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348B1 -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348B1
KR102588348B1 KR1020230034359A KR20230034359A KR102588348B1 KR 102588348 B1 KR102588348 B1 KR 102588348B1 KR 1020230034359 A KR1020230034359 A KR 1020230034359A KR 20230034359 A KR20230034359 A KR 20230034359A KR 102588348 B1 KR102588348 B1 KR 10258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pin
fastening
storage furnitur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디자인 filed Critical (주)동연디자인
Priority to KR102023003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이나 여러 가지 물건등을 진열 및 정리 보관하기 위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판패널 내주면에 끼움 체결 상태에서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다보체의 구조 개선을 통해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지진 등의 물리적 외력으로부터 선반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선반 및 올려진 물품들의 전방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및 파손을 예방함과 더불어 수납가구 전체의 품질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판패널 내주면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 가공되어진 체결홈으로 전방 다보체와 후방 다보체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을 전,후방 다보체에 연계하여 장착되도록 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보체는 측판패널 전방 위치의 체결홈에 끼움 체결되어지는 고정핀과 선반 일측이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핀 외주면에 탄지 끼움 체결되어지는 이탈방지편으로 조합 구성되고, 상기 후방 다보체는 측판패널 체결홈에 끼움 체결되어지기 위한 고정핀을 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함과 더불어 몸체 타측으로 선반 일단을 받쳐주기 위한 수평 받침부 및 경사 받침부가 이격 형성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The enclosing furniture in which the shelf breakaway prevention structure is applied to}
본 발명은 책이나 여러 가지 물건등을 진열 및 정리 보관하기 위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판패널 내주면에 끼움 체결 상태에서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다보체의 구조 개선을 통해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지진 등의 물리적 외력으로부터 선반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선반 및 올려진 물품들의 전방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및 파손을 예방함과 더불어 수납가구 전체의 품질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선반 이탈방지 기능성 수납가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 부설된 수납가구(책장, 식기장, 진열장, 캐비닛, 사물함, 옷장, 욕실장, 신발장, 서가 등등)는 배면과 양 측면 및 상,하부면을 합성목(PB 내지 MDF 집성 목재판) 형태의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가 형성되도록 하고, 측판패널 내주면의 체결공으로 선반거치핀(다보)을 끼움 설치하며, 본체 가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선반이 설치되어 각종 물품의 보관과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선반형 수납가구의 대표적인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0026595호 내지 공개실용신안 제1996-0019842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69991호 등을 예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수납가구는 본체 내부에 마련된 선반거치핀 상측에 선반을 안치하여 올려놓는 구조로서 이러한 선반 거치구조 혹은 선반 거치방법으로는 흔들림이나 충격 내지 물리적 외력에 대한 선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다.
예컨대, 선행 문헌의 선반거치핀은 선반을 상하 내지 좌우로 붙잡아주지 못하고 단순히 밑에서 받쳐주는 역할로 한정되는 것이므로 외부 간섭이나 충격 혹은 흔들림과 같은 물리적 외력(지진 발생으로 인한 진동 포함)이 작용할 경우 위 예시의 선반거치핀으로부터 선반이 분리 이탈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끌려나와 선반 내 물품 등이 떨어지거나 선반 자체가 낙하하여 심각한 안전사고 또는 파손을 유발하므로 인적 피해는 물론 물적인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등의 구조적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충격이나 진동에 매우 취약한 거치 구조를 갖는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등록공보 제10-2155510호 내지 특허등록공보 제10-1836149호가 추가적으로 제안된바 있으며, 선행문헌 제10-2155510호의 수납가구는 측판에 형성된 조립홀 내부로 삽입 후 고정볼트로서 고정되는 다보고정구와, 상기 다보고정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 하면을 지지함과 더불어 선반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다보받침구와, 수납가구 측판과 선반 측면 사이의 틈새에 끼움 인입되어 선반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밀착대가 다보받침구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충격이나 흔들림 등의 외력으로부터 다보받침구에 안치된 선반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예방한 기술이고, 선행문헌 제10-1836149호 가구용 선반 지지장치(다보)는 수납가구의 수직부재(측판) 측면에 밀착 끼움 고정되는 수직부 및 선반의 가장자리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선반 가장자리 상단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림작용하는 딸깍이 형태의 결속부재(결속단턱 내지 보조결속단턱)와, 상기 고정부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선반 가장자리 저면에 구비되어진 고정홈에 끼움 고정되어 선반이 전후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로 조합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위 예시의 선행문헌 제10-2155510호 내지 제10-1836149호는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선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기술로 한정되는 것이므로 선반 자체의 전방 이탈을 억제할 수는 있을 것이나 선반 위에 올려진 물품들의 전방 낙하와 같은 추가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할 것이다. 