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55A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055A
KR20210030055A KR1020190111525A KR20190111525A KR20210030055A KR 20210030055 A KR20210030055 A KR 20210030055A KR 1020190111525 A KR1020190111525 A KR 1020190111525A KR 20190111525 A KR20190111525 A KR 20190111525A KR 20210030055 A KR20210030055 A KR 2021003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furniture
prefabricated furnitu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853B1 (ko
Inventor
이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보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보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보니아
Priority to KR102019011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77Interlocking assemblies with dovetail mortise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넉다운 방식으로 유통시켜 현장에서 피스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판, 연결판, 상부판을 연결부재를 통해 조립식 가구의 상하방향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의 좌우 방향과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평판과 고정대가 각각 결합되어 직립된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판과 연결판에 레일부재를 설치하여 물품이 담기는 바구니 등이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식 가구의 내측에서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스를 이용하지 않고 넉다운 방식을 이용하여 수직판, 연결판, 상부판, 수평판 및 고정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필요시에만 조립 사용하고, 불필요시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고 또한, 수직판, 연결판 또는 상부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됨으로서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이지는 것은 물론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Prefab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 또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됨므로 필요시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불필요시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밥상, 장롱, 진열장 등과 같은 가구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가구의 대부분은 공장에서 조립된 후 설치장소로 운반되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공장에서 조립된 대부분의 가구들은 견고하게 서로 고정되어 분해가 곤란하며, 부피가 매우 커서 보관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현장으로 운반시 차량에 많은 양의 가구들을 적재할 수 없어 물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들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들은 통상적으로 다수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부피가 작고 운반시 다량 적재가 가능하여 물류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들은 일반적으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판의 경우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경우가 잦으므로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 운반 및 조립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상판들과 지지판부분의 조립이 매우 까다롭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이 어려워 전문가에 의한 조립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가구를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어려워 이사를 가거나 하는 경우 조립된 상태로 이송하므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3471호에서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가구를 완전히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으며, 가구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바 있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는 소정의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단부에는 사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된 분리된 상판과, 상단으로 상판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측이 사선인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으로 상판을 밀어 넣어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과 상판의 접촉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은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조립구를 갖는 넉다운 가구는 상판과 지지판을 결합시킨 후 은장을 상판과 상판 사이의 접촉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면 간단하게 조립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조립구는 지지판의 결합돌기가 상판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돌기가 상판의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가 상판의 표면에 노출됨에 따라 조립된 넉다운 가구의 외관의 미려함이 반감됨과 아울러 가구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삽입홈 및 은장은 모서리부분이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결합시 여러번의 수정을 거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하나의 가구를 생산할 시에 제조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128674호(2006.12.14. 공개)의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상판들과, 상기 상판들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판, 및 상기 상판들과 지지판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은장을 포함하는 넉다운 가구에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들 사이의 접촉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끝단 하부에는 사선형의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며, 지지판의 상단에는 일측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판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지지판의 측면으로 상판을 밀어 넣어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되면 상판과 상판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은장을 삽입하여 상판들과 지지판이 서로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은장 및 은장이 결합되는 결합홈의 모서리 부분이 각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동일한 두께 또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또는 폭의 치수가 다르게 제조되는 경우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128674호(2006.12.14.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스 또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필요시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불필요시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판, 수직판, 수평판, 연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결속력이 증대, 수평판에 의한 좌우 방향으로 결속력 증대 및 고정대에 의해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의 결속력이 증대되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립식 가구의 기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직판이 구성되고, 직선과 사선이 교차되는 코너 부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수직판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판이 결합되며, 조립식 가구의 상부가 마감되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연결판의 상단에 상부판이 연결부재의 의해 결합되고, 조립식 가구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고정대가 설치되며, 수직판과 수직판 사이의 연결, 수직판과 연결판 사이의 연결 또는 연결판과 상부판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결합홈과 연결결합홈 및 상부결합홈과 연결결합홈에 각각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조립식 가구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고정대가 설치되며, 물품이 담겨지는 바구니 등이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식 가구 내측에서 입출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판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복수로 레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직판은, 조립식 가구의 기둥 역할을 하는 수직몸체가 구성되고, 다른 수직판 또는 연결판과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몸체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수직결합홈이 