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389A -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389A
KR20210072389A KR1020190162660A KR20190162660A KR20210072389A KR 20210072389 A KR20210072389 A KR 20210072389A KR 1020190162660 A KR1020190162660 A KR 1020190162660A KR 20190162660 A KR20190162660 A KR 20190162660A KR 20210072389 A KR20210072389 A KR 2021007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pring
furniture
drawer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109B1 (ko
Inventor
신의재
Original Assignee
신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재 filed Critical 신의재
Priority to KR102019016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1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Drawers with castors, rollers or wheels, supported directly on a surface below, e.g. on a floor, shelf or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을 갖는 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의 전면 하측에 하향 개구된 장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에는 고정결합체와 유동결합체로 이루어진 하중지지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고정결합체는 서랍의 장착홈부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고 상기 유동결합체에는 하단에 롤러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고정결합체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랍에 대하여 하중지지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상기의 하중지지구는 인출 상태의 서랍 및 서랍 내부의 수납물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므로 서랍 자체 및 슬라이딩 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서랍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개폐 작용은 서랍 및 가구 본체와 슬라이딩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므로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경제적인 것이고, 서랍의 개폐 방향에 해당하는 바닥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상,하로 탄력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며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서랍의 하중 지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서랍을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Furniture with support for drawer load}
본 발명은 서랍을 갖는 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된 가구의 서랍 중 가장 최하단에 위치하는 서랍의 앞쪽 하부에 별도 구비의 하중 지지수단을 장착하여 구성함에 따라 크고 무거운 형태의 하단 서랍을 인출하여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서랍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켜 서랍 자체는 물론 가구 내 슬라이딩 레일 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서랍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 서랍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 형태의 장이나 협탁 또는 사무용 책상의 서랍장과 같이 다단으로 서랍이 구비된 가구의 경우에는 가구본체의 내부 양측면에 상기 서랍장과 대응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장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통해 서랍장이 부드럽고 간편하게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슬라이딩 레일은 공개특허 제10-2016-0091181호와 같이 가구 본체의 내면 양측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서랍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이동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롤러 상에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거치되도록 조립함에 따라 상기의 서랍이 롤러의 구름 작용에 의해 부드럽게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특허 제10-1021574호와 같이 슬라이딩 되는 물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레일 몸체, 상기 공간의 서로 대각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양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레일 몸체와 접촉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구름체, 상기 슬라이딩 고정 물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 몸체의 중첩되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고정 공간을 가지는 고정 레일 몸체, 상기 고정 공간의 서로 대각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양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레일 몸체와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고정 구름체, 그리고 상기 공간과 상기 고정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구름체와 구름 접촉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 구름체와 구름 접촉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심에서 상기 슬라이딩 되는 물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구름체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연결선까지 이루어진 각도가 40~50도가 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구름체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심에서 상기 슬라이딩 되는 물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고정 구름체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연결선까지 이루어진 각도가 130~140도가 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고정 