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00Y1 -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 Google Patents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00Y1
KR200410400Y1 KR2020050036162U KR20050036162U KR200410400Y1 KR 200410400 Y1 KR200410400 Y1 KR 200410400Y1 KR 2020050036162 U KR2020050036162 U KR 2020050036162U KR 20050036162 U KR20050036162 U KR 20050036162U KR 200410400 Y1 KR200410400 Y1 KR 200410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reservoir
drip tray
stainless steel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휴자
Original Assignee
김휴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휴자 filed Critical 김휴자
Priority to KR202005003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텐레스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저와 젓가락등을 담아 보관하는 스텐레스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의 하측부로 물받이통을 결합시켜서 수저통에 보관중인 수저와 젓가락에 묻어 있는 물을 받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물받이통은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에 의해 수저통으로 부터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설겆이 후 수저통으로 모아지는 수저와 젓가락등에 묻어 있는 물이 씽크대나 테이블의 표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물받이통에 모여 있게 함으로서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을 얻을 수 있고 물받이통을 수저통으로 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모아진 물은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동시에 물받이통의 청소도 손쉽게 할 수 있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을 제공한다.
수저통,하측연장부,숫나사부,볼트,외측경사돌조,통수공,물받이통,상측연장부,암나사부,너트,내측경사돌조,수저와 젓가락

Description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STAINLESS SPOON STAND}
도 1은 종래 스텐레스 수저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텐레스 수저통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도 5의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도 5의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수저통 102-하측연장부
103-숫나사부 104-볼트
105-외측경사돌조 106-통수공
111-물받이통 112-상측연장부
113-암나사부 114-너트
115-내측경사돌조 121-수저와 젓가락
본 고안은 스텐레스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저와 젓가락등을 담아 보관하는 스텐레스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의 하측부로 물받이통을 결합시켜서 수저통에 보관중인 수저와 젓가락에 묻어 있는 물을 받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물받이통은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에 의해 수저통으로 부터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설겆이 후 수저통으로 모아지는 수저와 젓가락등에 묻어 있는 물이 씽크대나 테이블의 표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물받이통에 모여 있게 함으로서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을 얻을 수 있고 물받이통을 수저통으로 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모아진 물은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동시에 물받이통의 청소도 손쉽게 할 수 있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저와 젓가락을 담아 보관하는 수저통은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저통의 구성은, 수저와 젓가락(5)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수저통(1)과, 상기 수저통(1)의 저부로 결합되어 수저통(1)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있는 받침대(2)와, 상기 받침대(2)의 상측부로 형성되어 수저와 젓가락(5) 을 받쳐주는 상면부(3)와, 상기 상면부(3)의 중앙에 형성되어 수저와 젓가락(5)에 묻어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수공(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수저통(1)의 내부로 설겆이가 완료된 수저와 젓가락(5)들을 꽂아 놓으면 수저와 젓가락(5)의 하측부가 받침대(2)의 상면부(3)와 접촉을 하면서 서 있는 상태로 보관되는 동시에 자연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수저와 젓가락(5)에 묻어 있는 물기들은 소량은 증발되어지고 대부분은 수저와 젓가락(5)의 하측부로 흘러내리면서 자연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며 흘러나온 물은 받침대(2)의 상면부(3)로 모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의 상면부(3)에 모인 물은 통수공(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받침대(2)의 상면부(3)에 형성된 통수공(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이 테이블이나 씽크대 표면으로 떨어져 모이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은 상기 수저통으로 부터 흘러나온 물에 의해 항상 비위생적이고 지저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에는 시간이 갈수록 세균들의 온상이 될 수 있으므로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겆이 후 수저통으로 모아지는 수저와 젓가락등에 묻어 있는 물이 씽크대나 테이블의 표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물받이통에 모여 있게 함으로서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을 얻을 수 있고 물받이통을 수저통으로 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모아진 물은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동시에 물받이통의 청소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저와 젓가락등을 담아 보관하는 스텐레스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의 하측부로 물받이통을 결합시켜서 수저통에 보관중인 수저와 젓가락에 묻어 있는 물을 받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물받이통은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에 의해 수저통으로 부터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저와 젓가락(121)등을 담아 보관하는 스텐레스 수저통(101)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101)에 보관중인 수저와 젓가락(121)에 묻어 있는 물을 수저통(101)의 하측부로 모아 두기 위해 수저통(101)의 하측부로 결합되는 물받이통(111)과,
상기 물받이통(111)을 수저통(101)으로 부터 착탈시키기 위한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으로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3)와,
상기 숫나사부(103)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3)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바닥면 중앙으로 부착되는 볼트(104)와,
상기 볼트(104)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01)의 내부 바닥면으로 부착되는 너트(114)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돌조(105)와,
상기 외측경사돌조(105)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경사돌조(115)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로서,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에는 숫나사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에는 암나사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서로 체결시켜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저통(101)과 물받이통(11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수저통(101)의 내부로 설겆이가 완료된 수저와 젓가락(121)등을 꽂아 놓게 되는바, 상기 수저통(101)으로 꽂아지는 수저와 젓가락(121)등의 하측부는 하측연장부(102)의 바닥면과 접촉을 하면서 묻어 있는 물기들을 바닥면으로 흘러 내리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연장부(102)의 바닥면으로 모인 물들은 통수공(106)을 통해 물받이통(111)의 내부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저통(101)으로 부터 흘러나온 물을 물받이통(111)이 모아두고 있으므로 상기의 물들이 테이블이나 씽크대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청결하고 위생적인 테이블 및 씽크대 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물받이통(111)은 수저통(101)과 나사결합을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물받이통(111)을 역회전시키면 물받이통(111)의 상측연장부(112)에 형성된 암나사부(113)가 수저통(101)의 하측연장부(102)에 형성된 숫나사부(103)로 부터 풀려나와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통(111)으로 모아진 물을 비울 수 있고, 또한, 상기 물받이통(111)의 청소도 손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도 5의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통(101)의 하측연장부(102)에 형성된 바닥면으로 볼트(104)를 부착하고 있고 물받이통(111)의 바닥면에는 너트(114)를 부착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수저통(101)의 하측연장부(102)로 물받이통(111)의 상측연장부(112)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면 자연스럽게 볼트(104)와 너트(114)가 일치되면서 체결되어지므로 물받이(111)에 물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111)을 역회전시키면 수저통(101)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물을 비우거나 청소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도 5의 스텐레스 수저통과 물받이통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에는 외측경사돌조(105)들이 형성되어 있고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에는 내측경사돌조(115)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서로 체결시켜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수저와 젓가락(121)으로 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물받이통(111)에 모아둘 수 있고 물받이통(111)을 수저통(101)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물을 비우거나 청소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설겆이 후 수저통으로 모아지는 수저와 젓가락등에 묻어 있는 물이 씽크대나 테이블의 표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물받이통에 모여 있게 함으로서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씽크대 및 테이블의 표면을 얻을 수 있고 물받이통을 수저통으로 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모아진 물은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동시에 물받이통의 청소도 손쉽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수저와 젓가락(121)등을 담아 보관하는 스텐레스 수저통(101)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101)에 보관중인 수저와 젓가락(121)에 묻어 있는 물을 수저통(101)의 하측부로 모아 두기 위해 수저통(101)의 하측부로 결합되는 물받이통(111)과,
    상기 물받이통(111)을 수저통(101)으로 부터 착탈시키기 위한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3)와,
    상기 숫나사부(103)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3)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바닥면 중앙으로 부착되는 볼트(104)와,
    상기 볼트(104)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01)의 내부 바닥면으로 부착 되는 너트(114)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의 착탈수단은 수저통(101)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장부(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돌조(105)와,
    상기 외측경사돌조(105)와 체결될 수 있도록 물받이통(111)의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장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경사돌조(115)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KR2020050036162U 2005-12-23 2005-12-23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KR200410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62U KR200410400Y1 (ko) 2005-12-23 2005-12-23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62U KR200410400Y1 (ko) 2005-12-23 2005-12-23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00Y1 true KR200410400Y1 (ko) 2006-03-08

