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76U - 캣타워 - Google Patents

캣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76U
KR20210000876U KR2020190004161U KR20190004161U KR20210000876U KR 20210000876 U KR20210000876 U KR 20210000876U KR 2020190004161 U KR2020190004161 U KR 2020190004161U KR 20190004161 U KR20190004161 U KR 20190004161U KR 20210000876 U KR20210000876 U KR 20210000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cat
cat t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762Y1 (ko
Inventor
김은혜
Original Assignee
김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혜 filed Critical 김은혜
Priority to KR2020190004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6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캣타워에 관한 것으로써, 고양이가 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모듈 방식으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과 안착플레이트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캣타워{CAT TOWER}
본 고안은 캣타워에 관한 것으로써, 고양이가 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모듈 방식으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캣타워들은 완성품 형태로 판매되어, 실내공간의 형태 및 크기, 고양이의 연령대 및 무게 그리고 고양이수 등의 다양한 변수들에 맞춰 형상을 변형할 수 없고, 이동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선반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고양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이 배제되는 단점이 있다.
KR 10-2019-0036933
본 고안의 목적은 고양이가 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모듈 방식으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과 안착플레이트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입체로 이루어지되, 마지막에 적층되는 하우징은 절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은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 상판과 하판의 둘레를 따라 상판과 하판 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은 지지대의 단부 또는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수부; 및 나머지에 형성되어 수부가 삽입되는 암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은 지지대를 감싸고, 일측에 고양이가 왕래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캣타워는 하우징을 통해 고양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적층 방식의 하우징과 안착플레이트를 통해 고양이에게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올라가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모듈 방식으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캣타워가 구현될 수 있고,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캣타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타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하우징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와 지지대에 형성되는 수부와 암부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하우징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제2덮개와 제1덮개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체결부재의 일 예인 볼트와 너트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8은 순차적으로 체결부재의 다른 예인 고정집게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간에 결합되기 전, 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a,b는 도 8에 도시된 B-B의 섹션도로서, 순차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고정집게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0)에서 안착플레이트(12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안착플레이트(120)에서 하우징(11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캣타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캣타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타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캣타워(1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120),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또는 상기 하우징(110)과 안착플레이트(120)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는 입체로 이루어지되, 마지막에 적층되는 상기 하우징(110)은 절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간(S)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사료를 먹거나, 잠을 자는 생활을 할 수 있으며, 경사가 형성되는 절두체 형태의 상기 하우징(110)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캣타워(100)를 오르내리는 난이도가 변경되어 고양이에게 재미를 더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캣타워(100)가 배치되는 지면을 기준하여 상기 지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하우징(111), 상기 제1하우징(111)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절두체 형태의 제2하우징(112)을 포함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하우징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와 지지대에 형성되는 수부와 암부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판(113a)과 하판(113b)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113), 상기 상판(113a)과 하판(113b)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113a)과 하판(113b) 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11)은 다면체 또는 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층 시 안정성을 위해 상기 상판(113a)과 하판(113b)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12)은 각뿔대 또는 원뿔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위해 상기 제2하우징(112)의 하판은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판(113a)과 같은 형태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4)는 상기 플레이트부(1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판(113a)과 하판(113b) 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13), 지지대(114)는 목재, 철재, 합금강, 플라스틱 수지와 같이 일정강성 띤 공지의 소재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13)와 지지대(114)간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4)의 단부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113)에 수부(116)가 형성되고, 나머지에 암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116)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116)와 암부(115)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고정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도 5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제2덮개와 제1덮개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지지대(114)를 감싸고, 일측에 고양이가 왕래하는 구멍(117d)이 형성되는 덮개(117)를 더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17)는 상기 제2하우징(112)의 측면을 감싸는 제2덮개(117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112)이 원뿔대일 경우, 상기 제2덮개(117b)는 중심이 일부 제거된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17)는 상기 제1하우징(111)의 측면을 감싸는 제1덮개(117a)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덮개(117a)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117)는 양측에 설치되는 벨크로(117e)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양이가 상기 하우징(110)을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덮개(117)는 나일론(Nylon), 울(Wool),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짜여진 카페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117d)의 둘레를 따라 마감(118) 처리됨으로써 고양이의 이동에 의해 올이 풀려 상기 덮개(11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체결부재의 일 예인 볼트와 너트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간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130)는 일 예로 볼트(131)와 너트(132)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판(113a), 또는 상기 상판(113a)에 접하는 상기 하판(113b)에 상기 너트(132)가 삽입되어 고정될 경우, 나머지에 상기 너트(132)에 대응되는 통공(133)이 타공되며 상기 통공(133)을 통해 상기 볼트(131)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13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 간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하우징(110) 간 분리는 상기 너트(132)로부터 상기 볼트(131)를 제거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7,8은 순차적으로 체결부재의 다른 예인 고정집게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간에 결합되기 전, 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간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130')는 다른 예로 고정집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집게는 상기 상판(113a)의 측면과, 상기 상판(113a)에 접하는 상기 하판(113b)의 측면을 감싸는 몸체부(134), 상기 몸체부(134)의 양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판(113a)의 저면과 상기 하판(113b)의 상면에 결합하는 후크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집게의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정집게는 상기 고정집게의 결합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34)로부터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36)가 상기 후크부(135)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13a)의 저면과 상기 하판(113b)의 상면에는 상기 경사부(136)에 대응되는 체결홈(137)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후크부(135)가 상기 체결홈(137)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부(136)가 상기 체결홈(137)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이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135)가 상기 체결홈(137)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후크부(135)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하판(113b)의 상면, 상기 상판(113a)의 하면과 수평을 이룸으로써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고, 돌출에 의한 고양이의 이동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a,b는 도 8에 도시된 B-B의 섹션도로서, 순차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고정집게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a,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집게는 상기 하우징(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34)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부(138)를 더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138)에 외력을 가해 상호 간격이 좁아지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부(135)가 벌어져 상기 후크부(135)가 상기 체결홈(137)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집게의 분리방향으로 상기 가압부(138)를 잡아당기면 상기 경사부(136)가 상기 체결홈(13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서 상기 후크부(135)가 벌어지게 되고, 지속되어 상기 경사부(136)가 상기 체결홈(137)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고정집게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집게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집게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플라스틱, 철재 소재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플레이트(120)는 판상으로 다각형태 또는 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20)는 상기 캣타워(100)의 최상단에 배치되며,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부재(130)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12)의 상판(113a)에 결합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20)는 고양이가 상기 캣타워(100)를 오르는 과정에서 임시 머물수 있는 장소이며, 고양이가 보다 안락하게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에 머물수 있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제3덮개(117c)가 설치되며, 상기 제3덮개(117c) 또한 카페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덮개(117c)는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에 벨크로 방식으로 탈부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테이프, 접착스프레이와 같은 공지의 접착부재를 매개로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캣타워(100)는 지면과 상기 하우징(110) 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113b)에 설치되는 받침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40)는 판상이며,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부재(130)를 통해 상기 하판(113b)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판(113b)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40)는 상기 캣타워(100)의 이동 시, 지면과 상기 하우징(110) 간에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의 상기 받침대(1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캣타워(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캣타워는 하우징을 통해 고양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적층 방식의 하우징과 안착플레이트를 통해 고양이에게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올라가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모듈 방식으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캣타워가 구현될 수 있고,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캣타워 110 : 하우징
120 : 안착플레이트 130,130' : 고정부재
140 : 받침대