형성되며, 조립식 가구와 다른 조립식 가구를 연결하여 듀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수평결합홈이 수직몸체에 필요시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수직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고정대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수직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레일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레일고정홈이 수직몸체에 형성되고, 바구니가 레일부재를 따라 조립식 가구에서 입출 될 수 있도록 제1입출홈이 수직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수직결합홈과 연결결합홈 및 연결결합홈과 상부결합홈이 맞닿아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과, 연결판의 사이, 연결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결합되어 조립식 가구의 상하방향 및 사선방향의 결속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판, 연결부재, 고정대, 레일부재 및 고정봉은, 수직판, 연결판, 상부판에 결합되어 종방향,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하여 물품의 하중에 의해 조립식 가구가 벌어지거나 또는 틀어지는 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스 또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됨으로 필요시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불필요시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판, 수직판, 수평판 및 연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져 상하 방향에 대한 결속력의 증대, 수평판에 의한 좌우 방향으로 결속력 증대 및 고정대에 의해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으로 결속력의 증대되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레일부재에 의해 물품이 담긴 바구니 등의 입출이 편리하게 물품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결합홈과 연결결합홈 및 연결결합홈과 상부결합홈에 걸쳐서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는 면과 면이 밀착되면서 고정되므로 바구니 등에 담긴 물품의 하중이 수직판과 연결판에 전달되면서 조립식 가구의 하부 쪽에 위치되는 수직판으로 무게가 분산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의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에 의해 수직판과 연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에 의해 상부판과 연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에 고정판, 레일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수직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연결판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상부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되 수평판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레일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는 넉다운 방식으로 유통되어 현장에서 피스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판(110), 연결판(120), 상부판(130)을 연결부재(160)를 통해 조립식 가구(100)의 상하방향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의 좌우 방향과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평판(140)과 고정대(150)가 각각 결합되어 직립된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판(110)과 연결판(120)에 레일부재(170)를 설치하여 물품이 담기는 바구니 등이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식 가구(100)의 내측에서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100)는 수평판(140), 연결부재(160), 고정대(150) 및 레일부재(170)가 수직판(110), 연결판(120), 상부판(130)에 결합되어 종방향,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하여 물품의 하중에 의해 조립식 가구가 벌어지거나 또는 틀어지는 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가구는 수직판(110), 상부판(130), 연결판(120), 수평판(140), 고정대(150), 연결부재(160) 및 레일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110)은 직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수직몸체(111)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몸체(111)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연결부재(160)가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다른 수직몸체(111) 또는 상부판(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결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결합홈(112)은 수직몸체(111)의 상부에만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몸체(1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수직판(110)의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길이를 늘림과 동시에 상부판(130)이 결합되어 마감이 이루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결합홈(112)은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쪽 형상에 대응되게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결합홈(112)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연결부재(160)와 결합시 심미감을 갖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몸체(111)는 수평판(1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결합홈(113)이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결합홈(113)은 수직몸체(111)의 일측에만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판(110)과 연결부재(16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홈(113)이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 그 위치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수평판(140)과 연결부재(16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수직판(110)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결합홈(113)이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은 조립식 가구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수직몸체(111)와 수직몸체(111)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고정대(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몸체(111)에 체결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4)은 고정대(150)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몸체(111)에 형성되는 제1입출홈(116)의 일측에는 제1레일고정홈(115)이 형성되어 레일부재(17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몸체(111)는 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입출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출홈(116)은 바구니 등이 입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입출홈(116)의 내측 모서리는 라운드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 쪽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식 가구의 기둥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판(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과 사선이 교차되는 코너 부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기울기에 따른 각도는 수직판(110)과 수직판(110) 사이에 이격된 거리 또는 조립식 가구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20)의 외측 모서리 부분은 심미감을 갖도록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120)은 전, 후면 쪽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과 상부판(13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부재(1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판(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결결합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결합홈(121)은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쪽 형상에 대응되게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결합홈(121)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연결부재(160)와 결합시 심미감을 갖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20)의 측면에 바구니 등이 입출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입출홈(122)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입출홈(122)의 내측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20)은 고정봉(1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고정홈(124)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고정홈(124)에 결합되는 고정봉(180)에 의해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에 대한 결속력이 증대된다.
