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318B1 - 조립식 캣타워 - Google Patents

조립식 캣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318B1
KR101441318B1 KR1020130145282A KR20130145282A KR101441318B1 KR 101441318 B1 KR101441318 B1 KR 101441318B1 KR 1020130145282 A KR1020130145282 A KR 1020130145282A KR 20130145282 A KR20130145282 A KR 20130145282A KR 101441318 B1 KR101441318 B1 KR 10144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coupling
connector
connecting member
connect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환
Original Assignee
박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환 filed Critical 박치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재에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해서 고양이가 사육되는 공간의 크기나 개체수에 따라 최적의 캣타워 구조물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간편해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캣타워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고양이가 싫증을 내지 않으며, 다양한 패턴의 색상과 무늬를 갖는 직물지 재질의 칸막이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미적인 심미감이 연출될 수 있며, 그물망 형태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캣타워 구조물의 일부가 고양이를 가두어 두는 케이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끈 등이 감겨진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고 이빨로 물어뜯을 수 있는 놀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캣타워의 하단부에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흡착부재에 의해 캣타워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바퀴부재에 의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커넥터부재와, 양 단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일면의 모서리 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일면이 폐쇄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캣타워{ASSEMBLY TYPE CAT TOWER}
본 발명은 조립식 캣타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방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재에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해서 고양이가 사육되는 공간의 크기나 개체수에 따라 최적의 캣타워 구조물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간편해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캣타워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고양이가 싫증을 내지 않으며, 다양한 패턴의 색상과 무늬를 갖는 직물지 재질의 칸막이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미적인 심미감이 연출될 수 있며, 그물망 형태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캣타워 구조물의 일부가 고양이를 가두어 두는 케이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끈 등이 감겨진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고 이빨로 물어뜯을 수 있는 놀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캣타워의 하단부에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흡착부재에 의해 캣타워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바퀴부재에 의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캣 타워(CAT TOWER)란 애완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로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일측에는 애완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캣 타워는 완제품 형태로 판매되고 있어 사육공간의 특성, 사육공간이나 기르는 애완묘의 크기 또는 개체수에 따라 캣 타워의 형상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형상 변경이 불가능함에 따라 애완묘에게 새로운 놀이공간이 제공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46828호(2013.03.18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방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재에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해서 고양이가 사육되는 공간의 크기나 개체수에 따라 최적의 캣타워 구조물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간편해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캣타워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고양이가 싫증을 내지 않으며, 다양한 패턴의 색상과 무늬를 갖는 직물지 재질의 칸막이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미적인 심미감이 연출될 수 있며, 그물망 형태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캣타워 구조물의 일부가 고양이를 가두어 두는 케이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끈 등이 감겨진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고 이빨로 물어뜯을 수 있는 놀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캣타워의 하단부에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흡착부재에 의해 캣타워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바퀴부재에 의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캣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커넥터부재와, 양 단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일면의 모서리 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일면이 폐쇄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부재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 상에는 그 모서리 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그물망 판재 형상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상기 연결부재 대신 양 단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와 연결되는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연결부재에는 그 상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는 사방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재에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해서 고양이가 사육되는 공간의 크기나 개체수에 따라 최적의 캣타워 구조물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간편해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캣타워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고양이가 싫증을 내지 않으며, 다양한 패턴의 색상과 무늬를 갖는 직물지 재질의 칸막이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미적인 심미감이 연출될 수 있며, 그물망 형태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캣타워 구조물의 일부가 고양이를 가두어 두는 케이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끈 등이 감겨진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경우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고 이빨로 물어뜯을 수 있는 놀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캣타워의 하단부에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흡착부재에 의해 캣타워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바퀴부재에 의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부분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 결합홈(11)이 형성되는 다수의 커넥터부재(10)와, 양 단에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10)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일면의 모서리 측에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31)가 돌출 형성되고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10) 