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797Y1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Google Patents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6797Y1 KR200406797Y1 KR2020050030291U KR20050030291U KR200406797Y1 KR 200406797 Y1 KR200406797 Y1 KR 200406797Y1 KR 2020050030291 U KR2020050030291 U KR 2020050030291U KR 20050030291 U KR20050030291 U KR 20050030291U KR 200406797 Y1 KR200406797 Y1 KR 2004067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lery
- drip tray
- upright
- support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립형 수저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는 물받이부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받침구의 상측부로부터 수저통의 직립되게 하부측이 탈착 되도록 구성하여 수저통과 받침구의 용이한 탈착에 의해 수저통과 받침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받침구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에 고여진 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저통의 하부측에 연장된 유동방지턱에 의해 수저통이 받침구의 상측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도중에 수저통이 받침구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내부에 수저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다수개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 바닥면에 2개 이상의 배수공(12)이 통공되며 하부측에 하단면으로부터 유동방지턱(13)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된 직립형 수저통(10)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면에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13)이 끼워지는 끼움부(21)가 상측단에 통공되고 상기 끼움부(21)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22)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수저통(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 통공된 배수공(12)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받이부(23)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저통, 수저통 받침구, 물받이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립형 수저통 11 : 수용부
12 : 배수공 13 : 유동방지턱
14 : 손잡이 20 : 받침구
21 : 끼움부 22 : 안착면
23 : 물받이부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이 주방용품이 직립되게 수용되는 직립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통이 하부에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수저통의 하단측이 받침구의 상측단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받침구의 물받이부에 고여진 물을 버리기에 용이하고 수저통과 물받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도중에 수저통이 받침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수저통은, 식탕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직립형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 놓을 수 있으며 덮개가 있는 박스형 수저통으로 대별된다.
상기 박스형 수저통은, 대부분 덮개가 구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이 눕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한 벌의 수저만을 잡아 인출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직립형 수저통의 경우,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직립된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한 벌의 수저만을 잡아 인출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직립형 수저통이 대개 바닥면이 막힌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숟가락과 젓가락의 세척 후, 이들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바닥에 고이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직립형 수저통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세척 후, 보관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묻어있는 물기를 완전하게 건조시킨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는 바, 이들을 세척할 때마나 건조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직립형 수저통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닥면에 물배출공이 통공된 직립형 수저통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344034호인 '수저통'에 의하면, 수저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게 윈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저면에 바닥면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는 한편 동심원을 이루게 되는 환형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수납통과, 낮은 높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 환형돌기의 외주면이 끼움되어 고정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돌기 2개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는 받침통과,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수직홈과 수평홈이 연속되어 "L"형자 형상으로 이루는 걸림홈 2개가 마주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받침통의 걸림돌기가 수직홈을 통해 수평홈에 걸림되어 착탈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46932호인 '기립형 수저통'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등록공고된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분할대가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기립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의 하부에 물받이거치부가 마련되는 거치대 및 상기 물받이 거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인출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물받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직립형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수저통에 세워 보관함으로써, 꺼내 쓰기에 용이하고 또한, 하부에 별도의 물받이가 구비되어 있어 보관되는 수저를 통해 흘러 내리는 물이 외부로 퍼지지 않고 모아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344034호의 경우(종래 설명에 있어 부호와 명칭은 종래 표기된 것을 그대로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체(110)의 하부에 구성되고 받침판(130)의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부터 내려오는 물을 받는 받침통(120)의 탈/착을 위해서는 상기 받침통(120)의 외주연에 돌설된 걸림돌기(121)와 이 걸림돌기(121)가 체결되는 상기 받침판(130)의 내측 걸림홈(131)이 서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짐으로써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이 고인 받침통(120)과 받침판(13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받침통(120)에 고인 물이 쏟아지거나 하여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46932호의 경우, 거치대(4)의 하부에 형성된 물받이거치부(42)에 본체(2)의 내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을 받는 물받이(5)가 슬라이딩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받이(5)를 거치대(4)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본체(2)의 내부에 분할대(3)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격 상승요인이 되고, 상기 물받이(5)가 인출입되는 거치대(4)의 물받이 거치부(42)에 상기 인입되는 물받이(5)의 지지수단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물받이(5)가 거치대(4)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고인 물이 밖으로 흘러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본체(2)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부피가 큰 본체(2)를 세척하고자 하기 위해 본체(2)를 거치대(4)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손이나 또는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 물기 등이 묻어 있을 경우, 이 물기에 의해 본체(2)가 미끄러짐으로써 심할 경우, 본체(2)가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직립형 수저통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저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는 물받이부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받침구의 상측부로부터 수저통의 직립되게 하부측이 탈착 되도록 구성하여 수저통과 받침구의 용이한 탈착에 의해 수저통과 받침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받침구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에 고여진 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저통의 하부측에 연장된 유동방지턱에 의해 수저통이 받침구의 상측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도중에 수저통이 받침구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내부에 수저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다수개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2개 이상의 배수공이 통공되며 하부 측에 하단면으로부터 유동방지턱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직립형 수저통과; 상기 직립형 수저통의 하단면에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상측단에 통공되고 상기 끼움부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직립형 수저통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수저통의 수용부 바닥면에 통공된 배수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받이부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협하광(上峽下廣)진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는 원통형상, 사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수저통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으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모아 담는 물받이부를 갖는 받침구가 하단측에 구성되어 물을 모아 버리기에 용이하고, 받침구와 직립형 수저통의 탈착이 상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저통을 받침구로부터 분리할 때 받침구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에 고인 물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받이부에 고인물을 깨끗하게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립형 수저통의 하단에 더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에 의해 수저통이 받침구의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수저통이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하,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내부에 수저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다수개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 바닥면에 2개 이상의 배수공(12)이 통공되며 하부측에 하단면으로부터 유동방지턱(13)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된 직립형 수저통(10)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면에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13)이 끼워지는 끼움부(21)가 상측단에 통공되고 상기 끼움부(21)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22)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수저통(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 통공된 배수공(12)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받이부(23)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20)로 구성된다.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상측단에 안착되는 받침구(20)의 재질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직립형 수저통(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上峽下廣)진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구(20)의 하단측이 상단측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받침구(20)의 상측단에 안착되는 상기 직립형 수저통 (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사용 도중에 직립형 수저통(10)이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상기 받침구(20)의 상측단으로부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측이 상/하측 방향으로 직립되게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직립형 수저통(10)과 받침구(20)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상기 받침구(20)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23)에 고여지는 물이 직립형 수저통(10)과 받침구(20)의 분리시에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측에 형성된 유동방지턱(13)을 상기 받침구(20)의 상측단에 통공된 끼움부(21)에 끼워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면을 상기 받침구(20)의 상측단에 형성된 안착면(22)에 안착시킨 후,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직립되게 꽂아 보관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주방용품의 세척 후에 주방용품에 묻어있던 물기가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으로 흘러 내리다가, 바닥면에 통공된 배수공(12)을 통해 상기 받침구(20)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23)에 고이게 된다.
