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709B1 -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 Google Patents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709B1
KR101754709B1 KR1020150062575A KR20150062575A KR101754709B1 KR 101754709 B1 KR101754709 B1 KR 101754709B1 KR 1020150062575 A KR1020150062575 A KR 1020150062575A KR 20150062575 A KR20150062575 A KR 20150062575A KR 101754709 B1 KR101754709 B1 KR 10175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spoon
washing
washing water
water supply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608A (ko
Inventor
이정미
장용희
Original Assignee
이정미
장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장용희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5006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1/00Polishing of table-ware, e.g. knives, forks, spo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스푼을 위생적으로 세척하고, 수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의 내주면에 물 붓는 선이 형성되고, 하단부측에 다수의 세척수공급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티스푼분리대가 형성되어 다수의 티스푼이 수납되는 티스푼수납부와, 상기 티스푼수납부의 하단부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의 세척수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티스푼세척셀로 이루어진 세척공간부로 구성되어, 한 번 사용한 티스푼을 세척공간부에서 세척한 후 이를 티스푼수납부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차에 사용된 각각의 티스푼을 따로 세척하고 보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Basket Teaspoon Of B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티스푼을 위생적으로 세척하고, 수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의 내주면에 물 붓는 선이 형성되고, 하단부측에 다수의 세척수공급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티스푼분리대가 형성되어 다수의 티스푼이 수납되는 티스푼수납부와, 상기 티스푼수납부의 하단부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의 세척수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티스푼세척셀로 이루어진 세척공간부로 구성되어, 한 번 사용한 티스푼을 세척공간부에서 세척한 후 이를 티스푼수납부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차에 사용된 각각의 티스푼을 따로 세척하고 보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탕비실, 사무실, 세미나 등의 현장에서는 커피, 율무차, 유자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가 제공되며, 차를 타기 위해 티스푼을 사용하고, 사용한 티스푼을 세척하기에 환경적인 제약이 있어 대부분 컵에 물을 받아 놓고 스푼을 헹구어 가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여러 종류의 차를 타다보면, 받아 놓은 물이 금세 오염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차를 마시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티스푼을 한 번 사용하고 나서 일일이 싱크대나 개수대에서 세척한 후 별도의 보관통에 넣어서 보관하는 것은 무척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45978호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은 컵 본체의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여 격벽 일측에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격벽 타측에는 건조부를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차 스푼을 소량의 물로 간편하게 세척한 후 즉석에서 건조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387827호 스푼세척부를 구비한 커피팩보관구는 스푼을 씻을 수 있는 스푼세척부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커피팩을 사용할 때마다 스푼을 찾지 않고 스푼세척부에 있는 스푼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들 용구 또한 여러 종류의 차를 타고 난 티스푼을 하나의 공간에서 씻고 보관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194464호 스푼 세척기는 스푼이 내부로 삽입되면 자동적으로 스푼을 향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스푼의 세척이 수행되며, 공개특허 제10-2013-0041463호 티-스틱 세척기는 티-스틱이 삽입되는 수용홈 하부에 삽입된 티-스틱을 감지하여 수용홈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푼 세척기 및 티-스틱 세척기는 스푼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고 세척수의 분사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고장의 우려가 있고, 전기를 사용해야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가격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194464 (등록번호) 2012.10.18. KR 10-1345978 (등록번호) 2013.12.20. KR 20-0387827 (등록번호) 2005.06.15. KR 10-2013-0041463 (공개번호) 2013.04.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종류의 차를 타는데 사용된 각각의 티스푼을 차의 종류별로 세척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공간부와, 상기 세척공간부에서 세척된 티스푼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티스푼수납부로 이루어져, 한 번 사용한 티스푼을 세척공간부에서 세척한 후 이를 티스푼수납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티스푼을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스푼을 보관하는 티스푼수납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세척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티스푼수납부가 세척공간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보충 및 오수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고, 티스푼 바스켓통의 세척 및 보관이 간단하여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티스푼을 세척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100)에 있어서, 그 내부에 티스푼이 거치되며 하부에 복수 개의 세척수공급구(112)가 형성되는 티스푼수납부(110)와,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세척수공급구(112)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채워지는 세척공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공간부(120)는 상기 세척수공급구(112)와 연통되어 각각의 세척수공급구(112)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담기는 복수 개의 티스푼세척셀(121)이 형성되되, 형성되되, 상기 티스푼세척셀의 크기는 해당 티스푼세척셀(121)과 연통되는 각 세척수공급구(112)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상부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티스푼분리대(1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중심부는 그 내부가 빈 기둥(122)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둥(122)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과 결합되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거나 또는 끼움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기둥(122)에 형성된 나사산(122a)의 내주면에서 회전결합되는 결합구(1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둥(122)의 나사산(122a)에 대응하는 나사산(114a)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은 여러 종류의 차를 타는데 사용된 각각의 티스푼을 다수로 구획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티스푼세척셀에서 차의 종류별로 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척공간부와, 상기 세척공간부에서 세척된 티스푼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티스푼수납부로 이루어져, 한 번 사용한 티스푼을 세척공간부에서 세척한 후 이를 티스푼수납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티스푼을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스푼을 보관하는 티스푼수납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세척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티스푼수납부가 세척공간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보충 및 오수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고, 티스푼 바스켓통의 세척 및 보관이 간단하여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스푼수납부에 티스푼분리대가 형성되어 다수의 티스푼이 겹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세척공간부에서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위생적으로 