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32Y1 -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 Google Patents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32Y1
KR200462232Y1 KR2020090005176U KR20090005176U KR200462232Y1 KR 200462232 Y1 KR200462232 Y1 KR 200462232Y1 KR 2020090005176 U KR2020090005176 U KR 2020090005176U KR 20090005176 U KR20090005176 U KR 20090005176U KR 200462232 Y1 KR200462232 Y1 KR 200462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helf
bookend
rail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943U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202009000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3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북엔드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북엔드의 배치시 서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장시간이 흘러도 서적이 쓰러지지 않는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는 열람을 위하여 서적이 배치되는 서가에 있어서, 서가프레임과, 상기 서가프레임에 설치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북엔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선반의 하면에 2 열로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단면은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북엔드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의 중앙부가 2회 절곡되고, 상기 북엔드의 양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절곡된 후 다시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레일에는 스프링고정돌기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북엔드에는 스프링지지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스프링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스프링지지체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체결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북엔드, 서가, 레일, 선반, 탄성스프링

Description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BOOKSHELF WITH MOVING TENSION BOOK END}
본 고안은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가에 배치되는 서적이나 서류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 북엔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지식정보 사회로 불리울 정도로 지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지식의 원천이 되는 것이 서적이라고 할 것이다. 서적의 보관과 열람을 위하여 서가가 주로 이용되는데, 가정의 서재나 도서관의 열람실 등에 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서가에 서적을 배치할 시에 서적이 서가의 공간에 맞추어 충분히 배치되지 아니하면 서적이 옆으로 쓰러져서 서적이 바닥으로 추락하거나 정돈되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뿐만 아니라 서가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서가에 고정식 북엔드가 설치되기도 하고, 혹은 별개의 제품으로 판매되는 북엔드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별개로 판매되는 고정식 북엔드의 경우 서적이 배치되지 아니한 경 우에는 별도의 보관장소를 마련해서 보관해야 하고, 배치시 서가에서 추락하거나 별도의 배치작업이 필요로 하는 등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전의 이동식 북엔드의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북엔드가 일측방향으로 지속적인 힘을 받아 서적이 쓰러지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북엔드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도록 하고, 북엔드의 배치시 서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오랜 시간이 경과 하여도 서적이 쓰러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열람을 위하여 서적이 배치되는 서가에 있어서, 서가프레임과, 상기 서가프레임에 설치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북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레일은 상기 선반의 하면에 2 열로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단면은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북엔드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의 중앙부가 2회 절곡되고, 상기 북엔드의 양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절곡된 후 다시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레일에는 스프링고정돌기 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북엔드에는 스프링지지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스프링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스프링지지체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체결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에 의하면, 서가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북엔드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북엔드의 배치시 서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장시간이 지나도 서적이 쓰러지지 아니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2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북엔드(60)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북엔드(60)가 레일(50)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는, 열람을 위하여 서적(110)이 배치되는 서가에 있어서, 서가프레임(10)과, 서가프레임(10)에 설치되는 선반(20)과, 선반(20)의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50)과, 레일(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적(11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북엔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가프레임(10)은 서적(110)이 배치되는 선반(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서적(11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서가프레임(10)은 목재 또는 철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가프레임(10)은 복수의 선반(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된다.
서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선반(20)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지지대(30)와 브라켓(40)이 설치된다. 서가프레임(10)의 내측 양측면에는 브라켓지지대(30)가 설치되는데, 브라켓지지대(30)는 그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브라켓(40)이 결합가능하게 브라켓결합홈(31)이 상하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세장형 부재이다. 브라켓지지대(30)는 서적(110)의 하중을 지탱하여야 하고 브라켓결합홈(31)에서는 강한 응력을 받게되므로 변형에 잘 견디는 강철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량의 서적(110)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적(110)이 배치되는 선반(20)은 서가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지지대(30)는 서가프레임(10)의 내측의 중앙부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브라켓(40)은 브라켓지지대(30)에 설치되어 선반(20)을 지지하는 부재인데,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브라켓지지대(30)의 브라켓결합홈(31)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돌기(41)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선반지지돌기(42)가 형성된다. 브라켓(40)도 브라켓지지대(30)와 마찬가지로 서적(110)의 중량을 지탱하고 강한 응력을 받게 되므로 강철재로 제조된다.
