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75Y1 -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75Y1
KR200483275Y1 KR2020160000395U KR20160000395U KR200483275Y1 KR 200483275 Y1 KR200483275 Y1 KR 200483275Y1 KR 2020160000395 U KR2020160000395 U KR 2020160000395U KR 20160000395 U KR20160000395 U KR 20160000395U KR 200483275 Y1 KR200483275 Y1 KR 200483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inner container
instant food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79U (ko
Inventor
유기민
조경식
송희재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4852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327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US15/099,74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997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03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는, 외측 용기;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상기 외측 용기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용되는 내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메인 용기;를 포함하며,이에 의하면, 여러가지 즉석식품을 한 포장에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유통이 가능하며, 취식시에도 편리하게 개봉하여 취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A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본 고안은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밥과 이와 곁들여 취식할 수 있는 가공식품류들을 단일한 패키징에 넣어 유통한 후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개봉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 증가 및 편의점 식품의 대중화에 맞추어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1끼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요리만 있으면 1끼 식사가 가능한 외국과는 달리 국내 취식형태의 특성상 쌀밥과 국/반찬이 있어야 한국인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더불어, 유통환경 특성상 저온유통(cold chain)보다 상대적으로 보관조건이 평이한 상온유통 제품이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장재에 대한 환경친화성 역시 근래의 포장을 바라보는 중요사항이다.
위와 같은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형태로 용기를 개발하였다. 형태로는 크게 컵, 즉석밥, 소스 파우치등의 별첨식품, 쉬링크필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시중에 있는 복합즉석식품들의 용기는, 컵용기(1) 내부에 별도의 즉석밥(미도시) 및 별첨식품(F)들을 넣은 후 내용물이 컵용기(1)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최상단에 캡(2)을 씌우는 형태였고, 그외의 복합즉석식품 이외에 컵라면 류 등의 포장 역시 내용물(면, 스프 등)을 안에 넣고 컵용기(1) 상단에 리드필름 실링을 한후 최외곽에 수축필름을 감싸는 형태였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캡이나 수축필름, 리드필름 등을 다단계에 걸쳐 벗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불필요한 포장재 사용으로 제조원가 증가 및 폐기물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상기한 별도의 즉석밥 또는 그 외 메인식품(3')과 별첨식품(F')을 함께 포장하는 용기로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장이 있다. 이러한 포장은 컵용기(1')내에 별첨식품(F')이 수용되고 컵용기(1') 상단 개구부를 덮는 캡(2') 이 구비되며, 메인식품(3')을 캡(2')위에 배치시키고, 상기와 같이 배치된 컵용기(2')와 메인식품(3')을 별도의 포장재(4')를 이용하여 상하로 포장한다.
이러한 포장 용기는 메인식품(3')과 별첨식품(F')을 한번에 포장할 수는 있으나, 컵용기(1')를 덮는 캡(2') 및 포장재(4')가 필요하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용기(1”) 내에 메인식품(3”) 및 별첨식품(F”)가 모두 수용되고 메인식품(3”)이 이탈되지 않도록 컵용기(1”) 상단을 캡(2”)을 이용하여 덮는 용기가 있다. 이러한 용기는 메인식품(3')과 별첨식품(F')을 컵용기(1”) 내에 수용하므로, 상기한 포장들보다 간소화 되었으나, 이 역시 컵용기(1”) 상단을 덮는 캡(2”) 및 포장 전체를 감싸는 필름이 필요하다.
상기한 포장들은 복합적인 식품의 포장이 가능하기는 하나, 결국 소비자들이 캡이나 리드필름을 벗겨야 하는 불편함 및 불필요한 포장재 사용으로 제조원가 증가 및 폐기물 증가의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KR 2011-0033340 A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즉석식품을 단일한 패키징에 구분하여 포장 및 유통이 가능하고, 이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 용기(10); 상기 외측 용기(10) 내에 상기 외측 용기(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용되는 내측 용기(20); 및 상기 내측 용기(20)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메인 용기(3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용기(30)는 즉석밥을 담지하는 용기부(31)와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33)가 상기 내측 용기(20)의 외주연에 걸쳐지도록 위치하며 또한 상기 걸림부(33)의 상면에만 덮개(32)가 덮혀 상기 덮개(32)가 덮힌 상태에서 메인 용기(30)가 분리가능하며, 상기 내측 용기(20)에 상기 메인 용기(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측벽은 외부에서 내부로 외측 용기(10), 내측 용기(20), 용기부(31)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삼중구조이며, 상기 용기부(31)는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용기(20)는 메인용기(30)의 아래에서 단차부(21)를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20)는 상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는 결합부(22)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결합부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외측 용기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내측 용기가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에 의하면, 여러가지 즉석식품을 한 포장에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유통이 가능하며, 취식시에도 편리하게 개봉하여 취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의 전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의 종단면도로서, 메인 용기(3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의 종단면도로서, 메인 용기(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 포장용기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순히 '포장 용기(100)'라 칭한다.)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00)는, 외측 용기(10), 내측 용기(20) 및 메인 용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용기(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기둥체 또는 역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내지는 역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고 사각기둥, 사각 역 뿔대 등의 다각형 기둥체 또는 역 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내부가 중공인 상태이면 된다.
