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065B1 -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 Google Patents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065B1
KR101326065B1 KR1020110030297A KR20110030297A KR101326065B1 KR 101326065 B1 KR101326065 B1 KR 101326065B1 KR 1020110030297 A KR1020110030297 A KR 1020110030297A KR 20110030297 A KR20110030297 A KR 20110030297A KR 101326065 B1 KR101326065 B1 KR 10132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bracket
door
shelf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665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1003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0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ties; for collars, belts, braces, zip fasten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올려놓아 수납 가능한 브라켓, 이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문짝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측판, 및 이 브라켓과 유격되도록 양측을 대응되는 측판에 연결하여 넥타이나 벨트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넥타이를 거는 걸이부재와 화장품 등의 신변 소품을 수납하는 수납대를 일체로 구비한 선반을 옷장의 문짝에 구비함으로써 용도별로 소품을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고 깔끔하게 동시에 정리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선반을 문짝에 최소의 개수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선반의 설치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MULTIPLE USE HANGING RACK FOR DOOR OF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를 거는 걸이부재와 화장품 등의 신변 소품을 수납하는 수납대를 일체로 구비한 선반을 옷장의 문짝에 구비함으로써 용도별로 소품을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고 깔끔하게 동시에 정리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선반을 문짝에 최소의 개수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선반의 설치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신발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신발장, 의류 및 침구류를 넣어 보관하는 장롱, 식기 및 주방기구를 넣어두는 주방가구 등은 각각에 알맞는 물품의 수납장으로서, 수납물을 꺼내기 쉬운 상태로 은폐시키기 위하여 보통 문짝이 장착된 구조로 구성되어진다.
목욕탕, 찜질방, 라커룸 등에 비치되어 옷을 갈아입고 옷이나 신변 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옷장의 안쪽 공간으로는 옷을 옷걸이에 걸어서 놓기 위한 옷걸이봉과 선반 및 옷걸대가 별도로 각각 분산 설치되고, 문짝 내측으로는 거울이나 넥타이 걸이 등이 단순 구조로 설치된다.
기존의 옷장은 넥타이걸이와 물품 보관용 선반 등을 각각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공간이 복잡해지고 작업공수가 많아져서 번거로우며, 다양한 종류의 간단한 신변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바구니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공간활용도가 낮아지고 생산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옷장은 선반이나 넥타이걸이를 문짝에 설치 시 복수 개의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선반이나 넥타이걸이의 설치나 분리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넥타이를 거는 걸이부재와 화장품이나 지갑, 휴대폰 등의 신변 소품을 수납하는 수납대를 일체로 구비한 선반을 옷장의 문짝에 구비함으로써 용도별로 소품을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고 깔끔하게 동시에 정리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반의 측판에 수납대와 걸이부재를 끼움 결합하고, 이 측판을 문짝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선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선반의 설치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는: 물품을 올려놓아 수납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문짝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측판, 및 상기 브라켓과 유격되도록 양측을 대응되는 상기 측판에 연결하여 넥타이나 벨트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문짝에 접하여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를 상기 측판에 연결 고정하는 거치판부재, 상기 거치판부재에서 연장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판부재, 및 상기 수납판부재의 단부에 돌출되어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은 문짝을 향하는 테두리에서 상기 거치판부재 방향으로 끼움리브를 돌출하고, 상기 거치판부재는 상기 끼움리브를 삽입하는 끼움안내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1결합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제 1결합홈부 내측에 제 1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1수용돌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 1수용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은 상기 문짝에 억지 끼워지는 거치돌부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은 상기 걸이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2결합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제 2결합홈부 내측에 제 2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 2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2수용돌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은 종래 기술과 달리 넥타이를 거는 걸이부재와 화장품이나 지갑, 휴대폰 등의 신변 소품을 수납하는 수납대를 일체로 구비한 선반을 옷장의 문짝에 구비함으로써 용도별로 소품을 한 곳에 모아 일목요연하고 깔끔하게 동시에 정리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반의 측판에 수납대와 걸이부재를 끼움 결합하고, 이 측판을 문짝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선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선반의 설치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은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기능과 넥타이나 벨트 등을 걸 수 있는 기능을 한꺼번에 구비하는 것으로서, 브라켓(10), 측판(20) 및 걸이부재(30)를 포함한다.
브라켓(10)은 화장품이나 지갑 또는 휴대폰 등 작은 물품을 올려놓아 수납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이부재(30)는 넥타이나 벨트 또는 스카프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걸이부재(30)는 단면상 원형이나 다각형인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측판(20)은 브라켓(10)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걸이부재(30)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캐비넷(도시하지 않음)의 문짝(2)에 직접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측판(20)은 브라켓(10)과 걸이부재(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캐비넷은 옷장이나 이불장 등의 가구를 의미하고, 문짝(2)은 캐비넷의 개방된 전측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측판(20)은 브라켓(10)의 양측을 막아 수납된 물품의 측방향 이탈을 막는 역할도 한다.
