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937B1 -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937B1
KR102174937B1 KR1020180095148A KR20180095148A KR102174937B1 KR 102174937 B1 KR102174937 B1 KR 102174937B1 KR 1020180095148 A KR1020180095148 A KR 1020180095148A KR 20180095148 A KR20180095148 A KR 20180095148A KR 102174937 B1 KR102174937 B1 KR 10217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ding support
cover plate
lid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521A (ko
Inventor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풍종합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풍종합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풍종합물산
Priority to KR102018009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9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조각(큐빅얼음)이 포함된 음료를 취식할 때, 얼음조각(큐빅얼음)이 유출홀을 막지 않게 되어서, 소비자가 시원한 음료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뚜껑{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음료)를 종이컵 등에 담아 취식하는 경우, 커피(음료)의 뜨거운 김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커피(음료)를 조금씩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합성수지류 재질의 컵뚜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컵뚜껑은, 커피 등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용기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음용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특히 여름철에는 아이스커피 등 시원한 음료를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커피 전문점 등에서 시원한 음료(아이스커피 등)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서, 시원한 음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용물(커피, 음료 등)이 담긴 컵 안에 큐빅얼음이 추가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바, 소비자들이 음료를 취식할 때, 컵 안에 들어있는 큐빅얼음이 컵뚜껑의 음용홀을 막아서, 음료 취식에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컵뚜껑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785222호에 이용자가 음용 부위를 선택할 수 있는 컵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얼음조각(큐빅얼음)이 포함된 음료를 취식할 때, 얼음조각(큐빅얼음)이 유출홀을 막지 않게 되어서, 소비자가 시원한 음료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용기 내부의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부; 및 커버플레이트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용기의 입구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벽부;를 포함하되, 커버플레이트부의 하부면 중 유출홀 둘레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시, 용기 내부의 얼음조각이 돌출지지부에 걸려서 유출홀을 차단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접한 돌출지지부 사이에,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는, 커버플레이트부의 유출홀 둘레 영역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조각(큐빅얼음)이 포함된 음료를 취식할 때, 얼음조각(큐빅얼음)이 유출홀을 막지 않게 되어서, 소비자가 시원한 음료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일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용 뚜껑을 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용 뚜껑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일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용 뚜껑을 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용 뚜껑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용기(401) 내부의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홀(101)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부(103); 및 커버플레이트부(103)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용기(401)의 입구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벽부(105);를 포함하되,
커버플레이트부(103)의 하부면 중 유출홀(101) 둘레에 돌출지지부(107)가 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시, 용기(401) 내부의 얼음조각이 돌출지지부(107)에 걸려서 유출홀(101)을 차단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플레이트부(103)는 유출홀(101)을 포함하는데, 유출홀(101)을 통해 용기(401) 내부의 액체(커피, 음료 등)가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서, 유출홀(101)은 일예로,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는데, 유출홀(101)은 커버플레이트부(103)에 편심되어 형성된다.
한편, 커버플레이트부(103)의 하부면 중 유출홀(101) 둘레에 돌출지지부(107)가 형성되는데, 돌출지지부(107)는, 용기(401) 내부의 액체가 유출될 때, 용기(401) 내부의 얼음조각이 돌출지지부(107)에 걸려서 유출홀(101)을 차단하지 않도록 한다.
즉, 돌출지지부(107)는, 소비자가 아이스 음료를 취식할 때, 용기(401) 내에 추가된 얼음조각(큐빅얼음)이 유출홀(101)을 막음으로써, 용기(401) 내의 음료가 유출홀(101)을 통해 원활히 유출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돌출지지부(107)는, 일예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접한 돌출지지부들(107) 사이에, 액체의 유로(201)가 형성된다.
도면들에서는, 4개의 돌출지지부(107)가 형성되고, 3개의 유로(201)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돌출지지부(107)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이처럼 서로 이격형성된 돌출지지부(107) 사이에 유로(201)가 형성됨으로써, 소비자가 용기(401)를 기울여서 용기(401) 내의 음료를 취식할 때, 용기(401) 내의 얼음조각이 돌출지지부(107)에 걸리더라도, 돌출지지부(107) 사이의 유로(201)를 통해 음료가 유출홀(101)로 원활히 흐를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편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지지부(107)는, 일예로, 커버플레이트부(103)의 유출홀(101) 둘레 영역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지지부(107)는, 커버플레이트부(103)의 일부 영역이 가압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용기용 뚜껑의 성형 과정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성형 과정의 추가 없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쉽게 제작될 수 있다.
이어서, 사이드벽부(105)는, 커버플레이트부(103)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는데, 사이드벽부(105)는 용기(401)의 입구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사이드벽부(105)의 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벽부(105)는 용기(401)의 입구 둘레에 밀착되며 결합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돌출지지부(107)의 단부면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메쉬망부재(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망부재(501)는, 용기(401) 내의 얼음조각 뿐만 아니라, 음료에 포함된 각종 부산물(과일쥬스의 경우 씨앗 등)이 유출홀(101)로 빠져 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일예로, 메쉬망부재(501)는, 돌출지지부(107)의 측면(유출홀(101)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수납홈(503)에 소정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돌출지지부(107)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메쉬망부재(501)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조각(큐빅얼음)이 포함된 음료를 취식할 때, 얼음조각(큐빅얼음)이 유출홀을 막지 않게 되어서, 소비자가 시원한 음료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유출홀
103 : 커버플레이트부
105 : 사이드벽부
107 : 돌출지지부
201 : 유로
401 : 용기
501 : 메쉬망부재
503 : 수납홈

