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73A - 주방용품 정리대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정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373A
KR20210001373A KR1020190077396A KR20190077396A KR20210001373A KR 20210001373 A KR20210001373 A KR 20210001373A KR 1020190077396 A KR1020190077396 A KR 1020190077396A KR 20190077396 A KR20190077396 A KR 20190077396A KR 20210001373 A KR20210001373 A KR 2021000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ounting
storage space
main body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19007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373A/ko
Publication of KR2021000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이 여러 칸으로 분할되어 수납공간에 주방용품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폭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가 형성된 정리대 본체가 구비되고, 정리대 본체의 받침부에는 수납공간을 분할 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복수의 구획대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주방용품 정리대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는 구획대를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받침부의 양측변을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가 대칭되게 배열되어 구획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폭 조절이 가변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대는 양측변의 장착부에 끼워 현수 연결되도록 절곡되거나 밴딩되어진 와이어 또는 바형상의 구획부의 양측으로 끼움돌부를 형성하여 정리대 본체의 장착부에 끼워 조립되도록 하며, 끼움돌부는 구획부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끼움돌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작동하면서 끼움돌부가 장착부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가 구획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구획대를 활용하여 분리 재조립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폭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주방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수납공간의 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경량구조로 이루어짐에도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정리대{Grooming shelf of Kitchen utensils}
본 발명은 프라이팬이나 조리용구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이 여러 칸으로 분할되어 수납공간에 주방용품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폭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는 프라이팬이나 조이용구 등의 주방용품을 정리하기 위해서 싱크대 상부 또는 싱크대 내부에는 정리대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상,하로 여러 층으로 수납공간이 분할된 다층 구조의 선반을 이용하여 보관하였으나, 다층구조의 선반은 활용도가 적기 때문에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접시나 그릇, 기타 조리용구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수납공간이 분할된 정리대가 많이 활용된다.
특히, 종래의 다층 구조의 선반은 설거지 후, 물빠짐이나 건조가 쉽지 않으므로 설거지를 한 이후에 별도의 씽크 선반 등에서 건조시킨 상태에서 수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건조와 수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정리대를 선호한다.
일반적인 정리대의 구조는 접시꽂이와 같은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여러 개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수납공간에 프라이팬이나 냄비, 기타 주방용품을 세워서 보관하였다
그러나 주방에서 사용하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사이즈와 두께,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뒤섞어 보관할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정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74677호에서는 복수의 수직격판을 마련하고, 수직격판이 수평가이드바에 탈착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정리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정리대는 수직격판의 지지력이 매우 약한데 비하여, 프라이팬이나 냄비는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 수직격판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측면으로 기울어지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음식 맛을 풍부하고 깊은 맛이 나도록 고가의 조리용기, 즉 주물이나 유리로 제작된 조리용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같은 조리용기는 무게가 너무 무겁기 때문에 수직격판이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가(高價)의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는 제품가격의 인상요인이 되므로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지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정리대의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지기 때문에 주방에서 여성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주방에서 사용하는 기구들은 청결과 위생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주어야 하는데, 위와 같은 플라스틱 제품이나 금속 제품들은 세척에 어려움이 있다.
