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04B1 - 다용도 도구 꽂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도구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04B1
KR102480104B1 KR1020220061614A KR20220061614A KR102480104B1 KR 102480104 B1 KR102480104 B1 KR 102480104B1 KR 1020220061614 A KR1020220061614 A KR 1020220061614A KR 20220061614 A KR20220061614 A KR 20220061614A KR 102480104 B1 KR102480104 B1 KR 10248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upling
hole
suppor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용
Original Assignee
홍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용 filed Critical 홍진용
Priority to KR102022006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 또는 꽃 등과 같은 물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다용도 도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다수의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 삽입 구멍들을 형성한 다용도 도구 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각각의 물품을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 구멍들을 형성하여, 물품들이 섞이지 않고, 특정부분으로 물품이 쏠리지 않게 하여, 옆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이나 약간의 경사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각 층이 개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통기성, 위생성 및 세척성을 증가시키고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경사각 구멍의 특성을 이용하여 꽃꽂이 등 꽂는 도구의 특성에 따라 창작의 융통성을 갖도록 하는 다용도 도구 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도구 꽂이 {Multipurpose tool holder}
본 발명은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 또는 꽃 등과 같은 물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다용도 도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다수의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 삽입 구멍들을 형성한 다용도 도구 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꽂이나 필기구꽂이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책상이나 탁자 등 사용하기 편한 장소에 보관하면서 여러 가지 소품을 꽂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수저꽂이의 경우에는 수저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책상에 놓고 사용하는 연필꽂이의 경우에는 필기구 등의 기타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꽂이의 구조는 대부분 하나의 통에 여러 가지 소품을 꽂아 사용하도록 되는 것으로, 특히 필기구 꽂이는 하부가 폐쇄된 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하나의 통에 수납공간을 여러 칸으로 구획함으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가 많을 경우에도 각각의 물품을 구획된 수납공간에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꽂이의 제품은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고, 다용도 도구 꽂이일지라도 한꺼번에 많이 담아 어지럽게 필기구, 작업도구 또는 식탁용품 등이 혼잡하게 섞이게 되어 여러 사용자가 손으로 뒤적이면서 찾아야 하므로, 위생적인 면이나 미관상 좋지 않다. 특히, 폐쇄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통기성이 좋지 않아 수저나 젓가락, 필기구, 연장이나 등에 남아있는 수분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생되는 세균 및 곰팡이에 의한 세균오염, 악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다용도 도구 꽂이는 물품들이 한쪽으로 쏠려 보관되므로, 실수로 손으로 치거나, 다용도 도구 꽂이가 세워진 책상이나 탁상이 약간만 경사지더라도 쉽게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고, 수납되는 양이 많아지면 무게 중심이 위로 이동하여 작은 힘에도 쉽게 넘어지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음식점에서는 수저나 젓가락을 하나의 통에 담아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여러 타인이 만지게 되므로 위생상 매우 나쁘다.
한국등록특허 KR 10-1923823, "막대형상 부재용 꽂이" 한국등록실용신안 KR 20-0474595, "다용도 도구 꽂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각각의 물품을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 구멍들을 형성하여, 물품들이 섞이지 않고, 특정부분으로 물품이 쏠리지 않게 하여, 옆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이나 약간의 경사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1층과 2층 사이는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여, 통기성, 위생성 및 세척성을 증가시키는 다용도 도구 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는, 물품을 꽂기 위한 다수의 제1 삽입관통구멍들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제1 결합돌기들이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상판의 제1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2 삽입관통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다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지지판 하측이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1 홈들과,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다수의 제2 결합돌기들이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은, 상기 물품의 진입이 쉬우면서, 상기 물품이 꽂히면서 상기 물품의 하단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고,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은,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이 작아지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 중간 부분에서 끝단 사이에서, 다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지지돌기들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벽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상기 물품을 효과적으로 잡아주고, 굵기 차이가 나더라도 융통성 있게 꽂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더 많은 개수로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끝단이 막혀있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을 통해 꽂히는 각도가 결정되어 내려온 상기 물품이 쉽게 진입되도록 하고,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과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기 물품을 수직으로 꽂을 수도 있고 사선으로 꽂을 수도 있도록 하여 꽃꽂이와 같은 상기 물품의 특성에 따라 창작의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는 각각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가 각각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지지판을 분해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면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결합홈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의 결합돌조가 이탈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지지판을 자동으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에 자석으로 착탈가능한 진공청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을 지지하며 상기 다용도 도구 꽂이에 물품을 꽂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을 지지하는 링, 및 상기 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무 소재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링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지게 한 탄성돌기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진동 발생시 상기 탄성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을 흡수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물품을 각 층에 걸쳐서 