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90Y1 - 고양이 집 - Google Patents

고양이 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90Y1
KR200460790Y1 KR20090009005U KR20090009005U KR200460790Y1 KR 200460790 Y1 KR200460790 Y1 KR 200460790Y1 KR 20090009005 U KR20090009005 U KR 20090009005U KR 20090009005 U KR20090009005 U KR 20090009005U KR 200460790 Y1 KR200460790 Y1 KR 20046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
support
pres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9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552U (ko
Inventor
곽재희
Original Assignee
곽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희 filed Critical 곽재희
Priority to KR20090009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9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양이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의 취침 및 놀이를 고양이의 습성에 맞게 공간을 마련하여 고양이의 사육할 수 있으며 고양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받침대의 곡선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고양이집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이 형성된 앞판과 상기 앞판과 동일한 형상의 뒷판을 형성하며 상기 앞,뒤판의 상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만곡 된 원호상의 받침면을 형성한 앞 뒷판부와, 상기 앞 뒷판부의 양측을 고정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 상측과 앞뒷판부의 받침면에 받혀지는 원호상의 받침판으로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양이 집{THE CAT HOUSE}
본 고안은 고양이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의 취침 및 놀이를 고양이의 습성에 맞게 공간을 마련하여 고양이의 사육할 수 있으며 고양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받침대의 곡선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고양이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의 집은 천이나 목재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이 잠을 자거나 쉴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집 형태나 바구니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의 집은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개와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 집은 동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제작하였기 때문에 각 동물의 특성을 맞출 수 없어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야생성을 유지하고 있는 고양이의 경우에는 고양이의 특성을 살려주지 못하여 애완동물 집에 들어가지 않고 취침을 하거나 쉬는 공간 및 노는 공간을 다 른 공간에서 해결하였다.
또한, 고양이의 습성에 맞는 집이 있다고 하여도 고양이의 크기와 종류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양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고양이의 취침 및 놀이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성장함에 따라 받침대의 곡선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양이에게 필요한 스크레치판 등 고양이 습성에 맞는 다양한 고양이 집을 형성할 수 있는 고양이 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이 형성된 앞판과 상기 앞판과 동일한 형상의 뒷판을 형성하며 상기 앞,뒤판의 상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만곡 된 원호상의 받침면을 형성한 앞 뒷판부와, 상기 앞 뒷판부의 양측을 고정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 상측과 앞뒷판부의 받침면에 받혀지는 원호상의 받침판으로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집을 제공한다.
상기 받침부의 받침판은 일정한 넓이로 형성되도록 중앙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다수의 받침판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지지핀을 삽입하여 받침판을 원호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원호상의 받침판 전방으로 링형고정판을 고정하고 후방으로 원형고정판을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양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고양이의 취침 및 놀이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성장 크기에 따라 받침대의 곡선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고양이에게 필요한 스크레치판 등 고양이 습성에 맞는 다양한 고양이 집을 형성할 수 있어 고양이가 스트레스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양이 집은 집을 지탱하며 전, 후면을 형성하는 앞, 뒷판부(10)와, 상기 앞, 뒷판부(10)를 연결하는 측판부(20)와, 상기 측판부(20)와 앞, 뒷판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받침부(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앞, 뒷판부(10)는 앞판(12)에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11)을 형성하고 뒷판(13)은 상기 앞판(1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앞,뒤판(12,13)의 상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만곡 된 원호상의 받침면(14)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앞 뒷판부(10)의 양측은 측판부(20)를 통하여 고정하며 상기 측판부(20) 상측과 앞뒷판부(10)의 받침면(14)에는 받침부(30)의 받침판(31)이 원호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30)는 도 4는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받침판(31)을 연결 하여 일정한 넓이의 받침판(3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31)에 형성된 관통공(32)에 지지핀(33)을 삽입하여 받침판(31)을 원호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받침판(31) 전방으로 링형고정판(34)을 고정하고 후방으로는 원형고정판(35)을 고정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양이집을 만들기 위하여 앞판(12)과 뒷판(13)을 측판부(20)와 연결한다.
상기 앞판(12), 뒷판(13) 및 측판부(20)는 고양이의 성장시 발톱을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래치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판(12)과 뒷판(13)에 형성된 받침면(14)의 단부가 측판부(20)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며 받침면(14)의 형상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받침부(30)의 받침판(31)을 고정한다.
이러한 받침판(31)은 중앙에 관통공(32)이 통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32)에 지지핀(33)을 삽입시켜 받침판(31)의 일정한 넓이로 형성한다.
또한 받침판(31)의 원호 크기도 지지핀(33)의 곡선 상태에 따라 다양한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앞,뒷판부(10)와, 측면부(20) 및 받침부(30)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고양이집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판부(30)의 받침판(31) 전, 후방에 링형고정판(34) 및 원형고정판(35)을 고정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판부(30)를 상호 연결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양이의 습성에 맞는 집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의 받침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의 받침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의 받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집의 받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다른 고양이집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앞, 뒷판부 11 : 출입공
12 : 앞판 13 : 뒷판
14 : 받침면 20 : 측판부
30 : 받침부 31 : 받침판
32 : 관통공 33 : 지지핀
34 : 링형고정판 35 : 원형고정판

