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096B1 -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096B1
KR102164096B1 KR1020190165661A KR20190165661A KR102164096B1 KR 102164096 B1 KR102164096 B1 KR 102164096B1 KR 1020190165661 A KR1020190165661 A KR 1020190165661A KR 20190165661 A KR20190165661 A KR 20190165661A KR 102164096 B1 KR102164096 B1 KR 10216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otrusion
groove
furnitur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병
Original Assignee
채승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승병 filed Critical 채승병
Priority to KR102019016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096B1/ko
Priority to PCT/KR2020/017986 priority patent/WO20211182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rollers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이 간단하게 조립되고, 제1결합부 후크돌기와 제2결합부 걸림돌기의 결합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의 결합력이 강화되며, 제1,2조립패널의 연결에 의한 가구조립시, 조립된 가구 외부로 제1,2결합부가 노출되지 않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구용 제1조립패널과 제2조립패널을 연결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조립용 연결구는, 제1조립패널에 형성된 제1조립홈내로 제1본체가 고정설치되고 제1본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가 제1조립홈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결합부; 제2조립패널에 형성된 제2조립홈의 외측조립홈내에 제2본체가 고정설치되고, 제2본체를 관통하도록 후크삽입홀이 관통형성되며, 후크돌기가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결합부 후크돌기가 제2결합부 후크삽입홈을 통해 걸림돌기에 면접촉되며 결합되어, 제1,2결합부의 외부노출없이 제1조립패널과 제2조립패널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Connecting system for furniture assembly and assembled furni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2개의 가구용 패널을 간단하게 조립/분해하면서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가구 및 사무용 가구는 대량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해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은 볼트너트, 스크류, 고정철물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합부재는 가구패널 표면에 부착한 것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되어 있어, 조립된 가구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결합부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시 가구표면에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 미니픽스(Minifix) 방식의 체결장치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미니픽스 방식 체결장치는 포크부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연결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고, 체결링의 회전에 의해 포크부의 일측이 헤드부에 접촉지지되어 체결링과 연결볼트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링이 설치된 일측 패널과, 연결볼트가 설치된 또다른 패널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체결링의 포크부에 연결볼트의 헤드부가 단순히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체결링과 연결볼트가 설치되는 패널의 홀가공에 대한 미세한 오차가 발생될 경우, 체결링과 연결볼트 사이에 유격현상이 발생되어, 패널간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포크부에 의해 연결볼트의 헤드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체결링을 완전하게 회전시켜야 하나, 체결링의 회전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연결볼트의 헤드부가 체결링의 포크부에 걸려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포크부와 헤드부의 접촉면적이 작아 외부의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후에는 체결링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볼트의 헤드부가 체결링의 포크부로부터 이탈되어 체결링이 설치된 패널과 연결볼트가 설치된 패널이 분리되는 문제점도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77679(2019.05.0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98307(2019.07.03)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37819(1998.11.27)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5-0003997(1995.04.22)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이 간단하게 조립되고, 제1결합부 후크돌기와 제2결합부 걸림돌기의 결합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의 결합력이 강화되며, 제1,2조립패널의 조립시, 제1,2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가구조립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고, 분해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구용 제1조립패널과 제2조립패널을 연결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조립용 연결구는, 제1조립패널에 형성된 제1조립홈내로 제1본체가 고정설치되고 제1본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가 제1조립홈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결합부; 제2조립패널에 형성된 제2조립홈의 외측조립홈내에 제2본체가 고정설치되고, 제2본체를 관통하도록 후크삽입홀이 관통형성되며, 후크돌기가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결합부 후크돌기가 제2결합부 후크삽입홈을 통해 걸림돌기에 면접촉되며 결합되어, 제1,2결합부가 조립된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1조립패널에 설치된 제1결합부와, 제2조립패널에 설치된 제2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이 일체로 조립되는 원터치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조립공구없이 제1,2조립패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조립패널과 제2조립패널의 결합시, 제1,2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조립된 가구가 수려한 외관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고급가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결합부가 설치된 제1조립패널을 제2결합부가 설치된 조립패널에 끼워서 밀어 넣는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직/수평패널의 조립뿐 아니라, 수평패널과 수평패널, 수직패널과 수직패널 등의 결합에 자유롭게 적용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구의 전체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가구용 연결수단은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의 90°직각 조립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다수의 수평패널이 적층결합되어 패널의 두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다수의 수평패널이 수평결합되어 패널전체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의 수평패널을 적층/수평결합하여, 단차를 구비하는 하나의 패널로 조립될 수 있어, 다양한 가구용 패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의 90°직각 조립뿐 아니라, 결합되어지는 2개의 패널이 0°∼180°의 범위의 경사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제1,2결합부의 설치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경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간단하게 조립되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결합부가 제1조립패널의 제1조립홈내에 고정설치되고, 제2결합부가 제2조립패널의 