꽂을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 주고, 꽂은 후에도 상기 물품들을 고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수저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수저를 다수의 인원이 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1층인 제2 지지판과 2층인 제1 지지판 사이의 구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풍을 좋게 하고,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물품들이 섞이지 않고 특정부분으로 쏠리지 않아, 무게중심이 분산되므로 옆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이나 약간의 경사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아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사무실의 사무용품, 공구의 편리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이 증대되고,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고, 미관상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물품의 종류나 양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분류에 따라 수납공간에 나눠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에 상관없이 하나의 꽂이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1층인 제2 지지판과 2층인 제1 지지판 사이는 개방형 구조를 생성하여 통기성이 증대되어 수분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은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아지므로 물품을 수직으로 똑바로 꽂을 수도 있고, 옆으로 기울게 꽂을 수 있으며, 특히 꽃꽂이를 할 때는 꽃 꽂는 각도를 마음대로 연출할 수 있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각 층이 개방형 구조를 가지므로, 물의 통류성이 원활하게 되어 아름답고 신선한 꽃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10)는 몸체(100), 제1 지지판(120), 지지대(130), 및 제2 지지판(17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다양한 물품을 꽂기 위한 다수의 제1 삽입관통구멍(110)들이 형성되는 상판(105)과, 상기 상판(105)을 지지하고, 상기 상판(105)의 하측에 중공부(106)를 갖도록 설치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1 결합돌기(112)들과, 고정돌기(114)들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07)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판(105)은 두께가 1c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cm 이하로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두꺼운 상판(105)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두께가 있는 상판(105)에 형성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부가 넓어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 주고, 하부가 좁아져서 꽂은 후에는 상기 물품들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상판(105)은 두께가 1cm 이상으로서, 두께가 두껍고, 이와 같이 두께가 있는 상판(105)에 형성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부가 넓어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 주고 하부가 좁아져서 꽂은 후에도 상기 물품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관통구멍(110)의 끝단에는 꽂혀지는 물품을 더욱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 중간 부분에서 끝단 사이에서, 다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지지돌기(111)들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벽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물품 또는 도구를 효과적으로 잡아주고, 굵기 차이가 나더라도 융통성 있게 꽂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수의 분리된 지지돌기(111)들은 제1 삽입관통구멍(110)의 중간에서 끝단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벽을 형성하여 물품이 진입시 물품에 접촉되면서 밀려 열리면서 마찰력으로 물품을 고정할 수 있으며, 물품이 후퇴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몸체(100)는 측벽(107)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꼭짓점 부분)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제1 결합돌기(112)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지지판(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142)들과 결합한다. 이때, 결합 방식은 끼움 결합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측벽(107)의 다른 하부면의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모서리 부분)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14)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지지판(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 결합구멍(144)들과 결합한다. 이때, 결합 방식은 끼움 결합일 수 있으며, 단순한 삽입 결합일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114)는 사용자가 측벽(107)을 파지하는 경우, 측벽(107)이 내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107)에는 광고 문구가 게시되거나, 광고 스티커나 메모지 또는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디자인 무늬가 부착될 수 있다.
제1지지판(120) 하측은 지지대만 있고 제2지지판(170)과 결합되며 1층인 제2지지판(170)과 2층인 제1지지판(120) 사이는 개방(135)되어 있어 통기성, 통풍성이 개선되어 수분을 포함한 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좋아지고, 세척시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통류성이 향상되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며 꽃꽂이로 사용시는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4중 효과가 있다.
제1 지지판(120)은, 상기 몸체(100)의 제1 삽입관통구멍(110)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2 삽입관통구멍(140)들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꼭짓점 부분에서 상기 각각의 제1 결합돌기(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다수의 결합구멍(142)들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를 지지한다. 또한, 제1 지지판(120)은,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각각의 고정돌기(114)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다수의 결합구멍(144)들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107)를 고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은,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이 작아지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비율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제1 지지판(120)은 두께가 1cm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5 cm 이하로서,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제1 지지판(120)에 형성된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부가 넓어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주고 하부가 좁아져서 꽂은 후에도 상기 물품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상기 제1 지지판(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2)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판(12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판(120)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판(120) 하측에 개방형 구조(135)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판(120)은 하측에 형성된 개방형 구조(135)를 통해 상기 제2 지지판(170)이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성, 통풍성이 개선되어 수분을 포함한 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도 좋아지고, 세척시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통류성이 향상되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꽃꽂이로 사용시에는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4중 효과가 있다.
