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49Y1 - 일회용 찻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찻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949Y1 KR200434949Y1 KR2020060026616U KR20060026616U KR200434949Y1 KR 200434949 Y1 KR200434949 Y1 KR 200434949Y1 KR 2020060026616 U KR2020060026616 U KR 2020060026616U KR 20060026616 U KR20060026616 U KR 20060026616U KR 200434949 Y1 KR200434949 Y1 KR 2004349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 main body
- disposable
- cup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찻컵의 내부에 자연상태의 찻잎을 내장하여 걸름부재에 의해 밀봉되게 하고, 뜨거운 물에 의해 차성분이 우러난 전통차는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다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찻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찻컵에 있어서, 상광하협으로 구성되어 내측에는 찻잎을 저장할 수 있도록 용기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소정의 위치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본체에 물을 투입하여 찻잎으로부터 추출되는 음용수만 배출되고 건더기는 유출되지 않도록 다수의 여과공을 형성한 걸름부재;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내측으로 걸름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측 가장자리에 손잡이를 형성한 캡;으로 구성하여 상기 캡을 본체의 상측에 거치되면서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일회용 찻컵에 관한 것이다.
찻컵, 일회용, 찻잎, 용기, 걸름부재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수 개의 일회용 찻컵이 적층된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일회용 찻컵 2. 찻잎
10. 본체 11. 단턱
20. 걸름부재 21. 여과공
30. 캡 31. 고정홈
32. 요입부 33. 손잡이
본 고안은 일회용 찻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찻컵의 내부에 자연상태의 찻잎을 내장하여 걸름부재에 의해 밀봉되게 하고, 뜨거운 물에 의해 차성분이 우러난 전통차는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다기제 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찻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차를 따르는 다관에 찻잎을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일정 시간동안 차가 우러나오도록 하고, 걸름망을 이용하여 차를 식히는 그롯인 숙우에 찻잎 찌꺼기를 제거하면서 차를 따른 후, 찻잔에 차를 부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통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다기제품을 별도로 구매해야 함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되고, 일반 소비자들이 다기를 이용하여 전통차를 음용하는 방식이 어렵고 번거로워서 전통차 마시는 것을 멀리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녹차, 둥글레차, 동규자차 등의 찻잎을 이용하여 분말을 내어 주머니형태로 담는 형태인 티백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티백형태로 제공되는 차는 소비자들이 간편하게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전통차가 가지는 효험들이 조금씩 상쇄되고, 티백이 찻잔 바닥에 위치하게 되어 차가 우러나오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균일하게 우러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가공을 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찻잎을 사용하여 차를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별도의 다기제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전통차를 음용하고,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전통차를 음용하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내부의 내장된 자연상태의 찻잎이 걸름부재에 의해 밀봉되게 하고, 뜨거운 물에 의해 차성분이 우러난 전통차는 걸름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야외에서도 즉석에서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회용 찻컵에 있어서, 상광하협으로 구성되어 내측에는 찻잎을 저장할 수 있도록 용기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소정의 위치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본체에 물을 투입하여 찻잎으로부터 추출되는 음용수만 배출되고 건더기는 유출되지 않도록 다수의 여과공을 형성한 걸름부재;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내측으로 걸름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측 가장자리에 손잡이를 형성한 캡;으로 구성하여 상기 캡을 본체의 상측에 거치되면서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일회용 찻컵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1)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1)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회용 찻컵(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수 개의 일회용 찻컵(1)이 적층 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찻컵(1)의 본체(10)의 저면에 다양한 종류의 찻잎(2)을 저장하되, 다수 개의 여과공(21)이 형성된 걸름부재(20)가 본체(10) 내부에 소정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하고, 본체(10) 상단부의 단턱(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31)을 가지는 캡(30)이 본체 내측으로 걸름부재(2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3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차를 음용하기 용이하게 상광하협의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찻잎(2)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부는 단턱(11)을 형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름부재(20)는 본체(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부착되게 형성하되, 걸름부재(20)에 다수 개의 여과공(21)이 조밀하게 형성하여 본체(10) 내부에 뜨거운 물을 투입하는 경우 저장된 찻잎(2)으로부터 추출되는 음용수만 유출되고, 찻잎 건더기는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캡(30)은 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본체(10)의 내측으로 걸름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32)를 형성하여 