구름체가 각각 배치되게 한 슬라이딩 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슬라이딩 장치는 상호 견고하고 안정적인 슬라이딩 결합력을 갖고 있어 다소 무거운 서랍 및 중량체가 수납된 상태의 서랍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서랍장 등의 가구는 서랍 내에 무거운 물건을 가득 넣은 상태에서 상기의 서랍을 인출하게 되면 서랍의 양측 끝단에만 슬라이딩 장치가 결합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의 서랍은 앞쪽에서부터 상당한 하중을 받게 되는 동시에 하중으로 인한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은 슬라이딩 장치를 변형 또는 파손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서랍 자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최하단의 서랍에는 별도의 지지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서랍의 인출시 하향 작용하는 하중을 버티고자 공개실용신안 제20-1992-000181호와 같이 서랍의 하부에 별도 구비의 바퀴를 장착하여 상기의 서랍을 인출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바퀴가 구르며 서랍 앞쪽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빼닫이 서랍장이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서랍장과 유사하게는 공개특허 제10-2016-0064551호와 같이 주방 가구의 하부와 주방의 바닥 사이에 배치되며, 주방 가구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판, 이 전판과 대향하는 후판, 전판과 후판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측판, 상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판, 후판, 전판, 2개의 측판, 및 바닥판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분리 또는 개방 가능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주방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주방의 바닥을 향하는 표면에는 상기 주방의 바닥에 대해 구름 접촉하는 2개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고, 상기 측판에는 상기 주방가구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전판 및 상기 측판 중의 하나 이상의 하단은, 상기 상판에 소정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주방의 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주방의 바닥 또는 상기 롤러의 하단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높게 형성된 주방 가구용 서랍이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받침수단을 갖는 다양한 가구의 경우 받침수단이 서랍 하부에 단순 장착된 롤러 또는 바퀴에 그치는 것이어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서랍의 여닫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불규칙한 바닥면 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랍이 심하게 흔들거리거나 여닫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롤러 결합체를 갖는 서랍의 경우 서랍과 가구 본체 간의 슬라이딩 장치와 상기 롤러 결합체 간의 간격 변화가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설계 오차 혹은 조립 및 생산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롤러 결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서랍을 개방시키는 경우 바닥면과의 간섭이 심해 서랍이 윗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개폐되거나 아예 롤러 하단이 바닥에 접지되지 못한 상태로 개폐 작동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구의 설치 바닥면이 매끄럽지 못한 불규칙 상태인 경우에도 불규칙한 바닥면을 따라 롤러 결합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랍의 상,하 요동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요동 과정에서 슬라이딩 장치의 허용 공차를 넘어서는 경우 서랍의 부드러운 개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아예 작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를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부적합 상태의 개폐 작동이 반복되는 경우 슬라이딩 장치는 물론 서랍 자체의 파손이 일어나 경제적 손실은 물론 가구의 사용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91181 (2016.08.02.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21574 (2011.03.04.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2-0000181 (1992.01.27.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64551 (2016.06.08. 공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서랍의 전면 하측에 하향 개구된 장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에는 고정결합체와 유동결합체로 이루어진 하중지지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고정결합체는 서랍의 장착홈부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고 상기 유동결합체에는 하단에 롤러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고정결합체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로 탄력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는 하중지지구에 의해 서랍에 작용하는 내부 수납물에 의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하중지지구의 롤러를 통해 서랍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유동결합체의 탄력적인 승강을 통해 완충 효과 및 불규칙한 바닥면에서도 서랍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서랍의 하부에 롤러를 갖는 별도의 하중지지구가 장착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구는 서랍에 장착되는 고정결합체와 상기 고정결합체로부터 탄발스프링에 의해 상,하 탄력적으로 승강되도록 체결되는 유동결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결합체의 하단에는 롤러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서랍의 전면 하측으로는 하향 개구된 장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의 상부 내측으로는 걸림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결합체는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공과 