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045A - 일회용 발열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발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045A
KR20140055045A KR1020120121305A KR20120121305A KR20140055045A KR 20140055045 A KR20140055045 A KR 20140055045A KR 1020120121305 A KR1020120121305 A KR 1020120121305A KR 20120121305 A KR20120121305 A KR 20120121305A KR 20140055045 A KR20140055045 A KR 2014005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ing
outer container
inner contain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수
Original Assignee
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수 filed Critical 최재수
Priority to KR102012012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045A/ko
Publication of KR2014005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발열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열체의 열이 내부용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일회용 발열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및 둘레부로 이루어진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지며,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어지는 내부용기; 상기 공간에 설치되되, 포장지와, 상기 포장지 내부에 수용되지는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발열용기{Heating vessel}
본 발명은 일회용 발열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의 열이 내부용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일회용 발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간단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가 개발되어 각종 인스턴트 식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 식품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음식을 조리하게 됨으로, 가열기구를 휴대하기 어려운 등산이나 야외 활동에서는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보온병 등에 온수를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회용 용기에 발열체를 내장하여 냉수를 부어도 즉석 요리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0009933호의 "불없이 컵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즉석외부용기"에서 찾아 볼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a)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부 내측주벽에는 내부용기 등이 개구부(1a)를 통하여 수용될 때 개구부(1a)와 일정한 수증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돌주(1b)를 형성시킨 외부용기(1)와, 이 외부용기(1)의 내측에 넣어진 가열용물봉지 및 발열촉진봉지(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회용 발열용기는 등산이나 야외 활동시에 휴대하고 다니다가 취사를 할 때, 외부용기(1)의 개구부(1a)로 안착 결합된 내부용기(4)를 분리시킨 후, 외부용기(1)의 내부에 내장된 발열촉진봉지(3)를 꺼내어 일측을 개봉하고 다시 외부용기(1)의 내부로 넣은 후 가열용물(2)이 수용된 가열용물봉지를 개봉하여 상기 발열촉진제(3a)가 넣어진 외부용기(1)에 붓는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1)의 개구부(1a)로 내부용기(4)를 주둥이 까지 안착시킴으로써, 컵라면을 끓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발열용기는, 내부용기(4)는 평단면이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져 발열체의 열이 효과적으로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용기(1) 내부에 돌주(1b)를 별도로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열체의 열이 내부용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일회용 발열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는,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및 둘레부로 이루어진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지며,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어지는 내부용기; 상기 공간에 설치되되, 포장지와, 상기 포장지 내부에 수용되지는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 상단부에는 커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는, 내부용기를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발열체의 열이 내부용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전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조원가 절감으로 실용적으로 사용하므로서 등산 ,낚시, 야외활동 등으로 취사도구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산불발생과 자연훼손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발열용기(100)는 외부용기(10), 내부용기(20), 발열부재(30) 및 뚜껑(4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및 둘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지며,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는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주름(21)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발열체(32)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열효율을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 상단부에는 커링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성하여 내,외부용기(10)(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하여 외부용기(10)에서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라면, 떡복기, 떡국, 톳면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30)는, 상기 공간에 설치되되, 포장지(31)와, 상기 포장지(31) 내부에 수용되어지는 발열체(3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포장지(31)는 알루미늄 포일로 이루어져 발열체(32)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에 포장지(31)를 절단하여 내부의 발열체(3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40)은 상기 내, 외부용기(10)(2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회용 발열용기는 다음의 순서로 사용되어진다.
제1단계: 준비단계(S100)
제1단계는, 내,외부용기(10)(20)에 뚜껑(40)이 덮어져 있고, 상기 내,외부용기(10)(20)의 사이에 발열부재(30)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20)에는 내용물이 저장되어져 있는 일회용 발열용기(1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즉, 등산 등의 야외 활동에서 필요시 일회용 발열용기(100)를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제2단계: 내,외부용기 분리단계(S200)
제2단계는, 내,외부용기(10)(20) 분리단계는 결합되어져 있는 내,외부용기(10)(20)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며, 내,외부용기(10)(20) 사이에 발열부재(30)가 내장되어져 있는 것이다.
제3단계: 발열체 설치단계(S300)
제3단계는, 발열체(32) 설치단계이며, 이는 발열부재(30)의 포장지(31)를 절단한 후 발열체(32)만을 외부용기(10)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제4단계: 발열체에 냉수 공급단계(S400)
제4단계는, 발열체(32)에 냉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며, 상기 발열체(32)에 냉수를 공급함으로서, 냉수와 발열체(32) 사이의 반응으로 인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5단계: 내부용기에 냉수 충진단계(S500)
제5단계는, 내부용기(20)에 냉수 충진단계이며, 상기 발열체(32)에서 발열된 열에 의해 내부용기(20)의 내용물을 가열시켜 요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20)의 둘레에 주름(21)이 형성되어 있어 발열체(32)에서 발생된 열의 전도가 좋아 열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제6단계: 완료단계(S600)
제6단계는, 완료단계이며, 상기 내용물에 냉수를 충진한 후 뚜껑(40)을 덮고 일정시간을 경과한 후 뚜껑(40)을 개방한 후 내용물을 취식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일회용 발열용기
10: 외부용기 20: 내부용기
21: 주름 22: 커링부
30: 발열부재 31: 포장지
32: 발열체 40: 뚜껑