제2 지지판(170)은 상기 제1 지지판(120)의 제2 삽입관통구멍(140)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1 홈(180)들과,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들과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185)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30)에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142)과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제2 결합돌기(182)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홈(185)들은 제2 삽입관통구멍(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고, 끝단이 막혀있어, 사용자가 물품을 꽂는 방향을 수직이 아니라 사선 방향과 같이 융통성이 있게 임의의 방향으로 정할 수 있고, 꽃을 꽂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자유도가 높고 융통성이 있는 꽃꽂이를 할 수가 있다.
제2 지지판(170)은, 상기 지지대(130)에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142)과 대응하여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돌기(182)와 결합한다. 이때, 결합 방식은 끼움 결합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두꺼운 상판(105) 및 상판(105) 하측에 중공부(106)가 포함된 몸체(100), 제1 지지판(120), 및 제2 지지판(170)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두꺼운 상판(105)에 형성된 제1 삽입관통구멍(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물품을 꽂을 때 물품의 최초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융통성 있게 수직 또는 사선으로도 꽂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제1 삽입관통구멍(110) 또는 제2 삽입관통구멍(140)의 중간 부분에서 끝단 사이에는 꽂혀지는 물품을 더욱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리된 지지돌기(111, 14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분리된 지지돌기(111, 141)들은 제1 삽입관통구멍(110) 또는 제2 삽입관통구멍(140)의 중간 지점에서 끝단 사이에 형성되어 물품이 진입시 물품에 접촉되면서 밀려 열리면서 마찰력으로 물품을 고정할 수 있으며, 물품이 후퇴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제1 지지판(120)에 형성된 제2 삽입관통구멍(140)은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110)이 작아지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비율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몸체(100)에 물품을 꽂을 때, 몸체(100)에 진입한 막대형 물품의 2차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물품의 꽂는 각도를 최종 결정하고 지지하게 해줄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 중간 부분에서 끝단 사이에서, 다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지지돌기(141)들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벽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도구를 효과적으로 잡아주고, 굵기 차이가 나더라도 융통성 있게 꽂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판(120)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cm 이상으로서, 두께가 두껍고, 이와 같이 두께가 있는 제1 지지판(120)에 형성된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부가 넓어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2차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 주고 하부가 좁아져서 꽂은 후에도 상기 물품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지지판(170)에 형성된 상기 제1 지지판(120)의 제2 삽입관통구멍(140)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1 홈(180)들은 제2 삽입관통구멍(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고, 끝단이 막혀있어 꽂힌 물품의 마지막 끝 부분을 지지하면서 물품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판(170)에는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140)들과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185)들이 형성되고, 제2 홈(185)들은 제2 삽입관통구멍(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고, 끝단이 막혀있어, 사용자가 물품을 꽂는 방향을 수직이 아니라 사선 방향과 같이 융통성이 있게 임의의 방향으로 정할 수 있고, 꽃을 꽂는 경우에도 이처럼 자유도가 높고 융통성이 있는 꽃꽂이를 할 수가 있다.
한편, 제2 지지판(170)은 홈이 아니라, 평판에 물품의 말단을 거치할 수 있는 돌출봉를 형성한 것일 수 있으며, 꽃꽂이 고정용 침봉과 같은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으로 이루어져 몸체(100)에 형성된 상판(105)과 제1 지지판(120) 사이는 중공부(106)로 되어 있고, 제1 지지판(120)과 제2 지지판(170) 사이는 개방(135)이 되어 있어 통기성, 통풍성이 개선되어 수분을 포함한 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도 좋아지고, 세척시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통류성이 향상되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꽃꽂이로 사용할 시는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하는 4중 효과가 있다.
여기서, 몸체(100)에 형성된 제1 삽입관통구멍(110)과 제1 지지판(120)에 형성된 제2 삽입관통구멍(140)은 사용용도에 따라 경사각 구멍의 모양을 여러 가지로 제작(원형,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형 등)할 수 있다.
제2 지지판(170)에 형성된 제1 홈(180) 및 제2 홈(185)들은 꽂힌 물품들의 끝점이 대부분 뾰쪽함을 고려하여 크기는 좀더 작게 할수 있고, 꽃꽂이로 사용할 경우에는 융통성이 있도록 꽃을 사선 방향으로 꽂을 경우를 고려하여 구멍의 형태를 사선으로 할 수도 있고, 개수를 더 많이 배치할 수도 있다.