대응하는 걸림턱을 돌출 형성하고 하부 일측으로는 서랍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게 한 지지돌출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동결합체의 선단에는 고정결합체의 내면에 형성된 체결승강홈으로 탄력 계지되게 한 체결걸림구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랍에 대하여 하중지지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상기의 하중지지구는 인출 상태의 서랍 및 서랍 내부의 수납물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므로 서랍 자체 및 슬라이딩 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서랍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개폐 작용은 서랍 및 가구 본체와 슬라이딩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므로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경제적인 것이고, 서랍의 개폐 방향에 해당하는 바닥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상,하로 탄력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며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서랍의 하중 지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서랍을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가 결합되는 가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 및 서랍 결합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정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측단면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에 대한 서랍과의 조립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에 대한 서랍과의 조립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작동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정면 전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가 결합되는 가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 및 서랍 결합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정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의 측단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지지구(100)는 서랍장이나 협탁 혹은 침대 등 다양한 가구(200)의 서랍(210)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의 서랍(210)에는 전면 중앙에 하향 개구된 장착홈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211)의 내부 선단 일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걸림공(212)을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하중지지구(100)가 상기 장착홈부(211)와 걸림공(212)을 통해 간편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하중지지구(100)는 상기 서랍(210)의 장착홈부(211)에 원터치 삽입 고정되는 고정결합체(110)와 상기 고정결합체(11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체결되는 유동결합체(1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결합체(110)에 유동결합체(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결합체(110)를 서랍(210)의 장착홈부(211)에 끼워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하중지지구(100)에 대한 조립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의 고정결합체(110)는 일측 선단에 상기 서랍(210)의 장착홈부(211) 내에 형성된 걸림공(212)과 대응하는 걸림턱(111)이 쐐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동일 측면의 하측에는 단턱진 형태로 돌출된 지지돌출턱(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결합체(110)를 장착홈부(211)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111)이 걸림공(212) 내에 탄력적으로 계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의 지지돌출턱(112)의 상단은 서랍(210)의 저면에 밀착 계지되므로 상기의 고정결합체(110)는 서랍(210) 및 장착홈부(211)에 대하여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랍(210)의 장착홈부(211)를 서랍(210)의 전면 방향으로도 개구되게 하고 상기 서랍(210)의 전면으로부터 장착홈부(211)의 내면 양측으로 돌출되게 한 계지리브(213)(213')를 장착홈부(211) 내에 형성한 것이며,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외면 즉, 서랍(210)의 전면에 해당하는 고정결합체(100)의 일측면 양측 모서리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의 계지홈(115)(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부(211)의 하측으로부터 고정결합체(100)를 상측으로 끼워 삽입하면 고정결합체(100)의 계지홈(115)(115')으로 장착홈부(211)의 계지리브(213)(213')가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계지홈(115)(115')과 계지리브(213)(213')는 서로 대응하는 깊이와 두께 및 폭과 이격 거리를 갖고 구성되므로 결국 상기 고정결합체(100)의 표면은 서랍(210)의 전면 표면과 서로 연속하여 일치하는 동일 표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100)를 서랍(210) 전면의 가장 끝단에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서랍(210)에 작용하는 자체의 무게 및 수납물을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개방된 장착홈부(211)의 전면을 통해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고른 품질의 생산성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서랍(210) 전면에는 별도 구비의 장식용 전면패널 등을 다양하게 추가로 장착 고정하여 상기 장착홈부(211) 및 고정결합체(110)의 노출면을 은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유동결합체(120)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게 한 고정결합체(110)의 내면 바닥에는 수직 방향으로 기다한 홈 형태의 체결승강홈(113)(11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체결승강홈(113)(113')의 상측에는 하향 돌출의 스프링결합부(114)가 별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삽입되는 