즉, 플라스틱 제품은 보강을 위한 구조들로 인하여 구석구석 세척하기가 어렵고, 금속 와이어를 밴딩하여 제작한 경우에도 연결부위나 구석의 폭이 너무 좁하여 세척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주방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수납공간의 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경량구조로 이루어짐에도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받침부가 형성된 정리대 본체가 구비되고, 정리대 본체의 받침부에는 수납공간을 분할 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복수의 구획대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주방용품 정리대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는 구획대를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받침부의 양측변을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가 대칭되게 배열되어 구획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폭 조절이 가변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대는 양측변의 장착부에 끼워 현수 연결되도록 절곡되거나 밴딩되어진 와이어 또는 바형상의 구획부의 양측으로 끼움돌부를 형성하여 정리대 본체의 장착부에 끼워 조립되도록 하며, 끼움돌부는 구획부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끼움돌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작동하면서 끼움돌부가 장착부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가 구획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구획대를 활용하여 분리 재조립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폭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정리대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변에는 수납되어진 주방용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손잡이가 있는 주방용품의 경우 손잡이 위치가 일정 높이로 들린 상태로 안착되도록 거치대를 마련함으로써 주방용품의 수납 및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이 거치대가 정리대 본체의 외측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방용품 정리대에 의하면, 사용자가 구획대의 양측을 눌러서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기 때문에 구획대의 탈착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수납하고자 하는 주방용품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의 좌,우 구간 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크기나 부피에 관계없이 다양한 주방용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과 합성수지의 조합 및 정리대 본체의 금형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견고한 구조의 고품질 정리대를 제공할 수 있고, 무게가 무거운 주방용품을 세워 보관하는 경우에도 구획대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강화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경량으로 이루어지므로 운반 및 이동설치가 용이하고, 주방용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손잡이를 활용하여 여성이나 노약자도 간편하게 운반 및 이동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구획대의 밴딩 또는 절곡 형상을 달리하여 컵이나 기타 다양한 주방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에 의하여 주방용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프라이팬을 보관하는 경우 거치대에 의하여 손잡이가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출 및 삽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단순 끼움구조로 구획대와 거치대가 조립되므로 분리세척이 용이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방용품 정리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용품 정리대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품 정리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획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구획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품 정리대의 평면 구조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20)가 형성된 정리대 본체(100)와, 정리대 본체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대(200)와, 수납공간에 수납되어진 주방용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거치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리대 본체(100)와 구획대(200)와 거치대(300)의 세부구조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정리대 본체(100)는 바닥에 놓여져 상측에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기저가 되는 부분으로서, 받침부(120)의 형상은 장방형의 사각형이나 타원 형상 등 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면적이 확보됨으로써 그 상단에 주방용품이 놓이게 된다.
구획대(200)는 정리대 본체(100)에 조립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구획대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의 간격을 다양한 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리대 본체(100)에는 장착부(140)가 마련되고, 구획대(200)는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200)에 끼움돌부(240)가 마련된다.
장착부(140)는 받침부(120)의 양측변을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140)가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는 것으로, 즉, 받침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받침부(120)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되거나, 또는 테두리부분의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공된 홀 또는 내입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대(200)는 상기 장착부(140)에 끼움될 수 있도록 구획부(220)의 양측으로 끼움돌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있는 장착부(140) 중에서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구획대(200)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구획대(200)를 등간격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등 사용자가 구획대를 선택적으로 끼워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구획대(200)의 위치를 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수납공간의 이격된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대(200)는 구획부(220)가 양측변의 장착부에 끼워 현수 연결되도록 절곡되거나 밴딩되어진 와이어 또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구획부(220)의 