제2조립홈내에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제1,2결합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와 제2결합부의 걸림돌기가 면접촉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제1,2조립패널의 결합시 결합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과 걸림돌기의 돌기지지면에 스토퍼(또는 스토퍼부)와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지지면과 돌기지지면의 면접촉시, 스토퍼와 스토퍼홈(또는 스토퍼부와 스토퍼홈)의 결합에 의해 접촉지지면과 돌지지면의 면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1,2조립패널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조립패널의 제1,2조립홈내에 제1,2결합부가 단차높이를 구비하며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1,2조립패널이 제1,2결합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제1,2조립패널의 조립시, 제1,2조립패널의 자체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2조립패널이 더욱 긴밀하게 밀착조립되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조립용 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2조립패널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제1,2조립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스토퍼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제1,2조립패널의 제1,2조립홈에 대한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제1,2조립패널의 조립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조립용 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제1,2조립패널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도 2 에 따른 제1,2조립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부의 스토퍼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제1,2조립패널의 제1,2조립홈에 대한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제1,2조립패널의 조립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구용 제1조립패널(100)과 제2조립패널(200)을 연결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80)에 있어서;
상기 가구조립용 연결구(80)는,
제1조립패널(100)에 형성된 제1조립홈(110)내로 제1본체(11)가 고정설치되고 제1본체(11)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12)가 제1조립홈(110)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결합부(10);
제2조립패널(200)에 형성된 제2조립홈(210)의 외측조립홈(211)내에 제2본체(21)가 고정설치되고, 제2본체(21)를 관통하도록 후크삽입홀(22)이 관통형성되며, 후크돌기(12)가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23)가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제2본체(21)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결합부(20);를 포함하여,
제1결합부 후크돌기(12)가 제2결합부 후크삽입홈(22)을 통해 걸림돌기(23)에 면접촉되며 결합되어, 제1,2결합부(10,20)의 외부노출없이 제1조립패널(100)과 제2조립패널(200)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구(300)는 책상, 장롱, 응접탁자, 사물함, 캐비닛, 신발장, 청소도구함, 보조책상, 회의용 탁자, 장식장, 침대, 화장대, 중역용 책상, 수납장, 옷장, 서랍장, 서가(책장) 등등 제1패널과 제2패널간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정용 및 사무용 가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립패널(100)과 제2조립패널(200)은 가구용 패널로, 가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패널과 수평패널, 2개 이상의 수직패널, 2개 이상의 수평패널, 소정경사각을 구비하는 패널 등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조립패널(100.200)은 도 2,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면(120,220) 일측에 제1,2결합부(10)가 고정설치되는 제1,2조립홈(110,2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조립패널의 제1조립홈(110)은 연결면(120)에서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단층 홈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조립패널의 제2조립홈(210)은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외측조립홈(211)과, 상기 외측조립홈(211)과 단차면(213)을 구비하고 연통형성된 내측조립홈(212)을 포함한다. 즉, 제2조립홈(210)은 외측조립홈(211)내에 내측조립홈(212)이 형성된 2단 홈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결합부(10)는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홈(110)내로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제1본체(11)와, 상기 제1본체(11)에서 돌출형성된 'ㄱ' 형상의 후크돌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1)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끝단에 스크류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5)을 통한 스크류나사(13)의 체결에 의해 제1조립패널의 제1조립홈(110)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1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조립홈(110)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후크돌기(12)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후크돌기(12)는 제1본체(110)에 연결되어 돌출형성된 돌기지지대(16)와, 상기 돌기지지대(16)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기접촉대(17)를 포함하여, 제1본체(11)로부터 'ㄱ'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본체(11)는 돌기지지대(16)와 돌기접촉대(17)로 이루어진 후크돌기(12)에 의해 제1본체(11)와의 사이에 제2결합부(20)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는 걸림홈(14)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12)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접촉대의 돌출길이방향(A)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양측면(19)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기지지대(16)와 돌기접촉대(17)의 양측면이 모두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접촉대(17)는 제1본체(11)와 마주하는 접촉지지면(18)이 제1본체(11)와 평행하도록 평행면으로 형성되거나,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돌기접촉대(17)는 돌기접촉대의 돌출길이방향(A)으로 제1본체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접촉지지면(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지지면(18)과 제1본체(11)가 이루는 경사각(θ)은 0°를 초과하고 70°미만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약 2°∼4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30°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각(θ)의 범위한정은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12)와, 제2결합부의 걸림돌기(223)가 원활하게 결합되어지면서,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홈(14)은 후크돌기의 돌기접촉대(17)와 제1본체(11)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공간으로, 제2결합부(20)의 일측 즉, 걸림돌기(23)가 삽입결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결합부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돌기(12)가 제1조립홈(110)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제1조립패널의 제1조립홈(110)내에 제1본체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11)는 제1조립홈(110)이 형성된 연결면(120)과 동일한 평면을 구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면(120)에서 소정의 단차높이(h1)만큼 낮게 설치된다.
