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34Y1 -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34Y1
KR200474034Y1 KR2020130002854U KR20130002854U KR200474034Y1 KR 200474034 Y1 KR200474034 Y1 KR 200474034Y1 KR 2020130002854 U KR2020130002854 U KR 2020130002854U KR 20130002854 U KR20130002854 U KR 20130002854U KR 200474034 Y1 KR200474034 Y1 KR 200474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t
vertical
bottom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열
노순정
Original Assignee
신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열 filed Critical 신동열
Priority to KR2020130002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물의 분비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이 용이하여 야외에서 애완동물과 동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형상의 조절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판 상의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에 형성된 고정공(3)을 관통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지주(4)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2)의 상부로 적층되는 사각틀 형상의 적층부재(5)와, 상기 수직지주(4)들의 상,하단에 끼움 조립되어 각각 연결되는 상부체결봉(6)과 하부체결봉(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A self-assemble house for pet}
본 고안은 가정에서 애완용으로 키우는 동물의 주거공간인 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분비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이 용이하여 야외에서 애완동물과 동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형상의 조절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이 높아지고 가족의 구성 수가 적어짐에 따라 가정에서 가족과 같이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에서 키워지는 애완동물은 집안의 애완동물용 집에서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주로 천, 목재 및 합성수지판재로 지은 집으로서, 울타리 형이나 바구니 형태로 지은 집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제작하기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취급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여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애완동물용 집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애완동물용 집들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제 20-0348686호(명칭: 조립식 애완동물용 집)이 있으며, 상기 애완동물용 집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면, 저면 및 후면이 일체로 형성된 제1 골판지와; 지붕, 처마 및 측면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2 골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골판지의 전면과 후면은, 상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공, 상부 좌우측에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절곡편, 상기 제1 절곡편의 하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공 및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골판지의 저면은,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절곡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골판지의 지붕은, 상기 제1 골판지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삽입편, 상기 삽입편의 하부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절곡편 및 상기 제4 절곡편의 일단에 상기 제1 골판지의 제1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골판지의 처마는,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5 절곡편, 상기 제5 절곡편의 일단에 상기 제1 골판지의 제2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 결합편 및 상기 제3 결합편의 좌우측에 접힘선을 따라 접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6 절곡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골판지의 측면은,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7 절곡편과 상기 제7 절곡편의 접힘선에 상기 제1 골판지의 제1 결합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 체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골판지를 이용하여 접고 끼움 결합을 통해 바닥과 지붕 및 벽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애완동물용 집의 하나로,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제(20-2007-0000411호(명칭: 조립식 개집)이 있으며, 상기 조립식 개집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못 및 조립부품을 통해 목재로 이루어진 경판을 이용하여 바닥, 지붕 및 벽을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들은, 골판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특히, 강도가 약하여 야외로 애완동물을 동행하기 위하여 운반할 때, 사용을 하지 못하는 사용상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정용 못 및 조립부품 등과 같은 별도의 조립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취급이 어렵고, 특히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를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거워 야외로 애완동물을 동행하기 위하여 운반할 때,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물의 분비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이 용이하여 야외에서 애완동물과 동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형상의 조절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은, 판 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지주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적층되는 사각틀 형상의 적층부재와; 상기 수직지주들의 상,하단에 끼움 조립되어 각각 연결되는 상부체결봉과 하부체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직지주들이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판 상의 지붕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닥판과 수직지주와 적층부재와 상부체결봉와 하부체결봉 및 지붕판은 경량 목재로 이루어진 판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구비된 수직지주의 종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적층부재는, 양단에 체결요홈이 수직상으로 형성된 적층판들이 상기 체결요홈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맞춤 