상기 상부판(130)은 조립식 가구의 상부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수직판(110) 또는 연결판(120)의 상부에 연결부재(1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부판(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30)은 삼각형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 가구의 형태에 따라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이 다양하게 형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130)에는 고정봉(1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홈(132)에 결합되는 고정봉(180)에 의해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에 대한 결속력이 증대된다.
상기 상부판(130)은 도면에 도시된 수직판(110)이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는 것과 동일하게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배치된 상부판(130)의 사이에 고정봉(180)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고정봉(180)에는 마감부재(181)가 설치되고, 상기 마감부재(181)는 천 또는 얇은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판(140)은 수직판(110)이 기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면과 후면 쪽에 각각 위치된 수직판(110)의 좌우 방향 사이에 복수로 설치된다.
특히, 수평판(140)은 조립식 가구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110)이 물품이 담긴 바구니 등의 무게에 의한 하중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판(140)은 수평몸체(141)와, 수평몸체(14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몸체(1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몸체(141)는 사각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 또는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은 조립식 가구의 형태에 맞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42)는 수평결합홈(113)에 대응되게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쪽 형상과 같은 형태의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꼴의 모서리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결합홈(113)과 결합시 심미감을 갖도록 한다.
상기 고정대(150)는 조립식 가구(100)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1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한다.
상기 고정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 가구의 수직판(11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고정대(150)는 조립식 가구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110)이 물품이 담긴 바구니 등의 무게에 의한 하중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수직판(110)과 수직판(110) 사이의 연결, 수직판(110)과 연결판(120) 사이의 연결 또는 연결판(120)과 상부판(13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 및 상부결합홈(131)과 연결결합홈(121)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과 같이 이루어져 수직판(110), 상부판(130) 및 연결판(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170)는 물품이 담겨지는 바구니 등이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식 가구 내측에서 입출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의 전,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판(110)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17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향되게 수직판(110) 사이에 설치되어 바구니가 슬라이딩 형태로 입출되면서 레일부재(17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조립은 2단계 또는 3단계로 크게 나누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로 나누어 조립하는 과정은 조립식 가구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먼저 조립하고, 나머지 부분을 별도로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상부에 나중에 조립한 부분을 위치시켜 결합하여 조립식 가구를 완성하는 것으로, 이는 전문가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3단계로 나누어 조립하는 과정은 조립식 가구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먼저 조립하고, 중간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조립하여 하부 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상부에 올린 상태에서 결합하고, 상단 부분 즉, 마감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별도로 조립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의 상단에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조립식 가구를 완성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인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상기의 조립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외에 여려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100)의 구체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직판(110)과 수직판(110) 사이에 고정대(150)와 레일부재(170)를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조립식 가구(10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우가 결속되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의 수평결합홈(113)에 수평판(140)의 결합돌기(142)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켜 조립식 가구(100)의 하단 부분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가구(100)의 중간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연결판(120)의 제2레일고정홈(123)에 레일부재(170)에 의해 결속되도록 한 후 수직판(110)의 상부에 레일부재(170)에 의해 결속되게 결합된 복수의 연결판(1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160)를 이용하여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에 걸쳐서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조립식 가구(10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조립한다.