몸체(100), 제1 지지판(120), 및 제2 지지판(170)을 구성하는 제품은 각각 다양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고, 각각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품을 조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사무용품꽂이, 식탁도구꽂이, 공구꽂이, 꽃꽂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물품을 각 층에 걸쳐서 꽂을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수저, 펜, 붓, 꽃, 공구 등을 꽂을 때 진입을 용이하게 도와 주고, 꽂은 후에도 상기 물품들을 고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수저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수저를 다수의 인원이 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1 지지판(120)과 제2 지지판(170) 사이는 개방(135)이 되어 있어 통기성, 통풍성이 개선되어 수분을 포함한 물품을 신속히 사이의 구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풍을 좋게 하고,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물품들이 섞이지 않고 특정부분으로 쏠리지 않아, 무게중심이 분산되므로 옆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이나 약간의 경사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아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사무실의 사무용품, 공구의 편리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이 증대되고,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고, 미관상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을 삽입 구멍마다 개별적으로 꽂을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상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을 가지므로, 물품의 종류나 양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분류에 따라 수납공간에 나눠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에 상관없이 하나의 꽂이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1 지지판(120)과 제2 지지판(170) 사이는 개방형 구조(135)를 생성하여 통기성이 증대되어 수분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각 삽입 구멍은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아지므로 물품을 수직으로 똑바로 꽂을 수도 있고, 옆으로 기울게 꽂을 수 있으며, 특히 꽃꽂이를 할 때는 꽃 꽂는 각도를 마음대로 연출할 수 있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제1 지지판(120)과 제2 지지판(170) 사이는 개방형 구조(135)를 가지므로, 물의 통류성이 원활하게 되어 아름답고 신선한 꽃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20)는 상기 지지대(131) 내부에 스프링(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몸체(100)의 상기 제1 결합돌기(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500) 및 상기 제2 결합돌기(183)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500)는 각각 상기 제1 지지판(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구멍(142)과 상기 지지대(131)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14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510)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113) 및 상기 제2 결합돌기(183)가 각각 상기 제1 지지판(120) 및 상기 지지대(131)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결합돌기(113) 및 상기 제2 결합돌기(183)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520)이 압축되었다가 상기 몸체(100)와 상기 제1 지지판(120)을 분해하기 위해 상기 몸체(100)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지지판(120)의 상부면의 결합구멍(14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510)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113)의 결합돌조(500)가 이탈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520)이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몸체(100)와 상기 제1 지지판(120)을 자동으로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20)는 상기 제2 지지판(17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170)을 지지하며 상기 다용도 도구 꽂이(20)에 물품을 꽂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600)는, 링(6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커버(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610)은 탄성력이 좋은 금속, 예를 들면, 강철이나 동합금, 니켈합금 등일 수 있다. 상기 커버(630)는 고무나 실리콘, 폴리염화비닐(PVC) 등일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00)는 링(6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지게 한 탄성돌기(62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진동 발생시 상기 탄성돌기(620)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흡수토록 할 수 있다. 커버(630)는 마찰력이 강한 고무, 실리콘 등 재질로 이루어져 다용도 도구 꽂이(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도구 꽂이(20)에 여러가지 물품을 동시에 꽂더라도 안정적으로 꽂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30)는 상기 제2 지지판(170)의 하부면에 자석으로 착탈가능한 진공청소장치(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청소장치(700)는, 본체(7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720), 상기 흡입구(72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730), 상기 본체(71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720)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740)과 상기 흡입팬(740)을 회전시키는 모터(750), 상기 흡입구(7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7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760), 상기 모터(7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제어부(770), 및 흡입된 먼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지가 흡입되는 쪽에서만 열리고 반대방향으로는 열리지 않게 하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부(78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진공청소장치(700)의 충전지(770)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구 꽂이(30)는 진공청소장치(700) 및 진동흡수부재(600)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다용도 도구 꽂이
100: 몸체 106: 중공부
110: 제1 삽입관통구멍
112, 113: 제1 결합돌기
120: 제1 지지판 130: 지지대
140: 제2 삽입관통구멍 142: 결합구멍
170: 제2 지지판 180: 홈
182, 183: 제2 결합고리
500: 지지대 고정턱 510: 걸림홈
600: 진동흡수부재 610: 링
620: 탄성돌기 700: 진공청소장치

Claims (4)

