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746B1 -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746B1
KR100535746B1 KR10-2003-0060450A KR20030060450A KR100535746B1 KR 100535746 B1 KR100535746 B1 KR 100535746B1 KR 20030060450 A KR20030060450 A KR 20030060450A KR 100535746 B1 KR100535746 B1 KR 10053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mpartment
inner container
opening means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752A (ko
Inventor
김휘주
Original Assignee
넥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솔테크(주) filed Critical 넥솔테크(주)
Priority to KR10-2003-006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7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 용기로서 위생적이며 쉽게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밀봉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는 최소한 두개 이상의 분리된 격실을 가지고 있고, 용기의 내부에 주식인 밥, 면, 스파게티 혹은 파스타뿐만 아니라 부식으로서 다양한 소스, 국물(스프) 및 반찬 등을 격실별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내용물을 직접 만질 필요 없이 쉽게 개봉하고 주-부식을 간단히 혼합하여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격실간 개봉기능을 가진 다중격실밀봉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A Compartmented Food Container Having Opening Function between Compartment}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도시락은 대부분 사용시까지 일정기간 보관되어진다. 그러한 도시락은 필요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락 제품의 경우, 도시락 내용물의 포장시 위생적인 관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완벽한 밀봉을 이루기 어렵거나, 개봉시 포장된 식품이 손 혹은 주변 환경에 묻어나 위생적인 개봉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내부에 주식과 함께 스프, 소스 및 반찬등을 따로따로 밀봉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매우 간단하며 위생적인 격실간 개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도시락의 제공이 가능토록 하여 밀봉된 내용물의 보관 안정성의 확대와 도시락 이용자들의 개봉에 대한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주식과 부식을 별도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반찬의 종류와 소스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메뉴의 도시락을 제공할수 있도록 한 격실간 개봉수단이 마련되어있는 다중격실밀봉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사람들이 널리 이용하는 도시락은 개봉시까지 대부분 일정기간 보관되어지며 필요시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는 도시락이 개발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중격실을 가진 밀봉용기(100)가 위생적이며 쉽게 다중격실 상호간을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간이도시락) 혹은 레토르트 포장에 관한 것으로, 최소한 두개 이상의 격실을 가진 용기(100)의 내부에 주식인 밥, 면, 스파게티 혹은 파스타 뿐만 아니라 부식으로서 다양한 소스, 국(스프)및 반찬 등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밀봉용기(100)는 내용물을 특성별로 별도의 격실에 보관함으로 사용시까지, 의도하지 않은 혼합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화나 질의 저하를 주지 않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주-부식을 간편하게 혼합하여 즉석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격실간 개봉수단을 가진 밀봉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 3까지 에는 본 발명의 밀봉용기(100)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최소한 두개 이상의 격실을 가진 밀봉용기(100)로 식품을 포장(도시락 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100)의 구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 외용기(20) : 기능면으로 비추어보면 하부격실 혹은 함체라고 칭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의 모양으로 시린더 혹은 역절두원추의 형태를 한 "U"자형의 몸체를 한 용기. 그 몸체의 상부에는 턱(21)[테두리]이 형성되어있고, 턱(21)에는 내용기(30)의 턱(31)과/혹은(and/or) 덮개(40)가 부착되어 밀봉되는 용기.
- 내용기(30) : 상부격실 혹은 수납체라고 칭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외용기(20)와 유사한 외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그 용량이 외용기(20)에 비해 작아서 외용기(20) 내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된 크기의 용기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봉되어 있다. 내용기(30)의 상부는 덮개(40)에 의하여 밀봉되고 또한 개봉된 하부는 차단막(51)에 의하여 밀봉된다.
- 차단막(51): 차단막(51)은 내용기(30) 하부의 개봉된 부분을 밀봉하고, 밀봉한 차단막(51)의 일측에는 개봉수단(50)인 손잡이(53)가 용기 밖으로 노출되어 달려있다.
- 개봉수단(50) : 개봉수단(50)은 차단막(51)과 손잡이(53)의 연결기구인 띠(리본) 및 손잡이(53)로 구성되어있다. 띠 의 말단에 부착된 손잡이(53)는 손잡이(53)가 시작된 "역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용기(100) 밖으로 노출시키고 있다.이 손잡이(53)를 용기(100) 밖으로 잡아당겨 내용기(30)의 하부를 외용기(20)의 내부쪽으로 개봉한다. 이것은 다른 말로 "격실간 개봉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 덮개(40) : 내용기(30)는 덮개(40)에 의하여 밀봉되고, 외용기(20)는 덮개(40) 및/혹은 내용기(30)에 의하여 밀봉된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전술한 외용기(20), 최소한 한개 이상의 내용기(30), 덮개(40), 개봉수단(50) 및 차단막(5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개봉시 밖으로 노출된 개봉수단(50)의 손잡이(53)를 잡아당겨 내용기(30)의 하부를 개봉하여 주식과 부식을 우선 혼합하고 그리고 내용기(30)를 외용기(20)로부터 떼어내고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100)이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진 외용기(20)내의 상단에 별도의 내용기(30)를 결합시키고, 상기 외용기(20) 상단에 덮개(40)를 융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1" 에 기술된 외용기(20)는 내용기(30)를 수납하고 추가로 내용물을 수납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외용기(20)의 윗부분의 테두리에는 턱(21)이 달려 있다. 턱(21)의 일측에는 개봉수단(50)의 손잡이(53)와 잘 구별하여 용기를 쉽게 열 수 있도록 밑돌기(23)가 달려 있다.