양측으로 끼움돌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정리대 본체의 장착부(140)에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 끼움돌부(240)는 구획부(220)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끼움돌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작동하면서 끼움돌부가 장착부(140)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구획대(200)가 금속재로 제작되어 밴딩 또는 절곡에 의하여 자체 탄성을 갖게 됨으로써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구획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돌부(240)가 장착부(14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즉, 구획대(200)를 정리대 본체(100)에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대(200)의 하부 양측을 눌러서 끼움돌부(240)가 형성된 하부측을 오므라들게 하고, 그 상태에서 정리대 본체(100)의 장착부(140)에 위치를 맞춘 후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구획대(200)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정리대 본체(100)에 원터치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구획대(200)를 정리대 본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구획대(200)의 하부 양측을 눌러서 끼움돌부(240)가 형성된 하부측을 오므라들게 하고, 그 상태에서 정리대 본체(100)로부터 들어올려서 간편하게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고, 구획대(200)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하면 금속과 합성수지 재질의 조합에 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고 경량으로 제작함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리대 본체(100)의 장착부(140)는 구획대의 삽입깊이를 설정하는 하부 스토퍼(142)와 구획대의 벌어짐 각도를 제한하는 외측 스토퍼(144) 및 구획대의 끼움돌부(240)가 삽입되는 장착공(146)과, 구획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벽(14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구획대(200)를 조립하고자 하부측으로 삽입할 때는 하부 스토퍼(142)에 닿아 삽입 깊이가 제한되고, 그 상태에서 구획대가 벌어지면서 회측 스토퍼(144)에 의하여 벌어짐이 제한되며, 이때 끼움돌부(240)는 장착공(146)에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구획대(200)를 정리대 본체(10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구획대(200)가 양측의 측면지지벽(148)에 밀착되면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장착부(140)의 깊이를 깊게 형성할수록 구획대(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벽(148)의 상,하 높이가 길어지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40)는 하부측으로 내입된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받침부(120)의 중앙에 주방용품이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내입되게 안착부(122)를 형성하고, 정리대 본체에 구획대를 조립할 때 구획부의 탄성 변위에 간섭되지 않고 끼움돌부(240)가 장착부(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리대 본체(100)의 받침부(120)에는 양측으로 배열된 장착부(140) 사이에 하부측으로 내입된 안착부(122)가 형성되어 장착부(140)가 안착부측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양측으로 배열된 장착부(140)가 서로 마주보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구획대(200)를 오므려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끼운 후 구획부(220)의 기둥부(222)가 벌어져 끼움돌부(240)가 장착부의 장착공(146)에 삽입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구획대(200)는 구획부(220)가 기둥부(222)와 가로부(224)로 구성되고, 가로부(224)에는 내입절곡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획대(200)를 다중 절곡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획대(200)가 내측으로 오므라들 때 절곡 포인트를 증가시켜 압력분산이 이루어지면서 반복적으로 분리 및 조립을 위하여 탄성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절곡부의 피로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탄성력 및 복원력을 증가시키면서도 국부하중이 발생하지 않고 구획대 전체에 하중이 분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대의 밴딩 또는 절곡 형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내입절곡부(226)를 중앙부에 형성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컵을 걸어서 보관하는 컵 보관대로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받침부(120)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 조립구멍(124)이 형성되고, 그 조립구멍에는 정리대에 수납되는 주방용품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거치대(30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거치대(300)는 조립구멍(124)에 삽입되는 끼움축(320)과 주방용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40)가 구비되어 끼움축을 조립구멍에 끼워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거치대(300)는 와이어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340)에 의하여 정리대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주방용품이 이탈되지 않고, 프라이팬과 같이 손잡이가 길게 형성된 주방용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거치대의 상부에 손잡이를 걸어서 사용자가 쉽게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300)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정리대 본체(100)로부터 외측에 위치할수록 수납공간을 더 크게 확보하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지지부(340)가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가이드(360)에 의하여 끼움축(320)으로부터 외측으로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거치대(3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저치대가 정리대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정리대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주방의 공간여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00)를 정리대 본체(100)의 전,후방으로 대칭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거치대(300)는 밴딩 또는 절곡에 의하여 요청형태로 형성하거나 물결형태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보관하고자 하는 주방용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끼움축(320)은 조립구멍에 수직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정래대 