전후방으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수평 위치의 선반 위에 올려진 물품들이 전방으로 슬립되어 끌려나오면서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낙하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역시 예방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점이 있음은 물론 구조가 번잡하여 생산성과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6-0026595 (1996.08.17.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6-0019842 (1996.07.18.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69991 (2020.01.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36149 (2018.03.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55510 (2020.09.08. 등록)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납가구 측판패널 내주면의 전방 위치상에 마련된 체결홈에 고정핀과 이탈방지편으로 조합되어진 전방 다보체를 장착하고, 측판패널 후방 위치의 체결홈에 수평 받침부와 경사 받침부로 이루어진 후방 다보체를 장착하여 이들 듀얼형 다보체의 유기적 연계작용에 따라 흔들림이나 충격 발생시 선반 일측이 후방 다보체의 수평 받침부로부터 분리되어 하측 경사받침부에 이동 안치되도록 하여 경사상으로 기울어진 선반 일측 공간 내에 진열 물품들이 전방으로 슬립되어 낙하하지 않고 포집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선반 자체의 전방 분리 이탈 내지 상측 분리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선반을 포함한 보관 진열 물품의 파손과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다보체의 이탈방지편이 고정핀 외주면에 탄지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경사상으로 기울어지는 선반을 따라 고정핀과 함께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선반 기울어짐 작동 과정에서 고정핀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선반 이동 변위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판패널 내주면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 가공되어진 체결홈으로 전방 다보체와 후방 다보체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을 전,후방 다보체에 연계하여 장착되도록 한 선반형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보체는 측판패널 전방 위치의 체결홈에 끼움 체결되어지는 고정핀과 선반 일측이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핀 외주면에 탄지 끼움 체결되어지는 이탈방지편으로 조합 구성되고, 상기 후방 다보체는 측판패널 체결홈에 끼움 체결되어지기 위한 고정핀을 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함과 더불어 몸체 타측으로 선반 일단을 받쳐주기 위한 수평 받침부 및 경사 받침부가 이격 형성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 다보체의 고정핀은 체결홈에 삽입되어지는 끼움부와 선반 일면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 및 체결부가 다단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탈방지편은 상단 일측에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단부 중앙 위치로 상기 체결부에 탄지 체결되기 위한 삽입홈부가 절개 형성되도록 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삽입홈부 상측 일부를 개방하여 슬릿 형태의 텐션유도홈부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 개방부위 양측으로 대향의 안내경사부를 형성하여 고정핀 체결부 외주면으로 삽입홈부가 원활하게 탄지 체결되도록 함과 더불어, 후방 다보체의 수평 받침부 일측으로 수직경사상의 지지부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경사 받침부는 상기 수평 받침부의 하향 측방 위치에 이격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와 경사 받침부는 서로 직교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납가구의 측판패널 내주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이격 배치되어진 듀얼형 다보체를 이용하여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선반 일측이 경사상으로 이동 변위되도록 함에 따라 보관 진열 물품이 기울어진 선반 일측 공간내에서 안전하게 수용되어 낙하로 인한 파손과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선반 자체의 전방 이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수납가구 사용 안정성과 편의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상으로 기울어지는 선반을 따라 전방 다보체의 이탈방지편과 고정핀이 함께 유동되어 선반 기울어짐 동작 과정에서 고정핀의 분실이나 이탈을 예방함과 더불어 취급성이 가일층 증진됨은 물론 선반 이동 변위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조적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며 듀얼형 다보체의 구조가 간소하여 생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형 다보체를 이용한 수납가구 내 선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보체와 선반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방 다보체 이탈방지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 다보체 전,후면 입체 사시도.