결합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적층판들의 저면 및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삽입결합되는 끼움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판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주의 일 측면이 끼움되어 수용되는 끼움요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적층부재의 일 측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직지주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상부체결봉 및 하부체결봉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상부체결봉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붕판은 상기 적층부재의 내부공간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은, 경량의 목재로 이루어져, 동물의 소변에 분비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별도의 조립용 기구 및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각 구성들의 끼움에 의해 설치 및 조립할 수 사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부의 상부체결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고 운반할 수 있어, 야외에서 애완동물과 동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 및 지붕판의 구성을 변경할 경우, 전체 형상의 조절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배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1)은, 판 상의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에 형성된 고정공(3)을 관통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지주(4)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2)의 상부로 적층되는 사각틀 형상의 적층부재(5)와, 상기 수직지주(4)들의 상,하단에 끼움 조립되어 각각 연결되는 상부체결봉(6)과 하부체결봉(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조립식 집(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닥 및 벽들이 상기 바닥판(2)과, 수직지주(4)와 적층부재(5) 및 상부체결봉(6)과 하부체결봉(7)들이 끼움 맞춤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기구(나사, 못 등) 및 부품(조립 피스) 등이 없어도 용이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비 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조립기구를 마련할 수 없는 야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1)에서, 상기한 수직지주(4)들이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체결공(8)이 형성된 판 상의 지붕판(9)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적층부재(5)의 상부를 상기 지붕판(9)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거주하는 적층부재(5)의 내부공간을 상부에서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1)에서, 상기한 바닥판(2)과 수직지주(4)와 적층부재(5)와 상부체결봉(6)와 하부체결봉(7) 및 지붕판(9)은 경량 목재로 이루어진 판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배설물에 의한 손상이 없어 장기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잇으며, 특히, 이송중에 애완동물이 배설을 하더라도,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애완동물을 운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판(2)과 수직지주(4)와 적층부재(5)와 상부체결봉(6)와 하부체결봉(7) 및 지붕판(9)은 합성수지재질의 판체로 이루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바닥판(2)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공(3)을 관통하여 구비된 수직지주(4)의 종단을 수용하는 수용홈(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공(3)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지주(4)의 하단이 끼움 되더라도, 상기 수직지주(4)의 하단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바닥판(2)이 일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적층부재(5)는, 양단에 체결요홈(11)이 수직상으로 형성된 적층판(12)들이 상기 체결요홈(1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맞춤 결합하여 조립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적층판(12)들이 4개 1조 일 적층부재(5)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어, 필요 시 조립하여 적층부재(5)를 구성하고, 불필요할 때에는, 적층판(12)으로 분해하여 보관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층판(12)들의 저면 및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3)에 삽입결합되는 끼움봉(14)이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층부재(5)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끼움봉(14)이 상기 끼움홈(13)들에 수용되어 적층부재(5)들이 전후좌우로 유동되어 분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적층판(12)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주(4)의 일 측면이 끼움되어 수용되는 끼움요홈(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지주(4)와 상기 적층부재(5)들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층부재(5)가 더욱 견고하게 적층되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적층부재(5)의 일 측면에는 개방부(16)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6)는 적층부재(5)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수직지주(4)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상부체결봉(6) 및 하부체결봉(7)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조립공(1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주(4)들의 상하 양단부가 서로 체결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과 지붕판(9) 및 적층부재(5)가 상기 수직지주(4)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체결봉(6)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손잡이홈(18)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지붕판(9)은 상기 적층부재(5)의 내부공간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하부판(19)과, 상기 하부판(19)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상부판(20)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부재(5)의 내부를 완전 밀폐하거나,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결봉의 상부에 끼음 적층하여 선반으로 사용하는 등, 그 구성을 취사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붕을 구성할 수 있어, 외관을 다양하게 하여 조립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9)을 제거하여,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형가능하다.
