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400B1 -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400B1
KR0166400B1 KR1019940003955A KR19940003955A KR0166400B1 KR 0166400 B1 KR0166400 B1 KR 0166400B1 KR 1019940003955 A KR1019940003955 A KR 1019940003955A KR 19940003955 A KR19940003955 A KR 19940003955A KR 0166400 B1 KR0166400 B1 KR 0166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upling
coupling
cylindrical
sleev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976A (ko
Inventor
손덴 카를-구스타프
렌나르트손 케네트
Original Assignee
손덴 카를-구스타프
린다브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덴 카를-구스타프, 린다브 아베 filed Critical 손덴 카를-구스타프
Publication of KR94002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6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the pipe joint consisting of overlapping extremities having mutually co-operating collars
    • F16L13/16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the pipe joint consisting of overlapping extremities having mutually co-operating collars the pipe or collar being deformed by crimping or rolling
    • F16L13/163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the pipe joint consisting of overlapping extremities having mutually co-operating collars the pipe or collar being deformed by crimping or rolling one collar being bent over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16L43/002Bends; Siphons made of metal and formed from sheet having a circular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 Y10T29/49444Elbow or L-shaped fitting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파이프 요소에 대한 접속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인 키트(kit) 느슨한 슬리이브 커플링과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블랭크로 구성된다. 편평한 블랭크는 블랭크의 형성 및 대향 단부들의 상호 접속 후에, 주변 이음매에 의해서 슬리이브 커플링과 연결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서 주어진다. 이에의해, 중간 세그멘트가 형성된다. 접속기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블랭크를 원통형의 중간 세그멘트로 형성시키는 단계 및 이들 세그멘트를 슬리이브 커플링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제1도는 접속기 조립체인 2개의 슬리이브 커플링의 각각의 측면도 및 2개의 편평한 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파이프 벤드의 측면도.
제3도는 2개의 슬리이브 커플링의 측면도 및 편평한 부재의 평면도.
제4도는 60도의 각 변화를 갖는 조립된 파이프 벤드의 측면도.
제5도는 2개의 슬리이브 커플링의 측면도 및 편평한 부재의 평면도.
제6도는 45도의 각도를 갖도록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파이프 벤드의 측면도.
제7도는 2개의 슬리이브 커플링의 측면도 및 4개의 편평한 부재의 평면도.
제8도는 제2도에 도시된 파이프 벤드에 대응하는 조립된 파이프 벤드의 측면도.
제9도는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2개의 슬리이브 커플링의 측면도 및 편평한 부재의 평면도.
제10도는 조립된 이음쇠(reducer)의 측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T형 접속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립체 및 T형 접속기를 나타낸 도면.
제13도 내지 16도는 접혀진 심에 의한 슬리이브 커플링과 중간 세그멘트 사이에서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파이프 벤드의 측면도.
제18도는 접속 기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8,9,12,13,18,26,27,33,35 : 슬리이브 커플링
1c,2c,8c,9c,12c,13c,26c,27c :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
1d,2d,8d,9d,12d,13d,26d,27d :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
3,4,10,14,15,28,37 : 블랭크
3a,4a,10a,14a,15a,28a,37a : 블랭크 제1단부
3b,4b,10b,14b,15b,28b,37b : 블랭크 제2단부
3',4';10';14',15';28';37' : 원통형 세그멘트
5,6 : 시일 부재 7,11,16,17,24,30 : 파이프 벤드
20 : 외부 접속 기구 22 : 플랜지
23 : 칼라 32 : T형 접속기
본 발명은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 슬리이브 커플링, 및 특히 환기 시스템의 유체 안내 부재(fluid-conducting element) 등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기 또는 단부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환기 덕트 시스템(Ventilation duct system)은 기다란 직선 부분, 및 덕트를 비직선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파이프 벤드(bend), T형 부품, 단부 배출구 등의 다수의 다른 접속기 및 단부 부품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환기 덕트 시스템을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접속기들이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파이프 벤드는 단계별로 15도 각도를 이루어 90도의 각 변화를 구성하듯이, 다른 각도들을 갖도록 제조되어야 하며, 이는 다수의 변형물이 미리 제조되어 저장되어 있어야 하므로 저장 유지에 많은 비용을 수반한다.
