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71Y1 -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571Y1 KR200489571Y1 KR2020180000034U KR20180000034U KR200489571Y1 KR 200489571 Y1 KR200489571 Y1 KR 200489571Y1 KR 2020180000034 U KR2020180000034 U KR 2020180000034U KR 20180000034 U KR20180000034 U KR 20180000034U KR 200489571 Y1 KR200489571 Y1 KR 2004895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accommodation space
- wall
- protrus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하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하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즉석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가 이중으로 구성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 증가 및 편의점 식품의 대중화에 맞추어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1끼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요리만 있으면 1끼 식사가 가능한 외국과는 달리 국내 취식형태의 특성상 쌀밥과 국/반찬이 있어야 한국인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형태로 포장 용기를 개발하였다. 형태로는 크게 컵, 즉석밥, 소스 파우치등의 별첨식품, 쉬링크 필름이다.
기존의 포장 용기는 컵라면, 즉석밥, 찌개, 덮밥, 누룽지 등 다양한 즉석 식품 중 한 종류의 즉석 식품을 수용하고, 상단을 뚜껑으로 차단하여 즉석 식품을 포장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즉석밥과 찌개, 누룽지와 찌개와, 컵라면과 즉석밥과 같이 1끼 식사를 위해 2가지 이상의 식품을 먹기 위해서는, 각각의 즉석 식품을 구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누룽지 즉석식품이 포장된 포장 용기와, 찌개 즉석식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 용기 각각을 구매한다.
이에 따라, 각각 따로 포장되어 있는 즉석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1끼 식사의 구매 금액이 증가한다. 또한, 소비자가 동시간대에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즉석 식품을 포장하고 있는 용기를 각각 덮기 위한 뚜껑이 각각 사용되어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두가지 종류의 즉석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추가적인 용기를 함께 수용 시켜, 소비자가 두가지의 즉석 식품을 1끼에 함께 섭취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용기가 고정 및 탈거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용기를 외부 용기의 내측에 고정시켜, 외부 용기로에서 내부 용기의 이탈로 인한 소음 방지 및 내용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하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용기의 형상 및 폭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형상 및 폭에 대응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용기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용기에 의해 눌리며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과 밀착되고, 상기 돌출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용기의 상단 둘레가 가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용기에 의해 눌리며, 상기 돌출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용기의 상단 둘레가 가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제1 돌기가 복수의 층으로 반복 형성되고, 제2 용기의 외측 벽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두가지 종류의 즉석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추가적인 용기를 함께 수용 시켜, 소비자가 두가지의 즉석 식품을 1끼에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용기가 고정 및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용기를 외부 용기의 내측에 고정시켜, 외부 용기로에서 내부 용기의 이탈로 인한 소음 방지 및 내용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 및 제2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 및 제2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삽입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포장 용기(1)는 제1 용기(10), 제2 용기(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포장 용기(1)는 소비자가 두 가지의 즉석 식품 종류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1 용기(10)와, 제1 용기(10) 내에 삽입되는 제2 용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10)는 원기둥, 원뿔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10)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수용공간(11)을 포함한다.
제1 수용공간(11)에는 즉석식품의 내용물(예를 들어, 누룽지, 찌개, 국물) 또는 밀봉 포장된 포장체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10)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2 용기(20)도 이와 동일하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20)의 형상 및 폭은 제1 수용공간(11)의 형상 및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1)에 삽입된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용기(20)의 형상 및 폭은 제1 수용공간(11) 하부의 형상 및 폭에 대응되어,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로 삽입되면,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하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제2 용기(20)의 직경은 제1 수용공간(11)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0)는 제1 수용공간(11)(즉, 제1 용기(10) 내측)에 삽입 될 수 있다.
제2 용기(20)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수용공간(21)을 포함한다. 제2 수용공간(21)에는 즉석식품의 내용물(예를 들어, 누룽지, 찌개, 국물) 또는 밀봉 포장된 포장체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제2 용기(20)의 내용물은 제1 용기(10)의 내용물과 다른 종류의 즉석식품의 내용물일 수 있다.