유동결합체(120)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승강홈(113)(113')으로 탄력적인 삽입 계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체결걸림구(121)(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체결걸림구(121)(121')의 사이에는 전기한 고정결합체(110)의 스프링결합부(114)와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의 스프링끼움부(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선단을 고정결합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밀어올리면 쐐기 형태로 된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체결걸림구(121)(121')가 고정결합체(110)의 체결승강홈(113)(113')으로 탄력적인 계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의 체결승강홈(113)(113')은 수직 방향으로 슬롯 형태를 갖고 있어 이러한 체결승강홈(113)(113')으로 인해 상기 유동결합체(120)는 상기 체결승강홈(113)(113')의 수직 범위 내에서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고정결합체(110)의 스프링결합부(114)에 탄발스프링(130)의 선단을 끼워 고정시키고 유동결합체(120)의 스프링끼움구(122)에 탄발스프링(130)의 하단을 끼워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의 유동결합체(120)는 탄발스프링(130)의 반력에 의해 가장 낮은 상태로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결합체(12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의 탄발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하중 변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부(211)가 형성된 서랍(210)의 하측으로부터 하중지지구(100)의 고정결합체(110) 선단을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장착홈부(211)의 내측으로 밀어올리면 고정결합체(110)가 장착홈부(211)의 내부로 빠듯하게 삽입되면서 걸림턱(111)이 장착홈부(211) 내 걸림공(212)에 탄력적으로 계지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고정결합체(110)의 지지돌출턱(112)은 서랍(21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결합체(11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계지홈(115)(115')은 장착홈부(211) 내 양측 계지리브(213)(213')에 서로 계지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100)는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서랍(210)에 대하여 원터치 삽입에 의한 간편한 결합이 가능한 동시에 유동없는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서랍(210)에 하중지지구(100)가 결합된 상태의 가구본체(200)로부터 상기의 서랍(210)을 인출 개방시킬 경우 서랍 자체의 하중 및 서랍 내부의 수납물에 대한 하중은 가구본체(200) 내의 슬라이딩 장치와 상기 하중지지구(100)로 분산되는 동시에 기존의 1점 지지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장치와 하중지지구(100)에 의한 2점 지지 방식으로 서랍(210)이 개방되므로 더욱 고중량체의 수납물이라 할지라도 슬라이딩 장치 및 서랍(210) 자체에 전혀 부담이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체(110)로부터 상,하로 탄력 승강되는 유동결합체(120)는 하측의 롤러(140)에 의해 서랍(210)이 더욱 부드럽게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가구의 설치 바닥면 또는 서랍의 개폐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상기의 유동결합체(120)가 바닥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승강되면서 완충 작용을 수행하므로 서랍(210)의 개폐 부하 및 개폐 과정에서의 소음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경우 하단에 별도 구비의 롤러(14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의 유동결합체(120) 하단에는 상기 롤러(140)를 장착하기 위한 평면상 확장의 롤러체결부(125)를 형성하여 상기 롤러체결부(125)를 제외한 유동결합체(120)가 고정결합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결합체(120)를 통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실리콘패드(170)는 상기 롤러체결부(125) 상에 밀착 안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실리콘패드(170)는 전기한 유동결합체(120)가 상승하여 롤러체결부(125)의 상면에 고정결합체(110)의 하단과 맞닿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충격이 발생하거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100)가 결합된 상태의 서랍(210)은 고중량체로 된 수납물을 넣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것은 물론 서랍(210)을 가구본체(200)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장치에 대한 파손이나 변형 등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서랍을 포함한 가구 전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 구비의 보강지지구(150)를 사용하여 또 다른 보강스프링(160)을 탄력적으로 삽입한 것으로, 기존의 탄발스프링(130)에 의한 1차 완충 작용 후 상기 보강스프링(160)이 압출되도록 하여 순차적이고 복합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후측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구속홈(116)을 형성하여 상기 구속홈(116)의 내측으로 별도 구비의 보강지지구(150)가 고정결합체(110)의 표면으로 비돌출되도록 삽입 형성한 것으로, 상기의 보강지지구(150)는 고정결합체(110)의 내측을 향하는 일면에 한 쌍의 걸림조립편(151)(151')이 쐐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걸림조립편(151)(151')의 사이에는 하향 돌출의 스프링조립구(1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유동결합체(120)의 양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유동슬롯(123)(1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유동슬롯(123)(123')의 상,하 길이는 전기한 체결승강홈(113)(113')의 상,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보강지지구(150)의 걸림조립편(151)(151')이 유동슬롯(123)(123')에 탄력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의 유동결합체(120)의 상,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의 보강지지구(150)는 고정결합체(110)에 형성된 구속홈(116)으로 끼워진 상태이므로 보강지지구(150) 자체의 상,하 