외용기(20)는 내용기(30)를 수납함으로서 외용기(30)를 뚜껑으로 밀봉된다.
"도면 1" 에 기술된 내용기(30)의 윗부분의 테두리에도 역시 턱(31)이 달려있다. 턱(31)의 크기는 외용기(20)의 턱과 접착제 등으로 상호 용착하여 내용물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규모 혹은 최소한 유사한 형태 및 크기이다. 내용기(30)의 몸체는 외용기(20)보다 적은 용량으로 되어있어 외용기(20)에 완전히 수납된다. 내용기(30)의 하부는 외용기(20)의 용기내로 개봉되어있으나, 그 개봉된 하부는 차단막(51)에 의하여 사용시까지 완전히 밀봉된다. 턱(31)의 일측에는 개봉수단(50)의 손잡이(53)와 잘 구별되며 용기를 쉽게 열 수 있도록 윗돌기(33)가 달려있다. 내용기(30)의 턱(31)의 윗부분은 내용기(30)에 내용물을 담은 후 덮개(40)로 밀봉하며, 내용기(30)의 턱(31)의 아랫부분은 내용물이 담기 외용기(20)의 턱(21)과 융착되어 밀봉된다.
"도면 1" 에 기술된 덮개(40)는 내용기(30) 및/혹은 외용기(20)의 턱에 고정되어 사용시까지 각각의 용기를 밀봉하여 준다.
"도면 1" 에 기술된 차단막(51)은 내용기 밑부분의 개봉된 면적을 덮고 내용기 밑부분의 접합부분이 상호간 융착되어 내용기(30)를 밀봉 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구성된다. 차단막(51)의 테두리는 내용기(30)와의 접합부분으로 되어있고, 도면 1,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기(30)의 접합부분(35)과 차단막(51)의 접합부분(55)은 접착제로 상호 융착되어 내용기(30)를 밀봉하고 있다.
"도면 1, 2 및 3" 에 기술된 개봉수단(50)은 차단막(51)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다. 차단막(51)의 일측에 부착된 개봉수단(50)은 리본형태를 한 띠로서, 차단막(51)의 접착방향의 역방향으로 용기하부를 지나 용기(100)밖 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다. 사용시 더욱 쉬운 개봉을 이루기 위하여 개봉수단(50)의 끝에는 손잡이(53)를 달 수 도 있다.
밖에서 개봉수단(50)의 단말에 부착된 손잡이(53)를 잡아당기면 내용기(30)의 하부에 부착된 차단막(51)은 차단막(51)을 가로질러 연결된 띠(리본)의 방향으로 내용기(30)로부터 박리되며 그로인해 내용기(30)의 하부가 개봉된다.
포장유통시 개봉수단(50)은 외용기(20)의 턱(21)과 내용기(30)의 턱(31)사이에 상호 융착-밀봉되어 있어서 별도의 아무 기능을 하지 않는다.
외용기(20)의 내부에 포함되어 수납된 내용기(30)는 하부에 차단막(51)이 강하게 접착되어있다. 이것은 밖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개봉수단(50)의 손잡이(53)와 연결 되어있다.
