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128B1 -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 Google Patents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128B1
KR102083128B1 KR1020190100744A KR20190100744A KR102083128B1 KR 102083128 B1 KR102083128 B1 KR 102083128B1 KR 1020190100744 A KR1020190100744 A KR 1020190100744A KR 20190100744 A KR20190100744 A KR 20190100744A KR 102083128 B1 KR102083128 B1 KR 10208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hanger
floor stand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완
Original Assignee
추교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교완 filed Critical 추교완
Priority to KR102019010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A47B2087/0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the shelves being held in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s between the tubular memb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중공 구조의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부 및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및 이격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승강시켜 천장과 밀착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FLOOR STAND MULTI HANGER}
아래의 실시예들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의류 보관대, 빨래 건조대, 각종 기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행거 지주는 2개가 한 세트로 판매되고 있으며, 길이는 중공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통상 2단 혹은 3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측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설치된다. 즉, 2개의 행거 지주를 각각 대응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기본 골조를 이루게 되며, 여기에 횡바 혹은 선반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행거 지주의 구조를 통해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경이 큰 하부지주파이프의 내측으로 외경이 하부지주파이프의 내경으로 투입되는 상부지주파이프롤 구성하고 고정구를 구성함으로써,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의 내경에서 슬라이딩 작동하여 지주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하여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행거의 경우 상단의 행거 높낮이 조절부의 회전을 통해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0207호는 이러한 행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0207호
실시예들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수직 프레임은 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 및 선반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행거를 통해 복수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중공 구조의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부 및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및 이격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승강시켜 천장과 밀착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는 양단이 절곡된 형태의 테이블 결합부재; 및 상기 테이블 결합부재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대 역할을 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테이블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에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선반 브라켓을 포함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브라켓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걸려 고정시키도록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철재 소재의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자석형 파티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형 파티션부는, 복수의 자성부가 구성되어 철재 소재의 상기 수직 프레임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수직 프레임은 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 및 선반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행거를 통해 복수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형 파티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직 프레임(210) 및 수평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접이식 테이블부(100), 선반부(250), 걸이부(260) 및 자석형 파티션부(2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0)은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0)은 복수 개 구성되며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측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부 및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 하부가 고정되도록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여, 사용자가 상부 수직 프레임(212)을 승강시켜 천장과 밀착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수직 프레임(210)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 때, 결합부재는 나사부가 될 수 있다.
일례로,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상부 적어도 일부에 상부 수직 프레임(212)이 삽입되어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하부 수직 프레임(211) 및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사각 기둥 등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수직 프레임(211)은 자석형 파티션부(270) 등의 자성에 의한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과의 나사결합 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수직 프레임(212)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성되고,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적어도 일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성되어,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수직 프레임(211) 및 상부 수직 프레임(212)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외측의 하부 수직 프레임(211)에서 별도의 나사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부 수직 프레임(212)의 외주면을 승하강 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수직 프레임(212) 또는 하부 수직 프레임(211)을 원하는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중단에서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행거의 경우 사용자가 의자 등의 도구를 밟고 올라가서 천장 측의 수직 프레임을 통해 높이 조절을 해야 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사용자의 키에 맞게 바닥에 선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2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수평 프레임(220)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1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의 사이 공간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3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210)의 사이 공간에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220)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평 프레임(220)의 양단은 수직 프레임(21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220)의 양단이 중공 구조의 수직 프레임(21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형태로 끼움결합, 용접 