상기 제2결합부(20)는 도 5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립패널의 외측조립홈(211)내에 고정설치되는 제2본체(21)와, 제2본체(21)를 관통하여 형성된 후크삽입홀(22)과, 후크삽입홀(22) 일측에 위치하도록 제2본체(21)에서 돌출형성되어 제2조립패널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걸림돌기(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21)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끝단에 스크류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본체(2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조립패널의 외측조립홈(211)내로 삽입고정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후크삽입홀(22) 및 걸림돌기(23)가 돌출형성되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후크삽입홀(22)은 제1조립패널(100)과 제2조립패널(200)의 결합시,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12)가 삽입되어 이동되어지는 공간으로, 후크돌기(12)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구비하며 제2본체(21)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삽입홀(22)은 후크돌기(12)의 양측면(19)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돌기(12)의 양측면(19)과 동일한 각도를 구비하며 걸림돌기(23) 방향으로 갈 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3)는 제1결합부의 걸림홈(14)내로 삽입되고 후크돌기의 돌기접촉대(17)의 일측 즉, 접촉지지면(18)이 면접촉되며 지지되는 돌기지지면(2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는 걸림홈(14)내로 유격없이 끼워맞춤되어지도록 삽입된다.
상기 돌기지지면(26)은 접촉지지면(18)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즉, 접촉지지면(18)이 평행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돌기지지면(26) 역시 접촉지지면(26)에 면접촉되어질 수 있도록 평형면으로 이루어지고, 접촉지지면(18)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돌기지지면(26) 역시 접촉지지면(18)에 면접촉되어질 수 있는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결합부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3)가 제2조립홈(210)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제2조립홈(210)의 외측조립홈(211)에 제2본체(21)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본체(21)는 제2조립홈(210)이 형성된 연결면(220)과 동일한 평면을 구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면(220)에서 소정의 단차높이(h2)만큼 낮게 설치된다.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단차높이(h1,h2)는 제1,2조립패널의 재질에 따른 탄성변형력을 고려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으므로, 그 범위가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나, 제1,2조립패널이 나무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약 5㎜ 미만을 구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단차높이(h)의 한정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제1,2조립패널이 손상없이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과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 스토퍼홈(18a)과 이에 삽입결합되어지는 스토퍼(28)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접촉지지면(18)과 돌기지지면(26)의 면접촉시,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1,2조립패널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과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 스토퍼홈(18a)과 이에 삽입결합되어지는 스토퍼부(27)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접촉지지면(18)과 돌기지지면(26)의 면접촉시,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1,2조립패널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7)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지지면(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설치홀(26a)에 삽입설치되는 볼(27b)과, 상기 볼(27b)이 설치홀의 개구홀(26b) 방향으로 탄성가압되도록 설치홀(26a)내에 설치되는 탄성체(27a)와, 상기 설치홀(26a)에 나사결합되어 탄성체(27a)를 지지하는 무두볼트(27c)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홀의 개구홀(26b)은 돌기지지면(26)에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홀(26b)의 내경은 볼(27b)의 직경보다 작도록 즉, 탄성체(27a)에 의한 탄성가압시, 개구홀(26b)을 통해 볼(27b)의 일부만이 돌기지지면(26) 상으로 돌출되고, 볼(27b) 자체는 개구홀(26b)을 통해 