본체(100)의 성형시 상,하 금형빠짐 구조에 의하여 거치대(300)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멍(124)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조립구멍(124)이 형성되는 위치에 정리대 본체(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에 논슬립 기능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받침패드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패드에 의하여 정리대 본체(100)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뜬 상태로 위치되도록 되며, 이때 안착부(122)에 배수홀을 형성함으로써 물빠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받침부(120)의 양측변에 수직으로 직립하게 측벽(160)이 구성되고, 그 측벽에는 이동 및 운반을 위한 손잡이(1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이 타공되어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금형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100: 정리대 본체
120: 받침부 122: 안착부 124: 조립구멍
140: 장착부 142: 하부 스토퍼 144: 외측 스토퍼
146: 장착공 148: 측면지지벽
160: 측벽
180: 손잡이
200: 구획대
220: 구획부 222: 기둥부 224: 가로부
226: 내입절곡부
240: 끼움돌부
300: 거치대
320: 끼움축
340: 지지부
360: 경사가이드

Claims (7)

  1. 받침부(120)가 형성된 정리대 본체(100)가 구비되고, 정리대 본체의 받침부에는 수납공간을 분할 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복수의 구획대(20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주방용품 정리대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구획대(200)를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받침부(120)의 양측변을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140)가 대칭되게 배열되어 구획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폭 조절이 가변되고,
    상기 구획대(200)는 양측변의 장착부에 끼워 현수 연결되도록 절곡되거나 밴딩되어진 와이어 또는 바형상의 구획부(220)의 양측으로 끼움돌부(240)가 형성되어 정리대 본체의 장착부(140)에 끼워 조립되되, 끼움돌부(240)는 구획부(220)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끼움돌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작동하면서 끼움돌부가 장착부(140)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240)가 구획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100)의 장착부(140)는 구획대의 삽입깊이를 설정하는 하부 스토퍼(142)와 구획대의 벌어짐 각도를 제한하는 외측 스토퍼(144) 및 구획대의 끼움돌부(240)가 삽입되는 장착공(146)과, 구획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벽(14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에 구획대를 조립할 때 구획부의 탄성변위에 간섭되지 않고 끼움돌부(240)가 장착부(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리대 본체(100)의 받침부(120)에는 양측으로 배열된 장착부(140) 사이에 하부측으로 내입된 안착부(122)가 형성되어 장착부(140)가 안착부측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대(200)는 구획부(220)가 기둥부(222)와 가로부(224)로 구성되고, 가로부(224)는 내입절곡부(226)가 형성되어 다중 절곡구조로 이루어져 구획대(200)가 내측으로 오므라들 때 절곡 포인트를 증가시켜 압력분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받침부(120)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 조립구멍(124)이 형성되고, 그 조립구멍에는 정리대에 수납되는 주방용품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거치대(3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0)는 조립구멍(124)에 삽입되는 끼움축(320)과 주방용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40)가 구비되고, 지지부(340)는 주방용품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가이드(360)에 의하여 끼움축(320)으로부터 외측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대 본체(100)는 받침부(120)의 양측변에 수직으로 직립하게 측벽(126)이 구성되고, 그 측벽에 손잡이(12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정리대.
KR1020190077396A 2019-06-27 2019-06-27 주방용품 정리대 KR20210001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96A KR20210001373A (ko) 2019-06-27 2019-06-27 주방용품 정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96A KR20210001373A (ko) 2019-06-27 2019-06-27 주방용품 정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73A true KR20210001373A (ko) 2021-01-07

Family

ID=7412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396A KR20210001373A (ko) 2019-06-27 2019-06-27 주방용품 정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3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80B1 (ko) *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KR20220141196A (ko) * 2021-04-12 2022-10-19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80B1 (ko) *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KR20220141196A (ko) * 2021-04-12 2022-10-19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1170B1 (en) Drying and organizing rack for kitchen utensils, flatware and china
US20120266377A1 (en) Rack system for a sink
EP2554097A2 (en) Dishwasher rack comprising an extractable perimetric frame
US6945421B2 (en) Silverware basket with tiered compartments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GB2042147A (en) Table-ware draining rack
JP6054619B2 (ja) 流し台用シンク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US7588153B2 (en) Utensil organizer
CN208927155U (zh) 消毒柜拉篮和消毒柜
KR20120005358U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102112326B1 (ko) 수평형 프라이팬 거치대
KR102431168B1 (ko) 주방용 받침대
EP1787568A1 (en)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JP3242907U (ja) キッチンツール収納装置
CN214104248U (zh) 一种扁线碗碟炉头篮
CN215253221U (zh) 多功能台下式水槽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CN217659754U (zh) 承载篮和家用电器
CN217244250U (zh) 餐具支架和家用电器
KR101191393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