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31Y1 -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31Y1
KR200479131Y1 KR2020140005954U KR20140005954U KR200479131Y1 KR 200479131 Y1 KR200479131 Y1 KR 200479131Y1 KR 2020140005954 U KR2020140005954 U KR 2020140005954U KR 20140005954 U KR20140005954 U KR 20140005954U KR 200479131 Y1 KR200479131 Y1 KR 200479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connection frame
connection
fram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1709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913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광산업
Priority to KR202014000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주방의 씽크대 상부에 설치되어 국자,뒤집개 등의 보관과 수저통 및 수세미, 행주 등을 간이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주방용품 걸이대에 있어서, 거치대 프레임의 내측부로 간접조명을 형성하여 야간 및 평상시에도 주방용품의 수납 및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측 내부에 금속판을 내장하여 자석 등을 주방용품에 설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주방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Multifunctional kitchen utensils geolyidae}
본 고안은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주방의 씽크대 상부에 설치되어 국자,뒤집개 등의 보관과 수저통 및 수세미, 행주 등을 간이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주방용품 걸이대에 있어서, 거치대 프레임의 내측부로 간접조명을 형성하여 야간 및 평상시에도 주방용품의 수납 및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측 내부에 금속판을 내장하여 자석 등을 주방용품에 설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주방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2357호(공개일: 2013년 12월 04일) 씽크대용 주방선반은,
씽크대 찬장의 저면에 한 쌍의 선반설치대(30)가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되고, 상기 양측 선반설치대(30)의 사이에는 선반본체(10)가 수평 설치되는 씽크대용 주방선반에 있어서,
상기 선반본체(10)는 수개의 스텐레스 철사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여 형성되는 수평받침부(11)의 전후방에 하부살대(13)가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며,
전후방측 하부살대(13)의 상부에는 상부살대(15)가 수평 설치되어 장식바걸림대(16)가 형성되고, 이 전후방측 장식바걸림대(16)에는 전면에 장식부가 표현된 장식바(40)가 끼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받침부(11)와 장식바걸림대(16)의 양측에는 상하측걸림부(17,18)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측지지대(19)가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며,
양측 외측지지대(19)의 내측면에는 외측지지대(19)보다 폭은 좁고 상하 높이가 높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걸림살대 걸림구(21)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되, 걸림살대 걸림구(21)의 상하부가 외측지지대(19)의 상하측걸림부(17,18) 보다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선반설치대(30)는 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프레임(31)의 상부가 90도로 절곡되어 수평절곡부(32)가 형성되고, 이 수평절곡부(32)에는 씽크대찬장의 저면에 고정되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구멍(33)이 형성되며, 이 지지프레임(31)의 일측면에는 걸림살대 걸림구(21)에 끼워져 걸리는 상하측걸림대(34,35)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되, 이 상하측걸림대(34,35)는 평면에서 볼 때 측면 방향으로 외측지지대(19)와 걸림살대 걸림구(21)가 겹쳐진 두께만큼의 측면폭(36)과 상하방향으로는 걸림살대 걸림구(21)의 폭 만큼에 해당하는 의 상면폭(37)이 형성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하측걸림대(34,35)의 상하 설치간격은 외측지지대(19)의 높이와 걸림살대 걸림구(21)의 높이 사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품 걸이대는 일반적으로 걸이대에 선반을 형성하여 물건은 올려 놓는 구성이나 또는 여러 개의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에 걸림되는 다양한 형태의 주방용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구성만을 제공함으로써 걸이대의 기능성을 부분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형태 자체가 조잡스럽고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경우 주방용품을 후크에 걸어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방용품을 걸이대에 걸어 보관하는 구성이 후크에 걸림하여 보관하는 구성으로 한정됨으로써 걸림고리가 없는 주방용품의 경우 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형태의 주방용품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방용품을 사용하기 편리한 장소에 간편하게 보관하기 위한 걸이대의 구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걸림되는 주방용품의 형태가 획일적이지 않더라도 거치가 용이하게 여러 가지 걸림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주방용품을 쉽게 거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략 주방의 수납장 하부면에 설치되는 주방용품 걸이대의 걸림형태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주방용품을 쉽게 거치할 수 있으며, 역조명에 의하여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도 쉽게 주방용품을 거치 및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자로 하여금 은은한 고급스러운 미감을 느끼도록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대(10)와,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전원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되는 전원단자(13)가 조립되는 제2지지대(10')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 10')를 연결 조립되며 일측면으로 상부와 하부에 걸림장홈(21)이 형성되며 타측면으로 상기 양측이 걸림돌기(12, 12')에 끼움 고정되는 연결돌기(22)와 상기 연결돌기(22) 중앙부분으로 장홈(2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프레임(20);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장홈(23)에 부착되며 일측이 전원단자(13)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엘이디 램프(50);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외주면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는 보관통(60), 선반(70), 키친타올 걸이대(80) 및 걸이구(90)로 구성된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장홈(21)에는 자력을 갖는 주방용품의 보관을 위한 금속판(30)과 상기 금속판(30)의 부식방지를 위한 아크릴판(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악세서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20)의 중앙부분에 씽크대의 상부장 바닥면과 연결되는 보조지지대(10")를 더 연결하여 연결프레임(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는 하나의 걸이대에 기본적으로 후크를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걸어 보관하는 형태에서 후크를 프레임으로부터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크기가 다른 주방용품의 간격을 조절하여 