또한, 완성된 접속기들은 저장 및 운반하기에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제1유체 안내부재를 제2유체 안내부재에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를 제조하여 제1유체 안내 부재로부터 제2유체 안내부재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접속기 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접속기 조립체는 원통형 세그멘트, 제1세그먼트 단부, 및 제2세그먼트 단부를 형성하도록 제2단부에 연결가능한 제1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블랭크로서, 각각의 상기 세그멘트 단부는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원통형 세그멘트 내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편평한 블랭크와,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를 갖춘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으로서, 각각의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상기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는 상기 제1세그멘트 단부와의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는 상기 제1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룰 수 있는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과, 그리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와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를 갖춘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으로서, 각각의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상기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는 상기 제2세그멘트 단부와의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는 상기 제2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룰 수 있는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슬리이브 커플링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한정하고 원통형 슬리이브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가단(malleable) 플랜지를 갖춘 제1단부와, 그리고 원통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를 한정하고 원통형 슬리이브 둘레에 외주부 시일 부재를 갖춘 제2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유체 안내 부재로부터 제2유체 안내부재로의 유체 유동을 제공하도록 제1유체 안내부재와 제2유체 안내부재를 소정 각도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방법은
제1유체 안내부재와 제2유체 안내부재 사이의 접속각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중심축, 제1세그멘트 단부 및 제2세그멘트 단부를 갖는 원통형 세그멘트를 형성하도록 제2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1단부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블랭크를 성형하는 블랭크 성형단계로서, 각각의 세그멘트 단부는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원통형 세그멘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단부내에 형성된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는 블랭크 성형단계와,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을 제1세그멘트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은 중심축,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를 갖추고 있고, 각각의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이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제1세그멘트 단부와의 접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는 제1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룰 수 있는 단계와, 그리고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을 제2세그멘트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은 중심축,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고, 이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제2세그멘트 단부와의 접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는 제2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루는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원통형 세그먼트의 중심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세그멘트 단부 내의 상기 개구에 의해 형성된 각들의 합은 소정의 각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접속기 조립체는 조립식(loose) 슬리이브 커플링과 소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편평한 블랭크로 이루어져 있다. 블랭크가 성형되어 그 양 단부가 상호연결된 후에, 주변 접합부에 의해서 슬리이브 커플링과 연결되며, 이로 인해, 중간 세그멘트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한된 양의 슬리이브 커플링 및 중간 세그멘트의 변형물이 다수의 다른 접속기 및 단부 부품들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저장된 표준 제품의 수가 줄어드는 잇점을 제공한다.
접속기 조립체에 포함되는 슬리이브 커플링과 편평한 부재가 환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금속시이트, 바람직하게는 선아연도금된(pregalvanized) 금속 시이트로 제조된다. 편평한 부재는 굽힘가공(bending) 또는 압연(rolling)에 의해서 성형되고, 이들의 양 단부는 바람직하게 용접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성형된 부재는 접혀진 심(seam)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슬리이브 커플링과 연결된다. 이러한 성형된 부재의 갯수는 적어도 하나이며, 슬리이브 커플링과 함께 전술한 성형 즉, 굽힘 가공 또는 압연 이외의 다른 변형 작업을 갖지 않는 접속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90도의 파이프 벤드에는 2개 이상의 금속 시이트 부재가 필요하다. 강판(metal sheeting)으로부터 편평한 시이트 금속부재(flat sheet-metal elements)의 절단은 절단되어질 금속 시이트 부재가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는 금속 강판의 최적의 이용 방식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제2도에 도시되어진 유체를 안내하기 위해 파이프 벤드(24)의 형태로 비직선형 접속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접속기 조립체의 부품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부품은 파이프 벤드(24)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2개의 동일한 원형 시이트 금속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1,2), 및 서로 보완하는 형상의 편평한 2개의 블랭크 또는 시이트 금속 부재(3,4)로 구성된다. 슬리이브 커플링(1,2)은 굽힘가공된 블랭크의 대응 단부 또는 테두리(3c,4d)에 각각 연결되어진 제1단부(1c,2c), 및 유체 안내부재와 연결되는 제2단부(1d,2d)를 갖는다. 각각의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1c,1d,2c,2d)는 매끄러운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슬리이브 커플링(1,2)의 개구부를 한정한다.
