 및 잠금 기능의 고정부재 간 체결상태를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분할 구성품들에 대한 구조 확인 및 부품 간 조립과정을 다양한 각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가구(300)는 함체형 본체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선반(100)이 가로방향으로 층층이 이격 설치되어 구성되어지되, 본체 측판(310)에 체결되어진 받침부재(선반거치핀)(320)(320')를 이용하여 선반이 설치 고정되는 것이며, 전면이 개방되거나 필요시 힌지 구조의 개폐 도어가 설치되기도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납가구 선반은 위 예시의 받침부재인 선반거치핀(320)(320')과 고정부재(200)를 연계하여 고정 및 잠금 단속되는 것으로, 우선 선반(100) 하측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내향의 끼움홈(110)(110')을 복수개로 형성하되, 상기 끼움홈(110)(110')은 선반(100)이 평면상 사각 형태의 패널인 경우 좌,우 양측으로 대향하여 이격된 4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개수는 가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끼움홈(110)(110')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부재(200)를 각기 결합 형성하면 되는 것으로, 도시의 고정부재(200)는 사출성형의 합성수지 내지 다이캐스팅 성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몸체(210)(210')와, 이들 고정몸체(210)(210')의 상호 대향 내측에 선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210)(210')의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게 한 잠금레버(2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위 예시의 분할형 고정몸체(210)(210') 하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된 거치홈(211)(211')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220)의 일측 상부에는 거치홈(211)(211')과 대응하는 잠금홈(221)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레버(220)의 슬라이딩 출몰 이동을 통해 수납가구(300) 측판(310)(310') 내면에 고정 돌출된 선반거치핀(320)(320')이 상,하로 대향된 상기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 내에 삽입 및 잠금 구속된 상태로 선반(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잠금레버(220)를 후퇴시켜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이 하향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의 선반(100)을 수납가구(300) 측판(310)(310') 내면에 고정된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올려놓으면 선반거치핀(320)(320')의 상측은 상기 거치홈(211)(211')의 내측으로 삽입 계지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00)에 대한 안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퇴된 잠금레버(220)를 전진 이동시키면 잠금레버(220)의 상측에 형성된 잠금홈(221)이 선반거치핀(320)(320')의 저면을 감싸듯 전진하면서 상기 선반거치핀(320)(320')은 고정몸체(210)(210')와 잠금레버(2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형태의 결합 및 고정 잠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의 고정몸체(210)(210')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 잠금홈(221) 내에 선반거치핀(320)(320') 일단이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방향에 대한 외력이나 흔들림이 작용하더라도 선반은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할 것이고,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거치된 고정몸체(210)(210')를 통해서는 하측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예방될 것이며, 상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선반거치핀(320)(3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잠금레버(220)의 간섭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00)은 전후 또는 상하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선반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보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등과 같은 물리적 진동하중에도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므로 기존 수납가구용 선반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내진 기능의 선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선반(100)의 고정 및 잠금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선반(1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의 a와 같이 파지부(224)를 잡고 전진 상태의 잠금레버(220)를 간단하게 후퇴시키게 되면, 상기 잠금레버(220) 잠금홈(221)이 선반거치핀(320)(3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것이므로 기존과 같이 상기 선반(100)을 가볍게 들어올리는 것으로 선반(10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선반(100)의 끼움홈(110)(110')은 경사면을 갖는 더브테일홈(111)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의 고정몸체(210)(210') 외면은 상기 더브테일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더브테일(212)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110)(110')에 고정몸체(210)(210')를 가압함에 따라 상호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경사면을 갖는 더브테일홈(111)으로 경사면의 고정몸체(210)(210') 더브테일(212)이 삽입되면서 상호 견고한 밀착 결합이 