내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른 일회용 찻컵(1)이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일회용 찻컵(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홈(31)을 형성하여 본체(10)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11)에 끼워져 고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가장자리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33)를 형성하여 캡(30)을 본체(10)로부터 제거할 때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일회용 찻컵(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본체(10)의 저면에 다양한 종류의 찻잎(2)을 저장하여 밀봉되게 용기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다수 개의 여과공(21)이 형성된 걸름부재(20)가 고정되게 형성하고, 캡(3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홈(31)이 본체(10) 상단부의 단턱(11)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게 하되, 캡(30)이 본체(10) 내측으로 걸름부재(2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32)를 형성하여 다른 일회용 찻컵(1)이 용이하게 적층이 되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일회용 찻컵(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사용자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찻컵(1)을 구입하여 본체(10) 상측에 거치되어 끼워지는 구성으로 고정된 캡(30)을 제거할 때, 상측 가장자리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손잡이(33)를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한 후, 뜨거운 물을 본체(10) 내부로 일정량 부어 넣도록 하고, 뜨거운 물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면, 본체(10) 저면에 저장된 찻잎(2)에서 차성분이 우러나오게 되는데,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차성분이 우러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이 때 본체(10) 저면에 저장된 찻잎(2)은 걸름부재(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여과공(21)에 의해 걸려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차성분이 우러난 음용수만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찻잎(2)을 내장하고, 휴대가 간편하도 록 일회용으로 제작하여 뜨거운 물만 부으면, 언제든지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실용적인 고안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자연상태의 찻잎을 내장하고, 내부 공간상에 걸름부재를 형성하여 뜨거운 물에 의해 차성분이 우러나면, 걸름부재에 의해 차성분이 우러난 음용수인 전통차만 외부로 배출이 되게 하여 사용자가 음용하기에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일회용으로 제조되어 야외 등지에서도 신속하게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제품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일회용 찻컵에 있어서,상광하협으로 구성되어 내측에는 찻잎을 저장할 수 있도록 용기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소정의 위치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본체에 물을 투입하여 찻잎으로부터 추출되는 음용수만 배출되고 건더기는 유출되지 않도록 다수의 여과공을 형성한 걸름부재;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내측으로 걸름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깊게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측 가장자리에 손잡이를 형성한 캡;으로 구성하여 상기 캡을 본체의 상측에 거치되면서 끼워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찻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616U KR200434949Y1 (ko) | 2006-09-29 | 2006-09-29 | 일회용 찻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616U KR200434949Y1 (ko) | 2006-09-29 | 2006-09-29 | 일회용 찻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4949Y1 true KR200434949Y1 (ko) | 2006-12-28 |
Family
ID=4178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616U KR200434949Y1 (ko) | 2006-09-29 | 2006-09-29 | 일회용 찻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494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883B1 (ko) * | 2012-01-04 | 2013-11-01 | 변종대 | 거름컵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6616U patent/KR2004349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883B1 (ko) * | 2012-01-04 | 2013-11-01 | 변종대 | 거름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689347S1 (en) | Combination herb storage, grinder and pouring container | |
KR200459398Y1 (ko) |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
JP3185488U (ja) | 携帯用飲料容器 | |
JP5896980B2 (ja) | 密封容器 | |
KR200409095Y1 (ko) | 음료컵용 컵뚜껑 | |
KR200434949Y1 (ko) | 일회용 찻컵 | |
KR200434951Y1 (ko) | 일회용 찻컵 | |
JP3212760U (ja) | ポット | |
KR20120049591A (ko) | 이중컵 | |
KR101543513B1 (ko) |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 |
KR20080097280A (ko) | 위생적이며 간편한 다구 | |
JP3145712U (ja) | 複合漉し器ポット | |
US20120024163A1 (en) | Ring-shaped adapter having a net for brewing tea in disposable cups | |
JP2007244541A (ja) | 容器 | |
KR20150045100A (ko) |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 |
CN203953164U (zh) | 多功能随身杯 | |
KR200489129Y1 (ko) |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 |
CN206651658U (zh) | 具有挡板的壶具 | |
CN201055208Y (zh) | 茶杯 | |
KR20090000674U (ko) |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 |
JP3167852U (ja) | 簡易急須用抽出フィルター器 | |
CN213308858U (zh) | 一种单人便携式茶具 | |
KR102174937B1 (ko) | 용기용 뚜껑 | |
TWM539872U (zh) | 具有擋板的壺具 | |
JP2010284495A (ja) | お茶入れ湯のみ茶わ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