본문에서 전술한 작업 즉, 블랭크의 굽힘 가공 또는 압연 단계, 및 블랭크 양 단부의 상호연결 작업 이 후에, 블랭크 또는 시이트 금속 부재들은 덕트의 경계를 정하여 파이프 벤드(24)를 형성하기 위해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3d,4c) 원형 슬리이브 커플링(1,2)과 연결(1c,3c 및 2c,4d) 될 수 있다. 블랭크(3,4)의 양 단부(3a,3b 및 4a,4b)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용접된다. 용접 접합부(3a,3b 및 4a,4b)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벤드(24)는 하나의 슬리브 커플링으로부터 나머지 슬리브 커플링까지의 각 변화를 갖는데, 이러한 각 변화는 90도를 이룬다. 모든 세그멘트 각은 15도이다. 접혀진 심에 의해서 성형되어 연결된 후에, 2개의 편평한 블랭크(3,4)는 파이프 벤드(24)의 중간 세그멘트(3',4')를 형성한다. 이러한 원통형 중간 세그멘트(3',4')는 파이프 벤드(24)에서 중심 축을 갖는다. 슬리이브 커플링(1,2) 또한 중심축을 가지며, 파이프 벤드(24)에서 소정의 각 90도를 형성한다.
슬리이브 커플링(1,2)는 외주부 탄성 시일 부재(5,6)와 각각 끼워 맞추어 진다. 탄성 시일링 링은 이중 립 시일(double lip seal)으로 불리는 U형상의 횡단면을 이루며, 탄성 시일 부재의 웨브는 슬리이브 커플링(1,2)의 외부에 고정된다. 시일 부재(5,6)는 슬리이브 커플링(1,2)과 전술한 유체 안내부재 사이에 밀봉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의 밀봉과 일반적인 관형 접속은 투베손(Tuvesson et al)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050,7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3도에는 동일한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1,2)과 편평한 블랭크(3)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4도에는 이 부품들이 60도의 각도를 갖는 파이프 벤드(7)의 형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편평한 블랭크(4)도 제4도에 도시된 60도의 파이프 벤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용접 접합부는 제4도에 도시된 접합부와 반대한다(제2도 참조).
제5도에는 슬리이브 커플링(1,2)보다 약간 낮으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45도를 갖는 파이프 벤드(11)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간 세그멘트(10')와 연결되는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8,9)이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벤드(11)는 11.25도의 세그멘트 각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블랭크(10)의 칫수는 제1도 및 3도에 도시된 블랭크(3)의 칫수와는 다르다.
제7도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90도의 각도를 갖는 파이프 벤드(16)를 형성하기 위한 제1도의 접속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접속기 조립체의 부품들은 다른 형상을 갖는 2개의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12,13) 및 4개의 편평한 블랭크 또는 시이트 금속 부재(14,3,4,15)로 구성된다. 시이트 금속 부재들은 중간 세그멘트(14',3',4',15')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파이프 벤드(16)를 형성하도록 슬리이브 커플링(12,1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슬리이브 커플링(12,13)은 경사져 있지 않다. 슬리이브 커플링(12,13)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칼라(23)가 제공되어 있다. 블랭크(3,4)와 중간 세그멘트(3',4')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블랭크 및 중간 세그멘트와 동일하다.
제9도에는 도 10에 도시되어진 소위, 이음쇠(reducer)라 불리는 단면적이 감소되는 접속기를 제조하기 위한 접속기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슬리이브 커플링(26,27)은 다른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축소하여 도시된) 편평한 부재(28)의 곡률은 접속기의 형성에 적합하다.
