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983U - 우산 꽂이함 - Google Patents

우산 꽂이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983U
KR20080002983U KR2020070001516U KR20070001516U KR20080002983U KR 20080002983 U KR20080002983 U KR 20080002983U KR 2020070001516 U KR2020070001516 U KR 2020070001516U KR 20070001516 U KR20070001516 U KR 20070001516U KR 20080002983 U KR20080002983 U KR 200800029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opening
upper body
row
front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우
Original Assignee
강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우 filed Critical 강신우
Priority to KR2020070001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983U/ko
Publication of KR20080002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 A47F7/00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with one compartment or recess for each articl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꽂이 함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을 길이에 따라서 가지런히 정돈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보관된 우산을 우산 주인이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우산들이 꽂혀지도록 복수개의 개구부(1a)를 가지는 상부몸체(1)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몸체(1)의 개구부(1a)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하부몸체(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의 상부면은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게 계단식으로 단차져서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개구부(1a)중 가장 후방열의 개구부는 가장 높고 상기 후방열에서 전방열로 갈수록 점점더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몸체(2) 내에는 상기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받침대(3)가 내장되어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 넣어지는 우산의 하단이 상기 받침대(3)에 받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우산 꽂이함을 제공한 것이다.
우산, 우산 꽂이, 상부몸체, 하부몸체, 계단식

Description

우산 꽂이함{holder box for umbrella}
도 1은 종래 우산 꽂이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우산 꽂이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 상부몸체 1a : 개구부
2 : 하부몸체 3 : 받침대
4. 중간판 4a : 전방통공
4b : 후방통공
본 고안은 우산 꽂이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길이에 따라서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로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관된 우산들을 손 쉽게 식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 우산 꽂이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기관이나 금융기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게 되는 공공장소에서는 우천시에 사람들이 사용한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사람들의 신발에 묻은 오물과 뒤섞이어서 바닥이 더러워지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젖은 바닥이 미끄러워져서 보행 중에 사람들이 넘어질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각각의 우산을 한곳에서 따로 보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우산 꽂이함이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최근에 개발된 종래의 것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101a)와 상기 개구부의 선단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101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우산이 꽂아지는 상부몸체(101), 상기 상부모체의 하부에 스크류(103)로서 나사조임되어 개구부(101a)를 통해 꽂아져 가이드부(110b)로 삽입된 우산들이 수용되는 중간몸체(10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중간몸체는 상부몸체(101)의 개구부(101a)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이 수용될 때 상기 우산의 끝단 꼭지부분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받침판(102a)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몸체(101)를 구성하는 가이드부(101b)의 하단에는 그 내경이 줄어들도록 단턱부(101c)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30)의 받침판(102a)에는 상부몸체(101)의 개구부(101a)를 통해 꽂아지는 긴 우산의 하단 꼭지 끝부분이 끼 워져 걸리도록 상기 개구부(101a)와 동일중심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걸림홈(10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에 젖은 우산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몸체(101)의 개구부(101a)를 통해 우산을 꽂아 넣으면 되는데, 이때 꽂아지는 우산이 긴 우산일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긴 우산의 하부가 가이드부(101b)와 단턱부(101c)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그 꼭지부분 끝부분이 받침판(102a)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고, 꽂아지는 우산이 짧은 우산일 경우에는 상기 짧은 우산의 하부가 가이드부(110b)의 하단에 일체화된 단턱부(101c)에 걸려 지지되므로 상기 긴 우산이나 짧은 우산 모두 그 손잡이부는 상부몸체(101)의 