승강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보강지지구(150)의 돌출된 걸림조립편(151)(151')은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유동결합체(120)의 유동슬롯(123)(12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승강 작용에도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하부 내측에는 전기한 보강지지구(150)의 스프링조립구(152)와 대응하는 형태의 스프링안치구(124)를 상향 돌출 형성하여 이들 스프링조립구(152)와 스프링안치구(124)가 각기 상단 및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별도 구비의 보강스프링(160)을 삽입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스프링(160)은 전기한 탄발스프링(130)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거나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보강지지구(150)의 스프링조립구(152)와 유동결합체(120)의 스프링안치구(124)의 간격을 상기 보강스프링(160)의 길이보다 넓게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동결합체(12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탄발스프링(130)의 1차 압축이 일어나고 탄발스프링(130)의 압축 과정에서 상기 보강스프링(160)이 추가적으로 압축이 일어나도록 하여 이들 탄발스프링(130)과 보강스프링(160)이 시간 차를 갖고 순차적인 탄발력을 연출하도록 하는 것이고, 보강스프링(160)이 압축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130)과 함께 복합적인 탄발력을 연출하므로 중량체가 서랍(210) 내에 수납된 경우 이들 탄발스프링(130)과 보강스프링(160)이 복합적으로 탄발 및 완충 작용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서랍(210) 자체의 하중 및 내부 수납물의 중량에 구애없이 상기의 서랍(210)은 충분한 탄발력을 갖고 하중으로부터 완충력을 갖고 지지되므로 서랍(210)을 가구본체(200)와 결합 및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는 것이고, 가구의 크기 또는 서랍 내에 수납되는 물품의 중류와 하중에 따라 상기 보강스프링(160)을 다양하게 교체 적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가구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하중지지구가 장착된 서랍을 갖는 가구는 서랍의 여닫이 과정에서 서랍은 물론 서랍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것은 물론 불규칙한 바닥면 상에서도 서랍이 부드럽고 손쉽게 열리고 닫히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하중지지구
110 : 고정결합체 111 : 걸림턱
112 : 지지돌출턱 113,113' : 체결승강홈
114 : 스프링결합부 115,115' : 계지홈
116 : 구속홈
120 : 유동결합체 121,121' : 체결걸림구
122 : 스프링끼움부 123,123' : 유동슬롯
124 : 스프링안치구 125 : 롤러체결부
130 : 탄발스프링
140 : 롤러
150 : 보강지지구 151,151' : 걸림조립편
152 : 스프링조립구
160 : 보강스프링
170 : 실리콘패드
200 : 가구본체
210 : 서랍 211 : 장착홈부
212 : 걸림공 213,213' : 계지리브

Claims (6)

  1. 가구본체(200)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서랍(210)의 하부에 롤러를 갖는 하중지지구(100)가 장착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구(100)는 서랍(210)에 장착되는 고정결합체(110)와 상기 고정결합체(110)로부터 탄발스프링(130)에 의해 상,하 탄력적으로 승강되도록 체결되는 유동결합체(12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하단에는 롤러(140)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서랍(210)의 전면 하측으로는 하향 개구된 장착홈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211)의 상부 내측으로는 걸림공(21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결합체(110)는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공(212)과 대응하는 걸림턱(111)을 돌출 형성하고 하부 일측으로는 서랍(21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게 한 지지돌출턱(11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선단에는 고정결합체(110)의 내면에 형성된 체결승강홈(113)(113')으로 탄력 계지되게 한 체결걸림구(121)(12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결합체(110)의 선단 내측에는 스프링결합부(114)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선단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114)와 대응하는 스프링끼움부(122)를 상향 돌출 형성하여, 이들 스프링결합부(114)와 스프링끼움부(122)의 사이에 상기 탄발스프링(130)이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하향 개구된 서랍(210)의 장착홈부(211)는 서랍(210)의 전면 방향으로도 개구되도록 하여 서랍(210)의 전면으로부터 장착홈부(211)의 내면 양측에 위치되게 한 계지리브(213)(213')를 돌출 형성하고, 하중지지구(100)의 고정결합체(110) 일면 양측에는 상기 계지리브(213)(213')의 간격 및 두께와 일치하는 간격과 깊이의 계지홈(115)(115')을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장착홈부(211) 내에 고정결합체(11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계지리브(213)(213')와 계지홈(115)(115')이 서로 계지 결합되며 상기 서랍(210)의 전면과 고정결합체(110)의 전면이 서로 연속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결합체(110)의 후측 하부에는 횡방향으로의 구속홈(116)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결합체(120)의 양측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유동슬롯(123)(123')을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보강지지구(150)가 상기 구속홈(116) 및 유동슬롯(123)(123')에 결합되게 하되,
    상기 보강지지구(150)는 상기 구속홈(116)의 내측에 비돌출 형태로 삽입되게 하고 보강지지구(150)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슬롯(123)(123')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조립편(151)(151')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구(150)와 유동결합체(120)의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별도 구비의 보강스프링(160)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5. 제 4항에 있어서,