특히, 브라켓(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일례로, 브라켓(10)은 거치판부재(12), 수납판부재(14) 및 걸림턱부재(16)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거치판부재(12)는 문짝(2)에 접하여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측판(20)에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수납판부재(14)는 거치판부재(12)에서 전측(前側)으로 연장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거치판부재(12)는 불필요할 수 있으나, 수납판부재(14)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문짝(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거치판부재(12)와 수납판부재(14)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거치판부재(12)와 수납판부재(14)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재(16)는 수납판부재(14)의 전측(前側) 가장자리 단부에 돌출되어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턱부재(16)는 수납판부재(14)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납판부재(14)는 거치판부재(12)로써 수납된 물품이 후측(後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쪽에 구비된 측판(20)으로써 물품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며, 걸림턱부재(16)로써 물품의 전측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걸림턱부재(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측판(2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거치판부재(12)와 결속된다.
일례로, 측판(20)은 문짝(2)을 향하는 테두리에서 거치판부재(12) 방향으로 끼움리브(42)를 돌출하고, 거치판부재(12)는 끼움리브(42)를 삽입하는 끼움안내부(44)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측판(20)은 양측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끼움리브(42)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거치판부재(12)는 끼움리브(42)에 일대일 대응되어 각각의 끼움리브(42)를 억지 삽입하는 끼움안내부(44)를 형성한다. 즉, 끼움리브(42)가 끼움안내부(44)에 억지 슬라이드 삽입됨에 따라 측판(20)과 거치판부재(12)는 끼움 결합된다.
이때, 끼움리브(42)는 측판(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끼움안내부(44)는 끼움리브(42)를 삽입하는 홈 형상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10)은 양쪽을 대응되는 측판(20)에 결합한다.
일례로, 도 5에서처럼, 측판(20)은 브라켓(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1결합홈부(52)를 함몰하고, 측판(20)은 제 1결합홈부(52) 내측에 제 1수용돌부(54)를 돌출 형성하며, 브라켓(10)은 제 1결합홈부(52)에 끼워지면서 제 1수용돌부(54)를 수용하기 위해 제 1수용홈부(56)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측판(20)은 브라켓(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결합홈부(52)를 형성하는데, 브라켓(10) 중 거치판부재(12)는 끼움안내부(44)를 형성하여 측판(20)의 끼움리브(42)를 삽입 결합하기 때문에, 브라켓(10) 중 수납판부재(14)가 측판(20)의 제 1결합홈부(52)에 끼워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납판부재(14)의 양측 가장자리가 측판(20)의 제 1결합홈부(52)에 억지 끼움된 상태로, 수납판부재(14)의 수납된 물건에 의한 과중한 하중 발생시, 측판(20)의 제 1결합홈부(52) 하측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라켓(10)이 임의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측판(20)에는 제 1수용돌부(54)가 돌출 형성되고, 브라켓(10)의 수납판부재(14)에는 제 1수용돌부(54)를 수용하는 제 1수용홈부(56)를 형성한다.
즉, 수납판부재(14)의 양쪽 가장자리가 측판(20)의 제 1결합홈부(52)에 끼워짐과 연이어, 측판(20)의 제 1수용돌부(54)가 수납판부재(14)의 제 1수용홈부(56)에 수용된다. 이때, 제 1수용돌부(54)는 수납판부재(14)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수용돌부(54)는 측판(2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제 1결합홈부(52) 내측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납판부재(14)는 양쪽 테두리에 제 1수용홈부(56)를 함몰하게 된다. 그래서, 수납판부재(14)와 측판(20)은 각각 제 1수용홈부(56)와 제 1수용돌부(54)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게 된다.
물론, 제 1수용돌부(5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1수용홈부(56)는 제 1수용돌부(54)를 일대일로 억지 삽입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이부재(30)는 양쪽을 대응되는 측판(20)에 결합한다.
일례로, 측판(20)은 걸이부재(30)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2결합홈부(62)를 함몰하고, 측판(20)은 제 2결합홈부(62) 내측에 제 2수용돌부(64)를 돌출 형성하며, 걸이부재(30)는 제 2결합홈부(62)에 끼워지면서 제 2수용돌부(64)를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홈부(66)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측판(20)은 걸이부재(30)의 양측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제 2결합홈부(62)를 형성한다.
특히, 걸이부재(30)가 측판(20)의 제 2결합홈부(62)에 억지 끼움된 상태로, 걸이부재(30)에 과중한 하중 발생시, 측판(20)의 제 2결합홈부(62) 하측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걸이부재(30)가 임의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측판(20)에는 제 2수용돌부(64)가 돌출 형성되고, 걸이부재(30)에는 제 2수용돌부(64)를 수용하는 제 2수용홈부(66)를 형성한다.
즉, 걸이부재(30)가 측판(20)의 제 2결합홈부(62)에 끼워짐과 연이어, 측판(20)의 제 2수용돌부(64)가 걸이부재(30)의 제 2수용홈부(66)에 수용된다. 이때, 제 2수용돌부(64)는 걸이부재(3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2수용돌부(64)는 측판(2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결합홈부(62) 내측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이부재(30)는 양쪽 테두리에 제 2수용홈부(66)를 함몰하게 된다. 그래서, 걸이부재(30)와 측판(20)은 각각 제 2수용홈부(66)와 제 2수용돌부(64)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게 된다.
