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95Y1 - 다용도 꽂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꽂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595Y1 KR200474595Y1 KR2020130005811U KR20130005811U KR200474595Y1 KR 200474595 Y1 KR200474595 Y1 KR 200474595Y1 KR 2020130005811 U KR2020130005811 U KR 2020130005811U KR 20130005811 U KR20130005811 U KR 20130005811U KR 200474595 Y1 KR200474595 Y1 KR 2004745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portion
- male
- coupling portion
- correspond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이나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다용도 꽂이에 관한 것으로, 내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통의 양 측벽에 서로 대응되게 암,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수납통의 암,수 결합부를 ⊃자 형으로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수납통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수납통을 측면으로 배열되게 병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이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분류에 따른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서 수납공간의 확장이나 축소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이나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다용도 꽂이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수납통이 조립되어 측면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다용도 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꽂이나 필기구꽂이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책상이나 탁자 등 사용하기 편한 장소에 보관하면서 여러 가지 소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수저꽂이의 경우에는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책상에 놓고 사용하는 연필꽂이의 경우에는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꽂이의 구조는 대부분 하나의 통에 여러 가지 소품을 꽂아 사용하도록 되는 것으로, 특히 필기구 꽂이는 하부가 폐쇄된 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하나의 통에 수납공간을 여러 칸으로 구획함으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가 많을 경우에도 각각의 물품을 구획된 수납공간에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수저꽂이는 주방에서만 사용하고 필기구꽂이는 주로 책상에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고, 또한 이러한 꽂이의 형태는 대부분 하나의 통에 여러 가지 소품을 꽂아 사용하도록 되므로 여러 물품을 꽂아 보관할 경우 수납되는 양이 많아지면 무게중심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작은 힘에도 쉽게 쓰러지게 되며, 특히 꽂이를 놓고 사용하는 위치는 대부분 손이 가기 쉬운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수로 부딪혀서 넘어지거나, 또는 보관하는 위치가 경사진 경우에는 무게중심을 잡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서 그에 맞는 크기의 꽂이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즉,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대형의 꽂이를 구비하여야 하고,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이 극소량인 경우에는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소형의 꽂이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각각의 장소에서 크기에 맞는 꽂이를 구비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경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꽂이의 크기에 맞추어 자주 사용하는 필요한 만큼의 주방용품이나 필기구만을 꽂이에 꽂아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꽂이를 구비하여 보관하며, 또는 잔여분의 주방용품이나 필기구는 별도의 공간(예를 들면, 서랍이나 싱크대)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꽂이를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 또는 사무실 등에서 필요한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분류에 따른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서 수납공간의 확장이나 축소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수납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통의 양 측벽에 서로 대응되게 암,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수납통의 암,수 결합부를 ⊃자 형으로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수납통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수납통을 측면으로 배열되게 병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이나 종류에 따라서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용도 꽂이가 여러 개의 수납통에 의하여 바닥이 지지되므로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되어 물품의 종류나 양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분류에 따라 수납공간에 나눠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에 상관없이 하나의 꽂이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암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암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암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납통의 암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벽(11)과 바닥면(12)에 의하여 내공간(13)이 형성되는 수납통(10)을 구비하고, 수납통(10)의 테두리벽(11)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테두리벽(11)의 양 측벽(11a,11b)에는 서로 대응되게 슬라이드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수단(20)이 형성하여 복수의 수납통(10)을 측면으로 배열되게 끼워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이나 종류에 따라서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수량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이 적은 경우에는 수납통(10) 자체를 다용도 꽂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서 두 개 또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복수의 수납통을 연결하여 무한정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의 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므로 실내공간을 정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통(10)의 양 측벽(11a,11b)에 형성되는 조립수단(20)은 일측의 측벽에는 암결합부(21)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벽에는 수결합부(22)가 형성되어 연속으로 측면으로 연결하여 병렬 설치할 수 있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전방이 개방된 진입부가 형성되면서 후방이 막힌 형태의 ⊃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암결합부(21)에는 레일홈(21a)을 형성하면서 수결합부(22)에는 돌출레일(22a)을 각각 형성하여 끼움 조립되도록 하면 수납통(10)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간단하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진입부의 상,하 폭이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면 수납통(10)을 슬라이드로 끼워 서로 조립할 때 수결합부(22)가 암결합부(21)의 내측으로 진입유도가 이루어지도록 되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긴밀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기울어짐 각도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편심되게 기울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암결함부(21)와 수결합부(22)의 진입부에서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게 기울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측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가깝게 형성할 경우 하측의 