위쪽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긴 우산이 가이드부(101b)와 단턱부(101c)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은 상기 긴 우산일 경우 상부 둘레가 가장 넓고 상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가능하고, 짧은 우산이 상기 가이드부(101b)의 하단에 일체화된 단턱부(101c)에 걸리는 것은 짧은 우산일 경우 상,하부를 포함한 모든 부분의 둘레가 거의 같은 형태이므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우산 꽂이함은 하나의 우산 꽂이함에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우산을 꽂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된 우산이 옆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지 않고 바로 세워지게 하는 등의 효과는 있으나 우산을 길이에 따라 달리 분리하여 보관하지는 못하므로 우산을 꽂아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상부몸체(101)의 외부 노출부분이 앞쪽 및 뒤쪽 할 것 없이 들쑥날쑥함에 따라 우산의 보관상태가 깔끔하지 못하고 매우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이후 꽂아진 우산을 다시 찾고자 할 때 그 찾는 시간이 길어져 불편함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을 위한 우산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부 구조를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점점 낮아지는 단차구조로 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꽂을 때 길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정돈된 상태로 꽂도록 유도함은 물론 이후 보관된 우산을 찾아갈 때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우산들이 꽂혀지도록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하부몸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은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게 계단식으로 단차져서 상부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중 가장 후방열의 개구부는 가장 높고 상기 후방열에서 전방열로 갈수록 점점더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몸체 내에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받침대가 내장되어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 넣어지는 우산의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받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함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Ⅱ - Ⅱ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 함은 다수의 우산들이 꽂아지는 복수개의 개구부(1a)와 상기 각 개구부에 연장 형성되어 개구부(1a)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의 상부 일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가이드부(1b)로 이루어진 상부몸체(1)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몸체(1)의 개구부(1a)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몸체(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의 결합은 상부몸체(1)의 하단 둘레면에 그 두께가 얇아진 상태로 상부단턱(1c)이 형성되고, 하부몸체(2)의 상단 둘레에는 그 두께가 얇아진 상태로 하부단턱(2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단턱(1c)과 하부단턱(2a)이 맞춤형태가 됨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의 상부는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게 계단형상으로 턱이져 있고, 상기 상부몸체(1)를 이루는 각 개구부(1a)는 계단형태를 따라 복수열을 이루고 있어 사용자가 비에 젖은 우산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상부몸체(1)를 이루는 각 개구부(1a)로 우산을 꽂아 넣을 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우산의 길이를 보고 그에 맞는 열의 개구부(1a)에 꽂아 넣을 것이다.
따라서 우산이 꽂아져 보관되는 상태는 가지런하게 계단을 이루게 될 것임은 물론 이후 다시 우산을 사용하기 위해 상부몸체(1)의 개구부(1a)에서 꽂아진 우산을 빼낼 때는 사용자가 본인의 우산을 쉽게 찾을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부몸체(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몸체(2) 내에는 상기 상부몸체(1)를 이루는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에 있는 개구부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받침대(3)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전방열의 개구부(1a)로 우산을 꽂아 넣을 경우 이 꽂아지는 우산을 받침대(3)가 받쳐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결합할 때 그 결합부분 사이에는 둘레면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져 물리도록 중간판(4)이 설치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각 열의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와 적어도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방통공(4a)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열의 개구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면서도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의 후방통공(4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장 전방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의 개구부를 통해 짧은 길이의 우산을 꽂아 넣었을 경우 상기 짧은 길이의 우산이 몸체(하부몸체+상부몸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걸리도록 하면서도 길이가 긴 우산을 꽂아 넣었을 경우에는 긴 우산이 계속해서 후방통공(4b)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긴 우산의 대략 중간 부분을 잡아 안정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요소에서 