또한, 받침구(20)의 내부에 고여진 물은, 상기 직립형 수저통(10)과 받침구(20)를 분리한 후 버리면 되는 것으로, 직립형 수저통(10)의 손잡이(14)를 잡은 상태에서 직립형 수저통(10)을 상측방향으로 그대로 들어올리면 상기 받침구(20)와 직립형 수저통(10)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립형 수저통(10)이 분리된 받침구(20)를 세면대 등으로 이동시켜 상기 받침구(20)를 거꾸로 뒤집어 상기 받침구(20)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23)에 고여진 물을 버리면 된다.
이와 같이, 받침구(20)와 직립형 수저통(10)을 분리함에 있어서, 상/하 분리형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구(20)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23)에 고여진 물을 안전하게 버릴 수 있다.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13)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을 받침구(20)의 상측단에 안착시킬 경우, 상기 유동방지턱(13)이 받침구(20)의 상측단에 통공된 끼움부(2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직립형 수저통(10)이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측에 탈/착되고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내부측 수용부(11)의 배수공(1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모으는 받침구(20)의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받침구는 원통형상, 사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구(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기 직립헝 수저통(10)의 외주면이 절구형상이 아닌 일자형상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직립형 수저통(10)과 받침구(20)의 형상이 사각형상이거나, 오각형, 육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은, 수저통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으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모아 담는 물받이부를 갖는 받침구가 하단측에 구성되어 물을 모아 버리기에 용이하고, 받침구와 직립형 수저통의 탈착이 상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저통을 받침구로부터 분리할 때 받침구의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에 고인 물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받이부에 고인물을 깨끗하게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립형 수저통의 하단에 더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에 의해 수저통이 받침구의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수저통이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 내부에 수저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다수개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 바닥면에 2개 이상의 배수공(12)이 통공되며 하부측에 하단면으로부터 유동방지턱(13)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된 직립형 수저통(10)과;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면에 연장형성된 유동방지턱(13)이 끼워지는 끼움부(21)가 상측단에 통공되고 상기 끼움부(21)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직립형 수저통(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22)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수저통(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 통공된 배수공(12)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받이부(23)가 내부에 형성된 받침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구(20)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구(20)는, 상협하광(上峽下廣)진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구(20)는 원통형상, 사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0291U KR200406797Y1 (ko) | 2005-10-25 | 2005-10-25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0291U KR200406797Y1 (ko) | 2005-10-25 | 2005-10-25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6797Y1 true KR200406797Y1 (ko) | 2006-01-24 |
Family
ID=4929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0291U KR200406797Y1 (ko) | 2005-10-25 | 2005-10-25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679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595Y1 (ko) * | 2013-07-12 | 2014-09-29 | 이영철 | 다용도 꽂이 |
-
2005
- 2005-10-25 KR KR2020050030291U patent/KR2004067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595Y1 (ko) * | 2013-07-12 | 2014-09-29 | 이영철 | 다용도 꽂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7059B2 (en) | Drying storage rack | |
JP2006225846A (ja) | ゴミと油の除去装置及びその回収袋 | |
US8127942B2 (en) | Sanitizing rack | |
US8528466B2 (en) |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 |
KR200406797Y1 (ko)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
KR200410282Y1 (ko) | 받침구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KR100678511B1 (ko) |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KR200383859Y1 (ko)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
KR200411374Y1 (ko) | 배수가이드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US7121415B1 (en) | Utensil receptacle | |
US10154770B2 (en) | Spong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 |
JP4569890B2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TWM539319U (zh) | 瀝水籃構造 | |
KR200469759Y1 (ko) | 우산보관통 | |
JP2010195595A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CN219558875U (zh) | 一种过滤工具 | |
KR20130006278U (ko)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
KR200410400Y1 (ko) |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 |
KR200410729Y1 (ko) | 싱크대용 개수용기 | |
JP3234840U (ja) | 調理台を滴で汚さない蓋 | |
KR200331270Y1 (ko) |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 |
CN217517715U (zh) | 一种多功能集成水槽 | |
JP4308273B2 (ja) | ゴミと油の除去装置 | |
CN218684298U (zh) | 一种可拉伸沥水架 | |
KR200354736Y1 (ko) | 직립형 위생 수저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21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