이루어짐은 물론, 이들 결합 구성물(더브테일홈, 더브테일) 간의 걸림력에 따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선반 끼움홈(110)(110')으로부터 원터치 체결된 고정부재(200)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더브테일홈(111)의 하측에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수직내면부(112)를 형성하고, 더브테일(212)의 하측에는 수직외면부(213)를 상호 대응 형성하되, 상기 수직외면부(213)에는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쐐기돌조(214)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끼움홈(110)(110')으로 조립 상태의 고정몸체(210)(2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쐐기돌조(214)가 더브테일홈(111)의 수직내면부(112)를 파고들면서 삽입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끼움홈(110)(110')에 대한 고정몸체(210)(210')의 견고한 억지끼움에 따른 무볼팅 체결구조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분할 고정몸체(210)(210')는,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에 끼움구(215)(215')와 끼움홈(216)(216')을 대응 형성하여 이들 끼움구(215)(215')와 끼움홈(216)(216')의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끼움구(215)(215')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216)(216')의 내면을 삽입 방향을 따라 파고들어가며 결합되는 가압돌기(217)(217')를 돌출 형성하여 분할된 고정몸체(210)(210')의 상호 결합력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양측 분할 형태의 고정몸체(210)(210')는, 상호 대향면에 잠금레버(220)의 선단이 삽입 후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개방의 수용홈부(218)(218')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부(218)(218')의 내측 상부에는 수용홈부(218)(218')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상의 걸림홈(219)(219')을 형성하며, 잠금레버(220)의 선단에는 상기 수용홈부(218)(218')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222)와 상기 삽입부(22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19)(219')으로 끼워지는 경사상 걸림돌부(223)(223')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분할된 고정몸체(210)(210') 중 일측의 고정몸체(210)(210')에 형성된 수용홈부(218)(218') 내에 도 6 또는 도 10과 같이 상기 잠금레버(22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222)를 안치하게 되면 삽입부(222)의 일측 걸림돌부(223)(223')가 수용홈부(218)(218') 내 걸림홈(219)(219')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할의 고정몸체(210)(210')를 상기 끼움구(215)(215')와 끼움홈(216)(216')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면 잠금레버(220)가 내장된 상태로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잠금레버(220)는 삽입부(222)가 수용홈부(218)(218')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서, 잠금레버(220)를 후퇴시키면 잠금레버(220)의 삽입부(222)가 수용홈부(218)(218') 공간 내에서 이동하되 삽입부(222)의 양측 걸림돌부(223)(223')는 수용홈부(218)(218')의 걸림홈(219)(219')에 삽입 계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의 잠금레버(220)는 서로 조립된 고정본체(210)(2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아니하고 횡방향으로만 전후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본체(210)(210')의 하부에 형성된 거치홈(211)(211')이 하향 개방 상태로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잠금레버(220)를 전진시키면 상기 잠금레버(220)의 일측단이 상기 거치홈(211)(211')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이 상,하로 상호 대향된 형태로 위치되어 선반거치핀의 고정 및 잠금을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수용홈부(218)(218')의 내측 선단에는 도 5, 도 6, 도 8과 같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계지홈(218a)(218a')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레버(220)의 삽입부(222) 상측에는 상향 돌출의 탄지돌부(222a)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레버(220)의 탄지돌부(222a)가 계지홈(218a)(218a')에 선택 삽입됨에 따라 고정몸체(210)(2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는 잠금레버(220)가 이동 위치에서 인위적으로 움직이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고, 전기한 바와 같은 잠금레버(220)의 하측에는 하향 돌출의 파지부(224)를 더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파지부(224)를 이용하여 잠금레버(22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잠금레버(220)를 도 8의 a와 같이 후퇴시키면 잠금레버(220)의 탄지돌부(222a)가 수용홈부(218)(218') 내 계지홈(218a)(218a') 중 후측에 위치한 계지홈에 탄력 계지되면서 잠금레버(220)의 후퇴 상태가 탄지상태로 고정될 것이고, 상기 잠금레버(220)를 도 8의 b와 같이 전진 이동시키면 잠금레버(220)의 탄지돌부(222a)가 수용홈부(218)(218') 내 계지홈(218a)(218a') 중 앞쪽에 위치한 계지홈에 탄력 계지되면서 잠금레버(220)의 전진 상태가 고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레버(220)가 후퇴된 상태의 선반(100)을 수납가구(300)의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올려놓으면 상기 선반거치핀(320)(320')의 상측이 고정몸체(210)(210')의 하향 개방된 