우산이 삽입될 개구부(1a)중 가장 짧은 우산이 꽂아질 전방열의 개구부는 여러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고 격판(1d)을 사이에 두고 두개로 단순화하여 형성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가장 전방열의 개부구로 가장 짧은 길이의 우산을 꽂아넣어 보관할 때 그 우산의 꽂아지는 갯 수를 늘리고자 하면서도 상기 가장 짧은 길이의 우산을 한두개 정도만 꽂아 보관할 때는 상기 보관되는 우산이 한쪽으로 필요 이상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 실시예에서 하부몸체(2) 내에 내장되는 받침판(3)의 상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둘레돌기(3a)가 형성됨과 함께 둘레돌기를 분할하도록 분할돌기(3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몸체(1)의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부구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의 하단이 받침판(3)에 접촉되면서 받쳐질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 하부몸체(2) 내의 바닥면중 받침판(3)이 내장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너어링(knurling)(2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몸체(1)의 개구부(1a)를 통해 긴 우산을 꽂아넣었을 경우 상기 삽입되는 긴 우산의 꼭지부분 하단이 하부몸체(2)의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실시예의 우산 꽂이함을 사용하여 우산을 꽂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부몸체(1)의 개구부(1a) 형성부분이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낮아지는 계단형상의 단차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상기 각 개구부(1a)는 가장 후방열의 높이가 가장 높고 전방열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더 낮아져 있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몸체(1)의 개구부(1a)로 우산을 꽂아넣는 과정에서 본인의 우산 길이를 감안하여 자연스럽게 그에 맞는 높이의 개구부(1a)를 선택하면서 우산을 꽂게 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상부몸체(1)의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서는 가장 짧은 길이의 우산을 꽂아 넣을 것인데, 상기 꽂아지는 가장 짧은 길이의 우산은 상부몸체(1)에 결합된 하부몸체(2) 내로 내장되어 있는 받침대(3)에 그 하단이 받쳐지므로 길이가 아주 짧은 우산이라 하더라도 몸체(1)(2)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버리거나 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에서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결합할 때 그 결합부분 사이에 둘레면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져 물리도록 중간판(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각 열의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와는 적어도 동일한 크기의 전방통공(4a)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열의 개구부와는 그 중심이 일치되면서도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는 더 작은 크기의 후방통공(4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부분 둘레가 거의 동일한 짧은 우산을 상기 상부몸체(1)의 개구부(1a)중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 넣을 경우 상기 짧은 우산이 중간판(4)에 어떠한 간섭도 없이 전방통공(4a)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더 좁아지는 형태의 긴 우산을 상기 상부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를 통해 꽂아 넣을 경우에는 상기 긴 우산이 중간판(4)에 형성되어 있는 후방통공(4b)에 의해 상기 중간판(4)에 간섭됨이 없이 상기 통공을 통과하도록 하면서도 끼워짐이 완료된 긴 우산의 대략 중간부분 둘레가 상기 중간판(4)에 의해 가볍게 잡혀지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세 워지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고안 우산 꽂이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짧은 길이의 우산을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가 아닌 다른 열의 개구로 꽂아 넣었을 경우에는 상기 짧은 길이의 우산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전부분 둘레가 동일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중간판(4)에 형성되어 있는 후방통공(4b)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중간판(4)에 간섭되어 걸리게 되므로 상기 짧은 길이의 우산이 하부몸체(2) 내의 공간으로 완전히 들어가 버리거나 하는 일은 절대로 없게 된다.
상기 본 고안에서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각 개구부(1a)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진 짧은 길이의 우산은 그 하단이 하부몸체(2)에 내장된 받침대(3)에 접촉되어 받쳐지는데,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둘레돌기(3a)가 형성됨과 함께 둘레돌기를 분할하도록 복수개의 분할돌기(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우산의 하단이 받침판(3)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하부몸체(2) 내의 바닥면중 받침판(3)이 내장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너어링(knurling)(2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몸체(1)의 개구부(1a)를 통해 긴 우산을 꽂아 넣었을 경우 상기 긴 우산의 하단이 하부몸체(2)의 바닥면에 접촉되더라도 미끄러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여기서, 빗물에 젖은 우산을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개구부(1a)를 통해 꽂아 넣어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부몸체(2)에 어느 정도의 물이 고이게 됨은 물론 어떤 경우에는 오물이 하부몸체(2) 내로 들어가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몸 체(1)와 하부몸체(2)를 분리하여 고인 