도 6은 듀얼형 다보체와 선반의 체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다보체 및 후방 다보체 조립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듀얼형 다보체를 이용한 선반 이동 변위 작동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형 다보체를 이용한 수납가구 내 선반 설치 예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가구 부분 발췌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보체와 선반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전방 다보체 이탈방지편과 후방 다보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납가구는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1)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판패널(2)(2') 내주면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원형 체결홈(2a)(2b)을 형성하여 전방 다보체(10)와 후방 다보체(20)를 끼움 설치하며, 판재형 선반(3)을 전,후방 다보체(10)(20)에 연계 장착하여 본체 내부 가용공간으로부터 선반(3)이 위치 고정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방 다보체(10)는 측판패널 전방 위치의 체결홈(2a)에 끼움 체결되어지기 위한 고정핀(11)과 선반(3) 일측 선단이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핀(11)의 외주면에 탄지 끼움 체결되어지는 이탈방지편(15)으로 조합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11)은 체결홈(2a)에 삽입되어지는 끼움부(12)와 선반(3) 일면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13) 및 체결부(14)로 이루어지되 이들 구성요소(끼움부, 받침부, 체결부)들은 다단의 단턱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부(14) 외주면으로 후술할 이탈방지편의 삽입홈부가 탄지상태로 끼움 설치되도록 한다.
위 예시의 이탈방지편(15)은 직사각 형태로서 상단 일측으로 걸림턱부(16)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선반(3) 일측 선단에 대한 분리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하측 단부 중앙 위치에는 고정핀의 체결부(14)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의 원형 삽입홈부(17)를 절개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14)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방지편(15)이 끼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삽입홈부(17) 상측 일부를 연이어 절개하여 슬릿 형태의 텐션유도홈부(18)가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삽입홈부(17)에 대한 텐션력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하고, 하측 개방부위 양측으로 대향의 안내경사부(19)를 형성하여 고정핀 체결부(14) 외주면으로 삽입홈부(17)가 원활하게 탄지 체결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의 전방 다보체(10)에 있어 이탈방지편(15)은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경사상으로 기울어지는 선반(3)을 따라 고정핀(11)과 함께 설치 위치상에서 회전 유동되면서 고정핀(11)의 분리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핀(11)과 체결홈(2a) 간의 물림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상측 걸림턱부(16)와 선반(3) 상단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전방을 향한 선반의 기울어짐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탈방지편(15)과 고정핀(11)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부품 간소화 및 관리 효율성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 예의 후방 다보체(20)는 편형 몸체(21) 일측으로 측판패널 체결홈(2b)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원형 고정핀(22)을 적어도 2개 이상 복수로 이격 형성하고, 몸체(21) 타측으로 선반(3) 일단을 받쳐주기 위한 직사각 돌편 형태의 수평 받침부(23) 및 경사 받침부(24)가 이격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평 받침부(23)는 일측으로 수직경사상의 지지부(23a)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경사 받침부(24)는 상기 수평 받침부(23)의 하향 측방 위치에 이격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23a)와 경사 받침부(24)는 서로 직교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초기 설치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편심 이동 변위된 선반 후측 일단을 긴밀히 접면 지지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하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23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하고, 경사 받침부(2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다.