외부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토퍼부(27)는 제1결합부 후크돌기가 제2결합부 걸림돌기에 결합될 시 즉,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이 걸림돌기의 돌기지지면(26)에 면접촉될 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볼(27b)이 접촉지지면(18)에 형성된 스토퍼홈(18a)내로 삽입되어 접촉지지면(18)과 돌기지지면(26)의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1,2조립패널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패널의 연결면에 형성된 제1조립홈내에 제1결합부가 고정설치되고, 제2조립패널의 연결면에 형성된 제2조립홈내로 제2결합부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는 후크돌기(12)가 제1조립홈(110)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제1조립패널의 제1조립홈내에 제1결합부의 제1본체가 고정설치되고, 제2결합부는 제2조립패널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내에 걸림돌기가 위치되어지도록 제2조립홈의 외측조립홈에 제2결합부의 제2본체가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2결합부가 제1,2조립패널에 각각 고정설치되면,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가 제2결합부의 후크삽입홀내로 삽입되어지도록 제1조립패널을 제2조립패널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제1결합부의 후크돌기가 제2결합부의 걸림돌기에 지지되도록 제1조립패널을 결합방향(B)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조립패널이 이동되면, 제1결합부의 걸림홈(14)내로 제2결합부의 걸림돌기(23)가 맞춤삽입되어지고,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이 걸림돌기의 돌기지지면(26)에 면접촉되어, 도 3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패널의 연결면과 제2조립패널의 연결면이 유격없이 밀착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평패널을 수평연결하여, 전체패널의 크기를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평패널을 수직연결하여, 전체패널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를 구비하는 패널을 형성할 수 있는 등 패널의 크기 및 두께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다양한 가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3각형, 5각형, 6각형 등등 다각형상의 패널간 평면조립에도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패널이 경사진 상태를 구비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입체조립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가구조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구(300)는, 제1조립패널(100)과 제2조립패널(200)이 가구조립용 연결구(80)에 의해 결합되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조립용 연결구(80)는, 제1조립패널(100)에 형성된 제1조립홈(110)내로 제1본체(11)가 고정설치되고 제1본체(11)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12)가 제1조립홈(110)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결합부(10); 제2조립패널(200)에 형성된 제2조립홈(210)의 외측조립홈(211)내에 제2본체(21)가 고정설치되고, 제2본체(21)를 관통하도록 후크삽입홀(22)이 관통형성되며, 후크돌기(12)가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23)가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제2본체(21)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결합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책상, 장롱, 응접탁자, 사물함, 캐비닛, 신발장, 청소도구함, 보조책상, 회의용 탁자, 장식장, 침대, 화장대, 중역용 책상, 수납장, 옷장, 서랍장, 서가(책장) 등등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4 의 (a)는 책상, (b)는 사무용 서랍장, (c)는 캐비닛 또는 옷장에 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제1조립패널 (110) : 제1조립홈
(120) : 연결면 (200) : 제2조립패널
(210) : 제2조립홈 (211) : 외측조립홈
(212) : 내측조립홈 (213) : 단차면
(220) : 연결면 (10) : 제1결합부
(11) : 제1본체 (12) : 후크돌기
(13) : 스크류나사 (14) : 걸림홈
(15) : 체결홀 (16) : 돌기지지대
(17) : 돌기접촉대 (18) : 접촉지지면
(18a) : 스토퍼홈 (19) : 양측면
(20) : 제2결합부 (21) : 제2본체
(22) : 후크삽입홀 (23) : 걸림돌기
(24) : 스크류나사 (25) : 체결홀
(26) : 돌기지지면 (26a) : 설치홀
(27) : 스토퍼부 (27a) : 탄성체
(27b) : 볼 (27c) : 캡
(27d) : 볼홀

Claims (8)

  1. 제1조립홈(110)이 연결면(120)에 형성된 제1조립패널(110);
    외측조립홈(211)과 내측조립홈(212)이 단차면(213)을 구비하고 연통형성된 제2조립홈(210)이 연결면(220)에 형성된 제2조립패널(200);
    제1조립패널(110)의 제1조립홈(110)내에 제1결합부(10)가 설치되고, 제2조립패널(200)의 제2조립홈(210)내에 제2결합부(20)가 설치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80);를 포함하되,
