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645B1 - 애완 동물 하우스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645B1
KR102002645B1 KR1020180166841A KR20180166841A KR102002645B1 KR 102002645 B1 KR102002645 B1 KR 102002645B1 KR 1020180166841 A KR1020180166841 A KR 1020180166841A KR 20180166841 A KR20180166841 A KR 20180166841A KR 102002645 B1 KR102002645 B1 KR 102002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ving
door
pet
l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혁
Original Assignee
김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혁 filed Critical 김재혁
Priority to KR102018016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 동물 하우스가 개시된다. 애완 동물 하우스는, 도어의 외표면을 덮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거주 공간이 형성된 거주부와, 거주부의 거주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 하우스{HOUSE FOR PET}
본 발명은 휴식과 유희가 가능하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애완 동물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과 공동으로 생활하는 고양이는 실내에서 사육되며, 좁은 공간에서 활동이 제한됨으로써 운동부족과 스트레스로 인해 비만화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종래 고양이의 운동부족과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기 위해 타워 형태의 놀이도구를 실내에 설치하여 고양이가 자유롭게 오르내리며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캣 타워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캣 타워는 놀이 용도로 사용되며, 고양이의 휴식을 위한 기능 구현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90848
본 발명의 일 실시에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휴식과 유희가 가능한 애완 동물 하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의 외표면을 덮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거주 공간이 형성된 거주부와, 거주부의 거주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한다.
도어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선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외표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표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거주부는, 일측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커버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면서 커버부에 고정되는 제1 거주 돌부와, 양측은 커버부에 중첩된 상태로 함께 고정되며 내부에는 거주 공간을 형성하며 커버부의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2 거주 돌부를 포함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의 외표면에 돌출될 수 있다.
거주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라인과,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구형의 놀이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휴식을 취하거나 유희를 위한 거주부가 돌출되는 바, 하우스를 설치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고양이 등이 선호하는 높이에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적절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어의 상부측에 휴식과 유희를 위한 거주 공간이 마련하는 바, 고양이의 운동과 휴식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놀이구가 연결 라인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100)는, 도어(11)의 외표면을 덮는 커버부(10)와, 커버부(10)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도어(11)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거주 공간(22)이 형성된 거주부(20)와, 거주부(20)의 거주 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되는 패드부재(30)를 포함한다.
도어(11)는 일반 가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도어(11)에는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목적의 실내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의 도어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도어(11)의 외표면에는 커버부(10)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10)는 도어(11)의 외표면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체를 덮거나, 전면 또는 후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10)는, 표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0a)이 형성되면서 도어(11)의 외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10)는 복수개의 와이어 라인이 서로간에 교차되게 연결되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홀(10a)이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10)에 관통홀(10a)이 형성되는 것은,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의 발톱이 관통홀(10a)에 걸림 가능하여 커버부(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의 이동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표면에 복수개의 지지돌기(미도시)가 돌출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부(10)는 도어(11)의 씌움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벨크로부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커버부(10)는 단추 또는 지퍼 타입으로 형성되어 도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부(10)의 표면에는 거주부(20)가 돌출될 수 있다.
거주부(20)는 커버부(10)의 표면에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의 권취된 형태로 돌출되어.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휴식을 취하기 위한 거주 공간(22)이 형성되도록 커버부(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주부(20)는, 일측은 커버부(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커버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거주 공간(22)을 형성하면서 커버부(10)에 고정되는 제1 거주 돌부(21)와, 양측은 커버부(10)에 중첩된 상태로 함께 고정되며 내부에는 거주 공간(22)을 형성하며 커버부(10)의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돌출되는 제2 거주 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주 돌부(21)는 도어(11)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휴식을 취하는 거주 공간(2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거주 돌부(21)는 가장자리의 일측은 커버부(10)의 표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의 타측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위치에서 커버부(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거주 돌부(21)의 내표면과 커버부(10)의 표면 사이에는 애완 동물의 위치되어 휴식 등이 가능한 거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주 돌부(21)의 커버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복수개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게 커버부(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거주 돌부(21)는 커버부(10)에 하나도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부착되는 것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커버부(10)에는 제1 거주 돌부(21)에 이격된 위치에 제2 거주 돌부(23)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거주 돌부(23)는 제1 거주 돌부(21)에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11)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휴식을 취하는 거주 공간(22)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거주 돌부(23)는, 양측은 커버부(10)에 중첩된 상태로 함께 고정되며, 내부에는 거주 공간(22)을 형성하며 커버부(10)의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거주 돌부(23)는 라운드 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가장자리 양측이 커버부(10)의 표면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거주 돌부(23)의 내부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의 휴식이 가능한 거주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거주 돌부(23)의 커버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복수개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게 커버부(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거주 돌부(23)는 커버부(10)에 하나도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부착되는 것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거주부(20)의 거주 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되는 패드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패드부재(30)는 거주부(20)를 구성하는 제1 거주 돌부(21)와 제2 거주 돌부(23) 내부의 거주 공간(22)의 내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은 거주부(20)의 내부에서 패드부재(30)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 보다 안정적이고 쾌적한 상태의 휴식이 가능하다.