및 연결부재(20)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일면이 폐쇄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3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커넥터부재(10)는 추후에 설명될 연결부재(20)가 소정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관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는 연결부재(2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홈(11)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부재(10)는 육면체에 해당되는 여덟 군데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한 개씩이 위치되고 각각의 커넥터부재(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20)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의 캣타워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결합홈(11)은 연결부재(20)의 제 1 결합돌기(21)나 추후에 설명될 제 2 결합돌기(31) 내지 제 5 결합돌기(61)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될 수도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재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양측의 커넥터부재(10) 사이에는 연결부재(20)가 결합되는데, 이 연결부재(20)는 캣타워의 전체 뼈대의 역할과, 고양이가 밟고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발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 단에는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 1 결합돌기(21)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는 고양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일면 또는 양면 모두가 평편 또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통공(23)이 관통 형성되어 고양이가 이동중에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동시에 자재비용의 감소 및 심미적 효과까지 발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는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재 등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캣타워를 조립할 경우, 하측 사방에 4개의 커넥터부재(10)가 그리고 상부 사방에 4개의 커넥터부재(10)가 각각 위치되고, 커넥터부재(10)와 커넥터부재(10) 사이에 12개의 연결부재(20)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캣타워 구조물에는 칸막이부재(3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칸막이부재(30)는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개방 형성된 구조물의 일면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이가 밟고 지나가는 발판의 역할과 다양한 패턴의 색상과 무늬를 갖는 직물지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미적인 심미감이 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그 일면의 모서리 네 군데에는 전술한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3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칸막이부재(3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캣타워 구조물의 최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캣타워 구조물의 전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네 개의 커넥터부재(10) 상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음 이 커넥터부재(10)에 연결부재(20)들이 수직방향으로 결합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결합돌기(31)는 전술한 제 1 결합돌기(21)와 마찬가지로 결합홈(11) 내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하되,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 사이에 위치될 경우 제 2 결합돌기(31) 없이 칸막이부재(30)의 네 군데 모서리 측에 형성된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커넥터부재(10)의 결합홈(11)이 노출되고, 연결부재(20)의 제 1 결합돌기(21)가 결합홈(11)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전술한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에는 가두리부재(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가두리부재(40)는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개방 형성된 캣타워 구조물의 개방된 면을 폐쇄함으로써 고양이를 그 내부에 가둘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건강이 좋지 않은 고양이가 격리될 수도 있고 새끼 고양이들이 다른 고양이들의 훼방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두리부재(40)의 일면에는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결합돌기(4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캣타워 구조물에서 연결부재(20) 대신 스크래쳐부재(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스크래쳐부재(50)는 그 외부에 노끈과 같이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고 이빨로 물어 뜯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놀이와 어린 고양이의 훈련용도로 사용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래쳐부재(50)의 양 단에는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결합돌기(51)가 돌출 형성되어 커넥터부재(10)와 연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캣타워 구조물 하단부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는 흡착부재(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데, 이 흡착부재(60)는 지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캣타워 구조물이 임의로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흡착부재(60)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흡착식 흡착부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착부재(60) 대신 캣타워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부재가 결합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퀴부재의 회전이 제한되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착부재(60)의 상측에는 전술한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 결합돌기(61)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1)의 전체적인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측 사방 모서리 측에 커넥터부재(10)가 각각 위치되도록 한 다음, 그 사이가 연결되도록 연결부재(20) 및 스크래쳐부재(50)를 수평방향으로 결합해 사각 형태의 구조물은 만들어 준다. 그런 다음 커넥터부재(10)의 수직방향으로 또 연결부재(20) 및 스크래쳐부재(50)를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다음, 그 상단에 각각 커넥터부재(10)를 결합해 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 및 스크래쳐부재(50)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원하는 캣타워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커넥터부재(10)와 연결부재(20) 및 스크래쳐부재(50)에 의해 개방 형성된 구조물 일면에 칸막이부재(30), 가두리부재(50)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칸막이부재(30)는 제 2 결합돌기(31)를 커넥터부재(10)의 결합홈(11)에 각각 삽입해 개방된 일면이 폐쇄되도록 하여 고양이가 밟고 지나갈 수 있는 발판의 역할을 함은 물론 심미적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가두리부재(40)는 제 3 결합돌기(41)를 커넥터부재(10)의 결합홈(11)에 각각 삽입해 개방된 면이 모두 폐쇄되도록 하여 그 내부에 고양이를 가두어 두는 케이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캣타워 구조물 하단부에 위치된 커넥터부재(10)의 결합홈(11) 내에는 흡착부재(60)를 장착하여 흡착부재(60)가 지면에 흡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캣타워 구조물이 고양이에 의해서 임의로 유동 되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조립식 캣타워
10 : 커넥터부재
11 : 결합홈
20 : 연결부재
21 : 제 1 결합돌기
23 : 미끄럼방지용 통공
30 : 칸막이부재
31 : 제 2 결합돌기
40 : 가두리부재
41 : 제 3 결합돌기
50 : 스크래쳐부재
51 : 제 4 결합돌기
60 : 흡착부재
61 : 제 5 결합돌기