Claims (3)

  1. 용기 내부의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하부면 중 상기 유출홀 둘레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의 유출시, 상기 용기 내부의 얼음조각이 상기 돌출지지부에 걸려서 상기 유출홀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상기 돌출지지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접한 돌출지지부 사이에, 상기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부의 단부면에 결합되는 메쉬망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쉬망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쉬망부재는, 상기 돌출지지부의 측면에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수납홈에 소정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돌출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상기 유출홀 둘레 영역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KR1020180095148A 2018-08-14 2018-08-14 용기용 뚜껑 KR10217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48A KR102174937B1 (ko) 2018-08-14 2018-08-14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48A KR102174937B1 (ko) 2018-08-14 2018-08-14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21A KR20200019521A (ko) 2020-02-24
KR102174937B1 true KR102174937B1 (ko) 2020-11-05

Family

ID=6963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148A KR102174937B1 (ko) 2018-08-14 2018-08-14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9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132A (ja) * 1999-10-13 2001-04-17 Shima Emiko グラス用氷押さえ
KR200383093Y1 (ko) * 2005-01-29 2005-04-29 동서식품주식회사 분말용기용 내부뚜껑
KR200432433Y1 (ko) * 2006-09-11 2006-12-01 정정조 물길과 얼음걸이가 있는 얼음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132A (ja) * 1999-10-13 2001-04-17 Shima Emiko グラス用氷押さえ
KR200383093Y1 (ko) * 2005-01-29 2005-04-29 동서식품주식회사 분말용기용 내부뚜껑
KR200432433Y1 (ko) * 2006-09-11 2006-12-01 정정조 물길과 얼음걸이가 있는 얼음물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21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9524A (zh) 可重复使用的杯子
KR200470218Y1 (ko) 보온용기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A2552836A1 (en) Cup lid having a rotatable stopper
US20120273500A1 (en) Lid with a container
CN211066041U (zh) 一种内杯结构及双层杯结构
KR102174937B1 (ko) 용기용 뚜껑
KR102165020B1 (ko) 음료용기용 빨대
CA2827436C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
KR200464522Y1 (ko) 여러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는 컵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US20160145011A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KR200494563Y1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KR200489571Y1 (ko) 포장 용기
WO2007052014A1 (en) Lids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KR101907061B1 (ko)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EP3016877B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CN203934988U (zh) 组合式容器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0434949Y1 (ko) 일회용 찻컵
KR200475108Y1 (ko)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CN217524512U (zh) 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