기울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상측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반대로 하측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가깝게 형성하면서 상측의 기울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하측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수납통(1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높낮이차가 발생할 경우에도 진입유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레일홈(21a)과 돌출레일(22a)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걸림턱(21b,22b)을 형성하면 수납통(10)을 서로 연결하게 조립한 상태에서 걸림턱(21b,22b)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면서 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밀착유도부(21c,22c)를 형성하여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의 레일홈(21a)과 돌출레일(22a)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수납통(10)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할 때 금형 빠짐을 위하여 테두리벽(11)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울기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고 밀착유도부(21c,22c)에 의하여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가 긴밀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통(10)은 바닥면(12)의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돌부(12a)를 형성하면 바닥면(12)이 책상의 상판이나 싱크대 등의 바닥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토록 되는데, 이때 바닥면(12)에 물빠짐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타공홀(12b)을 형성하면서 수납통(10)의 하부에 받침대(30)를 구비하면 수저나 젓가락 등 물기가 묻어있는 주방용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필기구 꽂이는 물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통(10)을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여러 개의 수납통(10)을 측면으로 연결하여 배열할 때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서 색상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렇게 색상을 다변화함으로써 다용도 꽂이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고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수납통
11: 테두리벽 11a,11b: 양측벽
12: 바닥면 12a: 돌부
12b: 타공홀
13: 내공간
20: 조립수단
21: 암결합부 21a: 레일홈
21b: 걸림턱 21c: 밀착유도부
22: 수결합부 22a: 돌출레일
22b: 걸림턱 22c: 밀착유도부
30: 받침대
11: 테두리벽 11a,11b: 양측벽
12: 바닥면 12a: 돌부
12b: 타공홀
13: 내공간
20: 조립수단
21: 암결합부 21a: 레일홈
21b: 걸림턱 21c: 밀착유도부
22: 수결합부 22a: 돌출레일
22b: 걸림턱 22c: 밀착유도부
30: 받침대
Claims (6)
- 테두리벽(11)과 바닥면(12)에 의하여 내공간(13)이 형성되는 수납통(10)이 구비되고, 수납통(10)의 테두리벽(11)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테두리벽(11)의 양 측벽(11a,11b)에 서로 대응되게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가 슬라이드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수단(20)이 형성되어 조립수단(20)에 의하여 복수의 수납통(10)을 측면으로 배열되게 끼워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되는 다용도 꽂이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전방이 개방된 진입부가 형성되면서 후방이 막힌 형태의 ⊃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암결합부(21)에는 레일홈(21a)이 수결합부(22)에는 돌출레일(22a)이 각각 형성되어 끼움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의 상,하 폭이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시 진입유도가 이루어지면서 결합된 상태에서는 긴밀히 조립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 -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레일홈(21a)과 돌출레일(22a)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걸림턱(21b,22b)이 형성되어 조립 완료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면서 임의 분리가 방지토록 되는 다용도 꽂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밀착유도부(21c,22c)가 형성되어 암결합부(21)와 수결합부(22)의 레일홈(21a)과 돌출레일(22a)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811U KR200474595Y1 (ko) | 2013-07-12 | 2013-07-12 | 다용도 꽂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811U KR200474595Y1 (ko) | 2013-07-12 | 2013-07-12 | 다용도 꽂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595Y1 true KR200474595Y1 (ko) | 2014-09-29 |
Family
ID=5200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5811U KR200474595Y1 (ko) | 2013-07-12 | 2013-07-12 | 다용도 꽂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59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0104B1 (ko) | 2022-05-19 | 2022-12-23 | 홍진용 | 다용도 도구 꽂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5222Y1 (ko) * | 1985-12-11 | 1989-08-09 | 김정혜 | 조립식 분할체 남비 |
KR200394523Y1 (ko) * | 2005-06-20 | 2005-09-02 | 이기태 | 다용도 케이스 세트 |
KR200406797Y1 (ko) * | 2005-10-25 | 2006-01-24 | 민철기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KR101005818B1 (ko) | 2009-12-10 | 2011-01-05 | 신미영 |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
-
2013
- 2013-07-12 KR KR2020130005811U patent/KR20047459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5222Y1 (ko) * | 1985-12-11 | 1989-08-09 | 김정혜 | 조립식 분할체 남비 |
KR200394523Y1 (ko) * | 2005-06-20 | 2005-09-02 | 이기태 | 다용도 케이스 세트 |
KR200406797Y1 (ko) * | 2005-10-25 | 2006-01-24 | 민철기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KR101005818B1 (ko) | 2009-12-10 | 2011-01-05 | 신미영 |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0104B1 (ko) | 2022-05-19 | 2022-12-23 | 홍진용 | 다용도 도구 꽂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26121A1 (en) | Linear spice rack | |
KR20140022598A (ko) | 냉장고용 서랍칸 | |
AU2015303843A1 (en) |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 |
KR101610505B1 (ko) |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 |
KR200474595Y1 (ko) | 다용도 꽂이 | |
US20170049200A1 (en) | Desk Organizer | |
KR101779874B1 (ko) |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 |
KR101316014B1 (ko) |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 |
KR20100105068A (ko) | 슬라이더형 옷걸이가 구비된 옷장 | |
KR101005818B1 (ko) |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 |
JP3212060U (ja) | 引出し用整理トレー | |
JP2004290420A (ja) | 縦形ポケットを備えた厨房家具 | |
KR200321251Y1 (ko) | 서랍식 수납함 | |
CN213524756U (zh) | 一种折叠式餐具盒 | |
KR101358758B1 (ko) | 회전식 다용도 수납기구 | |
KR200358395Y1 (ko) | 주방용 가구 | |
JP2004298421A (ja) | 引き出し用収納トレー,引き出しおよび厨房家具 | |
JP2019115599A (ja) | 収納ボックス及びキャビネット | |
JP5770760B2 (ja) | 収納家具 | |
JP4943252B2 (ja) | デスク装置 | |
KR200487174Y1 (ko) | 다용도 모니터 선반 | |
KR200458821Y1 (ko) | 다용도 양념 수납장 | |
KR200343937Y1 (ko) | 캐비닛 옷장용 꽂이대 | |
KR20110000759U (ko) | 가구용 디바이더 | |
JP2017192619A (ja) | 組み合わせ家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