    제1결합부(10)는, 연결면(120)에 대하여 단차높이(h1)를 구비하도록 제1조립홈(110)내로 고정설치되는 제1본체(11)와, 제1본체(11)와 5°∼30°의 경사각(θ)을 구비하는 접촉지지면(18)이 구비되고 제1조립홈(110)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제1본체(11)에서 돌출형성된 'ㄱ' 형상의 후크돌기(12)와, 제1본체(11)와 후크돌기(12)에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14)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20)는, 연결면(220)에 대하여 단차높이(h2)를 구비하도록 제2조립홈(210)의 외측조립홈(211)내에 고정설치되는 제2본체(21)와, 제2본체(21)를 관통하여 형성된 후크삽입홀(22)과, 제2조립패널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제2본체(21)에서 돌출형성되고 후크돌기(12)의 접촉지지면(18)에 면접촉되는 돌기지지면(26)이 형성된 걸림돌기(23)를 포함하며,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에는 스토퍼홈(18a)이 형성되고,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는 탄성체(27a)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홈(18a)내로 볼(27b)이 삽입되는 스토퍼부(27)가 설치되어,
    제1,2결합부(10,20)에 의한 제1,2조립패널(100,200)의 조립 시,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12)가 제2결합부 후크삽입홈(22)을 통해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212)내로 삽입되고,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이 걸림돌기(23)의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 경사지게 면접촉되며, 접촉지지면의 스토퍼홈(18a)에 스토퍼부(27)의 볼(27b)이 탄성가압되어,
    접촉지지면(18)과 돌기지지면(26)의 경사진 면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제1,2조립패널간 결합력이 강화되고, 제1,2결합부(10,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후크돌기(12)는, 돌기접촉대의 돌출길이방향(A)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양측면(19)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후크삽입홀(22)은, 후크돌기(12)의 양측면(19)과 동일한 각도를 구비하며 걸림돌기(23) 방향으로 갈 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
  7. 제1조립홈(110)이 연결면(120)에 형성된 제1조립패널(110)과, 외측조립홈(211)과 내측조립홈(212)이 단차면(213)을 구비하고 연통형성된 제2조립홈(210)이 연결면(220)에 형성된 제2조립패널(200)이, 가구조립용 연결구(80);에 의해 결합되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조립용 연결구(80)는, 제1조립패널(110)의 제1조립홈(110)내에 제1결합부(10)가 설치되고, 제2조립패널(200)의 제2조립홈(210)내에 제2결합부(20)가 설치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80);를 포함하되,
    제1결합부(10)는, 연결면(120)에 대하여 단차높이(h1)를 구비하도록 제1조립홈(110)내로 고정설치되는 제1본체(11)와, 제1본체(11)와 5°∼30°의 경사각(θ)을 구비하는 접촉지지면(18)이 구비되고 제1조립홈(110)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제1본체(11)에서 돌출형성된 'ㄱ' 형상의 후크돌기(12)와, 제1본체(11)와 후크돌기(12)에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14)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20)는, 연결면(220)에 대하여 단차높이(h2)를 구비하도록 제2조립홈(210)의 외측조립홈(211)내에 고정설치되는 제2본체(21)와, 제2본체(21)를 관통하여 형성된 후크삽입홀(22)과, 제2조립패널의 내측조립홈(212)내에 위치하도록 제2본체(21)에서 돌출형성되고 후크돌기(12)의 접촉지지면(18)에 면접촉되는 돌기지지면(26)이 형성된 걸림돌기(23)를 포함하며,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에는 스토퍼홈(18a)이 형성되고,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는 탄성체(27a)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홈(18a)내로 볼(27b)이 삽입되는 스토퍼부(27)가 설치되어,
    제1,2결합부(10,20)에 의한 제1,2조립패널(100,200)의 조립 시, 제1결합부의 후크돌기(12)가 제2결합부 후크삽입홈(22)을 통해 제2조립홈의 내측조립홈(212)내로 삽입되고, 후크돌기의 접촉지지면(18)이 걸림돌기(23)의 걸림돌기(23)의 돌기지지면(26)에 경사지게 면접촉되며, 접촉지지면의 스토퍼홈(18a)에 스토퍼부(27)의 볼(27b)이 탄성가압되어,
    접촉지지면(18)과 돌기지지면(26)의 경사진 면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제1,2조립패널간 결합력이 강화되고, 제1,2결합부(10,20)의 외부 노출없이 조립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가구.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가구는, 책상, 장롱, 응접탁자, 사물함, 캐비닛, 신발장, 청소도구함, 보조책상, 회의용 탁자, 장식장, 침대, 화장대, 중역용 책상, 수납장, 옷장, 서랍장, 서가(책장)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가구.
