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818B1 -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818B1
KR101005818B1 KR1020090122305A KR20090122305A KR101005818B1 KR 101005818 B1 KR101005818 B1 KR 101005818B1 KR 1020090122305 A KR1020090122305 A KR 1020090122305A KR 20090122305 A KR20090122305 A KR 20090122305A KR 101005818 B1 KR101005818 B1 KR 10100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containers
parallel
sides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청진
신미영
Original Assignee
신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미영 filed Critical 신미영
Priority to KR102009012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 이상의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을 나란하게 결합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기는 상단이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한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말단에는 주방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양측에서 각각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중심에서 수직아래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아래에서 상판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맞물려지도록 상측으로 물림부가 돌출형성된 하판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를 축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는 바(bar) 형상이며 주방용기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주방용기들이 연결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방용기, 연결부재

Description

주방용기의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containers for kitchen utensil}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주방용기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에서 주방용기들이 각각 연결된 주방용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는 주방용품들을 보관하기 위하여 수저통, 접시꽂이, 칼꽂이 등등이 보관용 주방용기로 사용된다.
상기 수저통, 접시꽂이, 칼꽂이 등은 각각의 물건들을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받침대를 구비하거나 물품을 꽂아두던지 거치하기 용이한 구조로 내부가 성형된다.
또한, 물품에 따라 깨지거나 손을 배일 수 있는 물품들은 수저 등과 같이 자주 쓰는 물품과 분리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저통, 칼꽂이, 접시꽂이 등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분리된 주방용기는 벽이나 싱크대문 등에 고정되지 않았으면 흔들릴 우려가 있었으며, 적재된 물품의 무게에 의해 옆으로 쓰러질 위험도 있었다.
아울러, 주방을 정리하여 미관상 좋아보이게 하려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품을 더 쉽게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각각 떨어진 주방용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 또는 취향에 따라 주방용기들을 탈착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 이상의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을 나란하게 결합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기는 상단이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한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말단에는 주방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양측에서 각각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중심에서 수직아래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아래에서 상판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맞물려지도록 상측으로 물림부가 돌출형성된 하판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를 축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는 바(bar) 형상이며 주방용기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주방용기들이 연결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기는 테두리부의 일측 끝단이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서 맞물리도록 진입하고 타측으로 활주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림부는 하판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주방용기의 내주면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들이 형성되되 양측에서 마주하도록 쌍으로 형성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돌기들에 주방용기의 내부를 구획하는 디바이더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바이더는 칼꽂이용 디바이더 또는 칸막이용 디바이더 등 다양한 용도의 디바이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 또는 취향에 따라 다수 개의 주방용기를 매우 용이하게 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주방용기들 사이의 일측에서 끼워져 타측으로 활주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탈부착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주방용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더를 사용자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방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물품을 더욱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연결구조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방용기를 나란하게 연결한다.
상기 주방용기(10)는 칼 또는 수저 소형 그릇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형 박스 형상으로서 상단이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한 테두리부(11)가 양측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10)는 디바이더(30, 40)를 수납하여 칼꽂이대 또는 물품거치대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로방향 길이 보다 가로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테두리부(11)가 가로측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11)는 주방용기(10)의 외측으로 절곡되되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주방용기의 양측으로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끝단은 가로 방향을 따라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고정부(12)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테두리부(11)의 고정부(12)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바(bar) 형상으로서, 테두리부의 전체가 맞물리도록 주방용기와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판부(21), 중앙부(22), 하판부(23)로 구성되며, 테두리부(11)의 일측에서 맞물리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타측으로 주방용기(10)의 가로방향을 따라 활주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판부(23)의 양측 끝단은 수직 위로 절곡된 물림부(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20)는 양측에서 이웃하는 주방용기(10)들의 테두리부(11)들이 각각 맞물려질 수 있도록 상판부(21)와 하판부(23)는 중앙부(22)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22)는 상판부(21) 및 하판부(23)와 각각 직각 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22)의 일측으로 고정부(12)가 진입됐을 때, 테두리부(11)가 연결부재(20)에서 이탈하지 않고 맞물리도록 하판부(23)의 끝단에서는 물림부(24)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21)는 연결된 주방용기(10)들 사이에서 돌출되므로, 수납된 용품들의 이동에 의해 긁힘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단의 양측이 라운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20)와 주방용기(10)들의 결합구조는 갯수에 제한없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의 주방용기(10)들의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방용기(10)들의 탈착은 연결부재(20)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이루어지며 연결부재(20)의 탈부착은 이웃하는 주방용기(10)들의 테두리부(11) 사이에 연결부재(20) 활주시킴으로서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적재 물품의 형태에 따라 주방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방용기(10)는 내주면에서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다수 개의 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3)들은 가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디바이더(30, 40)의 양측으로 형성된 홈(31, 41)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되, 물품들의 수납시 긁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진 부분 없이 볼록하게 표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바이더는 수납하는 물품에 따라서 사용자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 3a 과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꽂이용디바이더(30)이거나 소형물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칸막이용디바이더(4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 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연결구조에 의해 다수 개의 주방용기들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은 도 1 의 분해 사시도,
도 3a 은 칼꽂이용디바이더가 주방용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 는 칸막이용디바이더가 주방용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방용기 11 : 테두리부
12 : 고정부 20 : 연결부재
21 : 상판부

