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819B1 -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819B1
KR0137819B1 KR1019940032430A KR19940032430A KR0137819B1 KR 0137819 B1 KR0137819 B1 KR 0137819B1 KR 1019940032430 A KR1019940032430 A KR 1019940032430A KR 19940032430 A KR19940032430 A KR 19940032430A KR 0137819 B1 KR0137819 B1 KR 013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tube
diameter portion
small diame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973A (ko
Inventor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전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식 filed Critical 전영식
Priority to KR101994003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819B1/ko
Publication of KR96002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18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내식성 수지로 코팅이 된 라이닝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닝관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서 수직연장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라이닝관용 관단코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라이닝관 제조용 도킹피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관체의 내주면에 라이닝재를 코팅한 후, 관단코어의 원통부를 관체의 일단 내주면에 삽입하고, 도킹피스의 소경부를 상기 관단코어가 삽입하여 관체를 접속하고, 관체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라이닝코팅을 하고, 도킹피스의 대경부 둘레에 피복된 라이닝층을 절단하여 도킹피스를 제거하고, 관단코어의 플랜지부에서 연장되는 여분의 외주면 라이닝재를 절단, 제거하게 된다.

Description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단코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피스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관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관체 2:내부라이닝
3:관단코어 4:도킹피스
5:외부라이닝 6:원통부
7:플랜지부 8:돌기
9:오목부 11:도킹관체
13:소경부 14:대경부
15:절단표시부 16:접촉돌기
본 발명은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관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내식성 수지로 코팅이 된 라이닝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아연도강관등이 배관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부식의 염려가 없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위생적인 내식성 수지로 코팅된 라이닝강관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1도는 종래의 라이닝관, 예를들면, 강관의 내, 외주면에 폴리에틸렌분체로 라이닝된 소위 PFP파이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정길이의 관체(1)의 내주면에 원심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내부라이닝(2)을 형성한다. 다음에, 대경부(3a)와 단턱부(3b) 및 소경부(3c)로 이루어진 관단코어(3)의 대경부(3a)를 관체(1)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한 후, 강관등으로 제작된 원통상의 도킹피스(4)를 관단코어(3)의 소경부(3c)의 외주면에 끼워서 두 개의 관체(1)를 상호접속시킨다. 이어서, 관체(1)의 외주면에 외부라이닝(5)을 형성한다. 연결된 관체(1)를 분리하기 위해서 도킹피스(4)의 중앙부(A)에 피복된 외면라이닝(5)층을 절단하여 도킹피스(4)를 제거하고, 다시 관단코어(3)의 내측단부(B)를 절단한다. 이때 강관의 일부를 함께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분리된 관체(1)의 절단부 단면이 미코팅된 상태로 노출되어 별도로 에폭시수지등으로 페인트 또는 피복하는 후속공정을 요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관체(1)의 단부를 절단하여 버림으로써 재료의 낭비가 심하고, 2차에 걸치는 절단공정은 그만큼 공정을 복잡하게하여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라이닝관 제조에 따른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주면에 라이닝이 완료된 관체의 외주면 라이닝공정을 현저하게 단순화시킬 수 있는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단코어가 관 단부에 매입됨으로써 라이닝관의 취약부인 관 단부를 마모나 훼손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관단코어와 함께 라이닝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새로운 구조의 도킹피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열성 경질수지로 성형되며 라이닝관(1)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된 원통부(6)와, 상기 원통부(6)의 일단에서 수직연장되는 플랜지부(7)로 구성되고, 원통부(6)의 외주면에 오목부(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 제조용 관단코어(3)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되는 소경부(13)와, 상기 소경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대경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14)의 대략 중앙부 둘레를 따라서 절단위치 표시용 홈(15)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13)의 둘레에는 접촉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 제조용 도킹피스(4)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길이의 관체(1)의 내주면에 라이닝재(2)을 코팅한 후, 원통부(6)와 그 일단에서 확장하는 플랜지부(7)로 구성된 관단코어(3)의 원통부(6)를 상기 관체(1)의 일단 내주면에 삽입하고, 내부에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양단의 소경부(13)와 상기 소경부(13) 사이의 대경부(14)로 구성된 도킹피스(4)의 소경부(13)를 상기 관단코어(3)가 삽입된 한쌍의 관체(1)의 관단코어(3)에 끼워 본체(1)를 접속하고, 관체(1)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라이닝코팅(5)을 하고, 도킹피스(4)의 대경부(14) 둘레에 피복된 라이닝층을 절단하여 도킹피스(4)를 제거하고, 관단코어(3)의 플랜지부(7)에서 연장되는 여분의 외주면 라이닝재를 절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단코어 및 도킹피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제3도는 이들을 이용하여 라이닝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단코어(3)는 원통부(6)와 그 일단에서 수직으로 확장돌출하는 플랜지부(7)로 구성되고, 원통부(6)의 둘레에는 적절한 돌기(8) 또는 오목부(9)로 된 요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관단코어는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수지재료로 성형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킹피스(4)는 관통공(17)이 형성된 도킹관체(11)와 도킹관체(11)의 외주면에 테프론과 같은 내열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된 소경부(13)와 대경부(14)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킹관체(11)로서 강관과 같은 별도의 금속제 관단체를 사용하였으나 소경부(13)나 대경부(14)와 동일하게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소경부(13)의 둘레에는 접촉돌기(16)가 형성된다. 이 접촉돌기(16)는 라이닝공정에서 가열된 관체(1)로부터 도킹피스(4)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접촉면적을 작게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경부(13)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띠형상으로 제작하지만, 점형태 등 그 구체적인 형태와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대경부(14)의 대략 중앙부 둘레에는 절단표시부(15)가 형성된다. 이 절단표시부(15)는 도킹피스(4)를 포함한 관체(1)의 외부면이 연속적으로 라이닝코팅된 후, 관체의 절단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오목한 홈형태를 취하나, 절단부위를 나타낼 수 있다면, 돌출된 돌기나 기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관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내주면에 라이닝재(2)가 코팅된 관체(1a)와 이에 연속되는 관체(1b)의 단부 내주면에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관단코어(3)의 원통부(6)를 끼워서 플랜지부(7)과 관체(1)의 단부에 밀착시킨다(제4a도). 이어서, 본 발명에 다른 도킹피스(4)의 소경부(13)를 관단코어(3)의 내주면에 끼워서 양 관체(1a,1b)를 접속한다(제4b도). 다음에 이렇게 형성된 연속관체의 외주면에 압출되어 나오는 가열된 상태의 외부 라이닝재(5)를 부착코팅한다(제4c도). 이러한 라이닝공정에서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라이닝재(2)가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관단코어(3)의 원통부(6)에 형성된 오목부(9)로 녹아들어가 관단코어(3)과 관체의 단부에 일체로 매입 고정된다.
다음에, 도킹피스(4) 중앙의 절단표시부(15)에 형성된 오목한 홈부분(C)을 절단하여 관체(1)를 분리하고, 다시 관단코어(3)의 플랜지부(7)에 인접한 부분(D)를 절단하여 여분의 외부 라이닝재를 제거한다(제4d도).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의 라이닝관체는 라이닝과정에서 단부에 미코팅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후처리공정이 불필요하고, 관체의 운반 및 배관작업시의 취약부인 관단부에 본 발명의 관단코어(3)가 매입됨으로써 관체의 훼손이나 마모 등이 방지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라이닝관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내열성 경질수지로 성형되며 라이닝관(1)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된 원통부(6)와, 상기 원통부(6)의 일단에서 수직연장되는 플랜지부(7)로 구성되고, 원통부(6)의 외주면에 오목부(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 제조용 관단코어(3).
  2. 내부에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되는 소경부(13)와, 상기 소경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대경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14)의 대략 중앙부 둘레를 따라서 절단위치 표시용 홈(15)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13)의 둘레에는 접촉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 제조용 도킹피스(4).
  3. 소정길이의 관체(1)의 내주면에 라이닝재(2)을 코팅한 후, 원통부(6)와 그 일단에서 확장하는 플랜지부(7)로 구성된 관단코어(3)의 원통부(6)를 상기 관체(1)의 일단 내주면에 삽입하고, 내부에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양단의 소경부(13)와 상기 소경부(13) 사이의 대경부(14)로 구성된 도킹피스(4)의 소경부(13)를 상기 관단코어(3)가 삽입된 한쌍의 관체(1)의 관단코어(3)에 끼워 본체(1)를 접속하고, 관체(1)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라이닝코팅(5)을 하고, 도킹피스(4)의 대경부(14) 둘레에 피복된 라이닝층을 절단하여 도킹피스(4)를 제거하고, 관단코어(3)의 플랜지부(7)에서 연장되는 여분의 외주면 라이닝재를 절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KR1019940032430A 1994-12-01 1994-12-01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KR013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430A KR0137819B1 (ko) 1994-12-01 1994-12-01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430A KR0137819B1 (ko) 1994-12-01 1994-12-01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73A KR960023973A (ko) 1996-07-20
KR0137819B1 true KR0137819B1 (ko) 1998-07-15