브라켓결합돌기(41)는 브라켓지지대(30)의 브라켓결합홈(31)에 결합되어 브라켓(40)을 고정하는데, 다수의 선반(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브라켓(40)은 브라켓지지대(30)의 전방과 후방에 다수 설치된다.
선반(20)은 서적(110)이 배치되고 서적(110)을 지지하는 부재인데, 횡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의 가장자리에는 선반(2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부재(21)가 결합된다. 한편, 선반(20)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부재(21)는 브라켓(40)에 형성되는 선반지지돌기(42)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선반(20)의 하면에는 북엔드(60)가 설치되기 위한 레일(50)이 설치된다. 레일(50)은 선반(20)의 하면에 2 열로 형성되되 레일(50)의 단면은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레일(50)의 설치에 있어서 ㄷ자 형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레일(50)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50)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즉, 레일(50)은 직사각형 형태의 강판의 양단부가 2회 수직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의 단면은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ㄷ자형의 양단부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레일(50)의 ㄷ자형의 홈에는 후술할 북엔드(60)의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61)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서가프레임(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서적(110)이 배치되는 공간의 경우, 북엔드(60)의 설치를 위한 레일(50)은 서가프레임(10)의 상단의 하면에 설치되고, 레일(50)의 ㄷ자형 홈에는 북엔드(60)의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61)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북엔드(60)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의 중앙부가 2회 절곡되고, 북엔드(60)의 양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절곡된 후 다시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레일(5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북엔드(60)는 서적(110)과 접촉되어 서적(110)이 일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북엔드(60)는 서적(110)과 직접 접촉되는 서적지지부(62)와 레일(50)에 결합되는 결합부(61)로 구분된다.
북엔드(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강선을 재료로 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하면, 탄성을 가지는 강선의 중앙부가 2회 절곡되어 사다리꼴형태로 형성되어 서적(110)에 접촉되어 서적(110)이 일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서적지지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강선의 양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즉 서적지지부(62)의 사다리꼴 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후 레일(50)의 ㄷ자형 홈에 결합가능하게 U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61)가 이루어진다. 결합부(61)는 레일(5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서적(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북엔드(60)의 결합부(61)는 레일(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북엔드(60)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으로 형성되는 바 결합부(61)의 하부를 파지하여 결합부(61) 사이의 간격을 좁힌 후 레일(50)에 U자 형태의 결합부(61)를 삽입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북엔드(60)에 서적(110)의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70)이 부가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레일(50)에는 스프링고정돌기(80)가 다수 형성되고 북엔드(60)에는 스프링지지체(90)가 형성되며 다수의 스프링고정돌기(80) 중 어느 하나와 스프링지지체(90)에는 탄성스프링(70)이 체결되어 서적(11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레일(50)은 ㄷ자형의 홈이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레일(50)의 중앙부에 스프링과의 결합을 위한 스프링고정돌기(80)가 다수 형성된다. 스프링고정돌기(80)는 좌측 또는 우측 모든 방향에서 탄성스프링(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못머리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스프링지지체(90)는 북엔드(6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재인데, 스프링지지체(9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북엔드(60)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나아가서, 스프링지지체(90)는 북엔드(60)가 레일(50)에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프링(70)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데, 양단에는 탄성스프링(7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고리가 형성된다. 탄성스프링(70)의 일단은 스프링지지체(90)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수의 스프링고정돌기(8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스프링지지체(90)와 스프링고정돌기(80)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서적(110)을 압박하기 위한 탄성력이 제공된다.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실시상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가의 선반(20)에 서적(110)을 배치한 후 북엔드(60)의 결합부(61)를 파지하여 선반(20)의 하면에 설치된 레일(50)의 홈에 북엔드(60)의 결합부(61)를 삽입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북엔드(60)를 서적(11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밀어 사다리꼴 형태의 서적지지부(62)가 서적(110)을 압박하도록 배치하여 고정한다.
서적(110)을 인출할 시에는 북엔드(60)를 서적(110)이 배치된 반대 방향으로 밀어 압박을 제거하고 서적(110)을 인출한다. 서적(110)의 인출시에는 필요에 따라 서 북엔드(60)의 결합부(61)를 파지하고 레일(50)로부터 이탈시켜 간단히 북엔드(60)를 제거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실시상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1)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가에 서적(110)이 배치되기 전, 탄성스프링(70)의 일단은 스프링지지체(90)에 고정되고 타단은 북엔드(60)의 하단의 서적지지부(62)에 체결되어 정돈된 상태를 유지한다.
서가의 선반(20)에 서적(110)이 배치된 후, 서적(110)이 일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적(110)이 배치된 측에 설치된 스프링고정돌기(80)에 탄성스프링(70)의 타단을 고정한다.
서적(110)을 인출할 시에는 스프링고정돌기(80)에서 탄성스프링(70)을 분리하여 탄성력을 제거한 후 인출한다. 대안으로서, 탄성스프링(70)의 분리 없이도 서적(110)을 인출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탄성스프링(7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서적(110)이 인출되어 비는 공간이 없어져 서적(110)의 인출 후 별도로 서가를 정리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북엔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북엔드가 레일에 결합되는 상태의 확대사시도.(하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단면도.(도 5a에는 수직으로 탄성스프링이 거치된 상태 도시)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실시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의 실시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설명>
1;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10; 서가프레임
20; 선반
21; 구조부재
30; 브라켓지지대
31; 브라켓결합홈
40; 브라켓
41; 브라켓결합돌기
42; 선반지지돌기
50; 레일
60; 북엔드
61; 결합부
62; 서적지지부
70; 탄성스프링
80; 스프링고정돌기
90; 스프링지지체
110; 서적