거치홈(211)(2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선반(100)에 대한 거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선반(100)에 대한 거치 상태에서 저면의 잠금레버(220)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잠금레버(220)의 상측 잠금홈(221)이 선반거치핀(320)(320')의 하측에 슬라이딩 밀착되면서 상기 선반거치핀(320)(320')이 고정몸체(210)(210')와 잠금레버(220)의 측단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된 고정몸체(210)(210')가 도 4 b와 같이 서로 밀착 결합되면 이들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은 하향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 역시 상향 반원형의 홈으로 구성되어, 상호 반원형으로 대응하는 이들 거치홈(211)(211') 및 잠금홈(221)으로 삽입되는 원형 단면으로 된 선반거치핀(320)(320')의 전체 외주면이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선반(100)에 대한 미세한 흔들림이나 움직임까지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지지력이 확보됨은 물론 선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납가구 전체 면적으로 분산 유도하게되므로 수납가구 측판(310) 내지 선반거치핀(320)(320')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수납가구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가일층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분할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 잠금홈(221)은 원형이나 사각 또는 타원 중 택일된 어느 하나의 형태에서 이등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선반거치핀(320)(320')이 정사각 혹은 직사각 단면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 역시 사각 단면의 홈부로 대응 형성되는 것이며, 이외 선반거치핀(320)(320')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210)(210')와 잠금레버(220) 역시 다양한 단면 형상과 크기로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고정몸체(210)(210') 및 잠금레버(220)에 의한 고정부재(200)가 선반(100) 저면의 끼움홈(110)(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선반(100)에 대한 거치 및 고정 잠금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1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수납가구(300)의 내부에 선반(100)을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수납가구(300) 측판(310)(310')에 결합 고정된 상태의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상기의 선반(100)을 올려놓으면 되는 것인데, 선반(100) 저면의 고정부재(200)는 잠금레버(220)가 후측으로 후퇴된 상태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고, 잠금레버(220)의 후퇴 작동으로 인해 고정몸체(210)(210') 저면의 거치홈(211)(211')은 하향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선반(100)을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올려놓게 되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선반(100) 저면의 고정몸체(210)(210')에 형성된 거치홈(211)(211')으로 선반거치핀(320)(320')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선반(100)에 대한 안정적인 거치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단순 거치 상태에서도 선반(100)은 선반거치핀(320)(320') 상에 계지된 상태를 갖고 있어 기존의 선반 거치 상태에 비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선반(100)에 대한 거치가 이루어진 후 선반(100)의 고정부재(200)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잠금레버(220)를 도 13과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키되, 잠금레버(220)의 파지부(224)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레버(220)의 삽입부(222)에 형성되어 있는 탄지돌부(222a)가 이동하여 고정몸체(210)(210') 내 수용홈부(218)(218')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홈(218a)(218a') 중 전방에 위치한 계지홈(218a)(218a')으로 탄력적인 계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220)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잠금레버(2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잠금홈(221)은 선반거치핀(320)(320')의 저면에 슬라이딩 밀착되면서 상기 선반거치핀(320)(320')의 하부 전체를 감싸듯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반거치핀(320)(320')은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 내에 상부가 계지되는 동시에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 내에 하부가 계지되므로 결국 고정부재(200)의 측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므로, 선반(100)의 저면 4개소에서의 선반거치핀(320)(320')에 대한 상호 밀착 결합 구조로 인해 상기의 선반(100)은 사방으로 전혀 유동할 수 없는 견고한 장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의해 상기의 선반(1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반(100) 저면의 잠금레버(220)를 단순히 후퇴시키는 것만으로 선반거치핀(320)(320')이 노출되므로 선반(100)을 상측으로 가볍게 들어올려 손쉽게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후퇴 상태의 잠금레버(220)는 탄지돌부(222a)가 고정몸체(210)(210')의 계지홈(218)(218') 내 후측에 위치한 계지홈(218a)(218a')에 탄력 계지되면서 후퇴 상태의 잠금레버(220)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실시 