세척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용구의 세척 활용성이 확대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에 티스푼을 수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의 내주면에 물 붓는 선(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세척수공급구(112)가 형성되며,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티스푼분리대(113)가 형성되는 티스푼수납부(110)와,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세척수공급구(112)로부터 공급된 물이 채워지는 세척공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척공간부(120)는 세척수공급구(112)와 연통되어 각각의 세척수공급구(112)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저장되어 다수의 티스푼(ts)을 각각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티스푼세척셀(12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는 세척공간부(120)로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척공간부(120)에서 세척된 티스푼(ts)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는 내주면에 물 붓는 선(111)이 형성됨으로써 일정량의 세척수를 부으면 각각의 티스푼세척셀(121)로 일정량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티스푼세척셀(121)과 연통되어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내부로 주입된 세척수가 상기 티스푼세척셀(121)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세척수공급구(112)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즉, 각각의 상기 티스푼세척셀(121)마다 상기 세척수공급구(112)가 형성 구비되어 있어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로 세척수를 주입하면 각각의 상기 티스푼세척셀(121)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전자 등을 이용하여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로 주입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공급구(112)를 통해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티스푼세척셀(121)로 각각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티스푼세척셀(121)에서 티스푼(ts)을 세척한 다음 상기 티스푼보관부(110)에 수납 보관함으로써 깨끗하고 위생적인 티스푼(ts)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세척 작업은 티스푼(ts)을 사용할 때마다 매번 시행되기 때문에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하게 다수의 차를 타는 게 가능하게 된다.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는 상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티스푼분리대(113)가 형성되는바, 상기 티스푼분리대(113)에 의해 여러 종류의 차를 타고 세척한 티스푼(ts)들을 겹치지 않고 각각 분리해서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티스푼(ts)은 여러 종류의 차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티스푼세척셀(121) 및 티스푼분리대(113)에서 각각 세척하여 수납 보관된다.
또한,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세척수공급구(112)에서는 각각의 상기 티스푼세척셀(121)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모두 동일하게 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티스푼(ts)은 사용자가 위에서 볼 때 차 종류별로 알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 활용될 수가 있다.
이 경우 티스푼을 신속하게 차 종류별로 구분할 수가 있어 활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티스푼(ts)은 차의 종류별로 색깔을 각각 다르게 제작 구비하고 상기 티스푼세척셀(121) 및 상기 티스푼분리대(113)도 상기 티스푼(ts)의 색깔과 동일하게 제작 구비되도록 하여 동일한 색의 티스푼(ts)은 같은 색의 상기 티스푼세척셀(121) 및 상기 티스푼분리대(113)에 세척 보관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중심부는 그 내부가 빈 기둥(122)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둥(122)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과 결합되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22)은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부면보다 그 폭이 좁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공간부(120)에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를 연결하는 구성은 나사체결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바,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기둥(122)에 형성된 나사산(122a)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둥(122)의 내주면에서 결합되는 결합구(1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4)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공간부(120)에 상기 티스푼수납부(110)를 연결하는 구성은 나사체결식 이외에 끼워 삽입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의 직경이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기둥(122)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상기 기둥(122)이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수공급구(112)를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티스푼세척셀(121)의 칸을 상기 세척수공급구(112)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세척수공급구(112)를 빠져나온 세척수는 상기 티스푼수납부(110) 하부에 위치한 세척공간부(120)의 기둥(122)을 따라 흘러 각각의 티스푼세척셀(121)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티스푼세척셀(121)의 칸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거나 크게 조정이 가능하여 칸의 크기에 맞춰 세척수공급구(112) 크기도 비례하여 세척수공급구(112)를 형성시킨다. 즉, 칸의 크기가 크면 그에 대응되는 세척수공급구(112a)의 크기를 크게 하고, 칸의 크기가 작으면 그에 대응되는 세척수공급구(112)의 크기를 작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둥(122)은 그 내부가 빈공간으로 이루어져 티스푼세척셀(121)에 담겨질 세척수의 수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티스푼세척셀(121) 및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에 티스푼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치지 않고 포크 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커피, 율무차, 유자차 등을 티스푼이나 숟가락 등의 주방용품으로 젓은 다음 티스푼세척셀(121)의 세척수에 헹궈서 티스푼수납부(110)에 수납해 두면 다음 이용 시에 이들을 위생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외부면에는 그 이동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1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티스푼수납부(110) 및 세척공간부(120)는 티스푼(ts)이 담겼을 때 쓰러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100)은, 티스푼수납부(110)의 물 붓는 선(111)만큼 세척수를 주입하면 서서히 세척수공급구(112)를 통해 세척수가 빠져나가 세척공간부(120)의 티스푼세척셀(121)로 공급되게 되며, 사용한 티스푼(ts)을 티스푼세척셀(121)에서 세척하고 세척수가 빠진 티스푼수납부(110)에 보관하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100)은 여러 종류의 차를 타는데 사용된 각각의 티스푼(ts)을 다수로 구획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티스푼세척셀(121)에서 차의 종류별로 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척공간부(120)와, 상기 세척공간부(120)에서 세척된 티스푼(ts)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티스푼수납부(110)로 이루어져, 한 번 사용한 티스푼(ts)을 세척공간부(120)에서 세척한 후 이를 티스푼수납부(110)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티스푼(ts)을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티스푼(ts)을 보관하는 티스푼수납부(110)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세척공간부(120)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110)가 세척공간부(1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보충 및 오수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고, 티스푼 바스켓통의 세척 및 보관이 간단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에 티스푼분리대(113)가 형성되어 다수의 티스푼(ts)이 겹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부(120)에서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위생적으로 세척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용구의 세척 활용성이 확대되는 장점도 있다.