다음의 설명은 전,후방 다보체 및 선반의 설치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적으로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측판패널 전방 위치의 체결홈(2a)으로 전방 다보체(10)의 고정핀 일측에 마련된 끼움부(12)를 삽입하여 고정핀(11)이 설치되도록 하고, 측판패널 후방 위치의 체결홈(2b)에는 후방 다보체 몸체(21) 일측의 고정핀(22)을 끼워 후방 다보체(20)가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되, 이때 전방 다보체(10)의 고정핀 받침부(13) 상단과 후방 다보체의 수평 받침부(23) 상단이 동일 수평 선상으로 위치함에 따라 선반(3)이 수평상태로 반듯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선반 일측을 전방 다보체의 고정핀 받침부(13) 상측에 얹어줌과 동시에 선반(3) 타측을 후방 다보체의 수평 받침부(23) 상단에 올려 거치한 다음 전방 다보체의 이탈방지편(15)을 고정핀 체결부(14) 외주면에 원터치 탄지 체결하여 전,후방 다보체(10)(20)를 이용한 선반(3) 거치를 완료하거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탈방지편을 고정핀의 체결부 외주면에 미리 체결장착한 후 선반 거치를 완료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이탈방지편(15)의 삽입홈부(17) 하측 안내경사부(19)가 고정핀의 체결부(14) 외주면에 접촉되어 삽입홈부(17)가 용이하게 끼움 유도됨과 동시에 외측을 향해 탄동상태로 벌어진 삽입홈부(17)는 텐션유도홈부(18)로부터 탄지력이 보상되고 체결부(14) 외주면으로부터 견고하게 탄지 체결된 이후 고정핀(11)의 분리 이탈 내지 유동을 억제함은 물론 고정핀(11)과 체결홈(2a) 간의 물림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전,후방 다보체를 이용한 선반 설치 상태에서 물리적 외력(흔들림이나 충격)에 대응한 선반의 이동 변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9와 같이 수납가구 전후방 내지 상하 방향을 향한 전방위적인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전,후방 다보체(10)(20)에 얹혀져 있던 선반(3)이 초기 설치 위치로부터 유동하여 수납가구 전방으로 반동하면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선반 일측 선단이 전방 다보체의 받침부(13)와 이탈방지편 걸림턱부(16) 사이 공간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 이동함과 동시에 선반 타측 일면 또한 후방 다보체(20)의 수평 받침부(23)로부터 벗어나 하측 경사 받침부(24)로 이동 거치되면서 선반 자체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편중됨과 더불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선반(3)이 더 이상 수납가구 전방을 향해 끌려나가지 않고 멈춤으로써 강력한 물리적 외력에도 선반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선반(3)을 포함한 그 위에 올려진 물품들이 낙하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아울러, 경사지게 기울어진 선반(3) 일측 공간에는 진열 물품들이 안전하게 포집되어 파손을 방지하게 되고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전방 다보체의 이탈방지편(15)은 선반 선단에 접촉상태에서 경사상으로 기울어진 선반(3)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선반 이동 변위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탄지 체결된 전방 다보체(10)의 고정핀(11)이 분리 이탈되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방지함은 물론 고정핀(11)과 체결홈(2a) 간의 물림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전체적인 수납가구의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실시 예의 본 발명은 흔들림이나 충격 등의 물리적 외력으로부터 선반을 포함한 수납 물품들이 쓸어지거나 바닥으로 낙하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예방과 더불어 사람이 다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기술이라 할 것이며, 나아가 선반 설치 안정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신규 유용의 발명이라 할 것이다.
1 : 수납가구 본체, 2,2' : 측판패널, 2a : 전방 체결홈,
2b : 후방 체결홈, 3 : 선반, 10 : 전방 다보체,
11 : 고정핀, 12 : 끼움부, 13 : 받침부,
14 : 체결부, 15 : 이탈방지편, 16 : 걸림턱부,
17 : 삽입홈부, 18 : 텐션유도홈부, 19 : 안내경사부,
20 : 후방 다보체, 21 : 몸체, 22 : 고정핀,
23 : 수평 받침부, 23a : 지지부, 24 : 경사 받침부

Claims (4)

  1. 배면과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패널로 연결하여 본체(1)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판패널(2)(2') 내주면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 가공되어진 체결홈(2a)(2b)으로 전방 다보체(10)와 후방 다보체(20)를 끼움 설치하여 판재형 선반(3)이 전,후방 다보체(10)(20)에 연계하여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 다보체(10)는 측판패널 전방 위치의 체결홈(2a)에 끼움 체결되어지는 고정핀(11)과 선반(3) 일측이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핀 외주면에 탄지 끼움 체결되어지는 이탈방지편(15)으로 조합 구성되고, 상기 후방 다보체(20)는 측판패널 체결홈에 끼움 체결되어지기 위한 고정핀(22)을 몸체(21) 일측으로 돌출 형성함과 더불어 몸체(21) 타측으로 선반(3) 일단을 받쳐주기 위한 수평 받침부(23) 및 경사 받침부(24)가 이격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방 다보체(10)의 고정핀(11)은 체결홈(2a)에 삽입되어지는 끼움부(12)와 선반(3) 일면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13) 및 체결부(14)가 다단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탈방지편(15)은 상단 일측에 걸림턱부(16)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단부 중앙 위치로 상기 체결부(14)에 탄지 체결되기 위한 삽입홈부(17)가 