제11도 및 12도에는 절곡기(folding machine)에 의한 절곡 가공(folding)이나 종래의 다른 접속방법을 사용하여 중간 세그멘트(37')에 고정된 2개의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35)을 갖는 T형 접속기(32)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간 세그멘트(37')는 블랭크(37)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제3 또는 중앙 슬리이브 커플링(33)과 부합하도록 제3개구부가 제공된다
제13도 내지 16도에는 접속기 조립체의 각각의 두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절곡 작업(folding operation)이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에는 서로 접속되기 전에 원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이브 커플링(12)과 중간 세그멘트(14')가 도시되어 있다. 중간 세그멘트(14')의 테두리 부분은(도시되지 않은)절곡기에 의해서, 파이프 벤드의 원주면(25)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이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굽어져 이에 의해, 플랜지(22)가 형성된다. 이때, 금속은 굽힘가공 또는 접힘가공 중에 분열되지 않는데, 이는 전술한 가공의 변형이 금속 재료의 파괴강도를 초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일 부재(5)를 지지하는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슬리이브 커플링(12)의 단부는 칼라(23)가 절곡기에 의해 접혀져 깃을 형성하며, 칼라가 중간 세그먼트(14')와 접혀진 심의 연결을 위해 제7도에서와 같이 이전에 형성되지 못했다면, 칼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된 다른 압연기에 의해서 칼라가 형성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랜지(22)는 세그멘트(14') 또는 슬리이브 커플링(12)의 축선 이동에 의해서 플랜지와 평행하게 뻗어있는 칼라(23) 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플랜지(22)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있고 플랜지를 둘러싸는 칼라(23) 부분은 압연기를 사용한 접지기에서 굽어지고, 신뢰성있고 치밀한 주변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플랜지(22)에 대하여 고정된다. 슬리이브 커플링은 방사상으로 돌출한 플랜지로 형성되는 반면, 접혀진 심 연결부는 위치가 전환된다. 즉, 칼라가 중간 세그멘트 위에 형성된다.
제17도에는 단부 슬리이브 커플링(12), 4개의 중간 세그멘트(14',3',4',15') 및 슬리이브 커플링(18)으로 구성된 파이프 벤드(17)가 도시되어 있으며, 슬리이브 커플링(18)의 한 단부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분리가능한 외부 접속 기구(20)를 결합하기 위한 주변부 단부 비이드(19)가 제공되며, 이러한 외부 접속 기구(20)는 유사한 단부 비이드와 함께 형성된 다음 유체 안내 부재에 슬리브 커플링(18)을 접속시키기에 적합하며, 주변부 내부 시일(21)과 맞추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원리는 본 명세서를 통해서 쉽게 이해된다. 본 발명의 주요단계는 먼저, 접속기에 대한 접속각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통형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편평한 블랭크를 성형하는 단계와, 그리고 성형된 블랭크를 첨부된 청구범위 제18항에 기재된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부재에 슬리이브 커플링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다수의 잇점이 얻어질 수 있으며, 환기 덕트 시스템에 대한 접속기를 만들기 위해 접속기 조립체가 사용되면, 특별한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종래의 접속기는 용융 아연 도금(hot-dip galvanized)될 수 있으며, 이는 시일 부재가 놓여질 주변부 홈이 용융 아연 도금되기 전에 형성되어야만 함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방식으로 행해지지 않으면 도금 가공된 영역내에서 아연층은 균열을 일으키며, 벗겨져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용융 아연 도금은 형성된 홈을 아연층이 부분적으로 채우는 결과를 초래하며, 시일 부재가 놓여질 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접속기 및 또 다른 파이프 부재를 조립할 때 차례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 조립체에 의해서, 슬리이브 커플링은 홈이 압연 성형(roll-forming)과 같은 형태의 가공 방식으로 선아연 도금된 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환기 덕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접속기의 통상적인 제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접속기는 제조중에 재료가 경화되는 비교적 광범위한 가공을 거쳐야 하며, 이는 시일 부재가 놓여질 홈의 형성을 어렵게 한다. 홈을 형성하는 동안에, 홈의 일부분은 제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커지게 된다. 또한, 홈과 접속기의 인접 직선 부분 사이의 전이 지역에서 재료가 균열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접속기 조립체에 따라, 슬리이브 커플링은 가공하기 쉬운 재료로부터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고, 홈을 형성하기 전에 압력 선삭(pressure tunning) 또는 프레싱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술한 결점 또한 해소될 수 있다.