예의 본 발명은 수납이나 진열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가구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선반의 빠르고 견고한 장착은 물론 선반의 움직임이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설치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되며, 고정부재 몸체를 양분하여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레버를 가조립상태로 수용 후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선반 끼움홈 내에 고정부재를 원터치 끼움 체결하여 결합 고정함으로서 생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많은 이점을 얻게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된 선반은 내진 기능이 반영된 것으로, 지진 발생으로부터 수납가구가 흔들릴 경우에도 선반에 수납된 물품들이 쓸어지거나 바닥으로 낙하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예방과 더불어 사람이 다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신규 유용의 기술이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일 실시 예에 의해서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 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0 : 선반, 110,110' : 끼움홈,
111 : 더브테일홈, 112 : 수직내면부,
200 : 고정부재, 210,210' : 고정몸체,
211,211' : 거치홈, 212 : 더브테일,
213 : 수직외면부, 214 : 쐐기돌조,
215,215' : 끼움구, 216,216' : 끼움홈,
217,217' : 가압돌기, 218,218' : 수용홈부,
219,219' : 걸림홈, 220 : 잠금레버,
221 : 잠금홈, 222 : 삽입부,
223,223' : 걸림돌부, 224 : 파지부,
300 : 수납가구, 310,310' : 측판,
320,320' : 선반거치핀

Claims (8)

  1. 함체형 본체 내부에 선반(100)이 배치되며, 선반 설치를 위한 선반거치핀(320)(320')이 본체 측판(310)에 체결 구비되어진 수납가구(300)에 있어서,
    상기 선반(100) 하측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내향의 끼움홈(110)(110')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10)(110')에는 고정부재(200)를 각기 결합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200)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몸체(210)(210')와 이들 고정몸체(210)(210')의 상호 대향 내측에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210)(210')의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게 한 잠금레버(220)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형성된 고정몸체(210)(210')의 하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된 거치홈(211)(211')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22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거치홈(211)(211')과 대응하는 잠금홈(221)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레버(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가구(300)의 측판(310)(310') 내면에 고정 돌출된 선반거치핀(320)(320')이 상,하로 대향된 상기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 내에 삽입 및 잠금 구속된 상태로 선반(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선반(100)의 끼움홈(110)(110')은 경사면을 갖는 더브테일홈(111)으로 형성하고, 분할 고정몸체(210)(210')의 외면은 상기 더브테일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더브테일(212)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110)(110')에 고정몸체(210)(210')가 가압 체결된 상태에서 이들 더브테일(212) 및 더브테일홈(111) 간의 걸림력에 따라 끼움홈(110)(110')으로부터 고정몸체(210)(210')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더브테일홈(111)의 하측에는 수직내면부(112)를 형성하고, 상기 더브테일(212)의 하측에는 수직외면부(213)를 상호 대응 형성하여, 상기 수직외면부(213)에 형성되는 쐐기돌조(214)가 상기 수직내면부(112)를 파고들면서 상기 끼움홈(110)(110') 내에 고정몸체(210)(210')가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의 고정몸체(210)(210')는 상호 대향의 끼움구(215)(215')와 끼움홈(216)(216')을 형성하여 이들 끼움구(215)(215')와 끼움홈(216)(216')의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끼움구(215)(215')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216)(216')의 내면을 파고들어가며 결합되는 가압돌기(217)(217')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의 고정몸체(210)(210')는 상호 대향면에 잠금레버(220)의 선단이 삽입 유동되게 한 하향 개방의 수용홈부(218)(218')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부(218)(218')의 내측 상부에는 수용홈부(218)(218')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219)(219')을 형성하며, 상기 잠금레버(220)의 선단에는 상기 수용홈부(218)(218')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222)와 상기 삽입부(22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홈(219)(219')으로 끼워지는 걸림돌부(223)(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용홈부(218)(218')의 내측 선단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계지홈(218a)(218a')을 형성하고, 잠금레버(220)의 삽입부(222) 상측에는 상향 돌출의 탄지돌부(222a)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레버(220)의 탄지돌부(222a)가 계지홈(218a)(218a')에 선택 삽입됨에 따라 고정몸체(210)(2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는 잠금레버(220)가 이동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레버(220)의 하측에는 하향 돌출의 파지부(224)를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 형성된 고정몸체(210)(210')가 서로 밀착 결합되면 이들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은 하향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220)의 잠금홈(221)은 상향 반원형의 홈으로 구성되어, 상호 반원형으로 대응하는 이들 거치홈(211)(211') 및 잠금홈(221)으로 삽입되는 원형 단면으로 된 선반거치핀(320)(320')이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8. 제 7 항에 있어서,