Claims (5)

  1. 복수 개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과 안착플레이트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캣타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입체로 이루어지되,
    마지막에 적층되는 상기 하우징은 절두체로 이루어진 캣타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
    상기 상판과 하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과 하판 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캣타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수부; 및
    나머지에 형성되어 상기 수부가 삽입되는 암부;
    를 더 포함하는 캣타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대를 감싸고, 일측에 고양이가 왕래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캣타워.
KR2020190004161U 2019-10-15 2019-10-15 캣타워 KR200494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61U KR200494762Y1 (ko) 2019-10-15 2019-10-15 캣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61U KR200494762Y1 (ko) 2019-10-15 2019-10-15 캣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6U true KR20210000876U (ko) 2021-04-23
KR200494762Y1 KR200494762Y1 (ko) 2021-12-21

Family

ID=7573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61U KR200494762Y1 (ko) 2019-10-15 2019-10-15 캣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57B1 (ko) * 2023-09-01 2024-02-02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다단형 캣타워 및 캣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97U (ko) 2022-02-11 2022-03-02 최강수 드럼형 캣타워
KR20240003282A (ko) 2022-06-30 2024-01-08 이시호 흡착판이 구비된 캣타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919A (ja) * 2005-02-01 2006-08-17 Yamahisa:Kk 猫用遊具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KR101441318B1 (ko) * 2013-09-04 2014-09-18 박치환 조립식 캣타워
KR200483626Y1 (ko) * 2017-02-09 2017-06-07 최명한 텐트형 고양이 타워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KR20190036933A (ko) 2017-09-28 2019-04-05 신현상 캣타워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919A (ja) * 2005-02-01 2006-08-17 Yamahisa:Kk 猫用遊具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KR101441318B1 (ko) * 2013-09-04 2014-09-18 박치환 조립식 캣타워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KR200483626Y1 (ko) * 2017-02-09 2017-06-07 최명한 텐트형 고양이 타워
KR20190036933A (ko) 2017-09-28 2019-04-05 신현상 캣타워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57B1 (ko) * 2023-09-01 2024-02-02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다단형 캣타워 및 캣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762Y1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762Y1 (ko) 캣타워
US5055081A (en) Play table and activity center
US6634920B1 (en) Thermoformed toy building plate
US4737128A (en) Flexible unitary circular air foil
US20070089690A1 (en) Pet steps
US8844549B2 (en) Modular outdoor playpen apparatus
USD915902S1 (en) Star shaped container
US5072901A (en) Pipe support stand
US6302382B2 (en) Bumper system for limiting the mobility of a wheeled device
US20080295782A1 (en) Corrugated Recreational Device For Pets
US9326483B2 (en) Pet shelter
US6886495B1 (en) Modular housing for cats
US11779789B2 (en) Plyometric box
US7117552B2 (en) Portable infant playground
US20190239639A1 (en) Compact shelf assembly
JP2011103797A (ja) ペット遊戯装置
US20160007569A1 (en) Animal treadwheel assembly
US7178804B1 (en) Collapsible chess game pieces
US7806288B2 (en) Folding dish
US5310078A (en) Receptacle for supporting adjacent bags
USD911065S1 (en) Bathtub mat
KR20150141000A (ko) 캣타워 및 플레이트 조립체
US20220295747A1 (en) Animal treadwheel assembly
US6629734B2 (en) Foldable stool
USD970974S1 (en) Spice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