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70Y1 - 공구함 - Google Patents

공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70Y1
KR200491470Y1 KR2020190000747U KR20190000747U KR200491470Y1 KR 200491470 Y1 KR200491470 Y1 KR 200491470Y1 KR 2020190000747 U KR2020190000747 U KR 2020190000747U KR 20190000747 U KR20190000747 U KR 20190000747U KR 200491470 Y1 KR200491470 Y1 KR 200491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torage box
mounting hole
support membe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혁
한신천
김현지
Original Assignee
최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혁 filed Critical 최민혁
Priority to KR2020190000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 설치구조물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거치대와, 거치대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거치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거치대의 상부에서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납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구함{TOOLBOX}
본 고안은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물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의 사이 간격에 물품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함은 다양한 공구를 수납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공구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공구함은, 공구를 수납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 케이스와,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구를 보관하기 위한 선반과, 수납 케이스의 개폐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구함은 사용시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 목적이 다른 공구들이 서로 뒤섞이거나 위치가 변동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시 원하는 공구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290879호(2002년 09월 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보조수납공간이 형성된 공구함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물품(공구 등)의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을 분리시킬 수 있어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하기가 용이하며,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의 사이 간격에 물품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의 일단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크지 않아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공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분리되므로, 원하는 위치로 해당 공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은, 설치구조물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거치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1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거치대와, 상기 제1거치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2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3창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3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이 상기 제1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하단이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3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함은 상기 제1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1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하단 수납함과, 상기 제2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2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중단 수납함 및, 상기 제3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3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상단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1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2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3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설치구조물의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거치대는 상기 하단부재와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거치대는 상기 중단부재와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3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의 후단 또는 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상기 중단부재와 상기 상단부재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과 한 쌍의 제1연결부재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2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과 한 쌍의 제2연결부재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 및 상기 제3거치대의 내부에는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제1수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덮개가 더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중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상기 제2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2덮개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상기 제3수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3덮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물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을 분리시킬 수 있어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하기가 용이하며,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의 사이 간격에 물품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의 일단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크지 않아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과 중단 수납함 및 상단 수납함이 거치대들로부터 분리되므로, 원하는 위치로 해당 공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덮개와 제2덮개 및 제3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덮개와 제2덮개 및 제3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 및 제3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2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3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을 수납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덮개와 제2덮개 및 제3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덮개와 제2덮개 및 제3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 및 제3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1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2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의 제3거치대에 보강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100)은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와, 제1지지부재(130)와, 제3거치대(140)와, 제2지지부재(150)와,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을 포함한다.
먼저, 제1거치대(110)는 설치구조물(현관장, 신발장, 붙박이장 등, 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1거치대(110)는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거치대(110)에는 도 1과 4에서처럼 후술 될 하단 수납함(160)을 장착하기 위해 제1장착홀(1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거치대(110)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밀착된 상태로 제1체결부재(A)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거치대(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12)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A)는, 도 12와 13에서처럼 결합 방향측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체결부재(A)의 일단을 제1장착홀(111)의 내부를 통해 제1체결홀(112)로 수평하게 관통시켜,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거치대(120)는, 도 1과 4에서처럼 제1거치대(11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구조물(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거치대(120)는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거치대(120)에는 후술 될 중단 수납함(170)을 장착하기 위해 제2장착홀(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2거치대(120)는 제1거치대(110)과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밀착된 상태로 제2체결부재(B)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거치대(1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122)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B)는, 도 12와 14에서처럼 결합 방향측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체결부재(B)의 일단을 제1장착홀(121)의 내부를 통해 제2체결홀(122)으로 수평하게 관통시켜,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재(130)는, 하단이 제1장착홀(111)을 기준으로 제1거치대(1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제2장착홀(121)을 기준으로 제2거치대(12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130)는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전단 또는 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재(130)는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12에서처럼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후단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30)는 금속 계열의 소재(알루미늄 등)를 이용해 제작하여 적정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지지부재(130)의 소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30)의 상단과 하단은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전단 또는 후단과 제1연결부재(191)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91)들은,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1지지부재(130)의 상단과 하단 및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의 전단 또는 후단과 별도의 체결부재(나사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재(191)는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와의 연결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거치대(140)는, 도 1과 4에서처럼 제2거치대(1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구조물(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거치대(140)는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3거치대(140)에는 후술 될 상단 수납함을 장착하기 위해 제3장착홀(14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3거치대(140)는 제1거치대(110)와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밀착된 상태로 제3체결부재(C)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3거치대(1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체결홀(142)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재(C)는, 도 12와 15에서처럼 결합 방향측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체결부재(C)의 일단을 제3장착홀(141)의 내부를 통해 제3체결홀(142)으로 수평하게 관통시켜, 설치구조물(10)의 수직 벽면(1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재(150)는, 하단이 제2장착홀(121)을 기준으로 제2거치대(12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제3장착홀(141)을 기준으로 제3거치대(14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150)는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전단 또는 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부재(150)는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12에서처럼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전단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150)는 금속 계열의 소재(알루미늄 등)를 이용해 제작하여 적정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지지부재(150)의 소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50)의 상단과 하단은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전단 또는 후단과 한 쌍의 제2연결부재(192)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92)들은,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2지지부재(150)의 상단과 하단 및 제2거치대(120)와 제3거치대(140)의 전단 또는 후단과 별도의 체결부재(나사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부재(190)는 중단 수납함(160)과 상단 수납함(170)과의 연결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단 수납함(160)은, 도 4에거처럼 제1거치대(110)의 상방을 통해 제1장착홀(11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하단 수납함(160)의 상부에 제1수용홈(161)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 수납함(160)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제1거치대(11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162)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중단 수납함(170)은, 도 4에서처럼 제2거치대(120)의 상방을 통해 제2장착홀(12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중단 수납함(170)의 상부에 제2수용홈(171)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단 수납함(170)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제2거치대(12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172)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단 수납함(180)은, 도 4에서처럼 제3거치대(140)의 상방을 통해 제3장착홀(14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단 수납함(180)의 상부에 제3수용홈(18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 수납함(180)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제3거치대(14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182)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 및 제3거치대(140)의 내부에는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편(S)이 삽입될 수 있다.
보강편(S)은, 금속 등의 소재(알루미늄 등)를 사용할 수 있고, 보강편(S)은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 및 제3거치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편(S)은, 일정 강도를 제공하므로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 및 제3거치대(140)를 보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이 다수의 층으로 이격 위치므로, 물품(공구 등)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을 분리시킬 수 있어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하기가 용이하며,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의 사이 간격에 물품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의 일단이 제1지지부재(130)와 제2지지부재(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크지 않아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단 수납함(160)과 중단 수납함(170) 및 상단 수납함(180)이 제1, 2, 3거치대(110)(120)(130)들로부터 분리되므로, 원하는 위치로 해당 공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공구함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설치구조물 11: 수직 벽면
100: 공구함 110: 제1거치대
111: 제1장착홀 112: 제1체결홀
120: 제2거치대 121: 제2장착홀
122: 제2체결홀 130: 제1지지부재
140: 제3거치대 141: 제3장착홀
142: 제3체결홀 150: 제2지지부재
160: 하단 수납함 161: 제1수용홈
162: 걸림단 170: 중단 수납함
171: 제2수용홈 172: 걸림단
180: 상단 수납함 181: 제3수용홈
182: 걸림단 191: 제1연결부재
192: 제2연결부재 A: 제1체결부재
B: 제2체결부재 C: 제3체결부재
S: 보강편