Family

ID=4176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62U KR200410400Y1 (ko) 2005-12-23 2005-12-23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80U (ko) * 2018-06-21 2019-12-31 박윤희 다용도 물받이 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80U (ko) * 2018-06-21 2019-12-31 박윤희 다용도 물받이 채반
KR200492779Y1 (ko) * 2018-06-21 2020-12-09 박윤희 다용도 물받이 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562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5184749A (en) Portable drain receptacle
KR200410400Y1 (ko)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JP2011135918A (ja) 水回り用容器
US9107546B2 (en) Toilet bowl hygienic cleaning unit
US7774890B1 (en) Drain insert for scrubbing and scraping utensils
KR20110100458A (ko) 주둥이 분리 가능한 주전자
US7121415B1 (en) Utensil receptacle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JPH0118060Y2 (ko)
RU144367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чистки унитаза, состоящий из емкости и щетки
KR102106832B1 (ko) 수세미 거치대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CN201521007U (zh) 搁洗斗
KR200406797Y1 (ko)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KR200413788Y1 (ko) 다목적 씽크대
JPS6253612A (ja) 二段底流し台水槽における厨芥処理装置
KR101754709B1 (ko)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US20200329948A1 (en) Manual dishwash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124767U (ja) 水切り食器収納器具
KR200315828Y1 (ko) 신발장에 적용된 우산 물받이
KR100968045B1 (ko) 수전금구의 수세미함 장치
RU2226973C2 (ru) Щетка
FR2664313A1 (fr) Evier a compartiments multiples particulierement du type a encastrer.
KR940001880Y1 (ko)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