커버(30)는 제1 용기(10)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에 결합되어, 제1 용기(10)의 개방부를 차단한다. 일 예로, 커버(30)는 리드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1)는 제1 용기(10)에 제2 용기(20)가 삽입되고, 별첨식품(예를 들어, 스프, 소스, 기름)을 제1 수용공간(11) 또는 제2 수용공간(21)에 넣은 후, 제1 용기(10)에 커버(30)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공간(11) 또는 제2 수용공간(21)에는 별첨식품과 함께 일회용 숟가락 또는 일회용 젓가락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에 삽입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장 용기(1)는 고정부재(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제1 용기(10) 내측에 삽입되는 제2 용기(2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제1 수용공간(11)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2)는 제1 용기(10)의 내측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2)는 제1 용기(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용기(10)의 내측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제1 용기(10) 내측벽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제1 용기(10)의 내측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용기(10)의 바닥면과 제1 용기(1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12)가 제1 용기(10)의 내측벽과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에는 제1 용기(10) 측면의 내측벽으로부터 제1 수용공간(11)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0)가 제1 수용공간(11) 내로 삽입되면, 돌출부(121)는 제2 용기(20)에 의해 눌리며 탄성에 의해 제1 용기(10)의 내측벽과 밀착되고, 돌출부(121)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용기(10)에 삽입된 제2 용기(20)의 상단 둘레가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기(10)로 삽입된 제2 용기(2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기(10) 내부에 제2 용기(20)가 추가로 마련된 포장 용기(1) 운반 시에,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이탈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제1 수용공간(11) 또는 제2 수용공간(21) 내에 수용된 내용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1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에 삽입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용기(1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용기(10)의 내측벽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10)는 돌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는 제1 용기(10) 측면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제1 수용공간(1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0)가 제1 수용공간(11) 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13)는 제2 용기(20)에 의해 눌리고, 돌출부(13)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용기(20)의 상단 둘레가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기(10)에 삽입되는 제2 용기(20)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가 이중으로 마련된 포장 용기(1) 운반시에, 제2 용기(20) 이탈로 인한 소음 방지 및 내용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10) 및 제2 용기(2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에 삽입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용기(10)는 제1 돌기(14)를 포함하고, 제2 용기(20)는 제2 돌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4)는 제1 용기(10)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층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24)는 제2 용기(20)의 외측 벽의 둘레를 따라 제1 돌기(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 내측으로 삽입되면, 제1 돌기(14)와 제2 돌기(24)가 서로 맞물려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 내측으로 삽입되면, 인접한 제1 돌기(14) 사이에 제2 돌기(24)가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2 돌기(24) 사이에 제1 돌기(14)가 삽입되어, 제1 돌기(14)와 제2 돌기(24)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0)에 삽입된 제1 용기(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포장 용기
10; 제1 용기
11: 제1 수용공간
12, 13: 고정부재
121: 돌출부
14: 제1 돌기
20: 제2 용기
21: 제2 수용공간
24: 제2 돌기
30: 커버
10; 제1 용기
11: 제1 수용공간
12, 13: 고정부재
121: 돌출부
14: 제1 돌기
20: 제2 용기
21: 제2 수용공간
24: 제2 돌기
30: 커버
Claims (5)