Claims (2)

  1.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및 둘레부로 이루어진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지며,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어지는 내부용기;
    상기 공간에 설치되되, 포장지와, 상기 포장지 내부에 수용되지는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상단부에는 커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일회용 발열용기.
KR1020120121305A 2012-10-30 2012-10-30 일회용 발열용기 KR20140055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305A KR20140055045A (ko) 2012-10-30 2012-10-30 일회용 발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305A KR20140055045A (ko) 2012-10-30 2012-10-30 일회용 발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45A true KR20140055045A (ko) 2014-05-09

Family

ID=5088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305A KR20140055045A (ko) 2012-10-30 2012-10-30 일회용 발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0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854A (zh) * 2019-02-22 2019-04-19 湖南粮食集团有限责任公司 自热食品包装盒
KR20210154648A (ko) * 2020-06-12 2021-12-21 한재신 발열제와 일체화된 일회용식품용기
KR102400113B1 (ko) * 2021-02-19 2022-05-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교체용 발열팩이 적용된 휴대용 비전기식 다리미
KR20230079644A (ko) 2021-11-29 2023-06-07 박영화 도시락용 발열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854A (zh) * 2019-02-22 2019-04-19 湖南粮食集团有限责任公司 自热食品包装盒
CN109649854B (zh) * 2019-02-22 2024-01-12 中南粮油食品科学研究院有限公司 自热食品包装盒
KR20210154648A (ko) * 2020-06-12 2021-12-21 한재신 발열제와 일체화된 일회용식품용기
KR102400113B1 (ko) * 2021-02-19 2022-05-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교체용 발열팩이 적용된 휴대용 비전기식 다리미
KR20230079644A (ko) 2021-11-29 2023-06-07 박영화 도시락용 발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33337U (zh) 可折叠可加热液体容器
US9686826B2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GB2523011A (en) A container for holding an egg
KR20140055045A (ko) 일회용 발열용기
US20120085724A1 (en) Insulated reusable self-warm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JP458395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KR200483275Y1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200489315Y1 (ko) 간접적으로 발열이 가능한 일회용 발열용기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JP4286289B2 (ja) 液体加熱容器
EP0836823A1 (en) Heat accumulating pan and heat insulation cooking container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KR101406618B1 (ko) 이중구조 뚜껑이 구비된 컵밥 포장용기
CN207125593U (zh) 一种恒温焖烧内胆及其焖烧杯
KR101173421B1 (ko) 식품용기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CN205267874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和烹饪器具
TWM529464U (zh) 加熱容器裝置
KR20110011636U (ko) 휴대용 가열조리용기
KR20110029486A (ko) 가열식 즉석 조리 용기
ES2762301B2 (es) Cafetera portátil
JP3132029U (ja) 携帯用簡易加熱器
JP6626700B2 (ja) 容器及び食品包装体
EP1159856B1 (en) Heating a product intended for consumption in a microwave apparatus
KR20210041837A (ko) 가열식 즉석 조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