상기 수직판(110)과 연결판(120)이 마주 닿으면,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에 의해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60)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재(160)의 결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이 맞닿는 부분은 모서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모서리 부분은 쇄기 형태의 삼각형 형상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60)의 중간 부분을 긁으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에 걸쳐서 결합되는 연결부재(160)가 면과 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바구니 등에 담긴 물품의 하중이 수직판(110)과 연결판(120)으로 전달되면서 조립식 가구(100)의 하부 쪽에 위치되는 수직판(110)으로 무게가 분산되므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조립식 가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는 연결판(120) 중에서 전방에 설치된 연결판(120)에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3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결합홈(121)과 상부결합홈(131)에 연결부재(160)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전방에 설치된 연결판(120)에 상부판(130)을 결합한 상태에서 다시 후방에 설치된 연결판(120)에 상부판(130)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20)을 설치할 때 상부판에 형성된 상부고정홈(132)에 고정봉(180)을 결합하여 조립식 가구의 전후 방향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하면서 마감부재(18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결합홈(121)과 상부결합홈(131)이 맞닿는 부분은 모서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모서리 부분은 쇄기 형태의 삼각형 형상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60)의 중간 부분을 긁으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판(120)과 상부판(130)에 설치된 고정봉(180)에는 마감부재(181)를 설치하여 심미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를 이용하지 않고 조립되는 조립식 가구는 넉다운 방식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운반의 용이성이 있고, 또한, 운반시 많은 양을 한번에 운반하므로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판(110), 연결판(120), 상부판(130), 수평판(140) 및 고정대(15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필요시에만 조립 사용하고, 블필요시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판(110), 연결판(120), 상부판(130) 및 수평판(14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60)가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됨으로서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이지는 것은 물론 쉽게 분리되지 않아 충격에 강한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이 맞닿는 부분과 연결결합홈(121)과 상부결합홈(131)이 맞닿는 부분은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60)의 중간 부분을 긁으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속력이 증대되어 조립식 가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조립식 가구 110: 수직판
111: 수직몸체 112: 수직결합홈
113: 수평결합홈 114: 체결홈
115: 제1레일고정홈 116: 제1입출홈
120: 연결판 121: 연결결합홈
122: 제2입출홈 123: 제2레일고정홈
124: 연결고정홈 130: 상부판
131: 상부결함홈 132: 상부고정홈
140: 수평판 141: 수평몸체
142: 결합돌기 150: 고정대
160: 연결부재 170: 레일부재
180: 고정봉 181: 마감부재

Claims (4)

  1. 조립식 가구(100)의 기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직판(110)이 구성되고,
    직선과 사선이 교차되는 코너 부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수직판(110)에 연결부재(160)에 의해 연결판(120)이 결합되며,
    조립식 가구(100)의 상부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연결판(120)의 상단에 연결부재(160)의 의해 상부판(130)이 결합되고,
    조립식 가구(100)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1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고정대(150)가 설치되며,
    수직판(110)과 수직판(110) 사이의 연결, 수직판(110)과 연결판(120) 사이의 연결 또는 연결판(120)과 상부판(13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 및 상부결합홈(131)과 연결결합홈(121)에 각각 연결부재(160)가 결합되고,
    조립식 가구(100)의 전, 후면 쪽에 위치된 수직판(1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수직판(110)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고정대(150)가 설치되며,
    물품이 담겨지는 바구니 등이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식 가구(100) 내측에서 입출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100)의 전면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판(110)의 전후 방향의 사이에 복수로 레일부재(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110)은,
    조립식 가구(100)의 기둥 역할을 하는 수직몸체(111)가 구성되고,
    다른 수직판(110) 또는 연결판(120)과 연결부재(1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몸체(111)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수직결합홈(112)이 형성되며,
    조립식 가구(100)와 다른 조립식 가구(100)를 연결하여 듀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60)가 결합되는 수평결합홈(112)이 수직몸체(111)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수직몸체(111)의 전후 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고정대(150)가 결합되는 체결홈(114)이 형성되며,
    수직몸체(111)의 전후 방향으로 결속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레일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레일고정홈(115)이 수직몸체(111)에 형성되고,
    바구니가 레일부재(170)를 따라 조립식 가구(100)에서 입출 될 수 있도록 제1입출홈(116)이 수직몸체(1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수직결합홈(112)과 연결결합홈(121) 및 연결결합홈(121)과 상부결합홈(131)이 맞닿아 모래시계 형상 또는 리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110)과, 연결판(120)의 사이, 연결판(120)과 상부판(130)의 사이에 결합되어 조립식 가구(100)의 상하방향 및 사선방향의 결속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140), 연결부재(160), 고정대(150), 레일부재(170) 및 고정봉(180)은,
    수직판(110), 연결판(120), 상부판(130)에 결합되어 종방향, 횡방향 및 상하방향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물품의 하중에 의해 조립식 가구(100)가 벌어지거나 또는 틀어지는 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가구.