Claims (5)

  1.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커넥터부재;
    양단에는 상기 커넥터부재의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되고 고양이가 밟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면 또는 양면이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일면의 모서리 측에는 상기 커넥터부재의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일면이 폐쇄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 상에는 그 모서리 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그물망 판재 형상의 가두리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상기 연결부재 대신 양 단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재와 연결되는 스크래쳐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연결부재에는 그 상측에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흡착부재 또는 바퀴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캣타워.
KR1020130145282A 2013-09-04 2013-11-27 조립식 캣타워 KR101441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803 2013-09-04
KR1020130105803 2013-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318B1 true KR101441318B1 (ko) 2014-09-18

Family

ID=5176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282A KR101441318B1 (ko) 2013-09-04 2013-11-27 조립식 캣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00U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제이컨텐츠 스크래쳐 교체 기능을 갖는 캣 타워
KR20210035986A (ko) * 2019-09-25 2021-04-02 이건호 확장 및 변형 가능한 조립식 캣타워
KR20210000876U (ko) * 2019-10-15 2021-04-23 김은혜 캣타워
KR20220082516A (ko) 2020-12-10 2022-06-17 임태현 조립식 캣타워
EP4088569A1 (de) * 2021-05-12 2022-11-16 Holz- und Möbelmanufaktur Schraft GmbH Parcours für vierbeinige tiere, insbesondere für pfer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500A (ja) 2001-08-23 2003-03-04 Toyoji Aida 組立式家禽管理小屋及び付属施設
JP2005160431A (ja) 2003-12-04 2005-06-23 Richell Corp ペット用サークル、該サークルを備えたケージ及び両者の組み立て方法
KR20120008819U (ko) * 2011-06-15 2012-12-26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0469666Y1 (ko) *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500A (ja) 2001-08-23 2003-03-04 Toyoji Aida 組立式家禽管理小屋及び付属施設
JP2005160431A (ja) 2003-12-04 2005-06-23 Richell Corp ペット用サークル、該サークルを備えたケージ及び両者の組み立て方法
KR20120008819U (ko) * 2011-06-15 2012-12-26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0469666Y1 (ko) *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00U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제이컨텐츠 스크래쳐 교체 기능을 갖는 캣 타워
KR20210035986A (ko) * 2019-09-25 2021-04-02 이건호 확장 및 변형 가능한 조립식 캣타워
KR102275044B1 (ko) 2019-09-25 2021-07-08 이건호 확장 및 변형 가능한 조립식 캣타워
KR20210000876U (ko) * 2019-10-15 2021-04-23 김은혜 캣타워
KR200494762Y1 (ko) * 2019-10-15 2021-12-21 김은혜 캣타워
KR20220082516A (ko) 2020-12-10 2022-06-17 임태현 조립식 캣타워
EP4088569A1 (de) * 2021-05-12 2022-11-16 Holz- und Möbelmanufaktur Schraft GmbH Parcours für vierbeinige tiere, insbesondere für pfer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318B1 (ko) 조립식 캣타워
KR101246828B1 (ko) 조립식 캣 타워
US20120174874A1 (en) Pet game assembly and method for training or otherwise stimulating a pet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US8776727B1 (en) Multiple use modular apparatus for animals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US7117821B2 (en) Cat scratching apparatus
US7337748B1 (en) Stackable play house for feline animals
US9163393B2 (en) Panel construction device
US3552356A (en) Pet amusement device
CN103945688A (zh) 动物围栏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US20100101501A1 (en) Urban adventure playground
US11672233B2 (en) Toy / training tool for animal containment assembly
US20140299727A1 (en) Holder for a pet toy
TWM456218U (zh) 立體迷宮
KR200478271Y1 (ko) 고양이 스크래쳐
US20160374309A1 (en) Support Base for a Vertical Structure
JP3132897U (ja) ペット用遊戯装置
US20170020102A1 (en) Support For A Vertical Panel
KR200424921Y1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TWM611842U (zh) 寵物籠及寵物籠組合
KR102002645B1 (ko) 애완 동물 하우스
WO2017056335A1 (ja) 幼児用組立遊具
KR20130001293U (ko) 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파이프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