절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삽입홈부(17)의 상측 일부를 개방하여 슬릿 형태의 텐션유도홈부(18)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 개방부위 양측으로 대향의 안내경사부(19)를 형성하여 고정핀 체결부(14) 외주면으로 삽입홈부(17)가 원활하게 탄지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전기한 후방 다보체(20)의 수평 받침부(23) 일측으로 수직경사상의 지지부(23a)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경사 받침부(24)는 상기 수평 받침부(23)의 하향 측방 위치에 이격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23a)와 경사 받침부(24)는 서로 직교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34359A 2023-03-16 2023-03-16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KR10258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59A KR102588348B1 (ko) 2023-03-16 2023-03-16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59A KR102588348B1 (ko) 2023-03-16 2023-03-16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348B1 true KR102588348B1 (ko) 2023-10-13

Family

ID=8828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359A KR102588348B1 (ko) 2023-03-16 2023-03-16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34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7U (ja) * 1983-06-17 1985-01-08 株式会社 丸伸 家具用棚板の高さ調整可能な支持具
JPS644129U (ko) * 1987-06-25 1989-01-11
KR960019842U (ko) 1994-12-27 1996-07-18 김정명 가구용 선반받침구
KR960026595U (ko) 1995-01-14 1996-08-17 김정환 가구용 선반걸이구
KR200380816Y1 (ko) * 2005-01-12 2005-04-07 주식회사 봉적 선반용 지지브라켓
JP2010000247A (ja) * 2008-06-20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US20100116959A1 (en) * 2007-06-07 2010-05-13 Spiral Supports Ltd. Shelf support
JP2012223453A (ja) * 2011-04-21 2012-11-15 Panasonic Corp 棚受け部材
CN203897778U (zh) * 2014-05-29 2014-10-29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活动层板支撑装置及活动层板装置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2069991B1 (ko) 2019-02-07 2020-01-23 장진영 선반의 상하 위치 조절형 책장
KR102155510B1 (ko)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7U (ja) * 1983-06-17 1985-01-08 株式会社 丸伸 家具用棚板の高さ調整可能な支持具
JPS644129U (ko) * 1987-06-25 1989-01-11
KR960019842U (ko) 1994-12-27 1996-07-18 김정명 가구용 선반받침구
KR960026595U (ko) 1995-01-14 1996-08-17 김정환 가구용 선반걸이구
KR200380816Y1 (ko) * 2005-01-12 2005-04-07 주식회사 봉적 선반용 지지브라켓
US20100116959A1 (en) * 2007-06-07 2010-05-13 Spiral Supports Ltd. Shelf support
JP2010000247A (ja) * 2008-06-20 2010-01-07 Murakoshi Mfg Corp 棚板取付装置
JP2012223453A (ja) * 2011-04-21 2012-11-15 Panasonic Corp 棚受け部材
CN203897778U (zh) * 2014-05-29 2014-10-29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活动层板支撑装置及活动层板装置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2069991B1 (ko) 2019-02-07 2020-01-23 장진영 선반의 상하 위치 조절형 책장
KR102155510B1 (ko)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004129호(1989.01.11.)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794A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that slides and adjusts within a channel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4716699A (en) Wall panels with single load-bearing connector posts
EP0073607B1 (en) A support assembly for shelving
US20060243177A1 (en) Bookcase with sloping shelves
EP2364615A2 (en) Shelving system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CA2064995C (en) Support panel base cover
US20220338627A1 (en) Extendable Storage Component for a Storage System
KR102588348B1 (ko) 선반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JP3052118B2 (ja) 書 棚
CN217805047U (zh) 一种带便携式桌子的摩托车尾箱
JP3014942U (ja) 耐震整理ダンス
KR102577988B1 (ko) 수납가구용 선반 체결부재
US20130284865A1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ttachment
KR101379685B1 (ko) 다용도 선반
KR100517310B1 (ko) 다용도 선반
KR200337046Y1 (ko) 턱선반을 구비한 서가
KR200464576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 브라켓
JPS6012436Y2 (ja) 棚板固定装置
CN212249346U (zh) 一种避震安全仓拉手棒固定架体
KR102478848B1 (ko) 원터치 교합형 선반 탄지체결부재를 구비한 수납가구
JP3224398U (ja) 耐震箪笥
KR20180086106A (ko) 조립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