내측 용기(20)는 상기 외측 용기(10) 내에 수용되며,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에 즉석식품의 내용물(예를 들면, 즉석 국)이 수용될 수 있다. 내측 용기(20)는 상기 외측 용기(10)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외측 용기(10)와 같은 형상임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용기(10)의 하부면이 개방되어, 내측 용기(20)가 외측 용기(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용기(20)의 하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용기(20)는 외측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외측 용기(10)의 내주면과 소정간격(b) 이격되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즉석 식품은 일반적으로 내측 용기(20)에 해당하는 용기 내에 상기한 내용물의 포장을 개봉하여 담고 온수를 부어 넣거나, 렌지 등에 데워 취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 용기(10)와 내측 용기(20) 사이에 소정 간격이 존재함으로써,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뜨거운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를 만지거나, 들어올림으로 인한 화상 등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외측용기(10)와 내측용기(20)가 이격되는 간격(b)은 내측용기(20) 내주연 일부가 안쪽으로 단차진 단차부(21)가 형성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용기(20)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가 돌출된 형태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메인 용기(30)는 그 내부에 즉석식품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부(31)를 포함하며, 용기부(31)는 마찬가지로 내측 용기(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용기(30)의 용기부(31)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용기(2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과는 다른 내용물(예를 들면, 즉석밥) 등 일 수 있고, 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부(31)의 상부에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32)로 덮어 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과 메인 용기(30)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혼합하여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용기(30)는 적어도 그 일부가 내측 용기(20) 내에 수용되고, 고정됨으로써 내측 용기(20)를 밀폐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에 수용됨과 동시에,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를 밀폐하는 덮개(32)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따라서, 따로 필름 등의 덮개(32)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수용 및 포장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리드필름으로서 컵용기를 최종적으로 포장하는 포장 용기(100)의 경우, 취식을 위하여 먼저 리드 필름을 벗기고 다시 덮개(32)의 일부만을 벗겨내야 하고, 그 후, 내측 용기(20) 내에 온수를 부은 후나, 렌지에 데울 경우, 온기가 빠져나가거나 내용물이 튀지 않도록 필름 덮개(32)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물체를 올려놓아 고정시키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런 경우에 있어서도, 간편하게 메인 용기(30)만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내측 용기(20)에 옮기고 난 후, 빈 메인 용기(30)를 다시 결합하여 덮음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의 개구를 밀폐하는 덮개(32)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용기의 직경은 내측 용기(20)의 직경 보다 적어도 같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 상단의 개구부로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밀폐성이 효과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100)는 내측 용기(20)의 상단부, 즉, 메인 용기(30)가 끼워져 결합되는 내주면 부분, 즉 내측 용기(20)가 외측 용기(10)와 소정 간격(a) 이격되어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결합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결합부(22)의 돌출 형상으로 인하여 보다 높은 결합력 및 밀폐성이 보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합부(22)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용기(30)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측 용기와 메인 용기(30)가 위치하지 않는 내측 용기의 형상이 다르며, 이로써 메인 용기(30)가 결합될 때 메인 용기(30)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결합부(22)가 외측 용기(10) 측으로 밀리기에 메인 용기(30)를 내측 용기(20)에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고, 결합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22)가 메인 용기(30)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강한 결합력과 밀폐성이 보장된다. 또한,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메인 용기(30)가 내측 용기(20)의 상단부, 즉 결합부(22)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서 내부로 볼때 외측 용기(10), 내측 용기(20), 용기부(31)의 삼중구조가 된다.
추가로, 메인 용기(30)는, 용기부(31)의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부(33)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용기(30)의 내측 용기(20)로의 결합시에 걸림부(33)가 내측 용기(20)의 상단 외주연에 걸쳐지도록 하여 메인 용기(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3 및 도4와 같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32)는 상기 걸림부(33)에만 부착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외측 용기(10) 및 내측 용기(20)가 따로 구비되어 분리 또는 수용 가능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외측 용기(10)와 내측 용기(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10: 외측 용기
20: 내측 용기
22: 결합부
30: 메인 용기
32: 덮개
33: 걸림부