쉽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후방에 조명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역조명을 통한 주변의 밝기를 개선하고 은은한 역조명으로 고급스러운 미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프레임의 전방으로는 금속판을 형성하여 자성을 갖는 주방용품을 쉽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금속판 대용으로 자석을 형성하여 금속재질의 주방용품을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 다양한 형태의 걸림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주방 전체의 용품들을 정리할 수 있어 청결하고 위생적인 주방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배면을 보인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걸이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걸이구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보관통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선반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키친타올 걸이대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의 배면을 보인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이하, '걸이대'라 한다)(100)는 크게 씽크대의 상부장 바닥면에 상부가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대(10, 10')와, 상기 지지대(10, 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0) 및 상기 연결프레임(20)에 걸림되는 보관통(60), 선반(70), 키친타올 걸이대(80) 및 걸이구(90) 등의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대(10)와,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전원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되는 전원단자(13)가 조립되는 제2지지대(1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일측면으로 상부와 하부에 걸림장홈(21)이 형성되며 타측면으로 상기 양측이 걸림돌기(12, 12')에 끼움 고정되는 연결돌기(22)와 상기 연결돌기(22) 중앙부분으로 장홈(2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걸림장홈(21)에는 금속판(30)과 아크릴판(40)이 순차적으로 끼움되며, 타측의 장홈(23)에는 엘이디 램프(50)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연결돌기(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지지대(10, 10')의 걸림돌기(12, 12')에 끼움되어 조립되며 그외 부분은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의 장홈(23)에 일이디램프(50)가 부착되며, 상기 엘이디램프(50)는 연결돌기(2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24)에 걸림되는 커버(25)에 의하여 보호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램프(50)는 일측으로 지지대(10')에 연결된 전원단자(13)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악세서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20)의 중앙부분에 씽크대의 상부장 바닥면과 연결되는 보조지지대(10")를 더 연결하여 연결프레임(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프레임(2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엘이디램프(50)가 형성된 부분이 벽면측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서 간접적인 조명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방의 씽크대 부분을 은은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전방으로 형성된 아크릴판(40)에 의하여 고급스러운 미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된 금속판(30)에 의하여 자력을 이용한 주방용품의 걸이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외주면으로는 보관통(60), 선반(70), 키친타올 걸이대(80) 및 걸이구(90) 등의 악세서리가 좌우 슬라이딩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바, 상기 악세서리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걸이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걸이구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보관통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선반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중 키친타올 걸이대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악세서리 중 걸이구(9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90)는 대략 "ㄴ"형태의 몸체(91) 상부에 연결프레임(20)의 외면을 감싸는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 형태의 걸이부(92)와 상기 걸이부(92)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이(9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이구(90)의 구성에 의하여 걸이부(92)를 연결프레임(20)의 외면에 끼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시킨 후 걸이(93)에 국자, 뒤집개 등의 조리용품을 걸이 보관할 수 있다.
도 9는 악세서리 중 수저, 젓가락 등의 보관할 수 있는 보관통(6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통(60)은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0) 외면에 걸림되는 "U"형태의 연결고리(611)와 타측에 관통공(612)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바(61)와, 상기 보관통(65)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판(62)과 상기 지지판(62)과 연결바(61)의 연결부분에 위치하여 연결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연결체(63) 및 하부에 여러 개의 물빠짐 구멍(651)이 형성된 보관통(6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관통(60)의 구성에 의하여 연결프레임(20)에 연결된 연결바(61)가 보관통(60)의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관통(65)의 내부에 수저, 젓가락 등을 세척 후 쉽게 보관할 수 있으며, 세척시 발생되는 물은 물빠짐 구멍(651)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청결한 상태에서 수저 또는 젓가락 및 조리용구들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0은 악세서리 중 선반(7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70)의 연결프레임(20)과의 연결구성은 앞서 설명한 보관통(60)의 연결구성과 동일함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악세서리 중 키친타올 걸이대(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친타올 걸이대(80)는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0) 외면에 걸림되는 "U"형태의 연결고리(811)와 타측에 관통공(812)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바(81)와, 일측이 개방된 "ㄷ"형태의 걸이체(82)와, 상기 연결바(81)와 걸이체(82)를 연결하는 연결체(84) 및 상기 걸이체(82)의 끝부분에 끼움되어 삽입된 키친타올이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구(8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친타올 걸이대(80)는 걸이체(82)의 개방된 부분으로 키친타올을 삽입하여 걸이체(82)에 걸림하며, 걸림된 상태가 걸이체(82)의 끝부분에 끼움된 빠짐방지구(83)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됨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10' : 지지대 11, 11' : 관통공
12, 12' : 걸림돌기 13 : 전원단자
20 : 연결프레임 21 : 걸림장홈
22 : 연결돌기 23 : 장홈
24 : 결합홈 30 : 금속판
40 : 아크릴판 50 : 엘이디 램프
60 : 보관통 70 : 선반
80 : 키친타올 걸이대 90 : 걸이구