Claims (8)

  1. 설치구조물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거치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1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거치대와, 상기 제1거치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2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설치구조물에 결합되며, 제3장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3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이 상기 제1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하단이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3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함은,
    상기 제1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1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하단 수납함과, 상기 제2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2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중단 수납함 및, 상기 제3거치대의 상방을 통해 상기 제3장착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상단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1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2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장착시 상기 제3거치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설치구조물의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거치대는,
    상기 제1거치대와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거치대는,
    상기 제1거치대와 동일 방향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3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의 후단 또는 전단에 편심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2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의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과 한 쌍의 제1연결부재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2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의 전단 또는 후단과 한 쌍의 제2연결부재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 및 상기 제3거치대의 내부에는,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상기 제1수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덮개가 더 결합되고,
    상기 중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상기 제2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2덮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상단 수납함의 상부에는,
    상기 제3수용홈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3덮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
KR2020190000747U 2019-02-22 2019-02-22 공구함 KR200491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7U KR200491470Y1 (ko) 2019-02-22 2019-02-22 공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7U KR200491470Y1 (ko) 2019-02-22 2019-02-22 공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70Y1 true KR200491470Y1 (ko) 2020-04-16

Family

ID=7045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47U KR200491470Y1 (ko) 2019-02-22 2019-02-22 공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7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2472A1 (en) * 2002-05-31 2003-12-04 Qinghao Yang Double-stack tool 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2472A1 (en) * 2002-05-31 2003-12-04 Qinghao Yang Double-stack tool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CA2862042C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CA2099352A1 (en) Tool container
US20060279188A1 (en) Door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200491470Y1 (ko) 공구함
KR200415144Y1 (ko) 슬림 수납함
EP3151702A1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JP5688960B2 (ja) 引き出し
KR102165605B1 (ko) 서랍이 구비된 침대
CN111820645A (zh) 一种分隔组件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JP2021069815A (ja) 引き出し
KR100726282B1 (ko) 기능성 공구함
JP3198175U (ja) 収納棚および収納システム
JP5271249B2 (ja) 収納家具
KR200324312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JP2009018072A (ja) デスク装置
JPH11127994A (ja) 補助棚付引出し
KR100553189B1 (ko) 다용도 수납장
WO2012042450A2 (en) Modular element for making up furniture accessories
JP6513526B2 (ja) 収納ケース
KR200295141Y1 (ko) 독서실 책상
KR200318124Y1 (ko) 교환가능한 수납함이 구비된 수납장
KR20100066152A (ko) 이중 수납구를 가진 다용도 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