등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수직 프레임(210) 및 수평 프레임(220)을 프레임부(200)라고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200)는 사용자가 중단에서 높이 조절을 용이하며, 접이식 테이블부(100), 선반부(250), 걸이부(260), 자석형 파티션부(270) 등의 다목적의 부재들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테이블부(100)는 테이블 결합부재(140), 상판(110) 및 접이식 다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는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판(110) 및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ㄷ'자 형태로 수평 프레임(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어, 테이블 결합부재(140)의 'ㄷ'자 형태의 내측 일단 또는 타단이 수평 프레임(220)에 고정됨에 따라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상판(110)은 테이블 결합부재(14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10)은 목재, 플라스틱 소재, 철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이식 다리부(120)는 상판(110)의 일측에 경첩(150)에 의해 결합되어 상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다리부(120)는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선반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250)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고정시키도록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부(2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판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형태의 선반 브라켓(251)이 목재, 플라스틱 소재, 철재 등의 선반을 적어도 일부 감싸면서 복수의 수평 프레임(220)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반부(250)는 자성부가 구성되어 자성에 의해 수직 프레임(210) 또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부(250)의 선반 하측에 옷, 물건 등을 걸 수 있는 돌출된 형태의 걸이(252)가 구성됨으로써 선반 역할과 동시에 걸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걸이부(260)는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형태의 철재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수평 프레임(220)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걸이부(260)의 중단에 옷, 물건 등을 걸 수 있는 돌출된 형태의 걸이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260)는 사용자 임의에 따라 복수의 수평 프레임(220)에 용이하게 설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복수의 자성부가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210)에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100), 선반부(250)를 하나의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의 접이식 테이블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직 프레임(210) 및 수평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접이식 테이블부(100) 및 선반부(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0)은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은 각각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및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수직 프레임(212) 및 하부 수직 프레임(211) 둘 다 동일하게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기둥 형태이거나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210)은 복수 개 구성되며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측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다. 일례로,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되어, 하부 수직 프레임(211)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형태로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 수직 프레임(212)은 하부 수직 프레임(211)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되어, 하부 수직 프레임(211)이 상부 수직 프레임(212)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형태로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수직 프레임(212) 또는 하부 수직 프레임(211)은 소정간격으로 수평 프레임(220)이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수직 프레임(212)을 하부 수직 프레임(211)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210)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20)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1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수직 프레임(210)의 사이 공간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프레임(220)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평 프레임(220)의 양단은 수직 프레임(210)에 용접, 홈부 및 돌출부에 의한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220)의 양단이 중공 구조의 수직 프레임(21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형태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직 프레임(210)의 하단에 바닥과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직 프레임(210)의 상단에 천장과 지지 및 고정되며, 회전에 의해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240)가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테이블부(100)는 테이블 결합부재(140), 상판(110) 및 접이식 다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접이식 테이블부(100)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다.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는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하나의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 및 하단을 내측으로 굴절시키되, 하단은 수평 프레임(220)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굴절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 결합부재(140)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특히 테이블 결합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 프레임(22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친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침에 따라 수평 프레임(220)이 'ㄷ'자 형태의 테이블 결합부재(140)의 내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되, 수평 프레임(22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판(110)은 테이블 결합부재(14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이식 다리부(120)는 상판(110)의 일측에 경첩(150)에 의해 결합되어 상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단순한 행거 역할뿐만 아니라 접이식 테이블부(100)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책상, 식탁, 화장대 등 다양한 용도의 테이블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선반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250)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고정시키도록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부(250)는 철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판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형태의 선반 브라켓(251)이 목재, 플라스틱 소재, 철재 등의 선반을 적어도 일부 감싸면서 복수의 수평 프레임(220)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반부(250)는 자성부가 구성되어 자성에 의해 수직 프레임(210) 또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부(250)의 선반 하측에 옷, 물건 등을 걸 수 있는 돌출된 형태의 걸이(252)가 구성됨으로써 선반 역할과 동시에 걸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250)는 자성부가 구성되어 자성에 의해 수직 프레임(210) 