물론, 제 2수용돌부(6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2수용홈부(66)는 제 2수용돌부(64)를 일대일로 억지 삽입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수용돌부(54)는 수납판부재(14)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 1수용홈부(56)는 측판(20)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수용돌부(64)는 수납판부재(14)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 2수용홈부(66)는 측판(20)에 형성된다.
한편, 브라켓(10)과 걸이부재(30)를 억지 끼움하여 결합한 측판(20)은 문짝(2)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측판(20)은 문짝(2)에 억지 끼워지는 거치돌부(22)를 돌출 형성하게 된다.
즉, 측판(20) 각각의 거치돌부(22)는 문짝(2)에 형성된 거치홈(23)에 강제로 끼워짐으로써, 브라켓(10)과 걸이부재(30)를 일차적으로 결합한 측판(20)은 문짝(2)에 이차적으로 용이하게 결합된다.
물론, 측판(20)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문짝(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측판(20)이 문짝(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거치돌부(22)는 거치홈(23)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요철(2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거치돌부(22)는 측판(20)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거치돌부(22)는 크기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수납용 브라켓(10)과 걸이용 걸이부재(30)가 양쪽을 측판(20)에 억지 끼움 결합함으로써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측판(20) 각각은 문짝(2)에 억지 끼움 결합됨에 따라 거치와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문짝 10: 브라켓
12: 거치판부재 14: 수납판부재
16: 걸림턱부재 20: 측판
22: 거치돌부 30: 걸이부재
42: 끼움리브 44: 끼움안내부
52,62: 제 1,2결합홈부 54,64: 제 1,2수용돌부
56,66: 제 1,2수용홈부

Claims (6)

  1. 물품을 올려놓아 수납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유격되게 구비되고, 넥타이나 벨트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걸이부재를 연결하여 고정하고, 문짝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상기 걸이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브라켓의 양측을 막아 수납된 물품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문짝에 접하여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측판에 끼워져 결속되는 거치판부재;
    상기 거치판부재에서 연장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대응되는 측판에 끼워져 결속되는 수납판부재; 및
    상기 수납판부재의 단부에 돌출되어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걸이부재를 끼움 결합한 상태로 상기 문짝에 형성된 거치홈에 억지 끼워져 설치되도록 거치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거치돌부는 상기 문짝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요철을 둘레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문짝을 향하는 테두리에서 상기 거치판부재 방향으로 끼움리브를 돌출하고;
    상기 거치판부재는 상기 끼움리브를 삽입하는 끼움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1결합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제 1결합홈부 내측에 제 1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1수용돌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 1수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5. 삭제
  6.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걸이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제 2결합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제 2결합홈부 내측에 제 2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 2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2수용돌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KR1020110030297A 2011-04-01 2011-04-01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KR10132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97A KR101326065B1 (ko) 2011-04-01 2011-04-01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97A KR101326065B1 (ko) 2011-04-01 2011-04-01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65A KR20120111665A (ko) 2012-10-10
KR101326065B1 true KR101326065B1 (ko) 2013-11-21

Family

ID=4728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297A KR101326065B1 (ko) 2011-04-01 2011-04-01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0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642U (ko) * 1980-08-01 1982-02-20
JP2000333739A (ja) * 1999-05-31 2000-12-05 Okamura Corp 棚板への側板取付構造
KR20010012552A (ko) * 1997-05-15 2001-02-15 에드워드 에이. 케터러 이동식 칸막이 시스템용 조립식 걸이 수납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642U (ko) * 1980-08-01 1982-02-20
KR20010012552A (ko) * 1997-05-15 2001-02-15 에드워드 에이. 케터러 이동식 칸막이 시스템용 조립식 걸이 수납 유니트
JP2000333739A (ja) * 1999-05-31 2000-12-05 Okamura Corp 棚板への側板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65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528B2 (en) Over door storage rack for base cabinet doors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US20080169737A1 (en) Adjustable Pull-Out Frame Structure
US8967738B2 (en) Customizable expandable storage systems for the home
US20140306082A1 (en) Han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101326065B1 (ko)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KR101245170B1 (ko) 수납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킨 다용도 수납장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101476008B1 (ko) 다용도 물품 회전식 정리대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20170107188A (ko)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20220107145A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CA2694846A1 (en) Multifunctional support, system and accessories
US20130099633A1 (en) Expandable Storage System
JP3202554U (ja) ラッキングドア
JP2019081562A (ja) 収納バスケット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101379282B1 (ko) 가구
JP2004290420A (ja) 縦形ポケットを備えた厨房家具
KR100947586B1 (ko) 벽면 고정형 선반
KR200322674Y1 (ko) 벽걸이형 다용도 수납함
KR20240069309A (ko) 목재 보강선반이 구비된 수납가구
KR200491470Y1 (ko) 공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