패드부재(30)는 거주 공간(2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이 용이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저면에 벨크로부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패드부재(30)는 거주 공간(22)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쿠션 재질을 달리하여 복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어(11)의 측면에는 선반부재(40)가 돌출될 수 있다.
선반부재(40)는, 도어(11)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거주부(20)의 상측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반부재(40)는 도어(1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위치되어 휴식 및 유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 동물 하우스(100)는, 도어(11)의 표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휴식을 취하거나 유희를 위한 거주부(20)가 돌출되는 바, 하우스를 설치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고양이 등이 선호하는 높이에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적절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놀이구가 연결 라인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하우스(200)는, 거주부(20)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라인(110)과, 연결 라인(110)에 연결되는 구형의 놀이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라인(110)은 거주부(20)를 구성하는 제1 거주 돌부(21) 또는 제2 거주 돌부(23)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놀이구(1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놀이구(120)의 단부에는 깃털 형태의 테일(도번 미도시)이 다수개의 구슬부재(도번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놀이구(120)는 연결 라인(110)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거주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 고양이가 놀이구(120)를 잡거나 연결 라인(110)을 타고 올라가는 등 유희가 가능하여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커버부 10a..관통홀
11...도어 20...거주부
21...제1 거주 돌부 22...거주 공간
23...제2 거주 돌부 30...패드부재
40...선반부재 110..연결 라인
120..놀이구

Claims (4)

  1. 도어의 외표면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체를 덮거나, 전면 또는 후면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내측으로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거주 공간이 형성된 거주부; 및
    상기 거주부의 상기 거주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패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선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도어의 외표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고양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이 상부 또는 하부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애완동물의 발톱이 걸림 가능하도록 표면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복수개의 와이어 라인이 서로간에 교차되게 연결되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주부는,
    상단부 일측은 상기 커버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하단부 타측은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위치에서 커버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는 제1 거주 돌부; 및
    라운드 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상, 하단부 양측은 상기 커버부에 중첩된 상태로 함께 고정되며, 내부에는 거주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2 거주 돌부;
    를 포함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애완 동물 하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도어에 씌움으로 고정되거나, 벨크로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단추 또는 지퍼 타입이 구비되어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거주 공간 내부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되, 그 저면에 벨크로부재가 구비되어 거주 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주 돌부의 외표면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복수개의 와이어 라인이 서로간에 교차되게 연결되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 하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부의 측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거주 돌부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타측에 연결되되, 그 단부에 깃털 형태의 테일이 구비되는 놀이구;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 하우스.
KR1020180166841A 2018-12-21 2018-12-21 애완 동물 하우스 KR10200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41A KR102002645B1 (ko) 2018-12-21 2018-12-21 애완 동물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41A KR102002645B1 (ko) 2018-12-21 2018-12-21 애완 동물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645B1 true KR102002645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841A KR102002645B1 (ko) 2018-12-21 2018-12-21 애완 동물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618Y1 (ko) * 2019-12-05 2020-11-11 김병현 반려 동물 스크래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75B1 (ko) * 2013-06-04 2014-02-13 박치환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JP2014168400A (ja) * 2013-03-01 2014-09-18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マット及びペット用マットのカバー部
KR20160001749U (ko) * 2014-11-14 2016-05-24 김영욱 조립식 캣타워
KR101790848B1 (ko) 2014-11-07 2017-10-26 함승진 캣 타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8400A (ja) * 2013-03-01 2014-09-18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マット及びペット用マットのカバー部
KR101362275B1 (ko) * 2013-06-04 2014-02-13 박치환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101790848B1 (ko) 2014-11-07 2017-10-26 함승진 캣 타워 시스템
KR20160001749U (ko) * 2014-11-14 2016-05-24 김영욱 조립식 캣타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618Y1 (ko) * 2019-12-05 2020-11-11 김병현 반려 동물 스크래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296B2 (en) Animal entertainment device
US6945195B1 (en) Animal entertainment device
US20100154719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entertaining a feline
US6003471A (en) Apparatus for inhibitively preventing birds from gathering
KR200481829Y1 (ko) 조립식 캣타워
US7832361B2 (en) System for climbing pets
US20030192486A1 (en) Reconfigurable modular play and exercise structure for animals
US9282719B2 (en) Covering for a pet crate
US20100050953A1 (en) Cat Climbing and Scratching System
KR102002645B1 (ko) 애완 동물 하우스
JP2012115149A (ja) 猫用遊具
KR101441318B1 (ko) 조립식 캣타워
US20060201441A1 (en) Bird cage
US8065977B1 (en) Feline exercise apparatus
KR20180108020A (ko) 고양이용 조립형 스크래쳐
KR102607549B1 (ko) 고양이 이동용 연결구조물 조립체
KR102073878B1 (ko) 애완동물용 먹이 주머니 패널
JP3202535U (ja) ペット用遊戯具付腰掛家具
TWM611842U (zh) 寵物籠及寵物籠組合
KR20110000552U (ko) 고양이 집
JP6373199B2 (ja) 猫用踏み台および猫用ケージ
KR20210000154U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KR200493166Y1 (ko) 방묘문
KR102537929B1 (ko) 모듈형 캣타워
TWI764502B (zh) 寵物籠組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