밖으로 노출된 개봉수단(50)의 고리는 유통과정 중 외용기(20)와 내용기(30)의 턱(21,31)에 접착되어 밀봉되어 있으나, 사용시 턱(21,31)과 분리하여 밖으로 잡아당기면 내용기(30) 하부의 차단막(51)이 내용기(30)의 바닥면과 박리되어 내용기(30)가 개봉되며 내용물이 외용기(20)의 내부로 이동한다. 전술 한 바대로 이것은 격실간 개봉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용기(20), 내용기(30), 덮개(40) 및 차단막(51)의 형태는 도면상에 도시되어진 사각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므로 기술적 범위 안에서 원형 혹은 타원형 등 형태와 모양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인 최소한 두개이상의 격실을 가지고 있는 밀봉용기(100)에서 별도의 포장공정을 가지는 내용기(30)는 포장공정시 외용기(20)의 내용물과 다른 환경의 포장공정을 거칠 수 있으므로, "내용기(30)" 만 별도로 레토르트 식품의 특정한 고열 혹은 고압의 살-멸균 포장공정을 거칠 수 도 있어 일반 포장보다도 더욱 위생적인 포장환경을 마련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100)를 통하여 주식과 부식을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되었고, 밀봉된 내용기(30) 내부공간에 반찬 또는 소스를 별도로 보관하는 방법으로 내용물의 뒤섞임 없이 포장물의 형태를 의도한바 대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하나의 용기(100)에 주식과 부식을 함께 담을 수 있게 되므로 주-부식의 종류와 소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메뉴의 도시락 혹은 포장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들의 기호를 보다 충족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용기(100)에 있어서, 외용기(20)에는 소정량의 주식이 담기게 되고, 내용기(30)에는 부식이 담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주식은 밥, 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부식이란 반찬을 포함하여 주식에 맛을 가하여주는 부재료로서 반찬, 소스 혹은 농도에 관계없이 국물 혹은 스프를 말함이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용기(100)의 재질에 의하여 충진된 내용물에 장기보관의 특성을 부여함으로, 본 발명의 용기(100)에 적합한 식품을 담아 군의 전투식량, 등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즉석식품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적인 지식이 있는 자라면 충분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100)에 분리하여 포장하기 적합한 식품군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밀봉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을 먹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도면에 도시되어진 바대로, 개봉수단의 손잡이(53)를 잡아당겨 차단막(51)을 개봉하고, 그리하여 내용기(30)가 일부 개방되는 "격실간 개봉"을 한 후 전자렌지(Microwave Oven) 등을 통해 내용물을 일정시간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이 적당한 온도에 이르렀을 때, 외용기(20)를 완전히 개봉하여 먹는 것이다.
전술한 바대로 본 발명의 용기(100)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것과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과 순서를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실시예 1:
1. 하부가 차단막(51)으로 밀봉된 내용기(30)에 부식으로서 적당한 소스, 국(스프) 혹은 반찬을 담는다.
2. 내용물을 충진한 내용기(30)의 상부를 덮개(40)로 밀봉한다.
3. 밀봉된 내용기(30)를 레토르트 공정온도로 가열된 살-멸균 기구장치에 넣고 레토르트 식품에 적합한 공정처리를 한다.
4. 외용기(20)에 내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여유를 두고 적당한 양의 주식을 충진한다.
5. 살-멸균처리된 내용기(30)를 주식이 충진된 외용기(20)에 수납한다.
6. 외용기(20)에 수납된 내용기(30)가 상호 잘 밀봉될 수 있도록 두 용기의 턱(21,31)을 강하게 융착시킨다.
7. 강하게 융착된 밀봉용기(100)를 완성한다.
실시예 2:
1. 내용기(30)와 외용기(20)의 턱(21,31)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돌기 (23,33)를 잡아당겨 용기(100)의 일부를 적당히 벌려 개봉한다.
2. 개봉수단(50)의 말단에 부착된 손잡이(53)를 용기(100)의 턱(21,31)과 돌기(23,33)로부터 박리시켜 고리가 내-외용기(20/30)로부터 자유롭도록 한다.
3. 개봉수단(50)의 말단에 부착된 손잡이(53)를 잡아당겨 차단막(51)이 내용기(30)의 하부로부터 서서히 박리되도록 한다.
4. 내용기(30)의 하부로부터 차단막(51)이 서서히 박리되며 내용기(30)의 하부가 외용기(20)의 내부로 개봉된다(격실개봉).
5. 내용기(30)의 하부가 서서히 개봉되면서 내용기(30)의 내용물이 외용기(20)의 내부로 이동한다.