Family

ID=1940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430A KR0137819B1 (ko) 1994-12-01 1994-12-01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96B1 (ko) 2019-12-12 2020-10-12 채승병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96B1 (ko) 2019-12-12 2020-10-12 채승병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73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8114989A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блицованных труб
JPH0153612B2 (ko)
US4982765A (en) Flexible composite hose
JPS6225914B2 (ko)
US4229028A (en) Pipe coupler
US5958602A (en) Multi-walled steel pipe
KR0137819B1 (ko) 라이닝관용 관단코어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관의 제조방법
KR0166400B1 (ko)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US5171042A (en) Spigot joint for lined metallic pipes particularly for fluids
JP2023085570A5 (ko)
CA2163830A1 (en) Process and means for welding corrugated tubes and/or compound tubes and weld connection produced thereby
JPH0674229A (ja) スプライン軸及びその成形方法
KR102168093B1 (ko) 클래드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용접 방법
US5437086A (en) Method of fabricating a bi-metal pipe section
US6471251B1 (en) Spirally corrugated pipe elb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S60261688A (ja) 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054636Y2 (ko)
SU38886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RU221328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ы с внутренним анти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JP2648732B2 (ja) 鋼管の連結装置
JPS6346785Y2 (ko)
JPS5846835Y2 (ja) 導管
GB2294042A (en) Connector made of vitreous quartz for pipes or containers and procedure for its manufacture.
JP2581344Y2 (ja) ホース接続構造
RU217710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ы с внутренним анти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