Claims (3)

  1.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대(10)와, 상부에 연결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11')과 하부에 연결프레임(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걸림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전원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되는 전원단자(13)가 조립되는 제2지지대(10')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 10')가 연결 조립되며 일측면으로 상부와 하부에 걸림장홈(2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 상기 양측이 걸림돌기(12, 12')에 끼움 고정되는 연결돌기(22)와 상기 연결돌기(22) 중앙부분으로 장홈(2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프레임(20);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장홈(23)에 부착되며 일측이 전원단자(13)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엘이디 램프(50);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외주면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는 보관통(60), 선반(70), 키친타올 걸이대(80) 및 걸이구(90)로 구성된 악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장홈(21)에는 자력을 갖는 주방용품의 보관을 위한 금속판(30)과 상기 금속판(30)의 부식방지를 위한 아크릴판(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악세서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20)의 중앙부분에 씽크대의 상부장 바닥면과 연결되는 보조지지대(10")를 더 연결하여 연결프레임(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20140005954U 2014-08-07 2014-08-07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79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54U KR200479131Y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54U KR200479131Y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31Y1 true KR200479131Y1 (ko) 2015-12-22

Family

ID=5517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54U KR200479131Y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2899A (zh) * 2017-08-31 2018-02-16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水槽下用置物架
KR20190103546A (ko) 2018-02-26 2019-09-05 김성호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KR20220002968U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동서스텐 태블릿 pc 및 주방용품 거치용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00U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봉적 주방용 조명장치
KR101044403B1 (ko) * 2010-07-13 2011-06-27 이용호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00U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봉적 주방용 조명장치
KR101044403B1 (ko) * 2010-07-13 2011-06-27 이용호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2899A (zh) * 2017-08-31 2018-02-16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水槽下用置物架
KR20190103546A (ko) 2018-02-26 2019-09-05 김성호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KR20220002968U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동서스텐 태블릿 pc 및 주방용품 거치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528B2 (en) Over door storage rack for base cabinet doors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101886927B1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101440794B1 (ko) 고정대 교환 가능한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JP5484365B2 (ja) タオル掛け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10206677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주방용 선반 기구
JP2011062342A (ja) 陳列棚
JP5998011B2 (ja) 吊下げ式収納具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0322674Y1 (ko) 벽걸이형 다용도 수납함
JPH1132849A (ja) 台所用品整理装置
KR100947586B1 (ko) 벽면 고정형 선반
KR20170003004U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 선반
JP2017060709A (ja) まな板収納具
KR200179826Y1 (ko) 주방용 선반
KR200375152Y1 (ko) 주방용 수납장
KR200274677Y1 (ko) 주방용품 수납대
JP2017042274A (ja) 壁面用取付ラック及び壁面用収納ラック
KR200484790Y1 (ko) 싱크대용 수납대
KR200332659Y1 (ko) 수용부가 교환 가능한 벽면 부착식 주방용품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574;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111

Effective date: 20161111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