Claims (3)

  1.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11)이 형성된 앞판(12)과 상기 앞판(12)과 동일한 형상의 뒷판(13)을 형성하며 상기 앞,뒤판(12,13)의 상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만곡 된 원호상의 받침면(14)을 형성한 앞 뒷판부(10)와,
    상기 앞 뒷판부(10)의 양측을 고정하는 측판부(20)와,
    상기 측판부(20) 상측과 앞뒷판부(10)의 받침면(14)에 받혀지는 원호상의 받침판(31)으로 형성된 받침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집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의 받침판(31)은 일정한 넓이로 형성되도록 중앙으로 관통공(32)을 형성한 다수의 받침판(3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31)에 형성된 관통공(32)에 지지핀(33)을 삽입하여 받침판(31)을 원호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집.
  2. 삭제
  3. 삭제
KR20090009005U 2009-07-10 2009-07-10 고양이 집 KR20046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9005U KR200460790Y1 (ko) 2009-07-10 2009-07-10 고양이 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9005U KR200460790Y1 (ko) 2009-07-10 2009-07-10 고양이 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52U KR20110000552U (ko) 2011-01-18
KR200460790Y1 true KR200460790Y1 (ko) 2012-06-04

Family

ID=4420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9005U KR200460790Y1 (ko) 2009-07-10 2009-07-10 고양이 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09B1 (ko) 2020-03-05 2021-07-16 이승철 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집
KR20220001254U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레드훅스튜디오 모빌형 놀이기구를 구비한 고양이 하우스
KR102573740B1 (ko) 2023-05-10 2023-09-01 주식회사 예스지크리에이티브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되는 스크래쳐 부재를 구비한 고양이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76Y1 (ko) 2003-11-24 2004-02-14 신유정 애견용 조립식 견사
KR100963272B1 (ko) 2008-02-14 2010-06-11 (주)트라메이드 조립식 소형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76Y1 (ko) 2003-11-24 2004-02-14 신유정 애견용 조립식 견사
KR100963272B1 (ko) 2008-02-14 2010-06-11 (주)트라메이드 조립식 소형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09B1 (ko) 2020-03-05 2021-07-16 이승철 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집
KR20220001254U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레드훅스튜디오 모빌형 놀이기구를 구비한 고양이 하우스
KR102573740B1 (ko) 2023-05-10 2023-09-01 주식회사 예스지크리에이티브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되는 스크래쳐 부재를 구비한 고양이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52U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361B2 (en) System for climbing pets
US6431119B1 (en) Multi-purpose cat structure
US9510564B2 (en) Treat dispenser
US8113149B2 (en) Cat entertainment and grooming device
US20080105208A1 (en) Right Spot
KR200460790Y1 (ko) 고양이 집
JP5308392B2 (ja) 子動物用給餌装置
AU2011100578A4 (en) Pet house
US20140299727A1 (en) Holder for a pet toy
US20120222623A1 (en) Wall mounted modular pet bed
US20120085292A1 (en) Collapsible bird house
KR20160091495A (ko)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CN201499520U (zh) 方便鸟笼
US8443760B2 (en) Cat feeding enclosure
KR102002645B1 (ko) 애완 동물 하우스
Ruis et al. A group-housing system for rabbit does in commercial production: a new approach.
KR100586717B1 (ko) 다용도 닭장
JP2003210060A (ja) 小動物飼育ケージのケージカバー
KR200495946Y1 (ko) 반려 동물용 식탁 테이블
US20130277526A1 (en) Holder for a pet toy
TWI700989B (zh) 寵物用卡式碗架
CN214758523U (zh) 一种进食与休息一体化的猫食架
CN213848157U (zh) 一种畜禽健康养殖用饲养箱
KR200198790Y1 (ko) 분만실이 구비된 개 사육장
KR20170143375A (ko) 펫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