    유동결합체(12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보강스프링(16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스프링안치구(124)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지지구(150)의 일측에는 보강스프링(16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스프링조립구(152)를 하향 돌출 형성하여, 이들 스프링안치구(124)와 스프링조립구(152) 사이에 보강스프링(160)이 삽입되게 하되,
    상기 고정결합체(110)에 대한 유동결합체(120)의 상승시 상기의 탄발스프링(130)보다 보강스프링(160)이 늦게 압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이들 탄발스프링(130)과 보강스프링(160)이 순차 복합적으로 작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유동결합체(120)의 하측에는 상기 롤러(140)가 결합되게 한 평면상 확장 면적의 롤러체결부(125)를 형성하되, 상기 유동결합체(120)에는 상기 롤러체결부(125)의 상면에 위치되게 한 실리콘패드(17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결합체(110)의 하단과 롤러체결부(125) 사이에서의 완충 작용 및 소음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KR1020190162660A 2019-12-09 2019-12-09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KR10228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60A KR102282109B1 (ko) 2019-12-09 2019-12-09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60A KR102282109B1 (ko) 2019-12-09 2019-12-09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89A true KR20210072389A (ko) 2021-06-17
KR102282109B1 KR102282109B1 (ko) 2021-07-26

Family

ID=766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60A KR102282109B1 (ko) 2019-12-09 2019-12-09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44B1 (ko) * 2021-09-27 2022-04-20 주식회사 퍼맥스 서랍용 캐스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435U (ko) * 1987-06-11 1988-12-20
JPH01152544U (ko) * 1988-04-15 1989-10-20
KR920000181Y1 (ko) 1989-08-01 1992-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배수관 조립구조
JPH07275049A (ja) * 1994-04-04 1995-10-24 Kokuyo Co Ltd 机の前倒防止構造
JP2003102574A (ja) * 2001-09-28 2003-04-08 Kokuyo Co Ltd 抽斗収納体の傾倒防止輪
KR100608995B1 (ko) * 2005-06-29 2006-08-09 양영삼 이동바디가 구비된 회전바퀴
KR20100119732A (ko) * 2010-04-02 2010-11-10 임종민 가구용 바퀴
KR101021574B1 (ko) 2008-12-31 2011-03-17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US8850657B1 (en) * 2013-04-29 2014-10-07 Sunny Castors Co., Ltd. Castor assembly
KR20160064551A (ko) 2014-11-28 2016-06-08 고경원 받침대로 이용 가능한 주방 가구용 서랍
KR20160091181A (ko)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가온 서랍 롤러의 이탈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435U (ko) * 1987-06-11 1988-12-20
JPH01152544U (ko) * 1988-04-15 1989-10-20
KR920000181Y1 (ko) 1989-08-01 1992-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배수관 조립구조
JPH07275049A (ja) * 1994-04-04 1995-10-24 Kokuyo Co Ltd 机の前倒防止構造
JP2003102574A (ja) * 2001-09-28 2003-04-08 Kokuyo Co Ltd 抽斗収納体の傾倒防止輪
KR100608995B1 (ko) * 2005-06-29 2006-08-09 양영삼 이동바디가 구비된 회전바퀴
KR101021574B1 (ko) 2008-12-31 2011-03-17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KR20100119732A (ko) * 2010-04-02 2010-11-10 임종민 가구용 바퀴
US8850657B1 (en) * 2013-04-29 2014-10-07 Sunny Castors Co., Ltd. Castor assembly
KR20160064551A (ko) 2014-11-28 2016-06-08 고경원 받침대로 이용 가능한 주방 가구용 서랍
KR20160091181A (ko)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가온 서랍 롤러의 이탈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44B1 (ko) * 2021-09-27 2022-04-20 주식회사 퍼맥스 서랍용 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109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6470B2 (ja) 引出しアセンブリ
US20040045919A1 (en) Standard and track shelving system
US20120049713A1 (en) Pantry drawer slide system
KR102282109B1 (ko) 인출 서랍에 대한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
JP2020508630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の取付け板組立体
CN106163330A (zh) 家具或家用器具以及用于家具或家用器具的配合单元
KR101299063B1 (ko) 레일 고정 및 분리 장치
KR20230141713A (ko) 슬라이딩 장치
US10786079B2 (en) Guidance system
US10473383B2 (en) Refrigerator shelf translation system
KR102348716B1 (ko) 선반의 고정 및 잠금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US10842267B2 (en) Movement mechanism for a guidance system
KR101919225B1 (ko)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CN106667071B (zh) 自平衡墙面置物架
KR102640768B1 (ko) 슬라이딩 장치
CN212281120U (zh) 一种置物篮挂架
KR101826833B1 (ko) 슬라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2210742B1 (ko) 서랍식 냉장고용 브라켓 결합 어셈블리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KR20230018667A (ko) 서랍식 침대 프레임
KR102577988B1 (ko) 수납가구용 선반 체결부재
KR101369591B1 (ko) 차량 게이트용 스트라이커
KR102611208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CN112911971A (zh) 人员站立平台
US20180014637A1 (en) Reachable Cabin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