KR1020190111525A 2019-09-09 2019-09-09 조립식 가구 KR10225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25A KR102259853B1 (ko) 2019-09-09 2019-09-09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25A KR102259853B1 (ko) 2019-09-09 2019-09-09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55A true KR20210030055A (ko) 2021-03-17
KR102259853B1 KR102259853B1 (ko) 2021-06-03

Family

ID=7524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525A KR102259853B1 (ko) 2019-09-09 2019-09-09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674A (ko) 2006-06-07 2006-12-14 주식회사 에코펀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20110004321U (ko) * 2009-10-26 2011-05-04 리-충 흐슈 시스템 캐비넷
KR200472564Y1 (ko) * 2012-09-12 2014-05-12 윤태화 조립식 수납장
KR200473255Y1 (ko) * 2013-04-15 2014-06-26 민일만 조립식 수납장
KR200474324Y1 (ko) * 2013-05-24 2014-09-12 민일만 수납장 조립 셋트
KR101836448B1 (ko) * 2015-12-02 2018-03-09 이종철 조립식 서랍장
JP6542675B2 (ja) * 2013-01-17 2019-07-10 シュレイネライ ウォルフガング フンフゲルドSchreinerei Wolfgang Funfgeld 特に家具、陳列構造等のためのモジュラーシステム、および家具または陳列構造のアイ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674A (ko) 2006-06-07 2006-12-14 주식회사 에코펀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20110004321U (ko) * 2009-10-26 2011-05-04 리-충 흐슈 시스템 캐비넷
KR200472564Y1 (ko) * 2012-09-12 2014-05-12 윤태화 조립식 수납장
JP6542675B2 (ja) * 2013-01-17 2019-07-10 シュレイネライ ウォルフガング フンフゲルドSchreinerei Wolfgang Funfgeld 特に家具、陳列構造等のためのモジュラーシステム、および家具または陳列構造のアイテム
KR200473255Y1 (ko) * 2013-04-15 2014-06-26 민일만 조립식 수납장
KR200474324Y1 (ko) * 2013-05-24 2014-09-12 민일만 수납장 조립 셋트
KR101836448B1 (ko) * 2015-12-02 2018-03-09 이종철 조립식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853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7319B1 (en) Table and table assembly
US20080245281A1 (en) Connection System for Furniture
US7296859B1 (en) Erectable rocking chair
US20080237319A1 (en) Furniture, home decor, and other items of manufacture formed of cellular material
US10244866B2 (en) Modular storage rack
US7124695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20210030055A (ko) 조립식 가구
US5363775A (en) Knock-down bookcase
KR20030021331A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US20120319546A1 (en) Bench cabinet assembly which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out tools
JPS5816503Y2 (ja) 組立式アルミニウム合金製平パレット
US3329465A (en) Demountable bench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100481128B1 (ko) 녹다운형 금속캐비넷
WO2016015064A1 (en) Assembly shelves
KR200288113Y1 (ko) 조립식 가구
US7165821B2 (en) Drawer assembly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US3475053A (en) Patio table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US20070056486A1 (en) Orthogonal compression technology
KR200340542Y1 (ko) 조립식 구조물의 패널어레이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