상기에서, 지붕푼(9)은 다양한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판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1)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거주지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바닥판(2)의 고정공(3)에 상기 수직지주(4)의 하단을 관통되게 끼우고, 상기 수직지주(4)의 조립공(17)에 상기 하부체결봉(7)을 끼움 결합하여, 수직지주(4)들의 하단을 연결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판(12)들을 4개 1조로 하여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요홈(11)들을 서로 맞춤 끼움 결합하여 적층부재(5)를 조립하고, 상기 적층부재(5)를 상기 바닥판(2)의 상부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재(5)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요홈(15)이 상기 수직지주(4)의 외측면부를 수용하면서 적층되며, 상기 적층부재(5)들의 사이에는 상기 끼움봉(14)이 상기 끼움홈(13)들에 상하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하에 위치된 적층부재(5)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상기에서 적층부재(5)들이 적층될 때, 개방부(16)가 구비된 적층부재(5)와 구비되지 않은 적층부재(5)들을 취사선택하여 조립하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의 상부로 상기 적층부재(5)들이 적층되면, 상기 지붕판(9)을 체결공(8)을 통해 수직지주(4)가 관통되게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적층부재(5)의 상부로 적층하고, 상기 상부체결봉(6)을 상기 수직지주(4)의 상단에 형성된 조립공(17)을 통해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면, 애완동물의 거주지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지붕판(9)을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지 않거나,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결봉(6)의 상부에 적층 결합하는 등, 그 형태를 달리하면 다양한 형태의 거주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애완동물의 거주지를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손잡이홈(18)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운반하여 간편하게 야외에 애완동물을 동행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조립식 집 2 : 바닫판
3 : 고정공 4 : 수직지주
5 : 적층부재 6 : 상부체결봉
7 : 하부체결봉 8 : 체결공
9 : 지붕판 10 : 수용홈
11 : 체결요홈 12 : 적층판
13 : 끼움홈 14 : 끼움봉
15 : 끼움요홈 16 : 개방부
17 : 조립공 18 : 손잡이홈
19 : 하부판 20 : 상부판

Claims (11)

  1. 판 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지주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적층되는 사각틀 형상의 적층부재와;
    상기 수직지주들의 상,하단에 끼움 조립되어 각각 연결되는 상부체결봉과 하부체결봉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한 상부체결봉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지주들이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판 상의 지붕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닥판과 수직지주와 적층부재와 상부체결봉와 하부체결봉 및 지붕판은,
    경량 목재로 이루어진 판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구비된 수직지주의 종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층부재는,
    양단에 체결요홈이 수직상으로 형성된 적층판들이 상기 체결요홈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맞춤 결합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층판들의 저면 및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삽입결합되는 끼움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주의 일 측면이 끼움되어 수용되는 끼움요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층부재의 일 측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지주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상부체결봉 및 하부체결봉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10. 삭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붕판은,
    상기 적층부재의 내부공간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KR2020130002854U 2013-04-12 2013-04-12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KR200474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54U KR200474034Y1 (ko) 2013-04-12 2013-04-12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54U KR200474034Y1 (ko) 2013-04-12 2013-04-12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034Y1 true KR200474034Y1 (ko) 2014-08-19

Family

ID=5198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54U KR200474034Y1 (ko) 2013-04-12 2013-04-12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127A (ko) 2019-11-28 2021-06-07 최재혁 창틀용 반려동물 하우스
KR20220083369A (ko) * 2020-12-11 2022-06-20 (주)머티리얼앤디자인 애완동물 하우스용 원판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451U (ja) * 1993-02-24 1994-09-13 株式会社ボンビ 犬小屋
US20110247567A1 (en) * 2010-04-12 2011-10-13 Pinta International, Llc Animal She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451U (ja) * 1993-02-24 1994-09-13 株式会社ボンビ 犬小屋
US20110247567A1 (en) * 2010-04-12 2011-10-13 Pinta International, Llc Animal Shel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127A (ko) 2019-11-28 2021-06-07 최재혁 창틀용 반려동물 하우스
KR20220083369A (ko) * 2020-12-11 2022-06-20 (주)머티리얼앤디자인 애완동물 하우스용 원판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하우스
KR102560504B1 (ko) 2020-12-11 2023-07-27 (주)머티리얼앤디자인 애완동물 하우스용 원판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784B1 (en) Modularized cage
US11013318B2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US7293530B2 (en) Lightweight, portable and expandable small animal enclosure
US6832580B2 (en) Modular cage
US9629462B2 (en) Modular drawer structure
US8141518B2 (en) Animal shelter with integrated storage and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110215095A1 (en) Storage box
US20090288613A1 (en) Pet Cage Assembly
KR100963272B1 (ko) 조립식 소형집
US20200149273A1 (en) Building assembly
KR200474034Y1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KR20090074856A (ko) 조립식 애완용 개집
US20110239955A1 (en) Pet paw cleaning device
KR101441318B1 (ko) 조립식 캣타워
AU2011100578A4 (en) Pet house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TWM503091U (zh) 紙纖寵物屋結構
US20120222623A1 (en) Wall mounted modular pet bed
KR20210002117U (ko) 애완동물을 위한 조립식 하우스
JP2005110580A (ja) スクラッチタワー用のロール
CA2762293A1 (en) Crate for transporting animals
KR20130001293U (ko) 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파이프하우스
KR200348687Y1 (ko) 조립식 애완동물용 집
KR20170000995U (ko) 애완견용 하우스 조립체
CN217657586U (zh) 一种模块化拼装宠物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