-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의 크기가 연속되어 작아지는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용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용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하되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면 외측벽이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을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으로 상부에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하부에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부에서 상기 돌출부까지는 직경의 감소되는 변화량이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변화량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부터 하부까지의 직경이 감소되는 변화량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직경의 감소되는 변화량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면 상기 제2용기에 밀려 상기 돌출부와 하부 사이에서 상기 제2 용기를 고정하다가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이탈되면 상기 제2용기를 상부로 밀어 올리도록 탄성력을 갖으며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용기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의 내측벽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용기에 의해 눌리며, 상기 돌출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용기의 상단 둘레가 가압되는 포장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용기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제1 돌기가 복수의 층으로 반복 형성되고,
제2 용기의 외측 벽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포장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034U KR200489571Y1 (ko) | 2018-01-03 | 2018-01-03 | 포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034U KR200489571Y1 (ko) | 2018-01-03 | 2018-01-03 | 포장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571Y1 true KR200489571Y1 (ko) | 2019-07-08 |
Family
ID=6722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034U KR200489571Y1 (ko) | 2018-01-03 | 2018-01-03 | 포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57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6420B1 (ko) * | 2022-10-07 | 2023-10-06 | 유홍설 | 위생구조를 포함하는 성찬식 빵 포도주 포장용기 |
KR102606453B1 (ko) * | 2022-12-30 | 2023-11-29 | 김준웅 |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2928A (ja) * | 1991-07-31 | 1993-02-23 | Glyco Kyodo Nyugyo Kk | 自立保形型デイスポ−ザルパツケ−ジ容器 |
KR200210193Y1 (ko) * | 2000-06-13 | 2001-01-15 | 정일봉 | 중첩된 일회용 인스턴트 식품용기 |
KR200256210Y1 (ko) | 2001-08-31 | 2001-12-13 | 현진제업 주식회사 | 일회용 컵용기 |
JP2008213930A (ja) * | 2007-02-09 | 2008-09-18 | Hario Glass Kk | 飲食用カップ |
US20150024095A1 (en) * | 2012-07-03 | 2015-01-22 | Optipack Gmbh | Packaging system |
KR20160003879U (ko) * | 2015-04-29 | 2016-11-0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
-
2018
- 2018-01-03 KR KR2020180000034U patent/KR20048957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2928A (ja) * | 1991-07-31 | 1993-02-23 | Glyco Kyodo Nyugyo Kk | 自立保形型デイスポ−ザルパツケ−ジ容器 |
KR200210193Y1 (ko) * | 2000-06-13 | 2001-01-15 | 정일봉 | 중첩된 일회용 인스턴트 식품용기 |
KR200256210Y1 (ko) | 2001-08-31 | 2001-12-13 | 현진제업 주식회사 | 일회용 컵용기 |
JP2008213930A (ja) * | 2007-02-09 | 2008-09-18 | Hario Glass Kk | 飲食用カップ |
US20150024095A1 (en) * | 2012-07-03 | 2015-01-22 | Optipack Gmbh | Packaging system |
KR20160003879U (ko) * | 2015-04-29 | 2016-11-0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6420B1 (ko) * | 2022-10-07 | 2023-10-06 | 유홍설 | 위생구조를 포함하는 성찬식 빵 포도주 포장용기 |
KR102606453B1 (ko) * | 2022-12-30 | 2023-11-29 | 김준웅 |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08646B1 (ja) | 包装用容器 | |
US10399760B2 (en) |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 |
KR200489571Y1 (ko) | 포장 용기 | |
CA3018725A1 (en) | Containers with removal tray inserts | |
JP5618658B2 (ja) | 食材用容器 | |
JP3451051B2 (ja) | 食品保存容器 | |
JPH10129742A (ja) | 蓋付き容器 | |
KR101417382B1 (ko) | 용기 | |
KR200483275Y1 (ko) |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 |
US20010033882A1 (en) |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 |
KR200485349Y1 (ko) | 음식물 포장 용기 | |
KR101636752B1 (ko) | 일회용 도시락 용기 | |
KR101971896B1 (ko) |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 |
KR20090009093U (ko) |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 |
KR20150048573A (ko) |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 |
JP6666486B1 (ja) | カップ食品及びカップ食品容器 | |
JP3233773U (ja) | 新規な食品容器用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食品容器 | |
KR200487369Y1 (ko) | 다중 간편식 포장체 | |
CN216316892U (zh) | 一种双层塑料碗 | |
KR200271889Y1 (ko) | 사발면 용기 구조 | |
KR20090008896U (ko) |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 |
KR200398299Y1 (ko) | 햄버거 포장용 박스 | |
KR20170002459U (ko) |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 |
KR20130041412A (ko) | 다단 구조를 이루는 일회용 식품용기 | |
KR200140957Y1 (ko) | 수납실이 부설된 뚜껑이 구비된 라면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