    분할 고정몸체(210)(210')의 거치홈(211)(211')과 잠금레버 잠금홈(221)은 원형이나 사각 또는 타원 중 택일된 어느 하나의 형태에서 이등분 상태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KR1020210117445A 2021-09-03 2021-09-03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KR10234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45A KR102348716B1 (ko) 2021-09-03 2021-09-03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45A KR102348716B1 (ko) 2021-09-03 2021-09-03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16B1 true KR102348716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445A KR102348716B1 (ko) 2021-09-03 2021-09-03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48B1 (ko) * 2022-09-20 2022-12-20 (주)비엠오피스퍼니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11A (ja) * 1993-02-09 1994-08-23 Hitachi Chem Co Ltd 棚受け具
KR960019842U (ko) 1994-12-27 1996-07-18 김정명 가구용 선반받침구
KR960026595U (ko) 1995-01-14 1996-08-17 김정환 가구용 선반걸이구
JP2006130179A (ja) * 2004-11-09 2006-05-25 Okamura Corp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JP2008093066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ジョイント装置及びこのジョイント装置を有する収納装置
JP2010000162A (ja) * 2008-06-19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JP2015012925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棚板取付具及び棚装置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2069991B1 (ko) 2019-02-07 2020-01-23 장진영 선반의 상하 위치 조절형 책장
KR102155510B1 (ko)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11A (ja) * 1993-02-09 1994-08-23 Hitachi Chem Co Ltd 棚受け具
KR960019842U (ko) 1994-12-27 1996-07-18 김정명 가구용 선반받침구
KR960026595U (ko) 1995-01-14 1996-08-17 김정환 가구용 선반걸이구
JP2006130179A (ja) * 2004-11-09 2006-05-25 Okamura Corp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JP2008093066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ジョイント装置及びこのジョイント装置を有する収納装置
JP2010000162A (ja) * 2008-06-19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JP2015012925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棚板取付具及び棚装置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2069991B1 (ko) 2019-02-07 2020-01-23 장진영 선반의 상하 위치 조절형 책장
KR102155510B1 (ko)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48B1 (ko) * 2022-09-20 2022-12-20 (주)비엠오피스퍼니처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716B1 (ko)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US20080238277A1 (en) Steel cabinet and locker
US2019009037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sisting shock to a data-center rack
JP4568613B2 (ja) 物品保管棚
KR200462232Y1 (ko)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US4029282A (en) Wall bracket and clip arrangement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US20180128018A1 (en) Locking device
KR101643359B1 (ko) 조립식 책상
US20170311716A1 (en) Cabinet assembly
JP6451502B2 (ja) 組立式収納庫
US20100253193A1 (en)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KR102124018B1 (ko) 선반 고정장치
KR20010006043A (ko)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KR100782634B1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A2558809A1 (en) Shelf shipping clip
KR101487734B1 (ko) 가구 조립체
KR100652813B1 (ko) 북 앤드
KR20210072389A (ko)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KR102454333B1 (ko) 가구 선반 안전 고정장치
JPH1057170A (ja) 書棚の棚板取付装置
KR102479441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가변형 선반
KR102577988B1 (ko) 수납가구용 선반 체결부재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