슬리이브 커플링과 블랭크가 분리하여 다른 공장에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념은 유연성을 갖는다. 블랭크는 편평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운반될 수 있으므로 적은 공간이 요구되며,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기 장치가 설치될 위치와 관련하여 최종 완성제품(파이프 벤드, T형 부품등)을 제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다른 형식의 접속기 및 유사 부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제1유체 안내부재를 제2유체 안내부재에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를 제조하여 상기 제1유체 안내부재로부터 상기 제2유체 안내부재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접속기 조립체에 있어서, 원통형 세그멘트(3',4';10';14',15'), 제1세그먼트 단부(3c,4c;10c;14c,15c), 및 제2세그먼트 단부를(3d,4d;10d;14d,15d)를 형성하도록 제2단부(3b,4b;10b;14b,15b)에 연결가능한 제1단부(3a,4a;10a;14a,15a)를 갖는 하나 이상의 편평한 블랭크(3,4;10;14,15)로서, 각각의 상기 세그멘트 단부(3c,3d;4c,4d;10c,10d;14c,14d;15c,15d)는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원통형 세그멘트(3',4';10';14',15') 내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편평한 블랭크(3,4;10;14,15;28;37)와,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1c;8c;12c;26c)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8d;12d;26d)를 갖는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으로서, 각각의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1c,1d;8c,8d;12c,12d;26c,26d)는 상기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35)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1c;8c;12c;26c)는 상기 제1세그멘트 단부(3c;10c;14c;28c)와의 접합부를 수용하도록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8d;12d;26d)는 상기 제1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루는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35)과, 그리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2c;9c;13c;27c)와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2d;9d;13d;27d)를 갖는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2;9;13;27)으로서, 각각의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2c,2d;9c,9d;13c,13d;27c,27d)는 상기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2;9;13;27)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2c;9c;13c;27c)는 상기 제2세그멘트 단부(3d,4d;10d;15d;28d)와의 접합부를 수용하도록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2d;9d;13d;27d)는 상기 제2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룰 수 있는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2;9;13;27;33,35)을 포함하는 접속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 조립체로 조립된 접속기는 상기 제1유체 안내 부재를 상기 제2유체 안내 부재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소정 각도로 각을 이루고 있는 접속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세그멘트(3',4',14',15')는 각각 편평한 블랭크(3,4,14,15)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상기 편평한 블랭크(3,4,14,15)는 서로 인접하는 다른 원통형 세그멘트(3',4',14',15')와의 접합부를 수용하도록 각각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는 원통형 세그멘트로 성형되어 있는 접속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2;8,9;12,13;26,27)의 각각의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2d;8d,9d;12d,13d;26d,27d)는 외주부 시일 부재를(5,6) 더 포함하는 접속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시일 부재(5,6)은 탄성 시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포함하는 접속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일 부재(5,6)는 유(U)자 형상이고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2d;8d,9d;12d,13d;26d,27d)로 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접속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세그멘트 단부는 방사상으로 돌출한 플랜지(22)를 더 포함하는 접속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통형 스리이브 커플링(12,13)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는 칼라(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라(23)가 상기 방사상으로 돌출한 플랜지(22)와 함께 각각의 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접속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23)는 상기 방사상으로 돌출한 플랜지(22) 상에서 굽혀져 있는 접속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2;8,9;12,13;26,27)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1c,2c;8c,9c;12c,13c;26c,27c)는 상기 제1 및 제2세그멘트 단부(3c,3d;4c,4d;10c,10d;14c,14d;15c,15d;28c,28d) 중 하나와 접합되는 접속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이 절곡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기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이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기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 안내 부재가 파이프인 접속기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 안내 부재가 환기 덕트인 접속기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편평한 블랭크(3,4,10,14,15,28,37)가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된 접속기 조립체.
  16. 유체 안내부재 접속기용 슬리이브 커플링(1,2;8,9)으로서, 중심 축을 갖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형 슬리이브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한정하고, 상기 원통형 슬리이브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가단 플랜지를 갖춘 제1단부(1c,2c;8c,9c)와, 상기 원통형 슬리이브에 형성된 제2개구부를 한정하고, 주변부에 시일 부재(5,6)을 갖는 제2단부(1d,2d;8d,9d)를 포함하는 슬리이브 커플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1c,2c;8c,9c)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는 평면을 한정하는 슬리이브 커플링.