100: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110:티스푼수납부 111:물 붓는 선
112:세척수공급구 113:티스푼분리대
114:결합구 114a:나사산
120:세척공간부 121:티스푼세척셀
122:기둥 122a:나사산
123:손잡이
ts:티스푼

Claims (6)

  1. 티스푼을 세척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100)에 있어서,
    그 내부에 티스푼이 거치되며 하부에 복수 개의 세척수공급구(112)가 형성되는 티스푼수납부(110)와,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세척수공급구(112)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채워지는 세척공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공간부(120)는 상기 세척수공급구(112)와 연통되어 각각의 세척수공급구(112)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담기는 복수 개의 티스푼세척셀(121)이 형성되되,
    상기 티스푼세척셀의 크기는 해당 티스푼세척셀(121)과 연통되는 각 세척수공급구(112)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상부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티스푼분리대(113)가 형성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중심부는 그 내부가 빈 기둥(122)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둥(122)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과 결합되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거나 또는 끼움결합된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푼수납부(110)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세척공간부(120)의 기둥(122)에 형성된 나사산(122a)의 내주면에서 회전결합되는 결합구(1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둥(122)의 나사산(122a)에 대응하는 나사산(114a)이 형성되는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5. 삭제
  6. 삭제
KR1020150062575A 2015-05-04 2015-05-04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KR10175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75A KR101754709B1 (ko) 2015-05-04 2015-05-04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75A KR101754709B1 (ko) 2015-05-04 2015-05-04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608A KR20160130608A (ko) 2016-11-14
KR101754709B1 true KR101754709B1 (ko) 2017-07-07

Family

ID=5752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575A KR101754709B1 (ko) 2015-05-04 2015-05-04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978B1 (ko) * 2012-05-21 2014-01-03 박수희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827Y1 (ko) 2005-03-29 2005-06-27 김동근 스푼세척부를 구비한 커피팩보관구
KR101194464B1 (ko) 2011-06-30 2012-10-24 박경준 스푼 세척기
KR20130041463A (ko) 2011-10-17 2013-04-25 박정길 티-스틱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978B1 (ko) * 2012-05-21 2014-01-03 박수희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4620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608A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977B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KR101754709B1 (ko)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CN103908209A (zh) 一种手动加液刷
US20090206106A1 (en) Purified water dispensing system
JP4713226B2 (ja) 穴あきスポンジ
KR101345978B1 (ko)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KR20110001814U (ko) 휘젓개의 보관이 용이한 컵
CN202019981U (zh) 便捷式自动出液多用刷
US9044130B2 (en) Cleaning device for a portioning utensil
JP201210180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容器
KR20140002175U (ko) 다용도 식기 세척기
CN203378966U (zh) 一种镂空形状的饮水机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EP3066250B1 (en) A washer comprising a cleaning agent dispenser
CN201192326Y (zh) 内装洗洁精的洗锅刷子
CA2658209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CN213882155U (zh) 杯子及清洗套装杯
CN205514248U (zh) 一种多功能调羹
KR200410400Y1 (ko)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KR200424209Y1 (ko) 다용도 주방수납케이스
KR200488532Y1 (ko) 칫솔을 거치한 상태에서 넘어짐을 방지한 칫솔 거치대용 컵
CN213248216U (zh) 一种便于餐具分区存放的干爽式筷笼
KR100678511B1 (ko)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CN206511340U (zh) 奶嘴收纳盒
KR200434949Y1 (ko) 일회용 찻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