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89Y1 - 사발면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사발면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89Y1
KR200271889Y1 KR2020020001011U KR20020001011U KR200271889Y1 KR 200271889 Y1 KR200271889 Y1 KR 200271889Y1 KR 2020020001011 U KR2020020001011 U KR 2020020001011U KR 20020001011 U KR20020001011 U KR 20020001011U KR 200271889 Y1 KR200271889 Y1 KR 200271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wl
ramen
dish
sid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호 filed Critical 정준호
Priority to KR2020020001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8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면용기의 하측에 부가로 반찬용기가 부착된 사발면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인스턴트면과 조리물이 수납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라면용기와; 상기 라면용기의 개방된 상측을 복개하는 뚜껑과;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포장반찬이 수납되고, 내면 상측에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라면용기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반찬용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반찬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반찬용기에 반찬을 담아 먹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발면 용기 구조{structure of instant ramyon bowl}
본 고안은 사발면 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면용기의 하측에 부가로 반찬용기가 부착된 사발면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면과 건조양념 및 분말스프 등으로 이루어진 조리물로 구성되며, 얇은 비닐재질의 포장랩 등으로 포장되어 유통·판매된다. 이러한 라면은 끓는 물에 면과 조리물을 넣어 일정시간 동안 끓인 후 먹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라면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버너와 식기 등의 조리용품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고 조리용품이 없는 곳에서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발면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발면은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라면용기(1)의 내측에 가공건조된 인스턴스면(3)과 조리물(4)이 함께 수납되고, 라면용기(1)의 개방된 상측은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2)에 의해 복개되며, 전체가 얇은 포장랩(미도시) 등에 의해 포장되어 유통·판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발면은 일반적인 라면과는 달리 끓는 물을 라면용기(1)에 부으면 조리가 되므로 매우 편리하여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편, 라면이나 사발면 등을 먹을 때에는 김치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간단한 반찬을 함께 먹게 되는데, 최근에는 이와 같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반찬이 매우 작게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사발면과 함께 반찬을 구입하면서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게 포장된 반찬을 먹게 될 경우 별도의 찬그릇이 없기 때문에 포장의 일부만을 개봉한 후 조심스럽게 꺼내 먹어야 되므로 매우 불편하며, 식사중 종종 포장을 엎는 일이 발생하여 김치 국물등이 쏟아져 나와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여러가지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찬용기가 별도로구비되어 라면용기의 하측에 결합된 사발면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인스턴트면과 조리물이 수납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라면용기와; 상기 라면용기의 개방된 상측을 복개하는 뚜껑과;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포장반찬이 수납되고, 내면 상측에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라면용기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반찬용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사발면 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라면용기 11 : 결합홈
12 : 플랜지 13 : 단턱부
20 : 뚜껑 30 : 반찬용기
31 : 결합돌기 40 : 인스턴트면
41 : 조리물 42 : 포장반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의 사시도와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는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20) 및 라면용기(10)와 더불어 반찬용기(30)가 부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그 자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라면용기(10)는 공지구조의 용기와 같이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인스턴스면(40)과 건조양념 및 분말 스프 등의 조리물(41)이 수납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하측 둘레면에 다수의 결합홈(11)이 부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하측부분은 후술할 반찬용기(30)가 용이하게 결합되고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결합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지름을 약간 작게 형성하여 단턱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2)은 라면용기(10)의 개방된 상측부분의강도증가 및 후술할 뚜껑(2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이다.
그리고 뚜껑(20)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지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면용기(10)의 개방된 상측을 복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반찬용기(30)는 본 고안만의 독특한 기술적 사상으로 창안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포장반찬(42)이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면 상측에는 상기 라면용기(10)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31)가 돌출형성되며,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라면용기(10)의 하측에서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면용기(10)의 하측에 별도록 구비된 반찬용기(30)가 결합되는 구성을 핵심적 기술 사상으로 하는 본 고안에서, 상기 라면용기(10)와 반찬용기(30)는 결합부분에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31) 대신 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라면용기(10)의 내측에 인스턴스면(40)과 조리물(41)을 수납한 후 개방된 상측을 뚜껑으로 복개하여 포장하고, 반찬용기(30)의 내측에 포장용 김치나 단무지 등의 포장반찬(42)을 수납한 후 상기 라면용기(10)의 하측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고, 외측을 얇은 포장랩(미도시)으로 포장하여 유통·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발면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통해 유통·판매하게 되면 사발면을 구입하면서 반찬 구입을 위한 별도의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물론, 포장반찬(42)이 구비됨으로써 사발면 구입비용의 상승은 불가피하겠지만, 그 인상폭은 별도의 반찬을 구입하는 것보다 저렴할 것이다.
한편, 사발면을 본 고안을 통해 유통·판매할 때 상기 반찬용기(30)의 내측에 별도의 포장반찬(42)을 내장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반찬을 구입하여야 하지만, 식사시 상기 반찬용기(30)에 반찬을 담아 먹을 수 있으므로 포장된 채로 먹었던 종래에 비해 매우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발면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반찬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반찬용기에 반찬을 담아 먹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인스턴트면(40)과 조리물(41)이 수납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결합홈(11)이 형성된 라면용기(10)와;
    상기 라면용기(10)의 개방된 상측을 복개하는 뚜껑(20)과;
    개방된 상측을 통해 내측에 포장반찬(42)이 수납되고, 내면 상측에는 다수의 결합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라면용기(10)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반찬용기(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발면 용기 구조.
KR2020020001011U 2002-01-12 2002-01-12 사발면 용기 구조 KR200271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11U KR200271889Y1 (ko) 2002-01-12 2002-01-12 사발면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11U KR200271889Y1 (ko) 2002-01-12 2002-01-12 사발면 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89Y1 true KR200271889Y1 (ko) 2002-04-12

Family

ID=7311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011U KR200271889Y1 (ko) 2002-01-12 2002-01-12 사발면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3882A1 (en)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KR200271889Y1 (ko) 사발면 용기 구조
KR200489571Y1 (ko) 포장 용기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JP2006223177A (ja) 苺ジャム、可食皿及び苺菓子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298724Y1 (ko) 누룽지 스낵
KR200200711Y1 (ko) 식용피막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
KR2001942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KR200493249Y1 (ko) 조리 용기
KR200185011Y1 (ko) 컵라면 용기
CN211076843U (zh) 一种可盛装多种口味方便面的包装盒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210193Y1 (ko) 중첩된 일회용 인스턴트 식품용기
JP2008189329A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JP3122230U (ja) インスタントサラダのカップ食品
WO2019093982A2 (en) Container with eating utensil
KR200259314Y1 (ko) 식품용기
KR200337446Y1 (ko) 찬함이 구비된 컵라면 용기
JPH0751001A (ja) インスタント食品
KR200291067Y1 (ko) 간이형 피자
KR200401031Y1 (ko) 보존수를 따라낼 수 있는 포장지가 부착된 일회용 식품용기
KR200301399Y1 (ko) 다수개의 용기가 결합된 통합용기
KR200296730Y1 (ko) 냉동 보관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