  18. 제1유체 안내부재로부터 제2유체 안내부재로의 유체유동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유체 안재부재와 상기 제2유체 안내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1유체 안내부재와 제2유체 안내부재 사이의 접속각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b) 중심축, 제1세그멘트 단부(3c,4c;10c;14c,15c;28c) 및 제2세그멘트 단부(3d,4d;10d;14d,15d;28d)를 갖는 원통형 세그멘트(3',4';10;14',15';28';37')를 형성하도록 제2단부(3b,4d;10b;14b,15b;28b;37b)에 연결될 수 있는 제1단부(3a,4a;10a;14a,15a;28a;27a)를 갖춘 하나 이상의 편평한 블랭크(3,4;10;14,15;28;37)를 성형하는 블랭크 성형단계로서, 각각의 세그멘트 단부는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원통형 세그멘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세그먼트 단부내에 형성된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는 블랭크 성형단계와, (c)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을 제1세그멘트 단부(3c;10c;14c;28c)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은 중심축,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1c;8c;12c;26c)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8d;12d;26d)를 갖추고 있고, 각각의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제1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1;8;12;26)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고, 이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1c;8c;12c;26c)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제1세그멘트 단부(3c;10c;14c;28c)와의 접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1d;8d;12d;26d)는 제1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루는 단계와, 그리고 (d)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2;9;13;27)을 제2세그멘트 단부(3d;10d;15d;28d)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2;9;13;27)은 중심축,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2c;9c;13c;27c) 및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2d;9d;13d;27d)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슬리이브 커플링 단부는 제2원통형 슬리이브 커플링에 형성된 개구부를 한정하고, 이 개구부는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한정하며, 상기 슬리이브 커플링 제1단부(2c;9c;13c;27c)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제2세그멘트 단부(3d,4d;10d;15d;28d)와의 접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매끄러운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고, 슬리이브 커플링 제2단부(2c;9c;13c;27c)는 제2유체 안내부재와 짝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원통형 세그먼트의 중심에 대한 제1 및 제2세그멘트 단부 내에 상기 개구에 의해 형성된 각들의 합은 소정의 각에 대응하는 방법.
KR1019940003955A 1993-03-01 1994-03-02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KR0166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22893 1993-03-01
DK93228A DK22893D0 (da) 1993-03-01 1993-03-01 Montagesaet til fremstilling af et ikke-lige koblingsstykke for et fluidum-roerelement
US022893 1993-03-01
US08/045,629 US5405174A (en) 1993-03-01 1993-04-09 K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for fluid pipe elements
US045,629 1993-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976A KR940021976A (ko) 1994-10-19
KR0166400B1 true KR0166400B1 (ko) 1999-01-15

Family

ID=809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955A KR0166400B1 (ko) 1993-03-01 1994-03-02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05174A (ko)
KR (1) KR0166400B1 (ko)
DK (1) DK22893D0 (ko)
ZA (1) ZA9412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30482S (en) * 1999-05-20 2000-09-05 Eastern Sheet Metal, Inc. Sleeve coupling
USD427667S (en) * 1999-05-20 2000-07-04 Eastern Sheet Metal, Inc. Sleeve coupling
USD427673S (en) * 1999-05-20 2000-07-04 Eastern Sheet Metal, Inc. Sleeve coupling
USD435090S (en) * 1999-05-20 2000-12-12 Eastern Sheet Metal, Inc. Gasket
US7063357B1 (en) 2001-11-30 2006-06-20 Ebw, Inc. Flexible pipe coupling
US20040091307A1 (en) * 2002-11-13 2004-05-13 James Thomas A. Structural coupler
US20070210579A1 (en) * 2006-03-09 2007-09-13 Lind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joined segments of duct work
US8333410B2 (en) * 2009-05-07 2012-12-18 Fred Knapp Engraving Company, Inc. Multiple port snap swivel coupling and kit
CN105058055B (zh) * 2015-08-21 2017-11-24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用于建筑施工的内置法兰风管制作安装工法
USD965117S1 (en) * 2019-10-10 2022-09-27 Edward Hanson Bifurcated bent tub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367A (en) * 1878-11-26 Improvement in sheet-metal elbows
US193847A (en) * 1877-08-07 Improvement in stove-pipe elbows
US244720A (en) * 1881-07-19 Fredrick hildebrandt
US3111922A (en) * 1963-11-26 Method of making sheet metal elbows
US409631A (en) * 1889-08-20 Charles b
US735644A (en) * 1902-10-27 1903-08-04 Eduard Wirtz Sheet-metal clamping-band with inclined loose displaceable joint for pipe-unions.