Claims (9)

  1. 외측 용기(10);
    상기 외측 용기(10) 내에 상기 외측 용기(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용되는 내측 용기(20); 및
    상기 내측 용기(20)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메인 용기(3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용기(30)는 즉석밥을 담지하는 용기부(31)와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33)가 상기 내측 용기(20)의 외주연에 걸쳐지도록 위치하며 또한 상기 걸림부(33)의 상면에만 덮개(32)가 덮혀 상기 덮개(32)가 덮힌 상태에서 메인 용기(30)가 분리가능하며,
    상기 내측 용기(20)에 상기 메인 용기(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측벽은 외부에서 내부로 외측 용기(10), 내측 용기(20), 용기부(31)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삼중구조이며,
    상기 용기부(31)는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용기(20)는 메인용기(30)의 아래에서 단차부(21)를 갖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20)는 상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는 결합부(22)를 포함하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2)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 용기(30)와 상기 내측 용기(20)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10) 및 내측 용기(20)는 일체로 형성되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10)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내측 용기(20)가 상기 외측 용기(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는,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60000395U 2015-04-29 2016-01-22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200483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99,747 US10399760B2 (en) 2015-04-29 2016-04-15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2783 2015-04-29
KR2020150002783 201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79U KR20160003879U (ko) 2016-11-09
KR200483275Y1 true KR200483275Y1 (ko) 2017-04-25

Family

ID=5748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95U KR200483275Y1 (ko) 2015-04-29 2016-01-22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71Y1 (ko) * 2018-01-03 2019-07-08 (주)세준에프앤비 포장 용기
CN109229939A (zh) * 2018-10-09 2019-01-18 李文洪 一种夹套式制冷制热罐体
KR102582969B1 (ko) * 2021-11-11 2023-09-26 김준형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210Y1 (ko) * 2001-08-31 2001-12-13 현진제업 주식회사 일회용 컵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707Y1 (ko) * 1995-02-08 1998-07-15 이상윤 식품용기
KR20110033340A (ko) 2009-09-25 2011-03-31 정선우 스티커가 붙어있는 컵라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210Y1 (ko) * 2001-08-31 2001-12-13 현진제업 주식회사 일회용 컵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79U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760B2 (en)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US4348421A (en) Process for reconstituting dehydrated food
US8967408B2 (en) Plastic food container with securable inner vessel
US20090200301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Assemblies
US5214257A (en) Tub-shape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popcorn
MX2007003935A (es) Vaso de domo invertido anidado de dos piezas.
KR200483275Y1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GB2522928A (en) A Container for holding an egg
JP458395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JP3203611U (ja) 包装用容器
KR101417382B1 (ko) 용기
JP4875394B2 (ja) 粘着テープで封緘した包装用容器
KR200489571Y1 (ko) 포장 용기
KR20140055045A (ko) 일회용 발열용기
US20150024095A1 (en) Packaging system
KR200417031Y1 (ko) 도시락
KR200489315Y1 (ko) 간접적으로 발열이 가능한 일회용 발열용기
KR20170000149A (ko) 1회 용기 밀폐구조
KR200471718Y1 (ko) 식품 포장 용기
JP3240864U (ja) 食品容器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0535746B1 (ko)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65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9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6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929

Effective date: 20181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12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929

Effective date: 20181228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