물을 버리거나 오물을 버리면 되는데, 상기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는 상부단턱(1c) 및 하부단턱(2a)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므로 쉽게 분리도 가능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우산 꽂이함에서 상판은 그 상부몸체(1)에 형성된 개구부(1a)의 가장 후방열 부분이 가장 높고 후방열 쪽에서 전방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어 보관을 위해 꽂아진 우산은 크기별로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에 있음은 물론 보관된 우산을 주인이 다시 찾아가고자 할 경우에도 본인의 우산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꽂이함은, 상부몸체(1)에 형성되어 우산이 꽂아지는 개구부(1a)중 가장 후방열의 개구부는 가장 높고 상기 후방열에서 전방열로 갈수록 개구부는 점차 낮아지는 계단식이어서 우산을 개구부(1a)에 꽂아 보관할 때 크기별로 가지런히 정리되어 보관될 것이고, 또한 보관된 우산을 주인이 찾아가고자 할 때는 찾고자 하는 우산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Claims (2)

  1. 다수의 우산들이 꽂혀지도록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지는 우산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몸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은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게 계단식으로 단차져서 상부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중 가장 후방열의 개구부는 가장 높고 상기 후방열에서 전방열로 갈수록 점점더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몸체 내에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받침대가 내장되어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통해 꽂아 넣어지는 우산의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받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부분 사이에는 둘레면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져 물리도록 중간판이 설치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부몸체에 형성된 각 열의 개구부중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와는 적어도 동일한 크기의 전방통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장 전방열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열의 개구부와는 그 중심이 일치되면서도 상기 개구부보다는 더 작은 크기의 후방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함.
KR2020070001516U 2007-01-26 2007-01-26 우산 꽂이함 KR200800029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16U KR20080002983U (ko) 2007-01-26 2007-01-26 우산 꽂이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16U KR20080002983U (ko) 2007-01-26 2007-01-26 우산 꽂이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83U true KR20080002983U (ko) 2008-07-30

Family

ID=4132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516U KR20080002983U (ko) 2007-01-26 2007-01-26 우산 꽂이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98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98Y1 (ko) * 2012-05-11 2013-11-27 주식회사 미진지앤지 조립식 우산 보관함
KR20160002167U (ko) 2014-12-15 2016-06-23 송민종 우산 꽂이
KR101665650B1 (ko) * 2016-05-26 2016-10-13 홍복선 우산 꽂이
KR102352924B1 (ko) * 2020-09-08 2022-01-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건조기능을 갖는 우산꽂이
KR102480104B1 (ko) * 2022-05-19 2022-12-23 홍진용 다용도 도구 꽂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98Y1 (ko) * 2012-05-11 2013-11-27 주식회사 미진지앤지 조립식 우산 보관함
KR20160002167U (ko) 2014-12-15 2016-06-23 송민종 우산 꽂이
KR101665650B1 (ko) * 2016-05-26 2016-10-13 홍복선 우산 꽂이
KR102352924B1 (ko) * 2020-09-08 2022-01-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건조기능을 갖는 우산꽂이
KR102480104B1 (ko) * 2022-05-19 2022-12-23 홍진용 다용도 도구 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2983U (ko) 우산 꽂이함
US9635884B2 (en) Herb grinder
US5456356A (en) Toilet plunger accessory
US20050211177A1 (en) Removable base for a bird feeder
US9591834B2 (en) Removable seed tray for a bird feeder
US8333145B2 (en) Sip and dip cookie apparatus
US6510972B1 (en) Billed cap storage and shaping device
US7444708B2 (en) Shoe tree supporting shoe exactly
US6382414B1 (en) Disc box
US20110142528A1 (en) Bingo dauber
KR101928265B1 (ko)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USD543425S1 (en) Collapsible pool skimmer cover/basket retrieval device
KR20190123471A (ko) 발포수지재 벌통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US20060138002A1 (en) Toilet brush and holder
KR200487042Y1 (ko) 소문 사양기
KR200215008Y1 (ko) 우산꽂이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JP2011051633A (ja) コーン容器
KR200443977Y1 (ko) 손톱 절단편 수납 케이스
KR200431847Y1 (ko) 다기능 휴대용 벌통
KR20170095084A (ko) 소문 사양기
KR200316813Y1 (ko) 수저통
KR200329181Y1 (ko) 우산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