Claims (4)

  1. 열람을 위하여 서적이 배치되는 서가에 있어서,
    서가프레임;
    상기 서가프레임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및
    상단이 하단보다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북엔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선반의 하면에 2 열로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단면은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에는 스프링고정돌기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북엔드에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지지체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스프링지지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다수의 스프링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고리가 형성된 탄성스프링이 체결되어 서적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북엔드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의 중앙부가 2회 절곡되고, 상기 북엔드의 양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절곡된 후 다시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지지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북엔드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KR2020090005176U 2009-04-29 2009-04-29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KR200462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76U KR200462232Y1 (ko) 2009-04-29 2009-04-29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76U KR200462232Y1 (ko) 2009-04-29 2009-04-29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43U KR20100010943U (ko) 2010-11-08
KR200462232Y1 true KR200462232Y1 (ko) 2012-08-31

Family

ID=4420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76U KR200462232Y1 (ko) 2009-04-29 2009-04-29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6995A (zh) * 2014-11-30 2015-02-25 黄继昌 一种书架
CN107568948A (zh) * 2017-08-31 2018-01-12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方便拿书的书柜
WO2022099652A1 (zh) * 2020-11-13 2022-05-19 南京瑞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4200A (zh) * 2013-08-20 2015-03-18 南通新源特种纤维有限公司 一种防霉压紧装置
CN103462381A (zh) * 2013-09-16 2013-12-25 南京九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书架
CN105942726B (zh) * 2016-04-28 2018-01-16 安康学院 一种新型改进结构的图书馆书架
CN109645703B (zh) * 2017-10-10 2024-03-15 浙江理工大学 一种收纳书籍的挂式书架
CN109892867B (zh) * 2019-03-19 2024-03-26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图书书籍整理装置
CN111297070A (zh) * 2020-03-06 2020-06-19 六安皖信软件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书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945U (ko) 1975-11-06 1977-05-10
JP2000270937A (ja) 1999-03-23 2000-10-03 Yasuyo Yamashita 新聞および雑誌収納棚
KR200237517Y1 (ko) * 2001-02-10 2001-09-28 김수정 편리한 책꽂이
JP3614989B2 (ja) * 1996-07-18 2005-01-2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書棚のブックサポ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945U (ko) 1975-11-06 1977-05-10
JP3614989B2 (ja) * 1996-07-18 2005-01-2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書棚のブックサポート装置
JP2000270937A (ja) 1999-03-23 2000-10-03 Yasuyo Yamashita 新聞および雑誌収納棚
KR200237517Y1 (ko) * 2001-02-10 2001-09-28 김수정 편리한 책꽂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6995A (zh) * 2014-11-30 2015-02-25 黄继昌 一种书架
CN107568948A (zh) * 2017-08-31 2018-01-12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方便拿书的书柜
WO2022099652A1 (zh) * 2020-11-13 2022-05-19 南京瑞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43U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232Y1 (ko)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WO2008130150A2 (en) Structure for modifying height of shelf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5286303A (zh) 具有改进式支撑跨梁的储物架
US20050011844A1 (en) Fastening device
ITMI20090329U1 (it) Cassetto con un elemento separatore per la suddivisione del cassetto
EP1585407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JP6313596B2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に用いられるロック解除具
KR200483664Y1 (ko) 책장선반에 설치되는 서류 지지대
KR100652813B1 (ko) 북 앤드
KR20043378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US20230012176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tracks of baskets of shelf
KR200446024Y1 (ko) 책장용 책꽂이 장치
KR101952229B1 (ko) 서적 관리용 어레이 툴
KR100979280B1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20140002951A (ko)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KR100890556B1 (ko) 책받침 겸용 보강구조를 갖는 복식서가
KR200419238Y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KR101186195B1 (ko) 수장고용 수납장
KR102458004B1 (ko) 휨 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기능의 이동선반을 구비한 수납가구
KR102316201B1 (ko) 수납 깊이가 조절되는 서가
RU2779313C1 (ru) Опорная рама для выдвижных регулируемых полок холодильного шкафа
KR101388302B1 (ko) 오픈신발정리대
KR102571310B1 (ko) 가구 설치용 선반
JP2008000374A (ja) 既存陳列棚の棚引き出し構造
KR101759778B1 (ko) 분할 수납용 디바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