6. 내용기(30)로부터 이동된 내용물을 적당히 혼합하여 섭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용기(100)는 공간이 형성되어진 외용기(20)에 내용기(30)를 수납하고, 상기 내용기(30) 상단에 덮개(4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용기(20)내 하부 공간에 주식을 보관하고, 밀봉된 내용기(30) 내부공간에 반찬 또는 소스 등을 보관하는 방법으로 내용물의 뒤섞임 없이 식품의 보관 상태를 거의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하나의 도시락에 주식과 반찬을 함께 담을 수 있게 되므로 반찬의 종류와 소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메뉴의 도시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용기(100)는 상하 분리된 별도의 용기(100)이므로 즉석개봉으로인한 편리함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소스의 포장 부분은 레토르트 방식의 위생적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사용전까지는 필히 섞이지 않아야 할, 서로 다른 수분함량과 점도를 가진, 주식과 부식을 별도의 격실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격실개봉을 통한 혼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용자들의 기호를 보다 충족 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전체) 20 : 외용기(함체)
21 : 턱(테두리) 23 : 밑돌기 [突起]
30 : 내용기(수납체) 31 : 턱(테두리)
33 : 윗돌기 [突起] 35 : 접합부분
40 : 덮개 41 : 턱(테두리)
50 : 개봉수단 51 : 차단막
53 : 손잡이(고리) 55 : 접합(융착)부분

Claims (5)

  1.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나누어 수납하여 보관 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다중격실을 가진 밀봉용기(100)에 있어서;
    - 하나의 격실이 외용기(20)로서, 외용기(20)에 수납되는 내용물과 함께 내용기(30)를 함께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외용기(20)와,
    - 또 하나 이상의 격실이 내용기(30)로서, 개봉된 하부를 가진 내용기(30)의 하부가 개봉수단(50)을 포함한 차단막(51)으로 밀봉되어 있으며, 내용기(30)가 외용기(2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됨과 동시에 그 수납됨이 외용기(20)를 밀봉하며,
    내용기(30)가 외용기(20)에 수납되어진 상태로 내용기(30)의 하부가 개봉수단(50)을 통하여 외용기(20)의 내부측으로 개봉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용기(100).
  2. 제1항의 내용기(30)에 있어서, 내용기(30)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격실을 가지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용기(100).
  3. 제1항의 용기(100)에 있어서, 용기(100)의 밖에서 개봉수단(50)을 잡아당겨 내용기(30)가 외용기(20)의 사이가 개봉되는 격실간 개봉수단이 마련된 것에 특징이 있는 용기(100).
  4. 제1항의 내용기(30)에 있어서, 내용기(30)가 레토르트 포장 특성을 가진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100).
  5. 다중격실을 가진 용기(100)에 있어서,
    - 내용기(30)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외용기(20)와,
    - 하부가 개봉되어 있으며, 외용기(20)에 수납되어지는 내용기(30),
    - 일측 모서리에 개봉수단(50)의 손잡이(53)가 달려있으며, 내용기하부의 개봉된 부분에 부착되어 내용기를 밀봉하고 있는(30) 차단막(51)과,
    - 용기(20, 30)의 상부에 턱(21, 31)이 형성되어져 있고,
    - 내용기(30)의 상부를 밀봉하는 기능을 가진 덮개(40),
    - 상기 외용기(20) 내상부의 턱(21)에 내용기(30)가 융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외용기(20)의 밀봉수단의 기능을 하는,
    외용기(20), 하부가 개봉된 내용기(30), 윗덮개(40), 개봉된 내용기하부를 밀봉하고 있는 차단막(51)으로 구성되어, 내용기(30)의 하부에 부착된 차단막(51)이 격실간 개봉수단을 포함하고, 전술한 구성물의 결합이 다중격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100)
KR10-2003-0060450A 2003-08-29 2003-08-29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KR10053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50A KR100535746B1 (ko) 2003-08-29 2003-08-29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50A KR100535746B1 (ko) 2003-08-29 2003-08-29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752A KR20050022752A (ko) 2005-03-08
KR100535746B1 true KR100535746B1 (ko) 2005-12-12

Family

ID=3723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450A KR100535746B1 (ko) 2003-08-29 2003-08-29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34Y1 (ko) * 2012-08-22 2014-06-13 김윤호 이중 혼합 포장용기
KR101686027B1 (ko) * 2015-12-02 2016-12-13 한국식품연구원 Diy 김치 배송방법 및 이를 위한 diy 김치 포장용 용기
CN108903596A (zh) * 2018-08-02 2018-11-30 长沙易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752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734380B2 (en) A two-part storage container
CA2237860C (en) A two-compartment container
JPS58193277A (ja) 食品用包装容器
KR100535746B1 (ko)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US4210248A (en) Packaging for retortable pouch
KR200483275Y1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JP2015196520A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4001259B2 (ja) 簡易容器
JP2007223642A (ja) 化粧料包装体
JPH11105892A (ja) 注出口付ガゼット袋
JP2857172B2 (ja) 個包装体の製造方法
CN207374965U (zh) 包装盒
JPH10211953A (ja) 食品包装容器
JP2001055241A (ja) 冷凍保存用容器
KR20070026619A (ko) 다실형 수납용기
ES2384074T3 (es) Juego de botellas
GB2152590A (en) Dispensing apparatus
KR200362028Y1 (ko) 접착식 밀폐용 지퍼
KR100764027B1 (ko) 인스턴트 용기
JP2017214119A (ja) 食品包装容器
JP2002037350A (ja) 2室分離式携帯用容器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JPH10287350A (ja) 食品のチューブ容器
KR930002761Y1 (ko) 즉석어묵용기의 뚜껑 개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