Claims (5)

  1.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 이상의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을 나란하게 결합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기는 양측으로 상단이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한 테두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말단에는 주방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양측에서 각각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중심에서 수직아래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아래에서 상판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맞물려지도록 상측으로 물림부가 돌출형성된 하판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를 축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는 바(bar) 형상이며 주방용기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주방용기들이 연결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주방용기의 테두리부 일측 끝단이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서 맞물리도록 진입하고 타측으로 활주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內面)과 외면(外面)이 각각 중앙부와 물림부에 밀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기의 내주면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들이 형성되되 양측에서 마주하도록 쌍으로 형성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돌기들에 주방용기의 내부를 구획하는 디바이더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1020090122305A 2009-12-10 2009-12-10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10100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05A KR101005818B1 (ko) 2009-12-10 2009-12-10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05A KR101005818B1 (ko) 2009-12-10 2009-12-10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818B1 true KR101005818B1 (ko) 2011-01-05

Family

ID=4361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305A KR101005818B1 (ko) 2009-12-10 2009-12-10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8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95Y1 (ko) 2013-07-12 2014-09-29 이영철 다용도 꽂이
KR101610505B1 (ko) * 2014-09-11 2016-04-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KR20170002347U (ko) * 2015-12-22 2017-06-30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6109Y1 (ko) 2017-05-19 2018-04-03 김준경 주방용품 보관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136A (en) 1968-01-29 1969-11-25 Illinois Tool Works Clip device
JPS5198160U (ko) * 1975-02-03 1976-08-06
US5054636A (en) 1987-10-23 1991-10-08 Karl Netzer Drum storage system utilizing detachable blocks
US20050181297A1 (en) * 2003-10-15 2005-08-18 Arch Specialty Chemicals, Inc. Novel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136A (en) 1968-01-29 1969-11-25 Illinois Tool Works Clip device
JPS5198160U (ko) * 1975-02-03 1976-08-06
US5054636A (en) 1987-10-23 1991-10-08 Karl Netzer Drum storage system utilizing detachable blocks
US20050181297A1 (en) * 2003-10-15 2005-08-18 Arch Specialty Chemicals, Inc. Novel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95Y1 (ko) 2013-07-12 2014-09-29 이영철 다용도 꽂이
KR101610505B1 (ko) * 2014-09-11 2016-04-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KR20170002347U (ko) * 2015-12-22 2017-06-30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4055Y1 (ko) * 2015-12-22 2017-07-25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6109Y1 (ko) 2017-05-19 2018-04-03 김준경 주방용품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949B2 (en) Removable basket assembly for outdoor grill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KR20160031066A (ko)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JP3592685B2 (ja) モジュール式陳列ラック
US7588153B2 (en) Utensil organizer
KR200484055Y1 (ko)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KR200455852Y1 (ko) 주방용 구획 프레임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20180005431A (ko) 다용도 선반
US8511484B1 (en) Containers and storage system therefore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JP5052183B2 (ja) キッチン収納庫
JP5998011B2 (ja) 吊下げ式収納具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KR20120001836U (ko) 주방용품 지지가구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JP5052185B2 (ja) キッチン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