KR1020190165661A 2019-12-12 2019-12-12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KR102164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61A KR102164096B1 (ko) 2019-12-12 2019-12-12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PCT/KR2020/017986 WO2021118236A1 (ko) 2019-12-12 2020-12-09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61A KR102164096B1 (ko) 2019-12-12 2019-12-12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096B1 true KR102164096B1 (ko) 2020-10-12

Family

ID=7288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61A KR102164096B1 (ko) 2019-12-12 2019-12-12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4096B1 (ko)
WO (1) WO20211182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36A1 (ko) * 2019-12-12 2021-06-17 채승병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CN113819119A (zh) * 2021-09-23 2021-12-21 丽水市哥德木作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板材加工和便于柜体安装的隐形链接件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720A2 (en) * 1991-04-01 1992-10-07 Jorge Costa Claver Automatic device for panel assembly
KR950003997A (ko) 1993-07-30 1995-02-17 긴광호 메모리 맵방식 입출력영역의 자동인식 장치
KR0137819B1 (ko) 1994-12-01 1998-07-15 전영식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JPH10281117A (ja) * 1997-04-10 1998-10-20 France Bed Co Ltd 連結装置およびその連結装置を用いた家具
CN201461643U (zh) * 2009-06-12 2010-05-12 万金喜 新型家具用扣件组件
JP3182940U (ja) * 2013-02-04 2013-04-18 楊雅芸 簡易式接合部品構造
US20140048177A1 (en) * 2012-08-16 2014-02-20 Thermwood Corporation Method of Joining Component Workpieces and Structure Made Thereby
KR20170002953U (ko) * 2016-02-15 2017-08-23 이조형 밸브셔터 클램프
KR101977679B1 (ko) 2017-07-27 2019-05-13 최의영 가구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01998307B1 (ko) 2018-06-29 2019-07-1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 조립용 체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96B1 (ko) * 2019-12-12 2020-10-12 채승병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720A2 (en) * 1991-04-01 1992-10-07 Jorge Costa Claver Automatic device for panel assembly
KR950003997A (ko) 1993-07-30 1995-02-17 긴광호 메모리 맵방식 입출력영역의 자동인식 장치
KR0137819B1 (ko) 1994-12-01 1998-07-15 전영식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JPH10281117A (ja) * 1997-04-10 1998-10-20 France Bed Co Ltd 連結装置およびその連結装置を用いた家具
CN201461643U (zh) * 2009-06-12 2010-05-12 万金喜 新型家具用扣件组件
US20140048177A1 (en) * 2012-08-16 2014-02-20 Thermwood Corporation Method of Joining Component Workpieces and Structure Made Thereby
JP3182940U (ja) * 2013-02-04 2013-04-18 楊雅芸 簡易式接合部品構造
KR20170002953U (ko) * 2016-02-15 2017-08-23 이조형 밸브셔터 클램프
KR101977679B1 (ko) 2017-07-27 2019-05-13 최의영 가구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01998307B1 (ko) 2018-06-29 2019-07-1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 조립용 체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82940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36A1 (ko) * 2019-12-12 2021-06-17 채승병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CN113819119A (zh) * 2021-09-23 2021-12-21 丽水市哥德木作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板材加工和便于柜体安装的隐形链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36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7531C (en) Mechanical joint including an angle bracket connector
US4563040A (en) Furniture assembly
US2005005660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EP1878359A1 (en) Assembling structure
KR102164096B1 (ko)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US20100310310A1 (en) Hardware for furniture assembly
US20120304441A1 (en) Table and privacy screen assembly
US11530716B2 (en) Wall hanging system
KR20110101969A (ko) 목재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제품
US4326760A (en) Work stations of knock-down modular components
US3439812A (en) Glueless furniture joint
KR101281525B1 (ko)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1899715B1 (ko) 나사못 없는 조립선반
US20170051771A1 (en) Furniture and Shelving System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US4447096A (en) Cabinet assembly system
KR20160088742A (ko) 조립식 가구 세트
WO2021101865A1 (en) Wall hanging system
US8002366B2 (en) Drawer
US20030152421A1 (en) Table corner strengthener
US3278208A (en) Fastening device for cabinets
KR200291212Y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