US910119A (en) * 1908-02-24 1909-01-19 Freeman A Dunn Pipe.
US904199A (en) * 1908-08-03 1908-11-17 Bernhard W Harris Metal culvert.
US997072A (en) * 1910-02-28 1911-07-04 Charles Mares Pipe-elbow.
US1083002A (en) * 1913-08-14 1913-12-30 American Rolling Mill Co Sheet-metal culvert.
GB317678A (en) * 1928-11-03 1929-08-22 Schmidt Erns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rmal insulation
GB442751A (en) * 1934-09-11 1936-02-14 Electric Supplies Bloxwich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junction fittings for use in connection with electrical wiring conduits
US2392220A (en) * 1943-06-26 1946-01-01 William J Bruhn Stovepipe elbow
US2482558A (en) * 1946-10-26 1949-09-20 Vito V Scaringella Pipe joint
US2823703A (en) * 1955-07-26 1958-02-18 Jr Otto Nusser Flexible pipe
US3290066A (en) * 1963-09-12 1966-12-06 Gary Steel Products Corp Sheet metal pipe fitting
GB1403744A (en) * 1972-07-20 1975-08-28 Piccoli D Conduits joints comprising tubular elements of sheet metal
GB1429220A (en) * 1973-04-04 1976-03-24 Kitsons Insulation Prod Pipe cladding
SE382675B (sv) * 1974-12-12 1976-02-09 Lindab Lindhs Industri Ab Rorformigt skarvstycke.
AT363743B (de) * 1979-02-22 1981-08-25 Durapipe Ltd Mechan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rohren
US4288111A (en) * 1980-01-21 1981-09-08 Enterprise Construction Services, Inc. Joint construction for sheet metal ducts
ES8604432A1 (es) * 1983-10-31 1986-02-01 Foster Wheeler Energy Corp Un metodo de fabricacion de un codo de tuberia
FR2627835B1 (fr) * 1988-02-26 1991-05-17 Hutchinson Coulisse d'etancheite de glace mobile, notamment de vitre de vehicule automobile
US4998740A (en) * 1989-09-29 1991-03-1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ace se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41238B (en) 1994-09-19
US5405174A (en) 1995-04-11
DK22893D0 (da) 1993-03-01
DK22893A (ko) 1994-09-02
KR940021976A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734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for fluid-conducting elements
US10731776B2 (en) Mechanical coupling for mechanical and structural tubing
US5378023A (en) Pipe connection, particularly on composite pipes
KR0166400B1 (ko) 유체 안내부재용 접속기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의 슬리이브 커플링, 그리고 유체 안내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기의 제조 방법
US6439617B1 (en) Coupler for a pipe or hose section
US10081937B2 (en) Universal drain cuff
WO1993007417A1 (en) Coupling 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75736A (en) Plastic pipe fittings
US5183298A (en) Pipe fitting reducers
US4576247A (en) Locking member
US6533326B1 (en) Multi-branch fitt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US5016925A (en) Pipe coupling and method of forming
US3889982A (en) Pipe coupler
US20020121779A1 (en) Bell and spigot joint for steel pipe
EP0135626A1 (en) Method of securing a tube within an aperture
DK9500235U3 (da) Montagesæt til fremstilling af et ikke-lige koblingsstykke for et fluidum-rørelement.
JPS6337596Y2 (ko)
CA1140183A (en) Coupling for lined pipe
GB2030278A (en) Prefabricated chimney-shaft
US20060090531A1 (en) Split die tube bending apparatus
JPH074522A (ja) ベローズの接続方法
JPH09303633A (ja) 管体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