  1. 물품을 꽂기 위한 다수의 제1 삽입관통구멍들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제1 결합돌기들이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상판의 제1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2 삽입관통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다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지지판 하측이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1 홈들과,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들과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다수의 제2 결합돌기들이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은,
    상기 물품의 진입이 쉬우면서, 상기 물품이 꽂히면서 상기 물품의 하단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고,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은,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삽입관통구멍이 작아지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 중간 부분에서 끝단 사이에서, 다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지지돌기들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벽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상기 물품을 효과적으로 잡아주고, 굵기 차이가 나더라도 융통성 있게 꽂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삽입관통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더 많은 개수로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끝단이 막혀있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을 통해 꽂히는 각도가 결정되어 내려온 상기 물품이 쉽게 진입되도록 하고,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관통구멍과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경사각을 가지므로 상기 물품을 수직으로 꽂을 수도 있고 사선으로 꽂을 수도 있도록 하여 꽃꽂이와 같이 상기 물품의 특성에 따라 창작의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조는 각각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가 각각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지지판을 분해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면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결합홈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의 결합돌조가 이탈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지지판을 자동으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구 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에 자석으로 착탈가능한 진공청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구 꽂이.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을 지지하며 상기 다용도 도구 꽂이에 물품을 꽂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을 지지하는 링;
    상기 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무 소재의 커버; 및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링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지게 한 탄성돌기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진동 발생시 상기 탄성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을 흡수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구 꽂이.
  4. 삭제
KR1020220061614A 2022-05-19 2022-05-19 다용도 도구 꽂이 KR10248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14A KR102480104B1 (ko) 2022-05-19 2022-05-19 다용도 도구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14A KR102480104B1 (ko) 2022-05-19 2022-05-19 다용도 도구 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104B1 true KR102480104B1 (ko) 2022-12-23

Family

ID=8453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14A KR102480104B1 (ko) 2022-05-19 2022-05-19 다용도 도구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8595A1 (en) * 2015-05-19 2022-09-15 Technical Manufacturing Corporation Laminated, low-profile, vibration-damped tableto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383U (ja) * 1991-12-02 1993-06-22 和徳 大川 傘立て具
KR200412646Y1 (ko) * 2006-01-17 2006-03-30 (주)영일교구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080002983U (ko) * 2007-01-26 2008-07-30 강신우 우산 꽂이함
KR200474595Y1 (ko) 2013-07-12 2014-09-29 이영철 다용도 꽂이
KR101923823B1 (ko) 2017-07-11 2018-11-29 황인미 막대형상 부재용 꽂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383U (ja) * 1991-12-02 1993-06-22 和徳 大川 傘立て具
KR200412646Y1 (ko) * 2006-01-17 2006-03-30 (주)영일교구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080002983U (ko) * 2007-01-26 2008-07-30 강신우 우산 꽂이함
KR200474595Y1 (ko) 2013-07-12 2014-09-29 이영철 다용도 꽂이
KR101923823B1 (ko) 2017-07-11 2018-11-29 황인미 막대형상 부재용 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8595A1 (en) * 2015-05-19 2022-09-15 Technical Manufacturing Corporation Laminated, low-profile, vibration-damped tablet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5876A (en) Convertible furniture article
US6769538B2 (en) Selectively configurable household accessory holder
US6045108A (en) Inclined adjustable easel with slidably drawer
KR102480104B1 (ko) 다용도 도구 꽂이
US5890605A (en) Article organizer
US3806220A (en) Desk and compartment
US20130233816A1 (en) Counter Space Saver
US6991118B2 (en) Accessory holding device
US5019124A (en) Tray
US20130160679A1 (en) Multi-Purpose Table with Inlaid Storage Container
KR200424955Y1 (ko) 다용도 꽂이
US6993847B2 (en) Hanger hook for clippers
KR20190027827A (ko) 트레이 및 향신료 용기를 구비한 통합형 칼 선반
EP3566621B1 (en) Multipurpose furniture apparatus
WO2005112714A1 (en) Funnel-shaped holder with mount for attaching to surface
US20050161354A1 (en)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US20220105744A1 (en) Pen and pencil container
US20020104771A1 (en) Desktop storage device
KR930001518Y1 (ko) 문구용품 꽂이
JP2007111449A (ja) 棒体整理容器
US11428459B1 (en) Freezer rack
CN215225529U (zh) 适于构建储物桌台的模块组件和储物桌台
JPH09173194A (ja) テーブルマスコット
JP6995296B1 (ja) 箸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