또는 수평 프레임(220)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여기서 자성부는 영구 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반부(25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어 선반부(250)가 수평 프레임(220)에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선반부(250)는 평평한 선반 형태뿐만 아니라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져 물품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행거에 전신 거울, 반신 거울 등의 거울을 추가 설치하여 하나의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통해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형 파티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형 파티션부(270)를 나타내며,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하나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일면의 양단에 복수의 자성부가 구성되어 자성에 의해 철재 소재의 수직 프레임(210)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부는 영구 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수직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파티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에 복수의 자석형 파티션부(270)을 자성에 의해 부착할 수도 있다. 이 때,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거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형 파티션부(27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거울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자석형 파티션부(270)의 일면 전체가 거울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심미적인 효과 및 정보 전달 등을 위해 다양한 색상, 그림,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형 파티션부(270)는 복수의 자성부를 통해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0)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형태, 색상 등의 자석형 파티션부(270)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후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 선반부, 걸이부, 자석형 파티션부 등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행거를 통해 복수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좁은 공간에 다목적의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를 설치함으로써 공간 활동도가 좋으며,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하나로 책상, 파티션, 선반, 옷걸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는 150mm 정도의 공간만 있으면 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구조의 끼움결합 또는 자성에 의해 결합 가능한 선반부 및 자석형 파티션부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로부터 선반부 및 자석형 파티션부 등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상물을 안전하게 진열 및 보관할 수 있고, 자석형 파티션부를 통해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중공 구조의 상부 수직 프레임 및 하부 수직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부 및 하부가 밀착 고정되게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이격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철재 소재의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자석형 파티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승강시켜 천장과 밀착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단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자석형 파티션부는, 복수의 자성부가 구성되어 철재 소재의 상기 수직 프레임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접이식 테이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어 테이블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는 양단이 절곡된 형태의 테이블 결합부재; 및
    상기 테이블 결합부재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대 역할을 하는 상판
    을 포함하는,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에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
    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선반 브라켓을 포함하는 선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브라켓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걸려 고정시키도록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5. 삭제
KR1020190100744A 2019-08-19 2019-08-19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KR10208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744A KR102083128B1 (ko) 2019-08-19 2019-08-19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744A KR102083128B1 (ko) 2019-08-19 2019-08-19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128B1 true KR102083128B1 (ko) 2020-02-28

Family

ID=6963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744A KR102083128B1 (ko) 2019-08-19 2019-08-19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1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33A (ja) * 1994-05-09 1995-11-14 Tadapura:Kk ハンガーボード付き組み立て棚
KR970004045U (ko) * 1995-07-10 1997-02-19 박우희 조립식 장농
JP2006326146A (ja) * 2005-05-30 2006-12-07 Takashi Shibata 簡易クローゼット装置
KR200436763Y1 (ko) * 2006-12-27 2007-10-01 주식회사 퍼시스 스파인 가구의 보조선반 조립구조
KR20110000207U (ko) 2009-07-01 2011-01-07 이영철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130085896A (ko) * 2012-01-20 2013-07-30 진영근 회전 접이식 ''탁자와 진열대 또는 조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33A (ja) * 1994-05-09 1995-11-14 Tadapura:Kk ハンガーボード付き組み立て棚
KR970004045U (ko) * 1995-07-10 1997-02-19 박우희 조립식 장농
JP2006326146A (ja) * 2005-05-30 2006-12-07 Takashi Shibata 簡易クローゼット装置
KR200436763Y1 (ko) * 2006-12-27 2007-10-01 주식회사 퍼시스 스파인 가구의 보조선반 조립구조
KR20110000207U (ko) 2009-07-01 2011-01-07 이영철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130085896A (ko) * 2012-01-20 2013-07-30 진영근 회전 접이식 ''탁자와 진열대 또는 조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7387B2 (en) Under-bed storage unit
US5899346A (en) Foldable shelving unit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US6182841B1 (en) Display system for lamp shades
US3083066A (en) Folding table
KR102083128B1 (ko)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20170000391U (ko) 접이식 이동선반
US11957247B2 (en) Under-bed storage unit freestanding
KR200458584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CN214548741U (zh) 落地式多功能衣架
KR20180003131U (ko) 조립식 스탠드형 옷걸이대
KR101387783B1 (ko) 접철식 행거
KR102091545B1 (ko) 빨래 건조대
KR102535281B1 (ko) 드레스룸용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CN203328452U (zh) 一种组合型多功能衣物挂架
KR101686333B1 (ko) 세탁물 건조대
CN215014869U (zh) 一种玄关柜及玄关柜挂镜
KR101379750B1 (ko) 접철식 행거
US20210378431A1 (en) Laundry valet rod
KR200297134Y1 (ko) 절첩식선반의 가이드판
KR200349550Y1 (ko) 절첩식 옷걸이 진열대
JP2022097220A (ja) 間仕切装置
KR200196780Y1 (ko) 다용도 수납장
KR900007621Y1 (ko) 발렛트식 옷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